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사

최근 편집일시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품사의 하나인 관사에 대한 내용은 관사(품사) 문서
관사(품사)번 문단을
관사(품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종류
2.1. 군대의 관사
2.3. 학교의 관사
3. 국립대학교의 관사
5. 경찰의 관사
6. 소방의 관사


1. 개요[편집]


관사()는 관청에서 내주는 관리들이 사는 집을 말한다. 주로 고위급 관료나 비연고지에 발령받은 공무원들의 주거지로 사용이 된다.

과거 지방자치제 시행 이전엔 관사가 많았다. 중앙에서 임명하기에 시도지사의 경우 서울 사람이 부산시장을 할 수도 있고, 도 지역의 경우에도 범위가 넓으므로 도지사 관사/시장관사 등의 관사가 제공되었다. 하지만 지방자치제 시행으로 단체장은 모두 해당 출마 지역구에 주소를 둔 사람만이 가능하게 되면서 관사는 사라지는 추세이다. 단체장 중에서는 관사가 있어도 안쓰는 경우도 많고, 아예 선거 때부터 관사에 들어가지 않겠다는 공약을 제시하기도 한다.[1] 교통의 발달도 관사 감소의 큰 요인이다. 특히 지방공무원은 일부 격오지를 제외하면 거의 기대할 수 없다고 보면 된다.[2]

공공기관이나 공기업들은 순환근무때문에 관사를 운영하고 있다. 전국순환을 해야 하는 공기업 직원들이 외지로 발령을 받을 때는 숙소가 없으면 아예 통근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주로 '사택'이나 '직원숙소'라고 부른다.

비슷한 말로는 관저가 있는데 더 좋아보이는 뉘앙스를 준다.

2. 종류[편집]



2.1. 군대의 관사[편집]





가족이 있는 군인의 경우 BOQ가 아닌 관사에서 사는 경우가 많다. 관사들은 대체로 오래 된 곳이 많고 평수가 15평에서 24평 수준으로 좁은 편이긴 하지만, BTL 사업과 같이 지은지 얼마 안 되었거나 대한민국 국방부/합동참모본부/계룡대와 같이 장성급 장교들이 많이 근무하는 사령부 근처의 관사 시설은 30평을 넘어가는 곳도 있다.[3]

육군은 사단급이 아니면 보기 힘들지만, 공군과 같이 기본적으로 비행단에서 간부들이 대규모로 복무하는 경우 대규모의 관사 시설이 있다. 규모가 작은 소규모 비행단의 경우라도 보통 관사 세대 수가 최소 600세대가 될 정도로 많은 편이다. 준장 이상 장군제독이 되면 공관이 있으니 낫지만 중령 이하 장교부사관의 경우 보통 관사에서 살게 되는데 주말부부로 가족은 도시에 보내고 혼자 사는 군인들도 있다.[4]

특히 공군 비행단의 경우, 비행단 특성상 출퇴근이 매우 불규칙적인 부서가 많고[5] 수용인원이 많기 때문에 부사관 전용 관사와 장교 전용 관사가 나뉘어지는 등 규모가 매우 커서 아파트 단지만한 규모를 자랑한다. 그리고 그 관사에 두명씩 집어넣는다(...)

문제는 이 시설이 몇 십 년전에 지어진 건물이라는 거. 바닥은 시골집에나 보던 고무패드에 들추면 바로 시멘트가 보인다. 단열은 둘째치고 방음은 그냥 없다고 해도 될 정도. 맨 위층인 6층인데 멀리 차 지나가는 소리가 문을 다 닫아도 선명하게 들린다(...) 벽을 똑똑 두드리면 벽 전체가 울리는 놀라운 기술을 볼수 있는데 모든 벽면이 석고보드로 만들어져 있고 그 두께도 1cm가 안되는 매우 얇은 벽이다. 그 뒤는 빈공간. 이러니 울리지 않을리가...

게다가 맨 위층이라고 층간소음에 안심할 수도 없는데, 그 천장 위에서 쥐들이 신나게 층간 소음을 만들어주시기 때문(...)

그나마 이런 단점 말고 이 군 관사의 최고의 장점은 입주 보증금과 관리비가 매우 저렴하다는 것이다.[6] 각 군 규정 및 부대의 위치에 따라 차등이 있지만 공군 비행단의 직영관사 기준[7]으로 수도권 및 위성도시 기준으로 입주 보증금은 평당 15만 원이고 관리비는 평당 2천 원이다. 부사관급 및 위관장교는 300만원대 중반의 보증금에 매달 4만 원 정도의 관리비를, 영관장교 이상의 경우 400만 원 초반대의 보증금에 매달 5만원 정도의 관리비만 내면 되는 것이다. 이 가격은 지방으로 가게 되면 이마저도 더 내려간다. 수도권의 경우 보증금 360만원대로 타부대로 전속가기 전까지 눌러 살 수 있는 엄청난 메리트가 있는 셈.

