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시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북한의 최고 규범에 대한 내용은 교시(북한) 문서
교시(북한)번 문단을
교시(북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한국의 경우
2.1. 초등학교
2.2. 중학교
2.3. 고등학교
3. 외국의 경우



1. 개요[편집]


校時.
학교수업 시간을 세는 단위.

초등학교는 40분, 중학교는 45분, 고등학교는 50분.수업 시간대한민국 교육부에서 교육과정으로 명시해 놓은 시간이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야 한다.[1] 학교의 레벨이 올라갈 때 마다 5분씩 연장되는 게 특징. 참고로 대학교도 50~75분으로 교시가 있지만 대부분 시간단위 연강이라 의미가 없다.[2]

기본적으로 1교시부터 있지만, 옛날에는 인문계 고등학교 중심으로 0교시랍시고 7시 30분 이전에 등교시켜서 아침자습을 시키는 경우가 많았으며 지금도 그런 학교들이 드물게 있다. 다만 그 시간에 담임 조례를 하기도 한다. 물론 정식 수업 시간은 당연 아니다. 상세 내용은 항목 참조.

과목이 어떤 과목이냐에 따라 시간이 엿가락처럼 줄었다 늘었다 하는 참으로 미묘한 시간이다. 컴퓨터실 등에서 뭔가를 하고 자유시간이 주어진 경우 눈 깜짝할 새 후딱 가지만 마지막 수업 시간 땐 시간이 멈추는 게 특징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학생들은 빨리 다음 교시가 지나고 지나 빨리 종례가 오길 바란다. 하지만 오히려 시간이 매우 느리게 간다. 그래도 종례시간은 언젠가 오니 꾸욱 참자.

이상하게 학교대사전에 충분히 나올 법한 말인데도 이 말만은 수록되어 있지 않다.


2. 한국의 경우[편집]



2.1. 초등학교[편집]


초등학교 저학년 (1~2학년) 같은 경우엔 4교시가 보통이며, 가끔씩 1주일에 한두번은 5교시가 껴있다. 4교시만 하면 보통 12시 10분[3] 정도에 끝나고, 5교시까지 하면 보통 1시 40분 즈음에 끝난다.

예전에는 토요일도 학교를 나갔는데 이때는 보통 3교시만 해서 오전 수업만 마치고 종례를 하는 경우도 대다수였다. 그리고 추후 2주일에 한 번 노는 토요일이라고 소위 놀토라고 불리는 토요일이 있었고,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토요일에 학교수업을 받는 일은 99% 없어졌다.

중학년부터는 (3~4학년) 4교시로 끝나는 경우가 거의 없고 5교시가 대다수인데, 일주일 내내 5교시인 경우도 있고 학교마다 다르지만 하루 내지 이틀 정도는 6교시가 껴있을 수 있다. 특정 행사로 인해 가끔 4교시를 할 때도 있다.

고학년부터는 (5~6학년) 6교시가 거의 대부분이다. 가장 적은 교시는 드물게 5교시가 있으며, 아주 드물게 7교시를 하는 학교도 있다. 다만, 7교시를 한다면 중학교처럼 창체 활동을 하는게 대다수이며, 대청소를 하기도 하고, 강사를 초청해 시청각실에서 교육을 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6교시는 초등학교 시절 최종보스 교시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은 4교시를 하고 급식을 먹고 가기도 하거나, 혹은 3교시를 하고 급식을 먹고 1교시를 더하고 집에 가기도 한다. 그리고 이 이후부터는 4교시로 통일된다.

일부 학교는 7~8교시로 많은 수업을 하기도 한다.


2.2. 중학교[편집]


1~3학년이 모두 시간이 같으며 대부분 6교시와 7교시로만 채워져있다. 보통 7교시 2일 ~ 3일 정도, 나머지를 6교시로 채우는게 보통이지만, 7교시를 3~4일을 채우고, 5교시를 하루 채우는 학교도 있다. 또한, 이때부터는 수업 시간이 초등학교보다 무려 5분이나 늘어난 시간으로 45분 수업이다. 쉬는 시간까지 합하면 55분으로, (특히 중학교 1학년의 경우) 시계만 쳐다보게 된다.

