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윤

덤프버전 :

파일: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심벌.svg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펼치기 · 접기 ]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수석부의장 (1981~1988)

초대
김정렬
제2대
주영복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1988~현재)



제2대
주영복
제3대
민관식
제4대
홍성철
제5대
이홍구
제6대
김명윤



제7대
오자복
제8대
이수성
제9대
김민하
제10대
신상우
제11대
이재정



제12대
김상근
제13대
이기택
제14대
김현욱
제15대
현경대
제16대
유호열


제17대
김덕룡
제18대
정세현
제19대
이석현
제20대
김관용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제6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김명윤
金命潤 | Kim Myung-yoon

파일:김명윤 의원.jpg}}}
출생
1924년 5월 3일
강원도 울진군 북면 (현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사망
2016년 2월 1일 (향년 91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본관
의성 김씨
재임기간
제6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1994년 5월 4일 ~ 1996년 3월 31일
학력
강릉공립상업학교 (졸업)
주오대학 (예과 / 중퇴)
경성대학 (법학 / 학사)
가족
김광준
여동생 김명옥
슬하 1남 2녀
종교
불교
의원 선수
3
의원 대수
5, 9, 15
경력
만주고등고시 합격
사법요원양성소 수료
춘천지방검찰청 강릉지청 검사
서울지방검찰청 검사
민정당 기획위원, 강원도당 위원장
민주화추진협의회 부의장
민주산악회 회장
통일민주당 부총재
통일민주당 총재권한대행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이사장
제6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한국 방정환재단 부총재
민주화추진협의회 공동이사장
국토통일고문회의 고문
한양합동법률사무소 변호사
재단법인 세종연구소 이사
한나라당, 새누리당 상임고문

1. 개요
2. 생애
3. 선거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변호사, 정치인.

종교불교. 김광준 전 국회의원이 친형이고, 오준석 전 국회의원은 매제(김광준, 김명윤의 여동생 김명옥의 남편)이다. 김영삼 정부 때 공보처 차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을 역임한 이원종의 이모부이기도 하다.


2. 생애[편집]


1924년 강원도 울진군에서[1] 태어났다. 대구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주오대학 대학예과를 거쳐 1946년 경성대학 법문학부 법학과를 졸업했다.

1944년 만주국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였고, 1945년 귀국한 후 조선변호사시험에 합격하였다. 사법요원양성소를 거쳐 1948년 검사로 임용되었다. 1958년 사임하고 변호사로 개업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처가가 있는 강원 강릉시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형 김광준도 본가가 있는 강원 울진군 선거구에서 같은 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됨으로써 형제 국회의원이 탄생하였다.

5.16 군사정변 이후 민정당의 쇄신을 요구하며 고담룡 등과 함께 보수당을 창당했지만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자를 1명도 배출하지 못하고 군소정당으로 전략한다. 보수당 해산 이후 변호사 업무에 전념하다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강원도 강릉시-명주군-삼척군(동해시 북평지구, 태백시 분리 전)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김효영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8년 이철승 대표최고위원과 관계가 좋지 않던 차에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특혜분양 사건으로 제1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이에 신민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김효영 후보와 친여 무소속 김진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선거 후 신민당에 복당하였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 당시 전두환이 "검사출신 치고 야당하는 사람이 어디있냐. 우리랑 같이하자"라고 회유했지만 김명윤은 이를 거절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정치규제 기간 중 1984년 5월에 출범한 민주화추진협의회에 상당한 규모의 운영자금을 은밀히 대주면서 김영삼의 신뢰를 쌓고 자연히 상도동계의 원로로 대접받는다. 1985년에는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으로 구속된 학생들의 변호인을 맡았다. 1985년 3월 정치규제에서 해금된 뒤 1987년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에 임명되었고 6.10 민주 항쟁의 주동자로 구속되기도 하는 등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다.

