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역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옛 이름이 '광명역'이었던 서울 7호선의 역: 광명사거리역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1호선

(P144-1)

시종착

미개통 노선 보기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파일:SinansanLine_icon.svg
연수 방면
학 온

← 2.3 ㎞[?]
[[수도권 전철 경강선|{{{#fff

경강선
(미개통)
]]
여주 방면
만 안

3.9 ㎞ →
여의도 방면
석 수

← 2.9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fff

신안산선
]]--(미개통)
--[[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3 {{{#585858,#cccccc

한양대에리카캠퍼스 방면
]]목 감--
4.4 ㎞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fff

신안산선 지선
]]--(미개통)
국제테마파크 방면
학 온

2.3 ㎞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fff

신안산선
]]--(미개통)
--[[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3 {{{#585858,#cccccc {{{#!wiki style="letter-spacing: -1.5px; margin: -0px -10px"
#!end한양대에리카캠퍼스 방면]]중 앙--
12.6 ㎞ →
}}}}}}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Gwangmyeong
한자
光明
간체자
가나
光明(クァンミョン
주소
경기도 광명시 광명역로 21 (일직동 276-1)
관리역 등급
관리역(1급)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운영 기관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일반 철도
경부고속선
2004년 4월 1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수도권 전철
1호선
2006년 12월 15일
신안산선
2025년 4월 예정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및 지하 2층 승강장(반지하)
승강장 구조
4면 8선 복합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금천구청 방면
시흥연결선
연결선
(경부선)

← 4.3 ㎞
경부고속선
광 명
부산 방면
SR분기
56.4 ㎞ →
기점
광명주박기지선
광 명
광명기지 방면
광명기지
1.4 ㎞ →

미개통 철도거리표 보기
여의도 방면
석 수
← 2.9 ㎞
신안산선
광 명

[[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3 {{{#585858,#cccccc

한양대에리카캠퍼스 방면
]]목 감
4.4 ㎞ →
#!end|| 월곶 방면
학 온
← 2.3 ㎞[?] || 경강선
광 명
|| 강릉 방면
만 안
3.9 ㎞ → ||
}}}}}} ||}}}}}}}}} ||

1. 개요
2. 역 정보
2.1. 초기 계획
2.3. KTX 정차
2.3.1. 광명역 열차 정차 비율
2.3.2. 광명 착발 열차
2.4. 역 등급
2.5. 기타 철도 노선
2.5.3. 경강선(시흥-성남 구간)
2.5.4. 기타
2.6. 역 내부 편의시설
2.6.1. 음식
2.6.2. 판매시설
2.6.3. 금융시설
2.6.4. 광명역웨딩홀
2.6.5. 기타 시설
2.7. 시간표
2.7.1. 상행
2.7.2. 하행
3. 승강장
3.1. 장래
4. 역 주변 정보
5. 연계 교통
5.1. 버스
5.1.1. 서편 정류장(1~4번 출구)
5.1.2. 동편 정류장(5~8번 출구)
5.1.2.1. 동편 정류장 건너편(광명역파크자이(14383))
5.3. 택시
5.4. 자가용
5.4.1. 환승 주차장
6. 미디어
7. 사건·사고
7.2. 2023년 발생한 칼부림 사건
8. 기타
9. 일평균 이용객
9.1. 수도권 전철
9.2. 고속철도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한국철도공사 X 역쟁이TV 공식 영상

철도건축의 新르네상스를 선포하다

광명역이 처음 우리 철도사에 등장한 것은 1993년이었다. 1990년 경부고속철도 노선 및 역사건설 계획이 처음 세상에 발표되었던 당시엔 오늘의 광명역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1993년에 이르러 서울 서남부, 인천, 경기 지역 주민들의 접근성과 경제성 향상을 위해 기존 노선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남서울역이라는 이름으로 광명역사 건설 계획이 시작된 것이다. 이후 경부고속철도 1단계 개통과 함께 2004년 4월 1일 영업을 시작한 광명역은 안양 등 주요 5개 시에 인접한 지역 특성을 살려 2017년 기준 연간 832만 명이 다녀가는 수도권 교통의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처음 광명역을 방문하는 사람이라면 역사에 들어서기 전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그 규모에 먼저 놀라고, 역사에 들어서면 그 넓은 곳에서도 원하는 곳을 찾아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직관적인 시스템에 놀라게 된다. 뿐만 아니다. 한옥의 처마와 버선을 연상케 하는 부드러운 곡선으로 이루어진 역사 모습은 높은 천장 아래 최고 300km/h를 달리는 경부고속철도의 첨단기술을 상징하는 스틸과 유리, 그리고 그 통유리창으로 쏟아지는 햇빛과 함께 탁 트인 역사 전경을 완성한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파일:광명역 스탬프.jpg
광명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광명역사를 형상화했으며, 서편 안내센터에 비치 중이다. 원래 고무인으로 도안이 약간 달랐으나, 주입식 스탬프로 변경되어 글씨체가 달라지고 날짜 쓰는 칸이 생겼으며, 역사 부분 도안이 조금 더 단순해졌다.
광명역(Gwangmyeong station, 光明驛)은 경기도 광명시 광명역로 21 (일직동)에 있는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철도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P144-1번)의 전철역이다. 경부고속선의 시작 선상에 있는 역으로, 이 역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고속선이 시작된다. 하행(천안아산역) 방면으로 가는 모든 KTX는 이 역 이후로 가속해 고속으로 운행을 시작한다. 상행(용산역 또는 서울역) 방면은 조금만 더 가면 금천구청역 직전에 기존 경부선과 합쳐지기 때문에 고속 운행을 하지 않는다.

운행 개시부터 수도권 전철 경강선 개통 후 2달 정도까지는 K410이라는 역번호를 사용하였는데,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경강선 개통 이전에는 K4xx번대가 신안산선에 부여된다고 추정하였다.


2. 역 정보[편집]



광명역사

파일:attachment/gwangmyeong_station.jpg

광명역사 플랫폼 전경
광명역은 고속철도 남서울역의 기능으로 지어진 역이다. 하지만 실제 역명은 역이 소재한 광명시에서 따오게 되었지만 광명역은 광명시 중심가에서는 멀고, 안양시 만안구광명시 경계에 있다. 대한민국고속철도 역 상당수가 여러 지역을 아우르려다가 어느 지역에서도 접근하기 애매한 위치에 건설되었고, 광명역 역시 안양시와의 경계에 상당히 인접하게 되었다. 때문에 전철을 타고 광명시 중심가를 방문하려면 광명셔틀보다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이 편리하다.

부지 면적 8만 평, 건축면적 1만 5천 평이며 역 건물의 길이는 대략 가로세로 300m, 150m에 이르는 거대한 역으로 공사비는 4,068억 원이 소요되었다. 지상 2층과 지하 2층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2004년 4월 1일 KTX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이 역의 개설 때문에 서울 지하철 7호선의 광명역이 광명사거리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 때문에 KTX 개통 초기 열차 승무원에게 광명역이 7호선 광명사거리역과 바로 연결돼 있냐는 문의를 하는 승객이 많았으며, 광명 셔틀 개통 초기에는 광명사거리역으로 가는 줄 알고 잘못 타는 이용객이 꽤 있었다.


2.1. 초기 계획[편집]


착공 직후까지는 서울역에서만 시종착을 하기로 했으나 1993년 6월 14일 경부고속철도 사업비용이 5조 8,462억 원에서 두 배 넘게 늘어난 12조 1,743억 원으로 추산되자 정부는 수색 ~ 안양(광명) 간 지하 구간(수색-광명 고속철도) 광명과 지하역 건설 계획을 전면 백지화, 경부선을 활용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더불어 한강 이남 주민들의 편의성 향상과 서울역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광명시 일직동에 시종착 기능도 하는 남서울역을 추가하게 된다.[1][a][2][3] 2000년 9월 현행 역명으로 확정되었다.

원래 역 위치가 석수역, 혹은 석수역 인근이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오보이다. 고속철도 시발역이 석수역 인근이라는 기사는 1993년 6월 15일에 보도되었는데[a], 5일 후인 6월 20일에 '현지의 행정구역이 바뀌어서 현재는 광명시 일직동'이라는 해명 보도가 나왔다.[4] 석수역 뒤편은 당시에도 이미 각종 공장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현 석수역 뒤편에도 1987년 경계조정 이전에는 광명시 땅이 있었을 정도로 이 일대 경계는 좋지 않았다.

