고딕은 마법소녀/샷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고딕은 마법소녀

1. 개요
2. 집중형
2.1. 직선형 샷
2.2. 매지컬 레이저
2.3. 발칸
2.4. 웨이브
2.5. 니들
2.6. 바이퍼
2.7. 스프레드
2.8. DDP 레이저
2.9. GOD 매그넘
2.10. 소드
2.11. 드래곤번
2.12. 드래곤데인
2.13. 랜서
2.14. 메가 레이저
3. 확산형
3.1. W 샷
3.2. 플라즈마 레이
3.3. 호밍
3.4. W 웨이브
3.5. W 스프레드
3.6. 스플래시


1. 개요[편집]


고딕은 마법소녀의 샷을 정리한 문서.


2. 집중형[편집]



2.1. 직선형 샷[편집]


전방에 한 줄인 기본적인 샷. 그럭저럭 쓸 수 있다. 러브 맥스로 굵어지며 탄속이 빨라진다. 기본적인 샷이라 균형이 좋다. 레어도, 속성을 불문하고 많이 있으며, 각 속성에 1명 정도는 키워두면 도움이 된다. 단점은 다른 탄에 비하면 폭이 좁은 편이라 측면에서 오는 적에게 약하며, 관통을 할 수 없다는 것. 레벨업해도 1발의 위력은 바뀌지 않지만 연사 성능과 탄속이 빨라지면서 상대적으로 공격력이 증가한다. 전방 집중형이기는 하지만 위력이 낮기 때문에 난이도 death의 고속 암탄 러시에 정면에서 대응하기 위해서는 러브 맥스 상태가 필수.


2.2. 매지컬 레이저[편집]


적에게 닿을 때까지 일직선으로 뻗는 샷. 딱히 샷이나 웨이브에 비해 좋은 건 아니다. 누르고 있는 동안 끊기지 않고 공격할 수 있다. 가까이서도 멀리서도 탄의 밀도가 바뀌지 않는 것이 특징. 적에게 접근하지 못하는 초보자도 안심하고 다룰 수 있지만 Hard 이상의 난이도에서는 약간 어렵다.

탄 밀도가 낮은 것을 바탕으로 '적 하나만을 노리는' 전술이 편하다. 하지만 가까이 다가가도 탄 밀도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적이 많으면 힘들다. 고난이도일 수록 적의 양과 응사가 늘어나는 이상, 가까이 가서 화력을 퍼붓는 다른 샷보다 못하다. 레벨업에 의한 성장 방법이 다른 샷과는 달리 초당 히트수가 올라가지 않는 대신 샷 자체의 공격력이 상승하고, 가로 폭이 넓어진다. 폭이 넓어지는 만큼, 다른 적(특히 속성 구슬)에 막혀 멀리까지 가기 힘들기 때문에[1] 링 안에서 해결하는 발칸과 마찬가지로 진화를 중간에 그만두고 쓰는 방법도 있다. 단, 공격력도 낮아진다.

예전에는 관통 성능이 전혀 없어서 잡몹 박치기 러시에 신나게 맞기도 했지만 업데이트로 일격에 쓰러뜨릴 수 있는 잡몹은 관통할 수 있게 되었다. 잡몹 관통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린다.

샷별 액티브 랭킹의 대상이 되기 쉬운 샷.


2.3. 발칸[편집]


사거리가 짧은 변칙적인 샷. 자신의 바로 옆에서부터 대각선으로 집중적으로 발사한다. 쓸 곳이 있기는 하다. 레벨이 오르거나, 러브 맥스로 회전율, 사거리가 길어진다.

측면 판정이 꽤 넓어 적의 바로 옆에서 끼어들거나, 보스 탄의 옆에서 파고드는 것이 가능하다. 오히려 정면보다 측면에 강하다. 밀착할 수 있다면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만능 무기. 그러나 접근하면 맞을 수도 있으니, 클리어가 목적이라면 접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집중 샷 중에서도 연사가 빠르기 때문에 익숙해지면 보스 구슬을 파괴하는 것에 적합하다. 개틀링처럼 콤보를 올리기 위한 샷이 아니기 때문에, 노멀 이하의 메인 샷, 하드 이상의 보스전, 중보스 용의 서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샷 설명에 '위력이 높은'이라는 말이 있지만 1발의 공격력이 20으로 샷 웨이브와 비슷하며, 러브 맥스가 아닐 때 연사도 느리며 보스에게 공격해도 큰 타격은 없다.


