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즙

덤프버전 :


金昌楫
1662년 ~ 1713년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가족관계


1. 개요[편집]


조선의 문인. 본관은 안동, 자는 경명(敬明), 호는 포음(圃陰)이다. 김상헌의 증손자이며, 김수항의 다섯째 아들이다. 형제들이 유학 외에 시문이나 노장, 그림 등에 관심을 두었던 것과 달리 완전히 유학에만 집중한 유학자이다.[1][2]


2. 생애[편집]


1662년(현종 3년) 김수항의 5남으로 출생했다. 육창의 다섯째. 평생 출사하지 않고 처사로 살았다. 부친을 닮아 외모가 준수했다고 한다.[3] 다른 형제들과 달리 낙송루시사 등에는 참여하지 않았으며 시문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유학에 전심했다.

1676년 12월, 15세에 인조 시기 영의정을 지낸 홍서봉(洪瑞鳳, 1572 ~ 1645)의 증손녀이자 홍처우(洪處宇)의 딸인 남양 홍씨와 혼인하였다. 1680년 딸이 태어났다.[4] 1681년 자연의 흥취가 담긴 여러 산문을 뽑아 '澄懷錄(징회록)'을 편찬하였고,[5] '名山最勝(명산최승)'을 엮었다.[6] 1683년 동생 김창립이 사망한다. 1684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출사하지 않았으며, 당시 졸수재 조성기와 오산 차천로와 동악 이안눌의 시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졸수재가 그 둘을 높이 평가한다는 이야기를 셋째 형 삼연 김창흡에게 전하며 둘 사이의 서신 논쟁의 시작을 만들기도 했다. 최소한 1685년부터 부모를 바로 옆에서 모시는 역할을 시작한 것 같다.김창협의 편지

1687년 부친이 벼슬에서 물러나 양주로 함께 갔으며, 유배지에도 김창흡과 함께 따라갔다.[7] 1689년 부친이 기사환국으로 진도로 귀양을 가자 모친을 모시고 다시 따랐으며, 김수항 사사 후 영구를 모셔 양주에 올라와 장사 지냈다. 김수항은 김창업의 매화시에 대한 차운시를 마지막 시로 남겼는데, 당시 포음도 함께 차운시를 남겼다. 이후 삼연은 힘든 마음을 특히 포음에게 많이 표현하였고[8], 삼년상 이후에도 형이 불서를 탐독하자[9] 포음이 유학자 입장에서 경계해주었다. 부친 사망 후 홀로 남은 모친 안정 나씨[10]를 1703년 사망할때까지 모셨다.[11] 그리고 부친의 유고를 수습하였다.

기사환국 후 삼년상 기간 동안 형제들과 가문의 백운산 별서에서 은거하였다.[12] 자신의 서실을 惺惺齋(성성재)로 명명했다. 1691년 자신의 공부의 길이 맞는 것인지 의심을 품으며 김창협에게 조언을 받는다.링크 삼년상을 마치고 목식동으로 돌아왔고, 이후 외가가 있는 과천의 반계, 한강, 목식동, 북동을 돌며 살았다. 1693년 장모 풍양 조씨가 사망하여 그 행장을 작성한다. 또한 백부 김수증이 칠순을 맞아 자신의 아들과 조카들에게 곡운구곡도첩에 부칠 시를 짓도록 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13] 1698년 큰형 김창집이 강화유수로 부임하자 모친을 모시고 강화도로 갔고 부친의 문집 '문곡집'의 간행을 도왔다. 1700년 김창집의 송도유수 전임으로 다시 송도로 따라간다. 딸이 21세에 사망하여 행장을 작성한다.[14]

1701년 서울로 돌아왔고, 1702년 현재 종로 통인동 일대인 포음(圃陰)의 경저에서 머무르게 된다.[15] 그리고 이 해에 외아들 김용겸이 태어났다. 1703년 모친이 세상을 떠났고, 이후 조정에서 수차례 왕자 사부(王子師傅), 예빈시 주부(禮賓寺主簿) 등 벼슬을 제수하였으나 출사하지 않고 학문과 강학에 전념하였다.[16][18] 김시보, 조문명 등 일가의 문인들도 당시 포음과의 교류의 기록을 남겼다.[19]

1703년 모친, 1707년에는 사위 이망지가 사망한다.[20] 1707년 김창협이 창계 임영의 문집 서문을 쓰는 일로 물어와 의견을 교환한다.링크창계집 서문 1708년 김창협이 사망하였다.[21] 1709년 숙환이 심해지며 김창업의 집 근처인 석교로 나가 지내게 되었으며, 부친의 연보를 완성하였다.