그러나 서울, 대전, 대구 구간의 지상화가 오히려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1994년 1월 감사원에서 제기되어 논란이 일기도 하였다.[5] 서울시는 시종착역을 서울역이 아닌 용산역을, 신설역은 남서울역이 아닌 가리봉동역을 요구하였고, 서울시 구간을 지하로 건설할 것을 줄곧 요청하였다. 1994년 10월 정부는 남서울역 위치를 광명시 일직동으로 확정하고 시종착역을 서울역으로 지정하였다.[6] 대신 서울시의 요구를 수용하여 호남고속철도 사업이 끝나는 2005년에 맞춰 서울시 구간을 지하화하기로 하고 경부선 운행 여건을 고려 하루 115편 중 51편만 서울역에서 발착하고 나머지 64편은 남서울역 발착으로 운행할 계획이였다. 그런데 서울 구간의 고속선 건설은 1998년 7월 경부고속철도 사업계획 재조정으로 없던 일이 되었고, 발착 계획은 서울역과 용산역이 60%, 남서울역이 40%를 배정하는 것으로 조절되어 남서울역의 시종착 기능이 다소 줄어들었다.[7]

2004년 1월 구체적인 KTX 운행계획이 공개되자[8] 광명역이 사실상 중간정차역 기능만 수행하는 역으로 전락하였고, 개통 이후 혈세낭비라는 비난에 직면하였다. 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 이후 광명역 착발 기능을 수행하여 미미하게나마 시종착 기능을 하고 있었으나, 2016년 12월 SRT가 개통되면서 중간정차역으로 회귀하였다.


2.2. 이용 부진[편집]




승객은 적은데 역은 거대하여 '광명국제공항' 등 이를 비꼬는 별명이 몇몇 있었다. 하지만 2018년에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되고, 주변이 개발됨과 동시에 연계 교통이 확충되면서 수요가 늘어나 이 말은 옛말이 되었다. 물론 이렇게 생긴 수요에 마냥 고운 시선만 있는 것은 아니다. 대체로 수요가 보장되는 기존의 시설이 있는데 왜 돈을 들여서, 그것도 크게 지어서 수요를 만들려 하냐는 의견이다.

광명역은 광명시서울 서남권인 구로구·금천구·양천구, 인천광역시, 경기 서남부 지역인 부천시·시흥시·안산시·과천시·군포시·의왕시·안양시 등 안양권과 수원시·화성시 서북권 주민들에게는 가장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고속철도 역이다. 하지만 막상 중요한 건 거리가 아니라 시간이다. 수원시의 경우 선로용량 포화나 정차 횟수가 적을 뿐이고 광명역까지 가는 교통이 나쁜 만큼 KTX 환승을 하여 대전에서 타고 가는 게 더 나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광명역의 수요가 없다고 할 수는 없는데 시간이 맞는 경우는 광명역이 낫기도 하고, 광명역 정차열차가 늘어나고 역세권 개발 등으로 수요와 정시성이 향상되었다. 그나마 SRT가 개통하여 호남선 이용자의 경우 평택지제역 이용이라는 대체재가 생겼지만, 전라선, 경전선 등은 여전히 이 방법으로 이용할 수 없다. 또 평택지제역까지도 1호선을 타고 30분 넘게 가야 하는 점도 크게 걸린다.

서울역이나 용산역에서 출발하고 20분도 되지 않아서 정차함으로서 시간적 손해를 본다는 점, 애초에 기존에 있던 수원역이나 수인선, 안산선 등을 활용하지 않고 강제적으로 배차를 조정하여 수요를 만든 점 등을 보면 광명역은 필요성이 낮은 역이었다. 기존선의 수원역을 이용하는 수원발 KTX나 수인선, 안산선으로 KTX를 집어넣는 인천발 KTX라는 발상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공약으로 나오고, 예타조사를 통과해 실제로 공사를 하고 있다.

수요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단지 건설교통부에서 예측수요를 너무 높게 잡았을 뿐이다. 당시만 해도 김포국제공항조차 전철이 없이 버스로만 연계되던 시절이고 나름대로 서울 지하철 10호선이 광명역까지 연결될 예정이었으므로 감사원의 지적으로 광명착발을 계획한 상황에서 이 정도 수요를 예측한 것도 이상할 것은 없었다. 여기에 3기 지하철 계획과 비슷한 시기에 광명역-구로-여의도 경전철 계획이 별도로 있었다.[9] 훗날 이를 계승하는 광명 경전철 계획이 세워졌다가 무산되었다. 지금도 이러한 나쁜 연계 교통에 중간정차역 지위만으로 많은 수요를 뽑고 있으니 지하철 10호선 계획만 진행되었어도 이야기는 많이 달라졌을 것이다. 서울 지하철 10호선은 신안산선으로 계승되었지만 이후 노선 선정부터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했다. 2000년대까지만 해도 과거 기사정보를 쉽게 찾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 일부 '능력자'들이 제공하는 정보에만 의존하다 보니 지하철 10호선 역시 시종착역이 석수역으로만 알려져 있었고 광명역에는 지하철 계획이 없었던 것으로 인식되어 과연 광명역 건설계획이 적절했는지 여부에 논쟁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10호선 계획의 종착역이 광명역으로(=연계교통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런 논쟁은 가라앉았다. 결국 광명역의 흥행 문제는 신안산선이 개통된 이후에 본격적으로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2024년 이후 개통 예정인 신 수인선 어천역 부근에 화성고속연결선이 건설되어 어천저수지 위를 지나는 고속선과 연결되어 KTX로 갈아탈 수 있게 된다고 한다. 수인선 인접 화성시 시흥시를 비롯한 경기 남서부 지역의 KTX 접근성이 개선되며, 광명역의 수요에도 변동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경강선이 개통되어 시흥시의 (북부를 제외한)거의 전역이 광명역과 전철로 직접 연결될 것을 감안하면 큰 차이는 없을 가능성도 있다.


2.3. KTX 정차[편집]


2016년 11월까지는 이 역의 KTX 배차량이 국내 최다였으나 수서평택고속선이 개통되면서 대전역, 동대구역에게 넘겼다. 광명역에서는 강원도로 가는 강릉선 KTX, 제천, 영주, 안동 방면 중앙선 KTX를 제외한 모든 구간 KTX의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월곶판교선여주원주선 개통 시 광명역을 경유하는 인천발 KTX 계통을 창설하여 중부내륙선, 중앙선, 강릉선 KTX도 운행할 예정이다.


2.3.1. 광명역 열차 정차 비율[편집]


다음은 2023년 9월 1일 기준 KTX 시간표에 따른 내용이다(평일 기준 [10]).
  • 경부선 KTX: 하행 - 42/48(87.5%), 상행 - 40/47(85.1%) (구포역 경유 열차 포함)
  • 경전선 KTX: 하행 - 12/13(92.3%), 상행 - 12/13(92.3%)
  • 동해선 KTX: 하행 - 14/15(93.7%), 상행 - 11/11(100%)
  • 호남선 KTX: 하행 - 20/26(76.9%), 상행 - 22/25(88.0%) (서대전역 경유 열차 포함)
  • 전라선 KTX: 하행 - 15/17(88.2%), 상행 - 14/18(77.7%) (서대전역 경유 열차 포함)
  • 합계: 하행 - 103/119(86.5%), 상행 - 99/114(86.8%)[11]
광명역 정차 비율은 시간표가 개정될 때마다 조금씩 증가해서 2020년대 들어서는 통과하는 열차가 거의 없다시피 한 수준에 이르렀다.


2.3.2. 광명 착발 열차[편집]


2010년 11월부터 일부 주말 열차가 광명역 착발로 경부선 왕복 4회 운영되었다. 철도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호남선은 없었고, 경부선일직터널에서 일어난 광명역 KTX 탈선사고로 인해 2011년 2월 19일부터 절반(2왕복)으로 감축되었다.

2012년 11월에는 열차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더 늘어났다. 그러나 수서평택고속선 개통으로 서울~금천구청 구간의 선로용량에 어느 정도 여유가 생김에 따라, 2016년 12월 7일을 마지막으로 광명역 착발열차는 사라지게 되었다. 열차 다이어 개정은 12월 9일부터였으나 광명 착발 열차 운행은 하루 일찍 종료되었다.