2.4. 웨이브[편집]


전방에 한 줄기의 기본형 샷의 아종. 러브 맥스로 두꺼워지며 탄속이 빨라진다. 샷보다 폭이 넓고, 탈 밀도도 샷에 다소 못 미칠 정도로 쓰기 쉽다. 탄이 한 번 적을 관통하기 때문에 집단에 아주 약간 강하다. 샷의 단점을 개선하고 다루기 쉽게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hard~death에서는 상위 샷을 제외하면 안정적이고 콤보를 올릴 수 있는 샷 중 하나며, 또한 탄의 판정을 숙지하고 있다면 니들로 할 때보다 안 맞을 수 있다. 또한 웨이브 계열은 다른 보스 속성 구슬을 관통하는 몇 안되는 샷이다.[2]

단점은 샷과 마찬가지로 측면에 약한 것과 다른 주류 샷에 비해 화력이 약하다는 것. 또한 콤보를 올리는 것도 상위 샷보다 크게 떨어진다. 보기보다 타격 판정이 넓어 판정을 활용해 점수를 올릴 수도 있지만, 블록 1개 정도의 틈밖에 없는 곳에서는 좌우의 블록을 공격하게 된다는 결점도 있다.


2.5. 니들[편집]


관통하는 바늘 탄을 쏜다. 연사 간격은 스프레드에 가깝다. 적에게 닿으면 관통하고 다단히트한다. 적을 반격탄 째로 공격할 수 있다. 단점은 니들이 적을 관통하고 있는 동안에는 연사 속도가 대폭 감소해, 적의 돌진 공격이나 보스의 속성 탄에 약하다. 관통의 특성을 파악하지 못했을 경우 의도치 않게 대형 몹을 없애버릴 수 있다. 개성이 강하고, 다른 샷보다 좋은 성능을 위해서는 스테이지를 제대로 외워야 한다. 제대로 다루면 스코어 어택에서 활약할 수 있다. 러브 맥스일 때는 탄이 더욱 커지며, 파괴할 수 없는 것도 일부 관통한다. 단, 보스의 속성 탄은 약점 속성만 관통할 수 있다(플라즈마와 동일).

hard~death에서 스코어링을 할 때 대형 보스를 접근해서 공격하면 콤보가 잘 올라가지만 보스가 쏘는 바위만 공격하게 될 수도 있다. 바위가 유도탄일 경우에는 잘 유도하거나 확산으로 바꾸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예전에는 소지 캐릭터가 적었으나(대부분 5성), 지금은 이벤트 보수로 자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추가된 DDP레이저나 GOD매그넘 등에 비교하면 성능이 구리고 바이퍼라는 상위 호환이 있기 때문에 획득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2.6. 바이퍼[편집]


니들과 비슷한 탄을 3방향으로, 러브 맥스 시에는 5방향으로 쏜다. 니들의 특성을 그대로 갖고 있어서 머리 비우고 적당히 하고 때려치우는 스코어링에 매우 쓸만한 성능을 가졌으며, 니들의 단점인 대각선 탄 및 박치기에 약한 것을 보완하는 샷이다. 관통의 특성은 니들하고 거의 같으니 니들 하던 사람은 쉽게 입문이 가능하다. 다만 그놈의 관통 속성 때문에 Death 최상위권에서는 안쓴다.


2.7. 스프레드[편집]


전방에 착탄하면 폭풍이 발생하는 탄을 쏘는 변칙적인 샷. 폭풍이 발생하는 탄은 이전에 없던 특징이며, 조금 개성이 있다. 러브 맥스 상태에서는 연사 성능이 좋아지고 폭풍의 크기가 커진다.