관사 경비병의 경우, 대충 아무거나 시켜서 냠냠쩝쩝 먹다가 간부가 "너 뭐하나?" 하면 "대충 김○○ ○사님이 시켜주셨슴다!" 하면 프리패스. 덕분에 꿀보직vs돈 나가고 살 찌는 보직 이미지.

최근 시설이 오래된 부대를 중심으로 구 관사를 허물고 민간업체가 공사 후 운영권을 20년간 임대받는 BTL 방식으로 신 관사가 많이 지어지고 있다.[8] 그 이전까지 관사의 연식이 30~40년 된 곳에서 지냈다.[9] 하지만 이마저도 군인이 바글바글한 최전방이나 수도권에 우선적으로 해당되는 사항이다. 간혹 휴전선 인근 한적한 읍내에 아파트 단지가 있고 지도에 안 나오거나 일반적인 아파트 네이밍 센스가 아니라면 80~90%는 군인아파트이다.[10] 직업군인들이 이제라도 제대로 된 주거권을 받는 것에 대해 측은하게 생각하자. 사실 2020년까지 아직도 그대로인 관사도 많다(...) 이 정도 티어의 주택이면 오지인 걸 고려해서 한 500~600주면 싸제로 똑같은 수준의 집을 살 수 있다. 하사 월급이 145만원 정도고 민간인 최저월급 한달이 200정도 되는데 그걸 고려하면 우왕 공짜집 대한민국 만세가 아니다! 간부들이 이렇게 형편없는 방에 사는걸 알면 사생활이 없는 신막사 병력들과 주거 수준은 거의 동급티어라고 쳐도 된다.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ec315899.jpg
자위대의 관사. 리모델링 안된 관사가 딱 이 정도 모습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도심에 위치한 지역에서 근무하는 군인들을 위한 군인 아파트도 있으며, 영외 회관과 종교시설, 편의시설 및 마트[11]를 두는 경우도 있다. 진급철만 다가오면 괴문서가 찌라시처럼 도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파견부대에서 원소속부대 내 관사가 아니라 파견부대와의 출퇴근 편의 때문에 근처 군인아파트로 배정받기도 하며[12], 민간 아파트도 국군복지단, 국가보훈처에서 현역군인 및 제대군인 대상 특별분양을 받기도 한다.

2.2. 공중보건의사의 관사[편집]


대체복무이긴 하지만 여튼 군인을 제외한 일반 공무원[13] 중에서는 가장 흔하게 관사를 사용하는 케이스이자 주변에서도 쉽게 만나고 일반인들도 들어갈 수 있는(?) 몇 안 되는 관사다. 보건지소 2층 같은데 1.5룸~2룸 가량 규모로 있다든지 그렇다. 공보의들이 근무하는 보건소가 시내에 위치한 경우가 있으나 상당수는 격오지, 농촌 등에 위치해 있어서 현실적으로 거주할 공간을 구하기 힘들기 때문에 아예 보건지소 등의 부속시설로 처음부터 같이 만드는 경우가 많다.

2.3. 학교의 관사[편집]


주로 도서산간 오지에 있는 학교나 분교장에 딸린 경우가 많으며, 이곳에서 근무하는 교사교육행정직 공무원이 사용한다.
흑산도 집단 성폭행 사건 이후 교사용 관사에 대한 안전 문제가 많이 지적되었다.

3. 국립대학교의 관사[편집]


직함
위치
건물면적
대지면적
기타
비고
서울대학교 총장
관악구 관악로 1
561m²
990m²

K 121
부산대학교 총장
동래구 우장춘로67번길 46
640.44㎡
3420㎡
[14]

충남대학교 총장
유성구 궁동




경북대학교 총장
북구 산격동
176.9㎡



전남대학교 총장
북구 용봉동




경상국립대학교 총장
진주시 가좌동




충북대학교 총장
서원구 개신동




전북대학교 총장
덕진구 금암동




제주대학교 총장
제주시 이도2동
164.49㎡
990.7㎡
[15]

한국교원대학교 총장
흥덕구 강내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총장
부여군 규암면
139㎡



청주교육대학교 총장
수곡동 193-9
106.38㎡
494㎡



4. 광역자치단체의 관사[편집]


직함
위치
건물면적
대지면적
기타
비고
대구광역시장
수성구 수성동1가
99m²



경상북도지사
안동시
174.6m²
1,285m²

폐지예정
강원도지사
춘천시
414m²
1,325m²


전라북도지사
전주시 완산구
402m²
599m²

폐지예정
전라남도지사
무안군
123.1m²




한때는 모든 광역자치단체마다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는 많이 축소된 상태다.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보수 성향 언론에서 비판하고 있으니 조만간 폐지될 가능성이 높다.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김태흠 충청남도지사,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박완수 경상남도지사는 취임 이후[16] 공관 폐지 후 직접 거주공간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향후 이 세 지자체 관사는 폐지될 예정이다. #

2022년 7월 1일 민선 8기 광역자치단체장들이 취임하며, 3개 지자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광역자치단체장들이 관사를 나와 인근에 거주공간을 마련하였다. 또한 울산시장/경기지사/충북지사 관사는 행복주택 등으로 용도변경해서 시민에 돌려주거나 개방하였다.