2.4. 역 등급[편집]


2008년 1월 17일(열차운전시행세칙 제2008-2호)로 1급 관리역에서 배치간이역으로 4등(1급 관리역 → 2급 관리역 → 3급 관리역 → 3급 보통역 → 배치간이역) 강등되었다. 같은 날에는 부천역, 주안역, 천안아산역 등과 함께 같이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2010년 10월 22일자(제2010-94호)로 오송역, 김천(구미)역, 경주역, 울산역이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면서 대전역을 제외한 경부고속선상의 고속철도역 전체가 배치간이역으로 강등되었다. 그리고 광명역이 관리역으로 환원되던 날 천안아산역도 동시에 온양온천역 휘하의 역들을 가져와 관리역으로 승격되었다. 배치간이역 시절에는 금천구청역의 역장이 이 역의 역장을 겸임하고 있었다.
파일:attachment/12121212.png
한국철도공사 열차운전시행세칙 개정안(2013년 3월 25일)[12]
격하 자체는 2008년 1월에 이루어졌는데 이 사실은 2012년 연말이 되어서야 알려졌다.

2015년 4월 즈음에 조직개편으로 관리역이 되었다. 열차운행시행세칙으로 착오하는 경우가 있는데, 관리역을 규정짓는 기준은 '직제규정시행세칙'이다.


2.5. 기타 철도 노선[편집]



2.5.1. 광명셔틀[편집]


처음에는 광명역 이용객을 높이려는 궁여지책으로 용산역에서 이 역까지 셔틀 전철을 운행했었는데, KTX와 광명셔틀은 금천구청역(구 시흥역)의 시흥 분기에서 천안, 신창 방향 경부선과 분기되어 고속철도 선로를 공유하여 광명역으로 오게 된다. 경의선 서울역으로 가는 전동열차가 경의선을 통해 서울역용산역을 오가는 여객열차 때문에 긴 배차 간격으로 운행하는 것처럼 광명 셔틀 역시 배차 간격이 길다. 이것 또한 공기수송만 하고 있어서 2008년 말 영등포역에서 출발하도록 단축했고, 열차 또한 4량으로 줄였다. 2014년 1월 6일 동절기 시간표 개정으로 11시부터 16시까지 열차가 다니지 않았으며, 2014년 8월 25일에는 10시에서 18시까지로 연장되었다. 평일,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모두 시간표는 같아서 시간표에 요일 표시가 없었으며, 하루 10회 운행이었다. 한국철도공사 입장에서는 수익성, 운용에 악영향을 주는 광명셔틀을 폐지하고자 한다. 공기수송이 이유인 것도 맞지만, 더 중요한 이유는 시간표 꼬임의 주범이 광명셔틀 전철이기 때문이다. 이유는 경부고속선을 통해 광명역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열차 통과 우선순위가 KTX 다음으로 높아 광명 셔틀 운행이 지연되면 수도권 전철뿐만 아니라 무궁화호와 심지어는 ITX-새마을까지 모두 지연된다. 그래서 30분 간격에서 하루 10회로 운행이 줄어든 것이다. 그러나 광명역과의 연계 부족을 이유로 국토교통부가 없애지 못하게 하고 있다. 일부 광명 주민과 광명 인근 석수동, 박달동 외곽, 시흥주민들도 4량이어도 붐비지 않고 빠른 전철로 도착 후에 광명시와 안양, 광명에서 범계를 가는 차를 타기도 한다. 그래도 2016년 12월 30일 이후로 파업이 종료되고, 주민들을 위해 하루 10회 운행에서 그나마 경의선 서울역행처럼 1시간에 1번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4량으로 했는데도 광명셔틀의 수요는 적다. 2013년 철도 파업 기간에는 '관악역에서 버스 타세요'라며 광명행 열차가 사라졌었다. 그 이유는 셔틀이 다니는 노선의 대부분의 지역이 서울역이나 용산역으로 조금 올라가면 더 편리하게 고속철도를 이용할 수 있거나, 버스를 타고 금방 광명역으로 갈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광명셔틀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점은 배차 간격이다. 설령 7호선 연선처럼 광명 셔틀 이용이 편리한 지역이라도 광명 셔틀의 배차 간격이 들쑥날쑥한지라 부담 없이 이용하기는 어렵다. 광명이 아니라 금천구청 - 독산 - 가산디지털단지에서 구로 - 신도림 - 영등포로 가는 단거리 수요가 꽤 있기 때문에 그나마 공기수송 수준은 아니고 특히 퇴근 시간 가산-구로 사이에는 만차도 빈번하지만, 반대로 하행선은 매우 한산하다. 가장 큰 문제는 앞의 세 역은 일반 열차와 같은 곳에 정차하므로 위치만 옮겨서 타면 되는데, 뒤의 세 역은 일반 열차와 달리 급행 타는 곳에 서기 때문에 모르는 이용객이 많고 알더라도 플랫폼을 건너가야 하기 때문이다. 그나마 출근 시간대인 8시 28분 구로 도착 열차는 입석이 발생하는데, 가산디지털단지역보다 독산역에서 많이 하차한다.

비슷한 사례로 서동탄역이 있는데, 서동탄역은 그나마 시간당 3회 정도로 열차가 들어온다. 하지만 광명 셔틀은 아예 열차가 없는 시간대도 있다.

코스트코 광명점이나 이케아 광명점 쇼핑을 위해서 탑승하는 이용객들도 상당수 있다. 전철 특성상 주로 소량구매 이용객들로 이케아 또는 코스트코 쇼핑백을 들고 타는 승객들이 보인다. 영등포 - 금천구청 구간은 1호선 구간과 동일하게 운행하므로 출퇴근 시간의 경우에는 해당 구간의 승객 분산효과도 있다.

광명셔틀의 광명역 회차방식이 다소 특이하다. 광명역 구조상 전동열차의 하차 승강장과 승차 승강장이 따로 나뉘어져 있어 회차가 어렵기 때문에 이 역에서 서울 방면 약 2.5km 떨어진 광명주박기지를 통해 회차를 하는데, 광명 착발 KTX는 광명~광명주박기지 구간에서 좌측통행을 하지만 광명셔틀 열차는 같은 곳에서 우측통행을 하게 된다. 회차방법은 다음과 같다.
  • 광명역 도착열차는 T7선(하선 도착선로)에 도착, 승객이 모두 하차하면 운전실을 교환한 후 광명주박기지로 회송한다.[13]
  • 광명기지에 도착한 열차는 다시 운전실을 교환하여 상선 방향으로 회송한다.
  • 광명역 T8선(상선 도착선로)에 도착하여 여객취급을 하는 동안 다시 운전실을 교환한다.
  • 열차 출발시각이 되면 상선 출발신호를 확인한 후 금천구청 방면으로 운전한다.
이렇다 보니 열차가 장시간 지연되어 전선할 시간이 모자라는 경우 T7 또는 T8선에서 제자리반복을 시행하기도 한다.


2.5.2. 신안산선[편집]


파일:신안산선 광명역.png
신안산선 광명역 조감도

2025년 개통 예정이다. 본선은 한양대에리카캠퍼스역~중앙역(안산)~광명역~석수역~구로디지털단지역~신풍역~영등포역~여의도역을 잇고, 시흥지선은 서해선, 경강선(월곶판교선 구간) 선로를 공유하여 서화성남양역~원시역~초지역~시흥시청역~광명역~(본선 직결)을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전신인 10호선 계획이 처음 제시됐을 때는 석수역 종착이었지만 광명역 위치가 확정되자 차량기지 부지확보도 할 겸 해서 노선이 광명역으로 연장되었다. 매우 많은 이용객을 확보하지는 못하더라도 한강 이남 지역(주로 금천구나 관악구, 동작구 일대)의 주민들이라도 이용을 할 수 있으므로, 이 노선만 정상적으로 개통되었더라도 광명역의 이용실적이 현재와 같이 낮지는 않았을 것이다. 또한 KTX의 광명역 시종착 열차를 많이 늘리면 병목 구간인 금천구청역 이북 구간 경부선의 선로용량도 어느 정도는 숨통이 트이게 된다. 외환위기로 3기 지하철 계획이 무산되면서 노선이 틀어지고 갈라졌으나, 여의도역 이남 구간은 신안산선으로 확실히 부활하였고, 바로 아래의 경강선과 연동시킬 계획도 있는 만큼 미래는 밝다.