폭풍은 잠시 머물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것이 기본이다. 다음 적에 미리 대비해서 행동하면 잘 맞지 않는다. 바위탄도 잘 부숴서 콤보도 그럭저럭 올릴 수 있다. Death의 응사에도 강하다. 전방위로 파괴 가능한 탄을 뿌리는 적도 출현 위치만 파악하면 그냥 점수다. 속성 구슬과 보스에게 가까이 다가가지 않아도 폭풍으로 타격을 주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공격하면 상당히 좋다. 타격이 집중되기 때문에 보물 상자의 처리 능력도 비교적 높은 편.

단점으로는 회전율이 나쁘고, 양옆의 적의 돌진에 취약하다. 특히 웨이브나 니들 등과 비교하면, 실질적인 회전율이 좋지 않다는 것은 큰 단점이다. 탄 밀도가 낮아서 수직으로 빠르게 떨어지는 바위 구슬이나 속성 구슬에도 대처할 수 없다.


2.8. DDP 레이저[편집]


도돈파치의 그 DDP가 맞다. 도돈파치의 레이저 형태로 나가게 되며 오라샷은 일반 상태에서는 너무 좁아서 히트시키기 어렵지만 러브 맥스가 되면 무지막지하게 커지게 되고 대미지가 줄어든다. Death의 스코어링을 위한 2대 샷 중 하나로 이는 밑에서 다룬다. 날고 기는 샷의 추가로 여기에 서술된 모든 샷들이 무의미해진 일섭에서 그나마 선방하는 유일한 샷이다.

소지 사역마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구하기 매우 어려운 데다가 Death의 스코어 최상위를 노리거나 숙련도가 어느 정도 이상이 아니면 되려 GOD매그넘에 밀리기 때문에 하는 사람만 하는 샷이다.


2.9. GOD 매그넘[편집]


한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샷. 중앙 집중형 + 관통 능력으로 어지간한 적은 상성을 무시하고 갈아버리며, 러브 맥스가 아니어도 측면과 후방 커버가 적절해 러브 맥스가 되면 그냥 맵을 지워버리는 수준의 샷이기 때문에 리세마라를 시도할 경우 필수 샷이며 헬퍼로 나오면 친추 걸고 자주 나오게 할 정도의 샷이다.

다만 Death 스코어링에서 최상위권에서는 전멸했는데 이유는 후술.


2.10. 소드[편집]


모티브는 아카이카타나로 추정. 터치했다가 떼면 특정 방향으로 칼을 발사하며, 다시 터치하면 발사한 칼이 되돌아오는 형태가 반복되는 샷. 보통 (터치) 앞쪽 칼회전 - (뗌) 앞으로 칼 발사 - (터치) 대각선 4방향에서 칼 회전 - (뗌) 4방향으로 칼 발사 - (터치) 뒤쪽으로 칼 회전 - (뗌) 뒤에서 앞으로 칼 발사 - (터치)앞쪽 칼회전 - ... 으로 무한 반복된다. 러브 맥스시에는 칼의 크기가 커지고 4개에서 8개로 늘어나며 4방향 발사가 8방향 발사로 바뀐다. 칼이 날아갈 때는 고화력, 회수할 때는 회전하면서 저화력 + 콤보수 증가의 특징을 가진다. 기체로 도착한 작은 칼은 콤보수 증가 능력이 약하다고 보면 된다.

상당한 난이도를 자랑하는 샷으로, 터치하고 떼면 칼이 날아가는 시간 + 터치시 돌아오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도 익숙해지기 어려우며 그놈의 뒤로 칼 돌리는 특정 패턴 때문에 앞으로 돌진하는 몹에게 박치기를 당하는 경우가 무지 잦다. 거기다가 터치 간격이 너무 길면 샷이 비는 시간이 길어져서 박치기를 못 피하며, 너무 짧으면 원거리에 딜이 안들어가고 돌아가는 칼은 탄의 판정을 받기 때문에 큐브가 등장하는 스테이지에선 무의미한 수준의 성능을 가진다. 다만 칼이 날아갈 때의 대미지 하나는 화끈하기 때문에 보스는 의외로 조금만 익숙해지면 명치딜로 손쉽게 잡는다. 구슬 때리는게 골치 아파서 그렇지(...).


