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난새

덤프버전 :

파일:옥관문화훈장 약장.png
옥관문화훈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1984
이매방
중요무형문화재 승무, 살풀이춤 보유자
1987
강수연
배우
1988
김송†
소설가
1988
유현목
영화감독
1991
김희조
작곡가
1992
구봉서
희극인
1992
금수현†
작곡가
1992
김길봉
향토문화인
1992
김학수
화가
1992
도동환
영화인
1992
오승우
화가
1992
윤장섭
건축가
1992
이인표
기업인
1992
천혜봉
서지학자
1992
황금심
가수
1995
금난새
지휘자
1995
박춘석
작곡가
1995
고성현
성악가
1998
고운봉
가수
1999
안숙선
국악인
2000
최민식
사진작가
2001
권성덕
연극인
2001
마에다 켄지
영화감독
2001
박형진
문화원장
2001
송대관
가수
2001
유광열
도예인
2001
장석웅
건축가
2001
주남철
건축가
2001
하춘화
가수
2002
김민태
국악인
2002
김혜식
예술종합학교 무용원장
2002
명계남
배우 겸 제작자
2002
문소리
배우
2002
문장호
2002
2002
서경선
작곡가
2002
신응수
대목장
2002
이명동
사진작가
2002
이배구
출판가
2002
이성강
애니메이션 감독
2002
임동진
배우
2002
장세건†
만담가
2002
최완귀[1]
시나리오 작가
2002
조방헌[2]
가수
2002
황일인
건축가
2003
구희서[3]
연극평론가
2003
김기덕
영화감독
2003
김숙자†
중요무형문화재 살풀이춤 보유자
2003
김춘옥
화가
2003
박노을
온양문화원장
2003
박행보
화가
2003
배만금[4]
가수
2003
안종만
출판가
2003
윤승중
건축가
2003
이장호
영화감독
2003
이토 아비토
문화인류학자
2003
진성기
제주민속박물관장
2003
최은순
중요무형문화재 매듭장 보유자
2004
강영중
기업인
2004
김기찬
사진작가
2004
김정동
고건축학자
2004
성백엽
애니메이션 감독
2004
우제길
판화가
2004
이정호
애니메이션 제작자
2004
정석진
문화원장
2004
최기영
대목장
2004
최민식
배우
2004
태덕수
탈춤연구자
2004
한용희
작곡가
2005
권창륜
서예가
2005
김규원[5]
무용가
2005
김태원
문화원장
2005
박기정
만화가
2005
오윤†
판화가
2005
조남식
문화원장
2006
강상수[6]
가수
2006
김준섭
서예가
2006
김태근
연극연출가
2006
백락구
문화원장
2006
이병훈
PD
2006
이정일
출판가
2006
임남곤
문화원장
2007
고두심
배우
2007
김상옥[7]
불교인
2007
오기수
건축가
2007
위황량
장흥문화원 이사
2007
전도연
배우
2007
정재만
전통무용가
2007
정재욱
문화원장
2007
카네코 카즈시게
일본 아시아민족조형문화연구소장
2007
파트리스 드 라 페이에
미술평론가
2007
한창조
조각가
2008
김산호
만화가
2008
김윤철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2008
김준식
문화원장
2008
박만식[8]
불교인
2008
박주환
한국화랑협회 회장
2008
안선재[9]
서강대 명예교수, 번역가
2010
김동학
중요무형문화재 전통장
2010
박춘석†
작곡가
2012
박재상[10]
가수
2012
이무호
서예가
2012
이정진
배우
2012
조민수
배우
2015
정재도
한글학자
2019
송강호
배우
2021
백영규
도예가
[1] 필명 최인수[2] 예명 태진아[3] 필명 구히서[4] 예명 배호[5] 예명 김성일[6] 예명 현철[7] 법명 범하[8] 법명 성각[9] 귀화 전 이름 브러더 앤서니(Brother Anthony)[10] 예명 싸이





파일:external/farm9.staticflickr.com/7694949418_61ce37e8da.jpg

금난새
Nanse Gum

출생
1947년 9월 25일 (76세)
경상남도 부산부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본관
김녕 김씨 (金寧 金氏)
직업
지휘자
가족
아버지 금수현, 동생 금노상 外[1]
배우자 홍정희, 아들 금다다, 금드무니
외조모 김말봉
학력
경희대학교 병설 경희중학교 (졸업)
서울예술고등학교 (작곡과 /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 학사)
베를린국립음악대학 지휘과(사사:라벤슈타인)
계명대학교 (철학 / 명예박사)
데뷔
1977년 제 5회 카라얀국제콩쿠르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3. 경력
4. 수상
5. 논란
5.1. 서울예술고등학교 직무태만
6. 기타
7. 광고



1. 개요[편집]


대한민국지휘자이다.