2.5.3. 경강선(시흥-성남 구간)[편집]


2026년 개통 예정이다. 송도역~연수역~월곶역~광명역~안양역~판교역~여주역~서원주역~강릉역을 잇는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인천발 KTX-이음(송도역에서 출발하는 강릉선 KTX, 영동선 KTX, 중앙선 KTX, 중부내륙선 KTX 등)이 정차할 예정이다. 월곶역에서는 수인선연수역(수도권 전철 경강선 종착) 및 송도역(인천발 KTX 종착)까지 직결되고, 안양역, 인덕원역에서 1, 4호선 환승이 가능하며, 판교역에서 신분당선과 환승된다. 또한 시흥시청~광명역 구간은 신안산선(시흥지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미래에는 제2공항철도와도 연계할 계획이 있는데 이렇게 된다면 수인선 인천역~월곶역 구간도 공유할 것이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서쪽으로는 월곶역 및 인근의 수인선 연선 지역, 동쪽으로는 안양시의왕시, 성남시(판교)까지 광명역 접근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역에서도 서울역이나 청량리역처럼 강릉역 방면의 KTX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의 판교역은 SRT 접근이 불편한데, 수서역으로 가든 동탄역으로 가든 분당선이나 GTX A선으로의 환승이 필수이며 SRT는 만성적인 공급 부족으로 주말에는 표 예약이 매우 어렵다.

2.5.4. 기타[편집]





2.6. 역 내부 편의시설[편집]


광명역은 민자역사가 아닌 일반역사이지만 그 크기 때문에 급한대로 이용할 만한 편의 시설들(주로 식당)은 갖춰져 있는 편이다. 하지만 광명역의 크기를 생각하면 편의 시설의 크기는 다소 작으며 특히 역 내 광장조차도 없는 등, 공간 활용을 잘한 기차역은 아니다. 역 완공 초기에는 역 주변에 별다른 상업시설이 없었지만 2014년에 이케아와 롯데몰이 개점하고 2018년 들어 동편에는 파크자이, 서편엔 아브뉴프랑이 오픈하면서 현재는 민자역사 부럽지 않게 시설들이 많아지면서 시간의 여유가 있다면 주변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관리역임에도 불구하고 이 역에는 코레일라운지가 없다. 대신 광명시에서 운영하는 홍보관이 라운지 비슷하게 탁자와 의자, 정수기, 정보검색PC 정도를 비치해놓았다.

아래의 정보는 2020년 12월 기준이며, 방향 표시는 역사 내부를 기준으로 한다. 1~2년 단위로 입점업체별로 코레일유통과 계약을 갱신하는데 갱신하지 못하면 없어지기 때문에 대기업 프랜차이즈를 제외하고 입점업체의 변동이 잦은 편이다.


2.6.1. 음식[편집]


  • 파리바게뜨(제과점/1층 동편 3번 통로 내려가는 곳)
  • 스테프 핫도그(패스트푸드/지하1층 서편 2번 통로 앞)
  • 용우동(분식/1층 서편 2번 출구 좌측)
  • 찰보리빵 호두과자(제과점/1층 서편 2번 출구 좌측)
  • 롯데리아(패스트푸드/1층 동편 5번 출구 우측)
  • 에그박스 커피(패스트푸드/1층 서편 2번 출구 우측)
  • 크리스피 크림 도넛(패스트푸드/1층 서편 2번 출구 우측)
  • 탐앤탐스(카페/1층 서편 3번 출구 우측)
  • 면앤면 추억의 가락국수 (카페/1층 동편 7번 출구 우측)
  • 구내 식당 (1층 동편 최우측 8번 출구 부근 KTX 특송 옆)
  • 이디야 커피 (카페/1층 서편 4번 출구 도심공항라운지 안) - 기프티콘 사용 가능
  • 죽이야기, 설빙 (카페/1층 동편 6번 출구 옆)
  • 전주 현대옥 (음식점/1층 서편 3번 출구 옆)
  • 엔제리너스 (카페1층 동편 6번 출구 옆)
  • 정담 (음식점/1층 동편 6번 출구 옆)
  • 소노야 (음식점/1층 서편 중앙)
  • 삼송빵집(빵집/1층 서편 중앙)


2.6.2. 판매시설[편집]


  • 스토리웨이 편의점 (1층 동편 7번 출구 우측 / 서편 3번 출구 좌측 / 타는곳 2번.4번 하행 플랫폼 / 서편 1번 출구 좌측) (단, 교통카드 결제는 티머니만 가능)
  • 늘푸른약국(약국/1층 서편 2번 출구 앞)
  • 향비조 (화장품/1층 서편 4번 출구 이디야커피 옆)
  • 더블파이브 (잡화/1층 서편 중앙)


2.6.3. 금융시설[편집]


  • 우리은행 ATM(1층 동편 6번 출구 정면/1층 서편 2번 출구 정면&3번 출구 정면)


2.6.4. 광명역웨딩홀[편집]


광명역 동편 지하1층에 있다. 광명역 D주차장과 연계하여 방문할 시 주차비 혜택이 있다.


2.6.5. 기타 시설[편집]


이 역에도 TMO가 존재한다. 원래는 서편 2번 통로 근처 스테프핫도그 옆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2019년경 동편 7~8번 통로 쪽으로 이전하였다. 주로 인천, 서해 5도 등에서 근무하는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병사들이 광명까지 온 뒤 KTX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도 인근에 대한민국 육군 제52보병사단 사령부 및 수도방위사령부 예하부대, 제17보병사단 예하부대가 주둔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소속 병사들도 TMO를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군 제3미사일방어여단 예하부대 인원들도 주로 방문하고 있다.

광명역 2번 출구와 7번 출구에 공중전화가 3대씩 설치되어 있다. 광명역 내부에는 설치되지 않았다.

광명역 1번, 4번, 5번, 8번 출구 근처에 흡연 부스가 설치되어 있다.

2.7. 시간표[편집]



2.7.1. 상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51
KTX
116
서울
07:10
KTX
82[월]
서울
07:26
KTX
402
용산
07:30
KTX
166[월]
118[화~일]
서울
07:35
KTX
2
서울
07:39
KTX
4
서울
07:43
KTX-산천
202+232
서울
07:58
KTX-산천
404+502
행신
08:07
KTX
6
서울
08:15
KTX_산천
474
행신
08:25
KTX
120
서울
08:35
KTX-산천
192+9192
서울
08:47
KTX
8
서울
09:08
KTX
472
서울
09:16
KTX
102
서울
09:25
KTX
10
서울
09:30
KTX
406
용산
09:34
KTX-산천
204+234
행신
09:58
KTX
12
서울
10:04
KTX
504
행신
10:22
KTX
86[금~일]
서울
10:43
KTX-산천
408+542
행신
11:01
KTX
104
서울
11:06
KTX
16
행신
11:10
KTX
18
서울
11:20
KTX-산천
410+506
용산
11:31
KTX
20
서울
11:57
KTX-산천
KTX
188[월~목]
88[금~일]
서울
12:02
KTX
412
서울
12:07
KTX-산천
206+236
서울
12:15
KTX
24
서울
12:30
KTX
238
서울
12:41
KTX
492[금~일]
용산
12:46
KTX
26
서울
12:53
KTX-산천
162+298[금~일]
서울
13:10
KTX-산천
414+508
서울
13:18
KTX-산천
208+240
서울
13:23
KTX
416
용산
13:29
KTX
28
서울
14:33
KTX
30
서울
14:38
KTX-산천
282[금~일]
서울
14:56
KTX
32
서울
15:02
KTX
586
용산
15:11
KTX
418
서울
15:45
KTX
512
행신
15:49
KTX
90[금토]
서울
16:06
KTX
212
행신
16:10
KTX
420
용산
16:23
KTX-산천
106+244
서울
16:47
KTX-산천
422+514
서울
16:56
KTX
40
행신
17:06
KTX
588
용산
17:26
KTX_산천
4042[월~목]
용산
17:26
KTX
92[금~일]
서울
17:35
KTX
214
서울
17:39
KTX
246
서울
17:45
KTX
516
서울
18:04
KTX
44
서울
18:27
KTX
108
서울
18:40
KTX-산천
248+9248[월~목]
248+284[금~일]
서울
18:46
KTX
46
서울
18:56
KTX
94[금~일]
서울
19:00
KTX-산천
190+4022
서울
19:15
KTX
48
서울
19:20
KTX-산천
426+518
용산
19:26
KTX
50
서울
19:42
KTX
216
서울
19:46
KTX-산천
52
행신
19:54
KTX
428
서울
19:59
KTX-산천
482[월~목]
488+4054[금~일]
행신
20:15
KTX
250
서울
20:26
KTX
484
용산
20:30
KTX
430
용산
20:34
KTX
54
서울
20:47
KTX
218
서울
20:57
KTX
520
행신
21:02
KTX
432
용산
21:06
KTX
56
서울
21:13
KTX-산천
296[월~목]
286+294[금~일]
서울
21:25
KTX
58
행신
21:37
KTX
486
용산
21:41
KTX-산천
110+252
서울
21:47
KTX
60
서울
22:03
KTX_산천
KTX
194[월~목]
100[금~일]
행신
22:18
KTX-산천
434+544
행신
22:26
KTX-산천
584[월~목]
4044+584[금~일]
용산
22:29
KTX-산천
4026[월~목]
198+4024[금~일]
서울
22:38
KTX
436
용산
22:47
KTX
62
서울
22:54
KTX-산천
220
서울
23:05
KTX
64
서울
23:27
KTX
66
행신
23:32
KTX
112
서울
23:48
KTX-산천
222+254
행신
23:53
KTX
68
서울
23:59
KTX
440
행신
00:03
KTX
70
서울
00:19
KTX
224
서울


