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존 Part.01 - Sunset

덤프버전 :





비정규 9.5집
Alive
2009. 06. 25.

{{{-4
공존 Part.01 Sunset
2013. 02. 22.

{{{-4


파일:attachment/김경호/10_Part1.png

공존 Part.01-Sunset
트랙
곡명
작사
작곡
편곡
1
사랑이 들린다면TITLE
김동현
김동현
홍동표, 양남승
2
너를 기다려
이혁
김동혁
김동혁
3
다짐
유주형
유주형
홍동표
4
노을
정은경
김동혁
김동혁
5
달의 눈물 후속곡
김동현
김경호, 박창곤
박창곤
6
Get On Your Feet
김경호
김경호, 박창곤
박창곤
7
사랑이 들린다면 Radio Edit.[1]
김동현
김동현
홍동표, 양남승
8
사랑이 들린다면 Inst.

김동현
홍동표, 양남승

1. 소개
2. 앨범 수록곡
2.2. 너를 기다려
2.3. 다짐
2.4. 노을
2.6. Get On Your Feet
3. 뮤직비디오
4. 여담
5. 이미지



1. 소개[편집]


{{{#000 대한민국 락 보컬리스트의 계보를 이어나가는 국민 락커 김경호가 4년만의 정규 10집 앨범 [共存 – part 01 -sunset]을 들고 돌아왔다.
이번 앨범은 김경호의 10번째 정규 음반을 기념하여, 김경호가 그 동안 우리에게 들려주던 음악, 그리고 이젠 그가 지금 당신에게 들려주려 하는 음악. 그것에 대한 공존의 세계로 마치 한편의 자서전과 같은 형식의 음반이며 순번대로 part 01 sunset과 part 02 sunrise로 나누어져 발매가 될 예정이다. 이번에 발매되는 part 01 sunset은 늦겨울과 봄의 시작을 알리는 차가움과 따뜻함의 조화가 어우러지는 음반이라 할 수 있겠다. 듣는 이로 하여금 그들의 추억과 감성을 자극하며 조심스레 가슴에 스며드는 록 발라드 스타일로 담겨져 있으며, 곧 다가올 part 02 sunrise는 한 여름의 시원한 청량감을 느끼게 해 줄 속도감과 비트감 있는 락으로 구성되어질 예정이다.}}}

2013년 2월 22일에 발매된 김경호 정규 10집 선공개 앨범으로, Part.01과 02 중 먼저 공개된 Part.01이다. '나는 가수다'에서 명예졸업을 한 지 1년여 만에 나온 앨범으로, '나는 가수다' 시절의 연장선상이라고 볼 수 있다. 'Part.01'은 부드러운 발라드가 주를 이루고 있다. 타이틀 곡 '사랑이 들린다면'을 포함해 대부분이 부드러운 선율의 곡이 많고, 노을과 같이 자전적인 느낌의 가사가 있는 발라드곡도 있다. '다짐'은 팬들을 위해 만든 노래 같다는 사람도 있다.


2. 앨범 수록곡[편집]



2.1. 사랑이 들린다면[편집]


타이틀 "사랑이 들린다면"은 신인 작곡가 김동현과 함께 한 곡으로, 그 간의 강렬한 샤우팅 창법을 절제하며, 달콤하고 감미롭게, 그리고 부드러우면서도 김경호 특유의 힘 있는 스타일로 그의 또 다른 면을 보여주는 록발라드 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그 동안 다수의 공연을 함께 꾸려오며 지금까지도 최고의 호흡을 보여주고 있는 김경호 밴드가 직접 곡을 연주 레코딩 하였으며, 방송 '나는 가수다'에서 김경호와 함께 동거동락하며 다양한 재미와 음악적 센스, 테크닉을 보여준 편곡팀인 양남승과 홍동표가 함께 하였다. 달콤하면서도 힘 있는 김경호의 보이스와 아름다운 선율의 스트링, 그리고 부드럽고 깨끗한 코러스의 조합으로 시종일관 듣는 이의 귀를 따뜻하게 녹여줄 발라드 곡이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사랑이 들린다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너를 기다려[편집]


최근 감성적인 음악들로 주목 받고 있는 N.EX.T 출신의 작곡가 김동혁과 함께 한 발라드 넘버들인 "너를 기다려"와 "노을"은 그 동안 직선적이었던 김경호표 발라드에서 벗어나, 부드러운 음색과 감성을 주된 코드로 사용하는, 새로운 김경호표 발라드의 서막을 알리는 곡들이라 할 수 있겠다.