1710년 중형 김창협의 농암집 간행시 사단칠정설의 일부인 이기승부설(理氣勝負說)의 내용을 싣는 것을 호락 간의 논쟁의 격화를 우려하여 반대하였다.[22] 1711년 딸의 묘를 천장(遷葬)하며 제문을 다시 쓴다.[23] 1712년 8월 20일부터 9월 27일까지 조카 김언겸(金彦謙, 넷째 형 김창업의 둘째 아들)과 함께 김창흡이 머무르던 설악산을 방문하고 금강산, 영동을 유람하며 기행문 '동유기(東游記)'를 썼다. 여행 당시 아들 김용겸에게 보낸 척독 2편도 전한다. 1712년 장인 홍처우의 별서 능허정(凌虛亭)으로 거처를 옮겼고, 연행길에 떠나는 형 김창집과 김창업을 전송한다. 포음은 형에게 연행길에 있는 명산, 대천, 고적이 기록된 책 한 권을 챙겨주었다.

1713년 3월에는 형제들이 무사히 연행을 마치고 돌아오자 김창흡의 세 아들들(김양겸, 김치겸, 김후겸)과 마중나와 환영하며 김창집의 집에 머무른다. 그런데 등에 종기가 발생하였고, 그 합병증으로 5월 3일 김창집의 집에서 사망하였다.

사후 형인 삼연이 포음의 시가, 서간, 산문, 경전 훈고 등을 편집, 조카 김신겸[24]이 교열하여 1726년 유척기가 문집 '포음집(圃陰集)'을 간행하였다. 훗날 이조판서에 추증된다.

처사(處士) 김창즙(金昌緝)이 졸(卒)하니, 나이는 52세였다. 창즙은 고(故) 정승 김수항(金壽恒)의 다섯째 아들로서, 사람됨이 담정(澹靜)하여 욕심이 적었고, 문장 능력은 조금 있었으나 학문에 방해되고 공부를 끝마치지 않았다 하여 상사(上舍)에 이름을 올려놓고 곧바로 다시는 과거에 응시(應試)하지 않은 채 성리서(性理書)에 전심(專心)하며 밤낮으로 게을리하지 않으니, 그 형 김창협(金昌協)이 감탄하기를, ‘각고(刻苦)의 공부는 내가 미치지 못할 바라.’ 하였다. 추천으로 교관(敎官)·사부(師傅)·주부(主簿) 등의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이때에 이르러 졸하니, 사림(士林)이 몹시 애석하게 여겼다.숙종실록 졸기


부친 김수항의 묘 오른쪽 100여 보 되는 곳에 안장되었다고 하나, 현재 묘는 확인되지 않는다고 한다.



3. 여담[편집]


훗날 어유봉이 소옹의 말에 빗대어 김창협 형제에 대해 이야기한 것이 있는데 다음과 같다.

소요부(邵堯夫 소옹(邵雍))가 말하기를,

“군실(君實 사마광(司馬光))의 말은 여유롭고 백순(伯淳 정호(程顥))의 말은 조리 있으며 언국(彦國 부필(富弼))의 말은 자세하고 회숙(晦叔 여공저(呂公著))의 말은 간결하다. 이들은 송나라 원풍(元豐) 연간 인물들로 당시에 걸출하였다.”

하였다.

나는 다행히 김씨 부자와 형제들과 종유하였는데, 나 또한 함부로 말하기를,

“곡운(谷雲 김수증(金壽增))의 말은 여유롭고 농암(農巖)의 말은 조리 있으며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의 말은 자세하고 포음(圃陰 김창즙(金昌緝))의 말은 간결하다. 이분들은 당시의 걸출한 인물이라 말하더라도 좋을 것이다.”

하였다.


이건명[25]이 포음을 기리며 읊은 시.링크

정승 가문의 지란옥수 당시에 떠들썩했나니 / 相門蘭玉映當時

다섯째 아들의 명성이 일찌감치 추앙받았지 / 第五聲名早見推

〈육아〉 시를 보자 책을 덮고는 / 詩到蓼莪曾廢讀

형들을 따라 만년에 휘장 드리웠네 / 情深壎吹晩垂帷

반평생 단표누항하며 마음 고치지 않았고 / 簞瓢半世心無改

평생토록 근심하면서 운명도 기구하였지 / 憂戚平生命亦奇

천도는 아득하여 묻기 어렵거니 / 天道冥冥難可問

책상머리엔 다행히 관례 치를 만한 아들 있다오 / 牀頭賴有勝冠兒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 1711 ~ 1788)가 대학의 해설에서 포음의 해석을 극찬한 바 있다.