2.7.2. 하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22
KTX-산천
201
진주
KTX_산천
297[금~일]
포항
05:25
KTX_산천
401
목포
KTX-산천
501
여수엑스포
05:32
KTX
1
부산
05:37
KTX
161[구포][월]
부산
05:47
KTX
3
부산
05:57
KTX-산천
203
진주
231
포항
06:05
KTX-산천
403
목포
06:17
KTX
5[서대구]
부산
06:22
KTX-산천
75
부산
281[금~일]
진주
06:27
KTX-산천
471[서대전]
익산
06:46
KTX
405
목포
06:52
KTX
7
부산
07:02
KTX
233
포항
07:11
KTX
473
서대전
07:16
KTX
9
부산
07:27
KTX
503
여수엑스포
07:47
KTX
11
부산
07:55
KTX
491[금~일]
광주송정
08:01
KTX
581[서대전]
여수엑스포
08:05
KTX_산천
407
목포
4051[금~일]
여수엑스포
08:09
KTX
13
부산
08:17
KTX
15
부산
08:28
KTX-산천
235
포항
08:42
KTX
205[서대구]
진주
08:54
KTX_산천
191
부산
KTX-산천
4031
포항
08:58
KTX
505
여수엑스포
09:23
KTX
207
마산
09:36
KTX
411
광주송정
09:42
KTX-산천
237+9237[월~목]
237[금~일]
포항
09:47
KTX_산천
19
부산
KTX-산천
285[금~일]
진주
09:52
KTX
101[서대구,구포]
부산
10:02
KTX-산천
475[서대전,김제]
목포
10:11
KTX-산천
507[월~목]
507+9507[금~일]
여수엑스포
10:17
KTX
21
부산
10:22
KTX
585[서대전]
전주
10:26
KTX
209
진주
10:47
KTX
23
부산
11:02
KTX-산천
239
포항
4021
진주
11:10
KTX
509
여수엑스포
11:17
KTX
25
부산
12:17
KTX
27
부산
12:29
KTX
587[서대전]
전주
12:35
KTX_산천
415
목포
511
여수엑스포
12:44
KTX
29
부산
13:07
KTX
211
마산
13:17
KTX-산천
31
부산
241
포항
13:27
KTX
103[서대구,구포]
부산
13:32
KTX
589[서대전][금~일]
전주
13:37
KTX
33
부산
13:47
KTX-산천
419+9419[월~목]
419[금~일]
목포
14:08
KTX
183[월~목]
83[금~일]
부산
14:28
KTX
513
여수엑스포
14:34
KTX-산천
KTX
185[월~목]
85[금~일]
부산
14:38
KTX
37
부산
14:47
KTX-산천
39
부산
287[금~일]
마산
14:52
KTX
245
포항
14:56
KTX-산천
583[서대전][월~목]
593[서대전][금~일]
여수엑스포
4041[서대전][금~일]
목포
15:01
KTX
87[금~일]
부산
15:05
KTX
421
목포
15:17
KTX
41
부산
15:28
KTX-산천
255
포항
KTX_산천
283[금~일]
진주
15:52
KTX
423
목포
15:59
KTX
43
부산
16:04
KTX_산천
191
부산
KTX-산천
4033
포항
16:17
KTX
45[서대구]
부산
16:37
KTX-산천
215
마산
247
포항
17:00
KTX-산천
427
목포
KTX_산천
515
여수엑스포
17:18
KTX
49
부산
17:28
KTX
481[서대전,김제]
목포
17:32
KTX
105[구포]
부산
17:42
KTX
51
부산
17:52
KTX-산천
217
마산
KTX_산천
249
포항
18:22
KTX
219[서대구]
마산
18:32
KTX
55
부산
18:43
KTX
57
부산
18:49
KTX
431
광주송정
19:00
KTX
107[서대구,구포]
부산
19:05
KTX-산천
519
여수엑스포
19:17
KTX
59
부산
19:39
KTX
91[금~일]
부산
19:59
KTX
433
목포
20:03
KTX
165[금토][구포]
부산
20:13
KTX
93[금~일]
부산
20:17
KTX
63
부산
20:26
KTX
521
여수엑스포
20:32
KTX-산천
KTX
197+9197[월~목]
95[금~일]
부산
20:50
KTX-산천
435
목포
541
여수엑스포
20:57
KTX-산천
221
진주
251
포항
21:08
KTX
109[서대구,구포]
부산
21:16
KTX
67
부산
21:27
KTX_산천
485[서대전]
익산
21:35
KTX
437
목포
21:47
KTX
69
부산
21:52
KTX-산천
195+9195[금~일]
부산
21:57
KTX
111[서대구,구포]
부산
22:05
KTX-산천
523
여수엑스포
22:17
KTX
71[서대구]
부산
22:27
KTX-산천
223
마산
22:37
KTX-산천
253
포항
22:41
KTX
439
광주송정
22:47
KTX
73
부산
23:08
KTX
97[금~일]
부산
23:17
KTX
117[서대구]
동대구
23:47
KTX
119
대전


3. 승강장[편집]




파일:광명승강장셔틀.png

서울 방면 경부고속선 승강장
영등포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승강장

경부고속선 측 역명판
수도권 전철 1호선 측 역명판

금천구청
용산
금천구청

|
|
3
1
|
|
|
|
2
4
|
|

종착역
천안아산
종착역

이 역은 통로식이다. 역 구조가 플랫폼 위쪽은 비어 있고 양 옆쪽으로 대기실이 있는 구조이다.

역 개업 당시 플랫폼 번호는 지금의 광명셔틀 종착 플랫폼부터 차례로 매겼기에 지금의 1, 3번 홈이 각각 4, 5번이었고 2, 4번은 과거 3, 2번이었다. 그러나 광명셔틀 운행으로 구 1번과 6번 홈에 고상홈을 올린 이후 현재와 같은 번호로 개정되었다. 광명셔틀 승강장의 플랫폼 번호는 찾아보기 어려우나, 4번 통로에서 펜스로 막혀 있는 광명셔틀 종착 승강장 쪽으로 내려가는 계단에 6번 홈이라는 표기가 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불가능하다.
파일:attachment/1-s2.0-S016761050800055X-gr11.jpg
광명역의 승강장 구조
또한 역 자체가 반지하로 약간 파묻혔다는 느낌을 받기 쉬운데, 이는 기존선을 이용하던 KTX가 터널을 통해 광명역으로 들어온 후 그대로 다시 터널을 통해 나가기 때문에 플랫폼의 높이를 이에 맞춰서 그런 것이다. 그래서 철도역인데도 불구하고 겉으로 보기에는 역사만 있고 선로가 보이지 않는다. 2013년 12월 2일에 이설된 동해선 신해운대역이 이러한 양 끝에 터널이 설치된 광명역의 구조를 이어받았다.

서울역 급행 승강장과 함께 수도권 전철 1호선 역 중에서 스크린도어 설치가 예정되어 있지 않다. 다만 서울역의 스크린도어는 승강장 개량 공사 이후 설치될 예정이다.[14] 광명셔틀의 보류 또는 폐지에 따라 설치여부가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구간 중 소요산역~덕계역, 세마역~신창역 구간과 마찬가지로 서울교통공사 열차는 들어오지 않는다.