너를 기다려




[ 가사 ]
너를 기다려
너를 기다려
그대로 난 너를 기다려
지금 이 거리
너와 함께했던 여기 이 거리 아직
낯익은 가게들, 정다운 사람들
우리 얘기들이 가득한데
내가 여기 기다릴게 언제나 함께 있어
널 보내려던 눈물도, 작별 인사도
너의 기약 없는 그 약속처럼
난 다시 여기 서있어 널 보낼 수가 없어서
날 웃게 했던 너의 미소가 너의 목소리가
나의 숨결처럼 함께 있어 난 너를 기다려
너를 기다려
여기서 난 너를 기다려
지금 이 거리
너와 같이 있던 여기 이 거리 아직
비 오던 작은 길
나눠 마시던 따뜻한 커피 향 그대론데
내가 여기 기다릴게 언제나 함께 있어
널 보내려던 눈물도, 작별 인사도
너의 기약 없는 그 약속처럼
사랑한다고 널 위해 나는 살고 있다고
떠나는 널 붙잡고 싶었지만
언제나 곁에 있었어 널 지켜주고 싶었어
네가 오길 기다렸어 지금도 나
난 다시 여기 서있어 널 보낼 수가 없어서
날 웃게 했던 너의 미소가 너의 목소리가
나의 숨결처럼 함께 있어
난 너를 기다려 난 너를 기다려
난 너를 사랑해
난 너를 사랑해



2.3. 다짐[편집]


웅장한 현악과 클래식한 사운드가 귀를 사로잡는 "다짐"은 김경호 6집의 타이틀 곡 "희생"을 작곡했던 유주형의 작품이다. 힘든 시간 함께 해준 사람들을 위해 다시 시작하는 마음을 표현한 곡으로, 어쿠스틱 피아노와 현악 앙상블이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어 깊은 감성을 깨우는 곡이라 할 수 있겠다.

다짐
}}}
[ 가사 ]
다짐
우울한 하루 지친 발걸음
두려워 한 걸음도 뗄 수 없던
짙은 어둠에 날 가두던 초라한 모습
다 잊어야 해 다시 서야해
내 곁을 지켜준 네 사랑 위해
희미하지만 길 잃지 않게
여전히 날 비추는 빛을 향해
다시 외쳐보는 거야 이제 조금은 무뎌진 목소리로
다시 서는 거야 더 이상 어떤 후회도 남지 않도록
다 잊어야 해 다시 서야해
조금은 낯설어진 이 길 위에
지나온 시간 날 잃지 않게
언제나 지켜주던 너를 위해
다시 외쳐보는 거야 이제 조금은 초연한 목소리로
다시 서는 거야 더 이상 어떤 후회도 남지 않도록
그 어떤 약속도 없는 미래라 해도
다시 외쳐보는 거야 아직 나에게 남겨진 사랑 위해
다시 서는 거야 그 어떤 후회 슬픈 눈물 따윈 남지 않게
힘겨운 날들 항상 내 곁을 지켜준
너의 가슴 속에 더 이상 어떤 눈물도 남지 않도록



2.4. 노을[편집]


최근 감성적인 음악들로 주목 받고 있는 N.EX.T 출신의 작곡가 김동혁과 함께 한 발라드 넘버들인 "너를 기다려"와 "노을"은 그 동안 직선적이었던 김경호표 발라드에서 벗어나, 부드러운 음색과 감성을 주된 코드로 사용하는, 새로운 김경호표 발라드의 서막을 알리는 곡들이라 할 수 있겠다.

노을




[ 가사 ]
노을
붉게 물이 드는 저녁 해가 느린 발 끝에 멈춘다
지난 기억들이 한참 머뭇대다 가슴에 물든다
숨이 벅찰 만큼 마음이 고단했던
상처로 쫓겨 왔던 시간이었어
철 없던 그날에 꿈꾸던 노랠 잃었고
눈부신 그날의 나를 잃었던
하루와 싸우며 무너지던 시간 앞에서
잠들지도 못하고 눈물만 삼키며
왜 그렇게 아팠을까요 아무도 곁에 없는 좁은 방안에 지친 몸을 기대고
뜻 모를 생각들로 하루를 비우며 나 다시 서리라 몇 번을 외쳤어
왜 그렇게 길었을까요 혼자서 버텨내던 지난 날들이 꿈을 잃은 날들이
내 맘을 혼내고서 다시 가슴이 뛰면 모두 다 끝이라 말해도 난 다시 서겠죠
강한 듯 웃어낼수록 견뎌야 할 외로움뿐이었죠
차갑게 보는 시선에 물러서고 때론 주저앉지만 심장은 다시 타올라
내 마음을 들어줄까요. 이제야 써 내려간 나의 진심을 낮은 나의 소리를
혼자서 걸어왔던 서툰 길 앞에 아껴줄 누군가 내 곁에 있다면
부족한 나의 얘기가 또 다시 누군가의 가슴에 살고 작은 위로가 되면
난 웃어 보이겠죠 폭풍 같은 시간이 몇 번을 날 쓰러뜨려도 또 다시 서겠죠
내가 서는 이곳이 내 삶의 이유죠
오, 난