2.11. 드래곤번[편집]


샷은 중앙에 좁은 레이저 하나만 나가지만 주변에 용이 나와서 주변을 공격하는 샷. 러브 맥스시 용의 개수가 늘어난다. 용의 대미지가 생각 외로 높아 불리기는 심히 안좋으나 레드 큐브 공격에는 용이하다. 인페르노가 보급된 일섭에서는 묻혔지만 아직 안나온 한섭에서는 유용하게 쓰인다.


2.12. 드래곤데인[편집]


드래곤번과 비슷한 샷. 정면샷은 레이저가 아니라 일반 탄이며 용은 기체 주변을 맴도나 유도성은 없는 게 특징이다. 드래곤번과 비슷하게 큐브 공격에 유리하나 드래곤번에 비해 멀리 퍼진 거에 대한 큐브 공격은 약하기 때문에 둘 중 하나 택하라면 대부분은 드래곤번을 선택한다.


2.13. 랜서[편집]


삼각형 모양으로 연사력 높은 짧은 샷이 나간다. 러브 맥스가 되면 양쪽으로 발생하게 된다. 사거리가 짧아 링 조절할때 유용하지만, 짧다는 건 그만큼 몰릴 때 회피 능력을 요구한다는 뜻이기 때문에 피지컬이 필요한 샷. 보통은 DDP나 소드가 없을 때 바이퍼와 같이 고려하는 레벨이고 길드전에서는 락빔이 어려워 못쓰겠거나 없어서 쓰는 경우가 많다.


2.14. 메가 레이저[편집]


중앙에 집중되는 레이저를 발사한다. 러브 맥스가 되면 에스프가루다 2의 폭탄 마냥 옆으로 범위 및 공격력이 소폭 늘어난다. 관통 성능도 없고 러브 맥스가 아니면 범위도 좁아서 일반적으로는 써먹기 굉장히 까다롭지만 이 샷의 사용처로는 액티브 랭킹에 사용되는 스피드런에 있다.

러브 맥스가 아니어도 공격력이 미쳐 돌아가서 일부 무적 몹이 아니면 무관통의 단점이 느껴지지 않는 레벨이며[3] 러브 맥스 + 근접 + 스킬을 쓰면 어지간한 난이도에서는 보스도 구슬 뱉기 전에 걸레짝이 되거나 뱉기도 전에 파괴되는 말도 안되는 화력을 가졌다. 다만 그놈의 순삭급 공격력 때문에 자칫하면 콤보가 끊기기 때문에 마력이 충분히 높지 않으면 랭크가 떨어져서 오히려 AP 효율만 떨어뜨리는 민폐덩어리 샷이 되고마니 주의.

길드전에서 랜서도 없고 락빔도 없으면 사용하기도 한다.


3. 확산형[편집]



3.1. W 샷[편집]


3 방향으로 폭넓게 탄을 발사한다. 무난히 써먹을 만한 샷. 근접 사격 시에는 모든 샷 중 상위권의 연사력과 화력을 보여준다. 러브 맥스 상태까지 들어가면 대형기와 보스를 말 그대로 녹여버리는 수준. 다만 메가 레이저의 등장으로 스피드런으로는 한수 접게 되었다.

Level 1일 때는 2번씩 발사되는 최악의 연사력을 보여주지만 진화를 시킴에 따라 공격력/범위/연사력 모두 우수한 공격이 된다. 어차피 가장 흔하기도 한 공격 타입이기에 최소 2~3단계까지 진화를 시켜 유용하게 사용하자. 좌/우로 발사되는 보조탄은 가운데의 메인샷보다 위력이 낮다. 약점 속성탄 파괴 시에는 대각선으로 붙어서 2발씩 맞추면 쉽게 파괴할 수 있다.


