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전

최근 편집일시 :


한국의 전 요리

[ 펼치기 · 접기 ]
튀김식
고구마전 · 굴전 · 버섯전 · 돈저냐 · 전유어 · 산적 · 오색전 · 육전 · 참치전 · 하트전 · 호박전
지짐식
감자전 · 김치전 · 녹두전(빈대떡) · 동래파전 · 메밀전 · 배추전 · 부추전 · 장떡 · 파전 · 호박전
기타
모듬전





파일:/image/015/2016/06/24/20160624100551_576c876f8c6c5_1_99_20160624100904.jpg
파일:김치전1.jpg

1. 개요
2. 설명
2.1. 치즈김치전
3. 재료
4. 요리준비 및 조리과정
4.1. 준비하기
4.2. 조리과정
5. 대중매체
6. 김치전 믹스



1. 개요[편집]


김치전은 의 한 종류로서 보통 반찬으로 먹거나 간식, 술안주 등으로 먹는다.

2. 설명[편집]


대부분의 맛을 주재료인 김치에 의존하기 때문에 어지간한 요리치가 아니면 기본은 만들 수 있는 요리다.[1]

그러나 조리법이 간단한 만큼 '맛있다'는 평가를 위해서는 꽤 노하우가 필요하다. 부칠 때 식용유 양이 너무 적거나 불이 약하면 부침개도 아니고 밀가루 떡도 아닌 정체불명의 음식이 나온다. 그걸 또 비주얼만 이상하다며 먹으면, 속에 익지도 않은 밀가루 반죽의 괴상한 맛과 함께 배탈을 경험하게 된다.


2.1. 치즈김치전[편집]



🧀한국의 치즈 활용 요리

[ 펼치기 · 접기 ]
퓨전식
김치피자탕수육 · 치즈김밥 · 치즈 닭갈비 · 치즈 닭꼬치 · 치즈 떡볶이 · 치즈라면 · 치즈볼 · 치즈불닭
양식 변형
시즈닝 치킨 · 모짜렐라 핫도그 · 치즈 돈까스 · 콘치즈 · 피자 (고구마 피자 · 불고기 피자 · 사찰식 피자 · 포테이토 피자)



김치전에 치즈를 올린 형태. 치즈를 적극 활용하는 요리 트렌드와 함께 생겨났다. 술집에서 술안주로 판매하거나 전집에서 메뉴 중 일부로 판매하곤 한다. 사람에 따라 어색하게 느낄 수도 있지만, 팬케이크 형태의 납짝한 밀가루 요리에 치즈를 올리는 것은 세계적으로 흔한 형태의 요리[2]인데다, 한국식 매운맛과 치즈가 잘 어울린다는 것은 여러 조합에서 검증된 관계로 맛 자체는 호불호를 크게 타지 않는다.

3. 재료[편집]


  • 음식 재료: 김치,[3] 부침가루[4]
  • 조미료 및 양념: 소금, 식용유
  • 취향에 따른 추가 재료: 야채, 오징어, 칵테일 새우 등의 해물, 고춧가루, 고추장,[5] 다짐육, 굴,[6] 피자치즈[7], 옥수수, 삼겹살 등


4. 요리준비 및 조리과정[편집]



4.1. 준비하기[편집]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는 김치를 잘 고르는 것이다.김치전은 김치가 팔할 이상 차지하기 때문에 김치가 알파이자 오메가다. 당연히 갓 담근 김치나 보쌈김치 같은 걸 쓰면 안 되고 냉장고 구석에서 푹 삭아가는 신김치일수록 맛이 뛰어나다. 즉 김치 자체로는 너무 짜고 신 상태가 최상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런 경우에는 추가로 간을 하는 번거로움도 덜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반죽의 양이다.

취향 차이가 있을 수는 있으나 일단 반죽이 묽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김치에도 김칫국물을 머금고 있으므로 반죽에 김치를 넣으면 수분이 증가해 반죽이 묽어진다. 김치를 사전에 짜서 김칫국물을 빼는 것이 중요하다. 취향에 따라 반죽을 묽게 해서 조리하든 진하게 해서 조리하든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김칫국물을 사전에 빼두는 건 반드시 거쳐야 할 기본 과정이다. 묽어야 전의 식감이 바삭해진다는 사람도 있으나 나중에 김치전 조리 스킬이 늘었을 때나 시도하는 것이 좋다. 묽은 반죽으로 바삭한 김치전을 만드는 것은 상당한 고난이도다.

4.2. 조리과정[편집]


  • 오목한 그릇에 밀가루나 부침가루를 풀고 물을 붓는다.
  • 양파와 김치, 취향껏 추가재료를 썬 뒤 그릇에 넣고 섞은 다음 소금이나 김치국물로 간을 맞춰준다.
    • 나무 도마일 경우, 김치를 손질할 때 도마에 김칫국물이 스며들면 빼내기 힘들기 때문에 김치전 반죽을 할 그릇에 김치를 담고 가위로 적당히 잘라내 주자.
  • 식용유를 두른 팬에 부친다. 불은 중불로 하자. 굽다 보면 전이 왜 살찌는 음식인지를 알 수 있다. 식용유를 얼마나 붓든 간에 쪽쪽 빨아들인다.(...) 스펀지를 굽는 느낌
    • 전을 부쳤는데 너무 끈적끈적하다 싶으면 밀가루나 부침가루를 더 넣으면 된다. 반대의 경우라면 물을 추가 하면 된다. 경우에 따라 막걸리를 추가한다.

5. 대중매체[편집]


정준하가 무한도전 식객 특집에서 김치전을 요리하면서 안좋은 쪽으로 이름이 알려지면서 주목을 받았다. 김치전 사건 참고.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나이트 엘프들의 도시 다르나서스는 김치전과 팥죽이 유명하다고 한다.


6. 김치전 믹스[편집]


2010년대 후반에는 김치전 믹스가 개발되어 팔리고 있다. 사실 부침가루도 믹스 제품이고 여기에 김치와 몇 가지 재료만 넣으면 되는 간단한 요리가 김치전인데 뜬금없이 김치전 믹스가 따로 나온 것이다. 의외로 평은 좋다. 김치전을 여럿이 먹을 걸 조리한다면 그냥 부침가루 사면 되지만, 믹스는 딱 1~2인분 정도이므로 1인 가구 등에서 혼자 한번씩 먹는데 부침가루나 다른 재료까지 사기는 번거로울 경우에 간단히 먹기는 편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0:39:35에 나무위키 김치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지만 재료가 되는 김치 자체가 맛이 없으면 어떻게 만들어도 기본을 할 수 없다.[2] 피자가 대표적[3] 김치를 잘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당연히 갓 담근 김치나 보쌈김치 같은 걸 쓰면 안 되고, 냉장고 구석에서 푹 삭아가는 신김치일수록 맛이 뛰어나다. 즉 김치 자체로는 너무 짜고 신 상태가 최상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런 경우에는 추가로 간을 하는 번거로움도 덜 수 있다. 깍두기갓김치 등은 식감에 이질감이 생겨서 만들기에 추천하지 않는다.[4] 밀가루를 써도 된다.[5] 넣으면 장떡이 되는데 구수하고 달달한 맛이 나지만 장의 특성상 맛이 텁텁해지는 단점도 있다.[6] 익힌 굴에서 고소한 맛이 나서 김치전과 잘 어울린다.[7] 괴악할 것 같은 느낌과는 달리 상당히 맛있다! 칼로리는 책임 못 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