그리고 초등학교 때는 담임 선생님이 여러 과목을 가르쳤지만, 중학교 때부터는 과목별로 담당 선생님들이 나누어지고, 그에 따라서 교사마다 수업 특징이 다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4]


2.3. 고등학교[편집]


이때부터 시간 흐름에 대한 내성이 생겨서 조금만 집중하다 보면 어느새 수업이 다 끝나가는 속성을 얻을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수업 시간이 무려 50분으로 쉬는 시간까지 합치면 1시간이여서 7교시까지 할 경우 9시에 수업을 시작하고, 점심시간 1시간을 제외한다면 초등학교는 3시 20분 즈음에 끝나고, 중학교는 4시 05분 즈음에 끝나고, 고등학교는 무려 4시 40분에 끝나는 어마무시한 공부시간 양을 보여준다.[5]

보통 7교시가 기본이며, 하루 정도는 6교시를 하거나, 중학교에서 추가로 1교시가 더 생겨서 최대 8교시를 하게 된다. 또한, 인문계 고등학교의 경우 방과후와 야자까지 종합해서 시간을 계산한다면, 무려 11교시 ~ 12교시에 임박하는 압도적인 공부량을 보여준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와서 서울 등 중앙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야자가 자율화되거나 폐지되기 시작하면서[6] 그리고 2010년대 들어와서는 더더욱 더 학교에서 지내는 시간 자체는 전국적으로 많이 줄어든 편이다. 물론, 2010년대 후반 이후로도 알음알음 강제적인 야자를 시행하는 보수적인 학교가 소수 남아 있다. 지역적으로는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소재 고등학교들의 야자가 가장 늦게까지 시행되고 있었다.(10시 또는 11시(3학년)까지 시행) 지금도 이들 지역은 강제야자를 시행하는 학교들의 비중이 더 높기도 하다. 그리고 지금은 코로나로 인해서 강제야자를 시행하는 보수적인 학교에서조차도 학교에서 지내는 시간이 거의 줄어들고 있다.


3. 외국의 경우[편집]



3.1. 미국[편집]


미국의 중고등학교의 경우 지방자치제가 발달한 국가 특성상 학군마다, 그리고 학교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대부분 한국에서는 0교시에 해당할 시각인 7시 30분 정도에 1교시가 시작하며, 수업 시간은 한국보다 짧은 40분 내외인 경우가 많고, 하루 8~9개 교시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덕분에 학교가 끝나는 시간은 늦어도 오후 3시 내외이다.

중고등학교에서는 보통 학생마다 시간표가 다르기 때문에 수업시간 중 하나를 점심시간이나 자유시간으로 빼는데, 이 때문에 점심시간은 한국보다 짧은 경우가 많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5:22:25에 나무위키 교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당일 수업 진도를 빨리 나갔다면 남은 시간은 자습이나 휴식을 취하게 배려해 주는 대인배스런 교사들도 많다.[2] 다만 이것도 대학에 따라 다르다. 50분이나 75분 단위로 과목당 주 2회에 걸쳐 수업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주 1회 2~3시간을 연강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많다.[3] 점심시간 탓에 12시 40~50분에 하교한다.[4] 초등학교 3~6학년도 일부 교과나 예체능 과목은 담임이 아닌 전담교사가 맡는 경우가 있지만, 중ㆍ고등학교는 모든 과목마다 교사가 다르다. 선생님별로 전공 분야 과목이 다르기 때문. 심지어 초등학교때 전담교사가 맡는 과학도 중학교때는 두 선생님으로 갈라지고 고등학교 올라가면 아예 과목조차도 4개로 분리된다.[5] 단, 중ㆍ고등학교는 학교마다 1교시 시작 시간이 다 달라서 일반적인 것으로 볼 수 없다.[6] 강남 등 사교육이 활성화된 곳은 2000년대 이전에도 그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