2. 상세[편집]


아버지는 음악가인 금수현, 동생은 지휘자 금노상이다. '난새'는 '하늘을 나는 새'를 뜻하는 순우리말.[2] # 성이 김(金)씨인데 아버지 세대부터 성의 한자를 '금'으로 읽어서 사용하는 이름은 금난새이지만, 이전부터 주민등록증과 여권, 운전면허증 등의 신분증과 가족관계등록부상으로는 김난새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재산 상속 과정에서 상속신청서와 가족관계증명서상의 성명이 달라 상속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낳게 됐고, 결국 2018년 소송을 걸게 됐다. 1, 2심에서는 금난새 측이 패소했으나 대법원에서는 광복 직후부터 금수현-금난새 집안이 성의 한자 독음을 '금'으로 사용해 왔고, 이를 사회적으로 사용해 왔기 때문에 가족관계등록부의 성씨의 한자 독음을 '금'으로 바꿀 수 있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로 금난새는 법적으로도 완전히 성씨의 한자 독음을 '금'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됐다. 관련 기사[3] 또한 금난새의 집안은 김녕 김씨가 쓰는 항렬자를 쓰지 않고 한글 자음의 ㄱ,ㄴ,ㄷ 순으로 이어지는 독자적인 항렬자를 사용한다.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했다. 청소년기부터 지휘자를 꿈꿔왔으나 당시 한국에서는 지휘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없어 베를린 예술대학교 음악대학까지 무작정 가서 무일푼으로 어렵게 공부했다고 한다. 이후 한국인 최초로 1977년 카라얀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입상해 데뷔했고, 귀국 후 KBS 교향악단의 지휘자를 맡아 최연소 지휘자란 기록을 남겼다.

1992년 수원시립교향악단의 지휘자를 맡았는데, 이에 대해 구설수가 많았다고 한다. 당시만 해도 수원시립교향악단과 KBS 교향악단의 규모나 유명세는 차이가 매우 심했고 따라서 금난새가 압력을 받아 KBS교향악단에서 쫒겨난 게 아니냐는 루머가 돌기도 했다. 이에 대해 금난새는 본인의 의지였으며 수원시향의 문제점을 고쳐보고자 하는 생각에 옮긴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후 1997년 한국 최초의 순수 민간 오케스트라인 "유라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현 뉴월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4]를 창립, 활동하고 있다. 연주 장소의 선정이나 연주 내용에 있어서 개성 있는 일화가 많아 일반 대중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는 편이다.

2013년부터 서울예술고등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중 2019년 교장직에 충실하지 못했다는 업무 소홀 논란이 빚어졌고, 결국 2019년 8월 교장직에서 해임됐다.[5][6]

3. 경력[편집]


연도
경력
비고
2015년 9월 ~
한경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예술감독

2015년 1월 ~
성남시립예술단 예술총감독, 상임지휘자

2013년 10월 ~ 2019년 8월
제8대 서울예술고등학교
해임[7]
2012년 7월
라움 아트센터 예술감독

2012년 4월
경남메세나협의회 홍보대사

2012년 3월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 석좌교수

2012년 2월
한국스카우트연맹 명예홍보대사

2011년 8월
청소년적십자 홍보대사

2011년 2월
제주도 홍보대사

2010년 3월
보건복지부 결핵홍보대사
인천시립예술단 예술감독, 상임지휘자

2008년 2월 ~ 2011년
S&T홀딩스 사외이사

2006년 9월 ~ 2010년
경기도립오케스트라 예술감독

2002년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 홍보대사

2001년
청주시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

1999년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 교수

1998년
유라시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최고경영자 CED, 음악감독
대전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
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지휘자

1992년
수원시립예술단 상임지휘자

1981년
KBS 교향악단 전임지휘자

1980년
국립교향악단 전임지휘자



4. 수상[편집]


수상 연도
수상
비고
2011년
가장 문학적인 상 음악부문

2011년
제 30회 세종문화상 예술부문

2010년
제 13회 효령상 문화부문

2009년
한국최고경영자회의 문화경영 문화인부문 대상

1999년
제 15회 평론가협회 음악대상

1995년
옥관문화훈장

1977년
제 5회 카라얀국제콩쿠르 4위

1965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주최 콩쿨 작곡부문 입상



5. 논란[편집]



5.1. 서울예술고등학교 직무태만[편집]


그가 2013년서울예술고등학교장직을 맡게 됐을 때, 계약 내용 중에서 1년에 3일만 출석을 해도 된다는 내용을 두시탈출 컬투쇼에서 본인이 직접 언급을 해 기사[8]와 함께 논란이 됐었다. 그리고 실제로 학교에서 금 교장이 출근을 하는 날보다 출근을 안 하는 날이 월등히 많았다. 이마저도 학교 오케스트라와 관련돼서 출근한 것.