1988년에 제13대 대선에서 패배한 김영삼통일민주당 총재에서 잠시 물러나자 통일민주당 부총재로서 총재권한대행이 되었다. 같은 해에 실시됭 제13대 총선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전국구 1번에 공천받지만 통일민주당이 경상남도부산광역시에서 부진한 지지를 보이는 걸 보고 김영삼을 직접 찾아가 전국구 1번을 포기하고 서울 종로구에 출마한다고 선언한다. 유일하게 통일민주당-평화민주당 야권단일화가 성사되었고, 출마한 결과 민주정의당이종찬 후보에게 패배하였다. 제정구한겨레민주당 소속으로 출마하면서 야권 성향의 표가 분산되었고 김명윤도 낙선하였다는 분석이 있다.

1990년에 3당 합당이 성사되고 민주자유당에 잔류하였다. 제14대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고 무역진흥공사 이사장으로 활동하다가 김문기의 구속으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민주자유당 소속으로 강원 명주군·양양군에 출마하지만 민주당최욱철 후보에게 패배하였다. 경향신문에 보도된 기사 1면의 제목이 김명윤 낙선. 기사에도 나오지만 상도동계는 이제 막 출범한 문민정부의 인기를 바탕으로 민주자유당에서 공화계의 수장을 담당하는 김종필을 축출하고 상도동계의 원로인 김명윤을 수장으로 밀어주기 위해서 재보궐선거에 공천하지만 김명윤이 낙선하면서 그러한 구상은 어그러진다. 결국 상도동계는 후일을 기약하게 되고 김종필은 연작이 어떻게 홍곡의 뜻을 알겠냐면서 김영삼에게 굴복함에도 불구하고 쫓겨난다. 민주자유당에서 축출당한 김종필은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여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제15대 총선에서 대활약을 펼친다.

1996년에 실시한 제15대 총선에서 신한국당 소속으로 전국구 국회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며 18년 만에 국회로 복귀한다. 제15대 대선을 앞두고 이인제 후보를 지지하였지만 한나라당을 탈당하지는 않았고 1999년에 상도동계의 계보 모임인 민주산악회를 재창설하며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총재와 대립각을 세웠다. 이후 새누리당에서 상임고문을 역임하다 2016년 2월 1일에 91세로 별세하였다.


3. 선거이력[편집]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선여부
비고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 3[2]

[[무소속|
무소속
]]

4,840 (21.67%)
낙선 (3위)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7,446 (31.03%)
당선 (1위)
초선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 3[3]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42,740 (24.06%)
당선 (2위)
재선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무소속
]]

21,456 (9.66%)
낙선 (5위)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종로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4,488 (36.28%)
낙선 (2위)
[4]
1993
8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강원 명주·양양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349 (41.30%)
[5]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6,783,730 (34.51%)
당선 (4번)
3선[6]



4.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
무소속
]]

1958
정계 입문


1958 - 1961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61 - 1963
정당 해산

[[민정당|
]]

1963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63
탈당

[[국민의당(1963년)|
파일:국민의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

1963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63
탈당

파일:보수당글자.png

1963 - 1966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66
정당 해산

[[민중당(1965년)|
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

1966 - 1967
입당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67 - 1969
합당[7]

[[무소속|
무소속
]]

1969
자진 정당 해산

1969 - 1978
정당 재등록

1978 - 1979
탈당[8]

1979 - 1980
복당

1980 - 1987
정당 해산

1987 - 1990
입당

1990 - 1995
합당[9]

1995 - 1997
당명 변경

1997 - 2012
합당[10]

2012 - 2016
당명 변경
작고


5. 둘러보기[편집]









[1] 출생 당시 기준으로는 강원도.[2] 강릉시[3] 강릉시, 명주군, 삼척군[4] 통일민주당-평화민주당 야권단일후보.[5] 전임자 김문기 상지대학교 비리로 의원직 사퇴[6] 무려 18년만의 원내복귀였다.[7] 신한당과 신설 합당[8]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9]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10]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