3.2. 플라즈마 레이[편집]


제멋대로 휘어지는 번개를 발사한다. 번개가 제멋대로 휘어져 원하는 곳으로 날라가진 않지만 관통 속성과 다단 히트 속성이 있어 매우 쓸만한 무기. 연사력이 형편없어 일반 적은 상대하기 힘들지만 대형 적과 보스에게 엄청난 대미지를 준다. 러브 맥스일 때는 4발의 번개가 발사되는데 웬만한 보스는 등장한지 4초 만에 죽어버린다. 거의 메가 레이저급. 하지만 데스 보스를 3초 컷하는 라이트닝의 등장으로 명치딜의 최강자에서는 물러나게 되었다.

사역마 중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은 드롭 교환으로 얻을 수 있는 무치무치 핑크였지만 2016년 6월 18일 이후 다른 사역마로 변경되었다.


3.3. 호밍[편집]


스스로 적을 추적하는 탄을 발사한다. 하지만 적을 추적한다는 점을 빼고 좋은 점이 없다. 위력은 그럭저럭이지만 추적 속도도 그리 빠르지 않고 연사력이 절망적으로 느려 최약체 몹인 박쥐조차 여러 마리가 나오면 제대로 처리를 못하는 수준. 가챠에서 나온 4성이 호밍이라면 차라리 3성 다른 타입을 사용하는 게 좋을지도 모른다. 그나마 러브 맥스시에는 연사력이 대폭 좋아지므로 쓸만한 4성이 호밍밖에 없다면 친밀도를 높여 러브 맥스가 끊기지 않도록 해주면 나름 쓸만해진다.

하지만 호밍 뒤에 改(개)가 붙은 것은 호밍과는 완전히 다른 물건이다. 정신 나간 연사력에 데스에서도 그나마 안정적으로 클리어할 수 있을 정도. 다만 원에 다가오기도 전에 유도해서 격추시켜버리니 고득점 플레이는 조금 힘들다.


3.4. W 웨이브[편집]


전방 좌/우 대각선으로 각각 2발의 탄환을 V자 모양이 되도록 탄환을 발사한다. 집중형에 있는 웨이브와 탄의 모양은 같지만 명중시 1회 관통 효과가 없어지고 대신 2발이 나가게 된 듯. 연사력은 여전히 뛰어나며 적의 공격을 비스듬히 피하며 공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하기 쉽고 좋은 공격 방식. 다만 관통 효과가 사라진 관계로 스코어링에는 조금 약해졌다.


3.5. W 스프레드[편집]


집중형에 있는 스프레드와 마찬가지로 착탄시 폭발하는 탄환을 발사한다. 집중 스프레드보다 사용하기 편하지만, 여전히 사용하기 힘든 편에 속한다. 이쪽은 연사력이 떨어지지만 3방향으로 동시에 탄환을 발사한다. 대신 각 탄환의 폭발 범위와 위력이 감소했다. 단, 보스나 대형기에 근접 사격하면 3발이 모두 다단히트하므로 파괴력이 상승한다.


3.6. 스플래시[편집]


크기가 커지는 탄환을 전방 부채꼴 영역에 랜덤으로 흩뿌린다. 이쪽도 호밍 못지않게 망한 무기로, 어느 방향으로 나갈지 알 수 없는 탄의 궤적으로 인해 사용하기가 까다로운 편인데 반해 위력이나 연사력은 고만고만하다. 발사 방향은 완전히 랜덤이나, 붙어서 사용하면 전탄 히트는 시킬 수 있다.[4] 이걸 사용할 바에는 다른 사역마를 육성하길 추천한다.

스플래시 개량은 연사력 화력이 매우 개선되어 체인스타(통칭 성게)를 갈굴 때 유용하다.

[1] 작은 적을 맞춘 레이저가 계속 나아가지 않는다.[2] 플라즈마 계열이나 니들은 약점 속성만 관통할 수 있다.[3] 데스 난이도 돌탄 러쉬를 무관통 깡뎀으로 밀어부치는 유일한 샷이다.[4] 붙어서 전탄 히트를 시켜도 위력이 얼마 안 나온다는게 문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01 21:09:06에 나무위키 고딕은 마법소녀/샷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