3.1. 장래[편집]


파일:wp-gm.jpg
신안산선경강선이 개통되면 광명역 서쪽 주차장 지하(구 사당역 KTX 셔틀버스(광명 버스 8507) 정류소 인근)에 신안산선 광명역이 신설된다. 길이 125미터의 4면(홈) 4선의 복층형 상대식 승강장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환승역인 홍대입구역과 같은 구조이다. 각 노선의 운영주체가 서로 달라서 초기 계획인 2홈 4선 쌍섬식 승강장에서 최종적으로 복층형 상대식으로 분리된 것으로 보이며 신안산선 승강장, 경강선 승강장이 상대식으로 따로 지어지나, 직결 선로는 설치된다. 또한, 수색-광명 고속철도가 지하로 건설되면 향후 행신/서울/용산 착발 KTX 소요시간이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예비타당성조사까지 통과하여 2025년 공사 착공 예정이다.



4. 역 주변 정보[편집]


개통 당시에는 주변이 아무것도 없는 허허벌판이라 역의 외형을 제외하면 특별한 게 없었지만 정부에서 광명역 인근을 개발하면서 볼거리가 많아졌다.


4.1. 광명역세권개발사업[편집]



역 주위는 광명역세권개발사업에 따라 건물이 계속 들어서고는 있으나 아직 빈 땅도 꽤 많다. 개통 후 수 년 동안은 거의 허허벌판이었고 건물은 거의 없다시피했다. 당초 남서울역 설립 계획은 역세권 개발을 억제하고 환승만 시켜서 유지한다는 내용이었다. 당시만 해도 그린벨트 제도가 매우 엄격했던 상황에서 전국적으로 그린벨트 해제 요구가 빗발쳤기 때문에 개발계획을 수립하기가 어려웠다. 역세권개발사업이 확정된 것은 역 개업 직전이었던 2004년 초였다.

교통 자체가 불편해서 이케아 광명점을 가려고 서울역에서 KTX를 타고 광명역에 오는 경우도 있다. 광명셔틀이 있지만 1시간에 1대 정차하는 데다가 영등포 착발이라는 한계점이 있고, 코레일톡 앱으로 행신-서울/용산-광명 구간을 50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4.2. 그 외[편집]


구로차량사업소의 이전부지 후보 세 곳 중 한 곳으로 광명역 북쪽의 KTX 차량기지가 거론되었다. 나머지 두 곳은 오류동역과 광명시 노온사동이었는데, 일단 노온사동은 불발되었다.

SRT 개통 이후 연계교통이 상당히 늘어났다. SRT 개통 당일이었던 2016년 12월 9일부터 하루 10회 운행이던 광명셔틀이 다시 1시간 간격으로 다니기 시작했고, 1달쯤 후 사당역을 목적지로 하는 광명 버스 8507이 생겨났으며, 이후에는 송내역을 목적지로 하는 부천 버스 8808이 생겨났다. 그리고 2018년 1월에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인천 버스 6770이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인천 버스 6780, 인천 버스 6790, 인천 버스 6800이 2018년 3월에 개통하여 운행했으나 수요 부족으로 6800번은 2018년 8월에, 6780번과 6790번은 2018년 9월에, 부천 버스 8808은 11월에 폐선되었지만 부천 버스 G8808 버스가 2020년 4월부터 8808번 노선 그대로 재운행한다.


5. 연계 교통[편집]


이용객은 증가하는데 연계교통이 부실해서 이용객들의 불만이 많다.[15] 2025년 신안산선(시흥시, 안산시, 안양시, 서울특별시 접근성 개선), 2026년 경강선(인천광역시, 시흥시, 안양시, 의왕시, 성남시 접근성 개선) 개통 이전에는 이런 불만이 계속 제기될 전망이다.

광명역의 이용객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적은 것은 연계 교통편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2016년 기준 여러 연계 철도 노선들이 공사 중이거나 계획 중이다. 이들 노선이 개통되면 광명역의 수요 창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버스 전광판과 버스 어플, 실제 버스의 도착 시간과 정차하는 곳이 뒤죽박죽이다. 택시를 이용할 때 안양으로 가려고 하면 20%의 시외 할증이 붙는다.

경기도에서 송내역, 신중동역, 선바위역과 더불어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세 수도권 지자체의 버스들이 동시에 만나는 역이기도 하다.


5.1. 버스[편집]



과거에는 관악역 - 광명역 간 셔틀버스가 정각 기준 15분마다 운행되었으나 2012년 7월 1일에 마을버스 1-1번으로 전환되었다.

북광명(철산동/하안동/소하동/광명동)/서울 방면 버스도 동편, 남광명(학온동)/안양/인천 방면 버스도 동편에서 탑승하였다. 즉 광명역 동편에만 시내버스들이 집중 편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광명역 서편은 택시만 있었다. 그러다 보니 가는 곳은 서로 다르지만, 같은 번호의 버스가 동편으로 여러 대 다녔다. 예를 들면, 평촌 방면 3번 버스와 철산 방면 3번 버스가 같은 동편에 정차하는 것, 학온동 방면 5633번 버스와 서울 방면 5633번 버스가 같은 동편에 정차하는 것 등이다. KTX 승객들은 정류장을 조금만 헷갈려도 반대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타기 일쑤였고, 광명 시민까지도 버스 정류장을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시민들의 많은 불편을 심었다.

이러한 불편과 광명역세권 주상복합 아파트의 입주로 인하여 2018년 2월 21일부터 광명역 경유 버스들의 노선을 동편, 서편으로 구분하여 운행한다. 서편은 북광명(철산동/하안동/소하동/광명동)/서울 방면 버스가 다니고, 동편은 남광명(학온동)/안양/인천 방면 버스가 다닌다. 참고로 광명 방면 12번, 17번 버스는 서편과 동편도 아닌, 동편 7번 출구에서 신호등을 건너 'KTX광명역.파크자이' 정류소에서 타야 한다.

고속철도 광명역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을 동편과 서편으로 나누어 개편한 정책은 광명역 동편의 파크자이 주민들의 반발이 심하였다. 그 이유는 여태까지 북광명(철산동/하안동/소하동/광명동)/서울 방면 버스와 남광명(학온동)/안양/인천 방면 버스 모두 자신의 집 앞에서 탈 수 있었는데 개편으로 인해 북광명(철산동/하안동/소하동/광명동)/서울 방면 버스를 타려면 평소보다 서편까지 약 3분을 더 걸어야 하였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개편 반대 민원을 수없이 넣었지만 정류장 개편 정책은 한국철도공사와 광명시가 예전부터 계획하기로 협약해왔기 때문에 민원을 받아들이지 않고, 원래 계획 그대로인 2018년 2월 21일부터 시행되었다.

2019년 6월 8일부터 광명역 동편(파크자이, 센트럴자이) 주민들의 편의를 위하여 광명역 동편 8번 출구에서도 북광명(철산동/하안동/소하동/광명동)/서울 방면 버스를 탈 수 있게 되었다. 그 대상은 광명 시내와 개봉역으로 가는 22번 버스, 광명 시내와 독산역으로 가는 102번 버스이다.

인천광역시민들에게는 3001번3002번이 있다. 3001번은 인하대학교, 인천지방법원 등을 거쳐 문학IC를 통해 고속도로로 진입하며, 3002번은 인천대학교, 청학동, 서창지구를 거쳐 신천IC를 통해 고속도로에 진입한다. 차가 막히지 않으면 인하대학교 기준으로 30분, 선학사거리 기준 45분이면 갈 수 있다. 직행좌석버스라서 일반시내버스에 비해 배차 간격이 더 길고 광명셔틀에 비하면 가격이 더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광명셔틀의 배차 간격이 1일 20회인 데에 반해 출퇴근시간은 10분 간격, 평시에는 15~2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다. 화영운수 홈페이지에 가면 시간표가 있다. 대신 인천광역시 남쪽 지역(미추홀구/남동구/연수구)에서만 이 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인천광역시에서 한참 북쪽인 지역(부평구/계양구/서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철도를 타고 서울역으로 가거나 송내역에서 G8808번으로 환승하는 게 낫다. G8808번은 송내역에서 바로 송내IC를 통해 고속도로에 진입해 송내역 기준 25~30분이면 광명역에 도착하지만 배차 간격이 30분이다.