이후 탈관사 움직임이 커지며, 관사 유지 방침을 밝혔던 시도지사들도 입장을 바꾸고 있다. 당초 도민과의 소통을 위해 관사에 거주하겠다고 했던 김관영 전라북도지사는 “도지사 관사를 도민께 돌려드리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한다”면서 기존 입장을 번복했다. 2018년 취임 직후부터 관사에 살고 있던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도 최근 “도청 신도시에 개인 주택을 지어 퇴거하겠다”며 '탈관사' 대열에 합류했다. #

17개 시도 가운데 관사에서 출퇴근하는 민선 8기 단체장은 홍준표 대구시장김진태 강원지사, 김영록 전남지사 등 3명에 불과하다. 서울과 세종, 광주는 이미 관사를 없앴고, 인천도 2001년 역사자료관으로 용도를 바꿨다. 대전과 충남은 2003년과 2019년부터 어린이집으로 이용하고 있다. 제주는 2014년 어린이도서관으로 바꿨다. 부산은 지난해 4월 박형준 시장이 취임한 이후 사용을 중단하고 용역을 거쳐 개방을 앞두고 있다. #

홍준표 시장은 대구 남구에 관사를 새로 마련해 입주할 예정이다. 이에 대한 비판에 홍 시장은 “호화 관사 문화와 다른 실용적 주거지원을 의미하는 숙소”라며 “그 지역 출신이라고 해도 외지에 생활 근거지가 있던 사람이 내려오면 최소한의 숙소 문제는 해결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록 지사는 임대 아파트를 관사로 이용 중이고, 김진태 지사는 기존 관사를 유지하기로 했다. #

5. 경찰의 관사[편집]



6. 소방의 관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4 02:37:51에 나무위키 관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9:34:56에 나무위키 관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외적으로 부산시장 관사는 지방자치제 시행 후에도 모든 민선 시장이 관사를 개방한다는 공약을 어기고 대대로 남천동 관사에서 거주하여 계속 쓰이고 있었다. 박형준 현임 시장만 관사에 입주하지 않았다.[2] 국가직은 예외, 언제 어디로 발령날지 모르는데다 인수인계에 정신없을 동안 주거문제까지 처리한다는 게 보통일이 아니기 때문에 관사를 지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 관사를 없애려면 국가직을 아예 안뽑아야 한다. [3] 보통 이런 곳은 가족이 딸리고 계급이 높은 사람 우선으로 들어간다.[4] 특히 이들 자녀의 경우 자주 전출을 가는 특성상 전학이 잦은 편이다.[5] 특히 항공기 라인정비, 여긴 거의 대기업급 근무시간을 보여준다. 해뜨기전에 출근하고 해지고 퇴근하는 경우도 왕왕 있는 편.[6] 사실 이딴 곳을 돈받고 들어오라 하면 당장 군인들이 뒤집어질 수준이라... 평수가 크고 리모델링이 된 관사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대부분 월 10만 원도 아까운 정도의 관사가 대부분이다.[7] 2013년 하반기 기준. BTL 관사는 민영업체가 관리하니 기존 관사의 입주 및 관리비 납부 방식이 차이가 있음.[8] 그래서인지 시중에서 볼 수 있는 아파트 브랜드를 단 관사도 있다.[9] 그 시절에는 단열재로 석면을 썼기에 구 관사 철거를 빨리 하는 편이 나았을 것이다.[10] 나머지 10~20%는 공공기관이나 공기업 직원용 사택이다. 민간기업용 사택은 전방에는 정말 드물다.[11] 그러나 영외PX 민간이용 허용을 두고 주변 상인들이 반발한 적도 있다.[12] 대표적인 경우가 강원도 내 공군부대. 육군, 해군으로 파견되는 경우가 많아서 공군 관사에 배치될 시 행정처리 시간 및 출근, 시내 접근시간이 오래 걸린다. 고육지책으로 서울과의 접근성 때문에 경기도에서 출퇴근하는 방법도 있긴 한데 극소수 케이스.[13] 어쨌든 공보의도 명목상은 임기제 공무원이다.[14] 2015년부터 사용하지 않으나, 용도폐지된 것도 아님[15] 2018년 2월부터 사용하지 않으나 용도폐지된 것도 아님.[16] 오세훈 시장의 경우 현재 미사용 및 예산 미편성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