정심장(正心章)의 장구에 나오는 “일단 있게 되었는데[一有]”라는 두 글자는 상구(上句)의 “사람에게 없을 수 없는 것이다.[人所不能無]”라는 말을 받아서 말한 것이다. 그런데 ‘불능무(不能無)’는 바로 ‘유(有)’ 자의 뜻인 만큼, 이 ‘네 가지[四者]’는 사람에게 반드시 있게 마련이라는 말인데, 그렇지만 이것이 ‘일단 있게 되었을 때에 제대로 살피지 못하면 욕(欲)이 발동하고 정(情)이 우세해져서[有之而不能察 則欲動情勝]’ 하문(下文)에서 말한 것처럼 된다고 하는 말일 뿐이다.

따라서 계착(係著)의 설을 심두(心頭)에 두지 않고, 단지 문장 그대로 평이하게 본다면 문의(文義)가 본래 명백하여 허다하게 설할 것이 없다. 그런데 다만 《어류》의 여러 설들을 먼저 받아들이고는 그 설을 가지고 《장구》를 보기 때문에 그만 ‘유지(有之)’를 계착의 뜻으로 여긴 나머지 점점 고질화되어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온 세상이 모두 이런 식으로 오해하였으니, 만약 포음(圃陰)의 일척안(一隻眼)[26]

이 없었더라면 주 선생(朱先生)이 주해(註解)를 개정한 본의(本意)가 거의 매몰될 뻔하였다.



4. 가족관계[편집]