17번서울 지하철 7호선의 광명사거리역~철산역 구간을 최단거리로 달린다. 길이 막히지 않는다면 25분 정도 걸린다. 막히면 조금 더 걸려 30~40분 정도 걸린다. 비슷하게 3번 버스도 있지만, 철산역에서 P자로 회차하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다. 광명역→철산역은 문제가 없지만, 철산역→광명역은 회차 때문에 약간 돌거나 한 정거장 도보 또는 버스 환승이 필요하다.


5.1.1. 서편 정류장(1~4번 출구)[편집]




5.1.2. 동편 정류장(5~8번 출구)[편집]


505번, 3번, 5627번, 5633번, 8507번(3번 출구 → 5번 출구 → 사당역 → 3번 출구)을 제외한 편도 정차 노선은 반대 방향이 길 건너편 광명역파크자이(14383) 정류장에 정차한다. 505번은 반대 방향이 서측 정류장에도 정차하지 않아 호봉골 정류장에서 간접 연계만 가능하다. 3번, 5627번, 5633번 3개 노선은 반대 방향이 서측 정류장에 정차한다.
KTX광명역5번출구(14389)
직행좌석
[운행방식] >
공항버스
>
KTX광명역6번출구(14220)
직행좌석
>
KTX광명역7번출구(14219)
일반시내
>
마을
>
KTX광명역8번출구(14467 · 38628)
간선
지선
>
일반시내
>
맞춤형



5.1.2.1. 동편 정류장 건너편(광명역파크자이(14383))[편집]

광명역에 바로 붙어 있는 정류장이 아니지만, 동측 정류장에 편도로 경유하는 노선 중 일부 노선(3번, 8507번, 서울 버스들(505, 5627, 5633))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들이 반대 방향으로 갈 때 이용되는 승강장이라 사실상 한 세트인 정류장이다.

대부분의 노선이 광명시내 방면으로 운행하거나, 실질적인 종점으로 기능한다. 마을버스인 88번은 중간 지점인 소하동까지만 운행한다. 22번, 102번의 경우는 한 정거장 뒤인 광명역센트럴자이(광명종합터미널 건너편)이 종점인데, 걸어서 5분 거리이다. 또한 G9633번은 이 정류장이 종점이다.



5.2. 광명역 도심공항터미널[편집]





5.3. 택시[편집]


광명역에 안양시 택시들이 정차하는 공간이 만들어진다고 한다.[17] 서편 택시 승강장에는 북광명(철산동/하안동/소하동/광명동)/서울택시들이 서있고 동편 택시 승강장에는 남광명(학온동)/안양/인천택시들이 서 있다. 버스와 똑같은 정차 위치이다. 버스도 북광명(철산동/하안동/소하동/광명동)/서울버스는 서편에 서 있고 남광명(학온동)/안양/인천버스는 동편에 서 있다.

광명시에서는 광명역에서 안양시시흥시로 가는 경우에 대해 승차거부를 하면 벌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대략 4~7천원 정도이다. 적당한 위치에서 카카오택시나 티맵택시를 부를 경우 20%의 시외 할증이 붙는다.

서울특별시 택시를 이용하여 서울특별시 25개 구 지역과 광명시내로 가는 것은 미터기 요금이다. 광명택시의 경우 구로구/금천구만 미터기 요금이다. 나머지 서울의 구 지역은 시외할증이 적용된다. 따라서 구로구/금천구 외 지역으로 택시를 타고 나가고자 한다면 서울택시를 잡는 게 낫다.


5.4. 자가용[편집]


역 개통을 맞이하여 서해안고속도로광명역IC를 신설하였다. 이후 평택파주고속도로 수원~광명 구간과 강남순환로 소하IC가 개통되어 수원시군포시에서의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이동 동선은 평택파주고속도로~동시흥JC~목감IC~광명역IC이다. 그러나 군포시 입장에서는 애매한 것이, 군포시에서 산본IC로 가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 경로를 이용하면 통행료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 도로의 효용이 적다. 수원광명고속도로 선형이 좋지 않고 군포시내 구간도 정체가 심하지는 않기 때문에 급한 경우가 아니면 이 도로를 이용할 일이 적다. 호매실이나 서수원터미널 인근에서는 정체가 없으면 자동차로 20분대에 접근 가능한데, 현재 이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는 없다.

그와 별개로 제2경인고속도로 안양~성남 구간이 2017년 개통되어 성남시 지역에서 이용이 편해졌다. 물론 분당신도시나 구성남 지역은 자차를 이용하더라도 수서역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나(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비교 불가), 판교신도시 지역은 자가용 이용 시 비슷한 시간에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수서역을 판교 지역에서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밤고개로 구간이 상습정체 구간이며 분당수서로와의 접근성도 좋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 서판교는 안양판교로~제2경인고속도로 이용 시 확실히 광명역이 더 유리하다.


5.4.1. 환승 주차장[편집]


주차장은 아래와 같다.
  • A주차장 (1호차 방향, 서측): KTX 승차권 연계 할인 가능
  • B주차장 (18호차 방향, 서측): 가장 최근에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신축
  • C주차장 (1호차 방향, 북측): 광명종합터미널 인근에 위치
  • D주차장 (18호차 방향, 남측): 광명역과 육교로 연결되어 있음



6. 미디어[편집]


파일:ynlXdm8r.png
  • 샤이니의 <아미고> 뮤직비디오 일부 장면이 광명역에서 촬영되었다. 샤이니 앨범 'SHINee 1st Album-Repackage 'SHINee World' [repackage]' 발매일은 2008년 10월 29일로 뮤직비디오 촬영 당시 광명셔틀전동차는 10량 열차로 용산-광명 구간을 운행하였으며, 현재는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로 영등포-광명 구간을 운행한다.
  • SBS런닝맨 무대가 된 적이 있었다. 그 당시 출연진들은 행신역에서 목포 가는 KTX를 이용해서 여기에 하차해서 촬영했다. 행신역, 지축차량사업소에 이어 세 번째로 런닝맨 무대가 된 철도 시설이다.
파일:광명국제공항.jpg
  • MBC의 드라마 욕망의 불꽃도 여기서 촬영한 적이 있는데, 공항으로 CG를 이용해 나왔다. 이렇게 된 이유는 그 당시 인천국제공항이 G20 정상회담 관계로 경비가 삼엄해 촬영이 불가했기에 그랬다.
  • 감시자들: 에필로그 씬에서 광명역이 나왔다.
  • : 마지막 열차 씬에서 열차를 타는 역이 광명역이다. 22번도 배경으로 잠깐 등장하였다.
  • 굿닥터: 1화에서 다친 아이에 대해 응급처치를 하는 장면이 광명역에서 촬영됐다.

  • 드라마월드: 넷플릭스에서 제작한 드라마로, 예고편 29~32초 정도에 광명역이 등장한다.


7. 사건·사고[편집]


2017년 7월 10일 폭우로 광명역 지하가 침수됐다. KTX 운행에 지장은 없었으나, 지하에 위치한 웨딩홀 식장과 통신선이 침수되었다.[18]

2019년 7월 11일 오전 4시 28분경 구내 하선 신호장애(선로전환기 장애)가 발생하여 고속 17개 열차가 6~50분 지연되었다. 일반열차도 지장을 받아 10개 열차가 지연되었으며, 광명셔틀 4개 열차는 전 구간 운휴되었다.

2022년 7월 13일 중부 집중호우로 또 침수되었다. 정확히는 폭우로 인해 신안산선 공사장에서 흘러든 흙탕물이 광명역으로 유입되었고, 이 흙탕물이 승강장과 대합실, 연결통로 등에 흘러 내려와 승객들이 불편을 겪었다. 고속선 선로로는 넘치지 않아 열차 운행에 큰 지연은 없는 상태였지만, 광명셔틀 하행 플랫폼이 침수되어 광명셔틀 운행이 중단되었다.[19][20][21]

7.1. 2011년 발생한 탈선사고[편집]




7.2. 2023년 발생한 칼부림 사건[편집]





8. 기타[편집]


광명역 개통 이전까지 광명시는 서울 편입 논의가 매우 폭발적인 지역이었다. 그런데 광명역을 둘러싸고 서울과 시종착역 문제, 영등포역 정차 문제 등의 갈등을 겪으면서 꽤 부정적인 인식이 성장했다. 편입론의 주된 근거가 되는 영등포와의 생활권 문제, 역사적 유대감이 영등포역 정차 문제를 두고 싸움을 벌이면서 인식이 나빠졌다. 과거에 비해서는 덜해졌지만 서울 편입을 원하는 지역 정서는 아직은 좀 남아 있는 상태이다.[22] 거기에는 영등포역 KTX 정차 횟수가 매우 적다는 것도 한 몫한다.