그 후에 학교에서 교장직을 하며 가끔씩 실기에 우수한 학생들을 데리고 개인적인 연주에 데리고 다니며 보수를 주기는 하면서 연주를 시켰다.[9][10] 본론으로 돌아가자면, 학생들이 잘 모이지 않아서, 연주를 하겠다고 하는 학생들로 인원을 겨우겨우 맞추긴 했지만, 외부에 서울예고 학생들을 자랑하고 싶은 마음이 큰 금난새가 학생들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지, 교장직을 이어가던 중 2018년 재계약 후에 2019년 6월 17일에 "지휘자 금난새, 서울예고 교장 업무 소홀"이라는 기사와 함께 다시한번 논란이 빚어졌다.[11]

그리고 마침내 2019년 8월 16일 기사[12]와 함께 금 교장의 해임소식이 알려졌다.

그러나 그 다음날인 8월 17일에는 8월 21일에 있을 서울예술고등학교의 수요채플 시간에 금난새 교장의 퇴임예배 를 한다는 소식과 함께, 금 교장은 명예교장으로서 서울예술고등학교에 남아 교장이 되기 전부터 해왔던 지휘를 계속 이어간다는 소식이 퍼졌다.


6. 기타[편집]


  • 그가 지휘하는 것을 보면 아주 파워풀한 지휘가 눈에 띈다.


  • 송창식의 서울예고 동창으로, 그가 가난해서 수돗물로 배를 채웠다고 회상했다.

  • 세간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드러운 이미지와는 다르게, 오케스트라에게는 꽤나 권위적인 면이 있다고 알려졌다. 수원시향에서 상임지휘자로 재직 당시 이런 문제로 단원들과의 불화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교장으로 재직했지만 현재는 해임된 서울예술고등학교에서도 오케스트라 지휘를 맡으면 연주 연습에서 학생들을 꽤나 몰아붙이는 선생으로 유명하다고. 부산 내셔널 유스 오케스트라에서도 권위적인 태도는 그대로다.

  • 부산 F1963에 금난새씨의 이름을 딴 금난새 뮤직센터가 있다. 직접 기획과 설계에 참가했다고 한다.#


7. 광고[편집]


  • 한라비발디


  • 양지사 다이어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9:54:38에 나무위키 금난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형제가 5명이다.[2] 본인의 말에 따르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공식 등록된 최초의 순우리말 이름이라고 했으나 JTBC 한名회에서 조사해 본 결과를 보면 최초는 '최참도'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라고 한다. 관련 글 행정망전산화 및 호적전산화 이전에는 전국적 등록 상황을 파악할 길이 없으니 본인 주장은 신빙성이 낮으며 전산화가 완료된 현 시점의 JTBC 조사 결과가 맞다고 봐야 한다.[3] 1심과 2심에서는 이걸 함부로 허용해줬다가는 본관 제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가족관계등록부에 등재된 자기 성씨의 한자 독음을 임의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취지에서 패소 판결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광복 직후부터 금수현-금난새 집안이 성의 한자 독음을 '금'으로 사용해왔다는 점을 고려하여 금난새 측의 손을 들어주었다.[4] #[5] 뉴스 기사에 따르면 4년동안 근무일의 40%에 가까운 396일을 학교가 아닌 성남시립예술단으로 출근했다고 전해진다. 서울시교육청은 서울예고에서 2014년부터 2018년 사이에 열린 학업성적관리위원회 49회, 입학전형관리위원회 28회, 교육과정위원회 7회 등 위원회 총 86회에서 금난새 전 교장이 참여한 사실을 확인하지 못했다. 이 위원회를 총괄하는 위원장은 금 전 교장이었다. 금 전 교장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있었던 교무위원회 88회 가운데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8회만 참석했다.[6]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44676[7] http://m.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37903[8]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508151413100310[9] 항상 자신을 보수를 준다고 강조하며 말하지만 정작 줘야하는 보수의 절반도 안 됐다는 것이 현실.[10]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학교의 음악교사들이 학생들에게 심각한 압박을 주었다. ~애초에 고등학생인 만큼, 대입이 코앞이며, 내신에 실기까지 바쁜 학생들이, 학기 중 학교 수업을 빠져가며 연주를 하려는 학생들이 거의 없다보니, 금난새는 진행시키고 싶고, 학생들을 모으는 것은 음악과 선생님들에게 맡기니.[11] https://www.yna.co.kr/view/AKR20190617147700004?input=1179m[12]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344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