딸은 단명하였으며, 외아들 효효재(嘐嘐齋) 김용겸(金用謙, 1702 ~ 1789)은 동세대 가문의 좌장 격인 인물이 된다. 포음은 사망하기 전 12세 밖에 안된 아들의 앞날을 걱정하며 족질이자 김창협의 문인인 김시보(金時保, 1658 ~1734)에게 교육을 부탁하였다.[27][28] 김용겸은 예학과 음률에 밝았고 1748년(47세, 영조 24년) 선공감 가감을 시작으로 음직으로 관직에 올랐음에도 정조의 눈에 들어 공조판서까지 역임한다. 그러나 후사가 없어 먼 친척 김적행을 양자로 들였다. 김적행의 손자 김기순(金琦淳, 1806 ~ ?)이 문과 급제한 것을 제외하면 조선왕조에서 출세한 후손은 보이지 않는다. 아마도 이것이 묘자리가 전하지 않는 이유일 수도 있겠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23:44:06에 나무위키 김창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러 논문 및 웹 자료를 참조하여 작성되었다. 1. 포음집, 2. 김세호, 17-18세기 壯洞金氏 淸陰派의 園林 文化 硏究, 3. 박현순, 18세기 경화사족 金用謙의 삶과 교유[2] ' 후세 영향 관계 면에서 볼 때 김창즙이 차지하는 위상은 중요하다... 노론 정계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유척기와 민우수의 스승으로서 오직 하학(下學)에만 열중하여 (農淵)이 詞章, 訓詁, 老莊에 출입했던 것과는 달랐다고 한다. 그는 농연 문하에서 의리론적 학문 경향을 전승하였다고 할 수 있다.' - 참고: 조성산, 18세기 洛論系 學脈의 변모양상 연구[3] 그러나 3세에 천연두를 앓아 용모가 변하여 부모가 애석해했다.[4] 훗날 김수항과 친분이 깊던 이민서(李敏敍, 1633 ~ 1688)의 손자, 이관명(李觀命, 1661 ~ 1733)의 아들인 이망지(李望之, ? ~ 1707)와 혼인한다. 이민서의 막내딸은 김창즙의 동생 김창립의 부인이다.[5] 편집하는 일에 대해 김창협이 편지에서 이야기했던 바 있다.링크[6] 참고: 김영진, 조선후기 ‘臥遊錄’ 이본 연구[7] 김창협은 현직 관료였기에 바로 합류하지 못하였다.[8] 편지의 내용 일부. '일찍이 한밤중에 잠들지 못하고 벽에 기대어 가슴을 두드리며 슬퍼하여 오장육부가 찢어지는 듯 하면 문득 율곡이 망령됨을 가지고 슬픔을 막았다는 이야기를 지니고 세 번 눈물을 흘렸다네.'[9] '만사는 끝났고, 유일한 치유책은 참선의 희열에 탐닉하는 것 뿐', '유교든지 불교든지 진실로 힘을 써서 오묘한 데에 나갈 수 없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유독 나의 신세가 불교의 말에 감동되어 무엇인가 느끼게 하여 얼핏 의지할 것이 있는 것 같다.'[10] 기력이 매우 손상되어 어지럼이 심했다는 기록이 보인다.김창협의 편지[11] 백부 김수증도 포음의 효성과 수고로운 삶을 시문으로 예찬하였다.[12] 김신겸의 기록에 따르면 김창즙은 당시 형 김창업과 함께 거처했다. 김창집, 김창협은 육청헌(六靑軒)의 양 끝방을 나누어 거처하고, 김창흡은 홀로 그 옆의 초려에서 지냈다. 형제들은 특별한 일이 없어도 저녁마다 김창집의 서실에 모여 모임을 열었다.[13] 기사환국으로 심리적으로 무너질 수 있었던 집안을 다잡는 의미가 컸다.[14] 어렸을 적부터 己巳年의 참변으로 인해 祖父의 죽음을 겪어야 했던 딸의 불행했던 삶을 환기하며, 딸이 요절(夭折)하게 됨을 부모의 탓으로 여기며 슬픔을 표하고 있다. 1년 후 죽은 딸의 생일에도 제문을 작성하여 딸이 죽은지 1년이 지났지만 딸의 부드러운 음성과 어여쁜 용모를 잊을 수가 없다고 하면서 집안이 가난해 제사 음식이 변변치 못함을 미안해한다.[15] 이전까지는 자호로 杞圃(기포)를 사용했으나, 41세인 이때부터 포음으로 고쳐불렀다.[16] 형 김창업이 지은 시가 전한다. '몇 칸의 오래된 집 포음에 있는데/우리 동생 깊이 문 닫고 있으니 가련하구나/책상에서 적막하게 3년 동안 병 앓았지만/이따금 여러 유생들이 글자 물으러 찾았도다'.[17] 김창협의 처조카이기도 하다.[18] 친우 어유봉도 제자들이 구름처럼 모여든 사실을 회상하였다. 대표적인 제자로 훗날 노론계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지수재 유척기(兪拓基, 1691 ~ 1767)와 민우수(閔遇洙, 1694 ~ 1756)[17]가 있다. 조카 김신겸도 그의 문하이다.[19] 조문명은 詩書가 시렁에 가득하고 松竹이 숲을 이루었다고 묘사했다.[20] 제문에서 딸이 죽은 지 얼마되지 않아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사위까지 단명하게 되자 몹시 비통해한다.[21] 포음은 작성한 제문에서 一世의 귀감이 될만한 덕성과 학식을 갖춘 형 덕택에 가정을 벗어나지 않고도 啓發받은 바가 많았음을 회고하면서 형의 죽음을 애통해한다.링크[22] 이이, 이황의 사단칠정론과 다르고 권상하 문하의 이론과 대척되었다.[23] 1705년 겨울에 남편과 합장하려 했으나 山訟이 일어나 5년이 지나서야 비로소 자리를 옮겨 합장하게 됨을 알리면서 저승에서라도 편안히 지낼 것을 기원하는 내용.[24] 포음의 제자이다.[25] 포음의 사돈인 이관명의 동생[26] 선림(禪林)의 용어로, 범부의 육안이 아니라, 진실한 정견(正見)을 갖춘 혜안이라는 말이다. 정문안(頂門眼) 혹은 활안(活眼)이라고도 한다.[27] 배우자 남양 홍씨도 포음 사망 후 김시보의 집과 가까운 곳으로 이사했다고 하며, 김용겸은 수년 간 김시보 문하에 드나들며 교육받았다.[28] 삼연도 조카의 수학에 관심을 쏟았고, 수락산에 있던 삼연을 김용겸이 찾아가 배운바도 있다. 그러나 방랑벽이 있는 삼연은 꾸준한 교육을 해주기 어려웠고, 김시보의 아들인 김순행이나 외숙부들(모친의 남동생 홍구택(洪九澤, 1668 ~ 1693)은 삼연의 제자이며 백악시단의 일원이다. 그의 아들 홍응창(洪應昌, 1688 ~ ?)은 포음의 집에서 자라기도 했으며 포음의 제자이다.)에게도 배우라고 권해주었다. 포음 배우자의 외숙부인 조유수(趙裕壽, 1663 ~ 1741)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조유수는 김창협, 김창흡을 중심으로 형성된 백악시단의 일원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