여러 가지 이유로 수도권 전철 중 스크린도어 설치 예정이 없는 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한국철도공사 구간 중 유일하게 지하에 위치한 역이며, 반지하역 중에서는 드물게 승강장이 지하 1층에 있지 않다.

이 역도 서울역 못지 않게 비둘기가 심심하면 보이는 역이다.

독일의 쾰른 중앙역과 구조나 외/내부가 매우 흡사하게 생겼다. 다만 쾰른역과의 차이점은, 도시의 외곽 지역이라는 점과 플랫폼 이동시에는 지상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점이 있다. 그리고 쾰른역이 앞서 개업을 시작했다.


9. 일평균 이용객[편집]



9.1. 수도권 전철[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1_icon.svg
비고
2006년
1,050명
[23]
2007년
1,553명

2008년
1,998명

2009년
2,209명

2010년
2,580명

2011년
2,811명

2012년
2,888명

2013년
3,064명

2014년
1,842명

2015년
1,471명

2016년
1,574명

2017년
3,088명

2018년
4,396명

2019년
5,676명

2020년
4,544명

2021년
5,153명

2022년
6,124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2014~2016년까지 3년 연속으로 1호선에서 이용객 수가 가장 적었다. 2017년 하루 평균 이용객이 갑자기 두 배 가량 뛰면서 직산역, 배방역, 봉명역, 서동탄역의 승객 수를 추월했지만 여전히 1호선에서 이용객 수가 적은 역이다. 그나마 2019년에 1호선 98개역 중 87위를 기록하여 최하위권은 벗어났다. 각각의 노선마다 최하위 이용객을 기록하는 역을 보면, 경부선 구간에서는 직산역이, 경인선 구간에서는 도화역이, 경원선 구간에서는 보산역이, 장항선 구간에서는 배방역이, 서울 지하철 1호선 구간에서는 동묘앞역이 이용객 수가 가장 적다. 다만 동묘앞역은 서울 시내에 있어서 1호선 전체에서는 이용객 수가 중상위권이다. 이전에는 세마역, 직산역, 배방역, 평택지제역 등이 줄곧 1위였으나 이용객 수가 차츰 늘더니 광명역의 이용객 수가 급감하고, 2016년SRT 시승 및 1달만에 지제역의 이용객 수가 천 명을 넘기면서 광명역이 최하 이용객을 기록했으나 2017년부터 광명역세권개발사업의 진행에 따라 아파트오피스텔 등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승객이 두 배로 늘었다.

  • 광명역 승차객의 목적지 중 광명역이 5위라는 자료가 디시인사이드 철도 갤러리에 올라왔었다. 승차 후 다시 바로 돌아나온 인원 수가 상당히 많은 역이다. 하루 10회 운행 당시의 통계라 정확하지는 않다. 특정 역 승차객의 목적지로 같은 역이 5위에 올랐다는 것은 오승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 같은 통계에서는 아산역으로도 하차객이 존재하였다. 즉 광명셔틀을 타고 금천구청역에서 신창행을 타고 아산역까지 갔다는 것이거나 KTX 무임승차, 전철을 이중결제해서 나오는 것이다.

  • 광명역에서의 KTX 이용객들 중에서 이 역까지 전철을 타고 오는 비중은 매우 적다. 이 역에 셔틀 열차가 들어온 이유가 광명역의 활성화를 위한 목적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목적 달성에는 실패한 셈이다. 실제로 개통 초기 용산~광명을 운행하던 셔틀 열차가 영등포로 단축된 이유는 선로 용량 문제+광명역 수요가 예상치를 너무 심하게 밑돌았던 것 때문이었다.

  • 전철 이용객이 매우 낮은 이유는 월곶판교선, 신안산선 등의 접속 도시철도망의 건설이 지연된 탓이 크다. 향후 이 노선이 완성될 경우 광명역 이용 수단에서 전철의 분담률이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 2017년부터 광명역세권개발사업으로 주변 아파트, 오피스텔이 입주를 시작하여 역세권 인구가 많아지고 광명역도심공항터미널 등의 편의시설도 어느정도 자리를 잡으면서 탑승 인원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역세권개발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며 2021년과 2022년에 대형 지식산업센터와 쇼핑몰, 중앙대학교광명병원이 입주하는 만큼 수요 증가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 2020년 기준 출퇴근 시간대인 오전 7~8시, 오후 5~7시까지는 승객이 매우 많다.


9.2. 고속철도[편집]


연도
파일:KTX BI.svg
비고
2004년
5,873명
[24]
2005년
9,868명

2006년
12,186명

2007년
13,739명

2008년
14,602명

2009년
14,559명

2010년
15,977명

2011년
17,687명

2012년
18,602명

2013년
19,847명

2014년
19,862명

2015년
21,623명

2016년
23,205명

2017년
22,807명

2018년
25,850명

2019년
27,581명

2020년
18,085명

2021년
20,005명

2022년
26,943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財源조달 벽 부딪쳐 修正 불가피」, 매일경제, 1993-06-15[a] A B 「安養에도 시발驛」, 동아일보, 1993-06-15[2] 「고속철도 차량 프랑스-독일 압축」, 한겨레, 1993-06-15[3] 「高速철도 佛·獨 압축」, 경향신문, 1993-06-15[4] 「高速철도 남서울驛 광명市 일직洞으로」, 매일경제, 1993-06-20[5] 「"고속철 도심구간 지하환원을"」, 한겨레, 1994-01-21[6] 「高速鐵 기존 서울驛 활용」, 경향신문, 1994-10-12[7] 「<초점> 경부고속철도 사업계획 재조정 주요쟁점」, 연합뉴스, 1998-07-07[8] 「[고속철 요금·운행체계 어떻게] 서울∼부산 하루 32회 운행」, 국민일보, 2004-01-19[9] 「한강 이북개발 중점」, 한겨레, 1993-09-21[10] 월화수목 운행 편성과, 금토일 추가 편성 제외[11] 복합열차를 중복 카운트하지 않고 하나의 편성으로 계산[12] 한국철도공사 > 사규 > 열차운전시행세칙, 2013년 4월 26일 원본 페이지에서 보존된 페이지, 별표 부분을 클릭한 뒤 'TXT로 보기'를 선택하면 볼 수 있었지만 현재는 볼 수 없다(2023년 7월 5일에 확인함).[13] [한국철도 랜선여행] 광명셔틀 운전실 타고 KTX광명역에서 영등포까지 주행영상 (KORAIL KTX GWANGMYEONG SHUTTLE TRAIN CABVIEW)(1:09초 참고), 한국철도공사, 2022년 10월 14일, 모자이크 때문에 잘 보이지는 않지만 본선으로 (서울 방향) 합류하기 직전 좌측으로 빠지는 선로가 주박기지 연결선이다. 하선도 (부산/광주 방면) 선로 구조가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월] A B C 월요일에만 운행한다.[화~일] 화~일요일에만 운행한다.[금~일]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b 금~일에만 운행한다.[월~목]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월~목에만 운행한다.[금토] A B 금토에만 운행한다.[구포] A B C 구포 경유[서대구] A B C D E F 서대구 경유[서대전] A B C D E F G H I 서대전 경유[서대구,구포] A B C D E 서대구,구포 경유[서대전,김제] A B 서대전,김제 경유[14]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모노레일 마이너 갤러리[15] 「대중교통 연계 사각… KTX 광명역은 ‘외딴섬’」, 세계일보, 2015-10-25[16] 실질적으로는 공항버스 등급으로 운행한다.[운행방식] 사당역 방면은 3번 출구 → 5번 출구 → 사당역, 광명역 방면은 사당역 → 3번 출구로 운행한다.[17] 「안양시~KTX광명역 택시 할증료 폐지」, 뉴스1, 2015-06-11[18] 「물에 잠긴 KTX광명역 지하 웨딩홀」, 연합뉴스, 2017-07-10[19] 「KTX 광명역 일부 침수로 이용객 불편…열차는 정상 운행」, 연합뉴스, 2022-07-13[20] 「'광명역 물바다'…집중호우, 경기도에 비 피해 속출」, 뉴시스, 2022-07-13[21] 「'흙탕물 바다'된 광명역…열차는 정상 운행 중」, MBN, 2022-07-13[22] 「"광명시민 85% 서울시 편입 원한다"」, 뉴시스, 2015-10-14[23]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24] 개통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0. 둘러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