2.5. 달의 눈물[편집]


이번 앨범에서 또 하나 주목할 부분은 김경호 자신이 직접 곡을 만들고 가사를 쓰며, 락 보컬리스트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싱어송 라이터의 모습도 보여주었다는 점에 있다. 오랫동안 호흡을 맞춰오며 자신의 밴드에서 기타리스트로서도 활약을 했었으며, 현재도 꾸준히 활동 중인 기타리스트 박창곤(Gony Park)과 함께 만든 작품 "달의 눈물"은 80-90년대 메탈발라드의 파워풀함과 애절함을 느낄 수 있는 곡이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달의 눈물(김경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6. Get On Your Feet[편집]


{{{#000 김경호 본인이 직접 작사한 "Get on your feet"는 하드록 스타일의 Rock&roll 음악으로 시원하게 뻗어나가는 박창곤의 기타 사운드 위에 언제나 자신을 아끼고 사랑해준 팬들에 대한 답례로 그들에게 전하고 싶은 마음을 글과 목소리로 표현을 하여 곡의 진정성을 살려주고 있다.
}}}

Get On Your Feet




[ 가사 ]
Get On Your Feet
반복 된 내 삶 속에 지칠 만큼 지쳐 버렸어
하지만 포긴 없어 또 한번에 시련도 없으니
가슴 속 깊은 슬픔이 그대들을 향한 나의 외침으로도
하나가 되어 울린다 소리치는 내 욕망이 다시 깨어나
(Get on your feet) 복잡한 생각은 버려
(Get on your feet) 우리 모든 힘을 다해
(Get on your feet) 이 순간을 외쳐보자
We can't stop rock and roll
짜여진 틀을 벗고 우리만의 자유를 느껴봐
가식 따윈 버리고 우리만의 파티를 즐겨봐
귓가에 파고 들리는 그대들의 거침없는 함성소리에
우리의 꿈을 이룬다 지금 이 순간에 여기 다시 태어나
(Get on your feet) 복잡한 생각은 버려
(Get on your feet) 우리 모든 힘을 다해
(Get on your feet) 이 순간을 외쳐보자
We can't stop rock and roll
귓가에 파고 들리는 그대 그대들의 거침없는 함성소리에
우리의 꿈을 이룬다 지금 이 순간에 여기 다시 태어나
(Get on your feet) 복잡한 생각은 버려
(Get on your feet) 우리 모든 힘을 다해
(Get on your feet) 이 순간을 외쳐보자
We can't stop rock and roll
Rock and roll~
Rock is everything to me Come on~
Get on your feet


  • 'Get On Your Feet'은 유일하게 수록 된 메탈 곡으로, 김경호 작사, 박창곤과 김경호 공동 작곡이다.
  • 샤우팅이 다시 부활하기 이전의 하드락, 메탈곡에서의 김경호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2013년도 전국투어콘서트 고정 셋리였다.


3. 뮤직비디오[편집]




사랑이 들린다면 [MV]



사랑이 들린다면 [MV Teaser]


4. 여담[편집]


  • '共存'이라는 타이틀은, 한껏 부드러운 ‘국민언니’의 이미지와 무대에서 포효하는 '상남자'의 이미지. 본인이 추구하는 음악적 성향인 메탈과 대중과 호흡하는 발라드 넘버들의 혼재. 그리고, 과거의 김경호와 오늘의 김경호가 지금의 음악에 '공존'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 타이틀 곡은 사랑이 들린다면 이었지만, 달의 눈물 역시도 타이틀 곡 못지않게 반응이 좋았다.


5. 이미지[편집]


이미지

파일:김경호공존포토 (1).jpg


파일:김경호공존포토 (3).jpg


파일:김경호공존포토 (2).jpg


파일:김경호공존포토(5).jpg


파일:김경호공존포토(4).jpg


[1] 초판 CD에만 수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4:01:11에 나무위키 공존 Part.01 - Sunset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