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교육과정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개편되며 고등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확대됨에 따라 선택 과목이 다양화되었다. 하지만 모든 학교가 전교생이 원하는 과목을 개설할 순 없기에 희망하는 학생이나 교사 수가 부족한 과목을 여러 학교 간 공동으로 개설하여 운영하는 제도로, 학교 간 수업을 공유하는 체계이다.

공동교육과정은 크게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로 나뉘는데, 오프라인은 직접 학교로 등교하여 수강하는 것이고,[1] 온라인은 오프라인에서 운영하기 어려운 과목들을 온라인으로 개설하여 수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각 시도 교육청 주관 시스템이라서 시도마다 수강신청이나 운영 방법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 때문에 이 문서의 내용을 맹신하기보다는 학교 홈페이지 공고문 등 여러 문서를 참조하는 것이 좋다.

향후 고교학점제가 적용되면 과목이 다양화되고 학생들의 선택권이 더 넓어짐에 따라 이 제도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2. 여담[편집]


  • 한 학기에 한 과목만 신청 가능하다.

  • 학교 내신이 상대평가가 대부분이었던 시절에도 공동교육과정은 절대평가로 점수를 내었다.[2]


  • 어떤 과목을 선택했을 경우 가능한 자신의 거주 지역과 가까운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3] 한 학기 동안 교육과정을 마치면 해당 학교에서 수료증을 발급한다. 일정 횟수 이상 결석할 경우 점수가 나가지 않을 수 있으니 꾸준히 출석하자.

  • 수료 시에는 학교생활기록부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나 창의적 체험활동 중 '진로'란에 수업 내용을 기재할 수 있다.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은 주로 일반선택이나 전문 교과Ⅰ 등의 과목에 한해 기재된다.

  •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등교가 지연되던 시절에는 공동교육과정도 온라인 과제로 대체하다가 대면 등교 후 오프라인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 교과목에 따라 성비가 케바케인데 남학생만 있는 과목도 있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은 과목도 있다.

  • 방학 중이나 학기 초에 온라인으로 수강신청이 이뤄지는데, 과목에 따라 다르지만 인기가 많은 과목은 대학교 수강신청 뺨칠 정도로 빨리 마감된다. 면접 대신 수강계획서나 자소서 등으로 뽑는 듯. 즉 15명 정원인 수업에 15등 안으로 신청했다고 무조건 신청을 성공한 것이 아니다![4] 반대로 인기가 없는 과목은 수강자가 없어 강의가 폐강될 위기에 놓였다며 수강을 희망하는 친구들이 관심없는 친구들을 억지로 끌어모아서 실제 출석은 하지 않아도 되니까 수강신청만 해달라는 식으로 최소인원을 충족시키는 눈물겨운 일도 일어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9:33:04에 나무위키 공동교육과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통 토요일이나 평일 야간에 진행된다.[2] 생활기록부에도 공동교육과정만 등급이 표기되지 않는다.[3] 예를 들어 화학 실험 과목이 A학교, B학교에 있고 집이 A학교와 가까울 경우 A학교를 선택하는 것.[4] 개강 전에 엑셀로 수강자 명단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