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남성(동음이의어) 문서
남성(동음이의어)번 문단을
남성(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남자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남자(동음이의어) 문서
남자(동음이의어)번 문단을
남자(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남성 기호.svg
남성을 나타내는 상징기호[1]
1. 개요
3. 심리·사회적 특징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Men, Male

일반적으로 XY 성염색체를 가진 성별에 속하는 사람을 남성이라고 한다. 클라인펠터 증후군·초남성 증후군을 가진 사람 등도 남성에 포함되며, 트랜스남성도 모두 남성에 속하는지는 논쟁이 있다.

남성이라는 단어는 대개 사람에게 통용되는 단어이며, 동물적 혹은 생물학적 정보는 수컷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신체적 특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성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심리·사회적 특징[편집]


적어도 역사 시대 이후로는 대부분의 문화권에서 남성은 사회적 강자로 인식되어 왔다. 이는 주로 강한 근력에 따른 사회 활동 및 사회 구성적 특성이 원인이었던 것이나, 근현대에 들어서며 성 평등 문화가 확산되고 근력의 필요성이 낮아지며 여성이 특화된 분야에 대한 가치 평가가 이루어지면서 성별 간 사회적 격차는 줄어들고 있다.

전통적으로 남성은 사회에서 몸을 쓰는 일을 맡았다. 남성의 근력이나 신체능력이 여성보다 뛰어났기 때문에 육체노동에서 더욱 효율적이며, 더군다나 여성은 임신만 되면 아이를 직접 낳을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남성과 소수의 여성이 있는 것 보다는 소수의 남성과 다수의 여성이 있는 것이 인구수 증가에 훨씬 유리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냥, 농사, 전투, 건설, 광산 노동, 치안 활동 등 사회유지에 꼭 필요하면서도 인간의 생명이 위험한 업무는 문화권을 막론하고 젊은 성인 남성이 전멸했다든가 하는 극단적인 상황이 아닌 이상, 여성보다는 남성을, 어린이(미래 세대)나 노인(생존 지식 전수)보다는 젊은 성인 남성들을 우선적으로 투입 및 소모하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였다.

그 과정에서 전사 문화(Warrior culture)나 기사도 이론(Chivalry theory)등 남성들의 육체적 혹은 정신적인 소모를 문화적으로 정당화시키는 다양한 사회적 규범들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성평등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도 상당 부분 남아 있다. 남성의 소모를 사회적으로 필연적인 것으로 규정함에 따라, 남성들은 양육 과정에서 자신 및 동료 남성들의 소모를 당연시하고 자신의 인격 내면에 내재화시키는 훈련을 받는데, 이는 모든 문화권에 걸쳐 나타나는 "남성은 자신의 아픔이나 고통 등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내면 안되며, 필요하다면 나서서 희생해야 한다"[2]라는 논리로써 대표된다.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남성의 목숨 가치는 여성보다 낮았다. 전쟁 때 성인 남성만 몰살시키는 것과, 비상상황에서 성인 남성이 가장 후순위인 것이 대표적이다. 조선시대노비의 가격 또한 가임기 여성이 동나이대 남성보다 훨씬 비쌌다. 전쟁에서는 도망갈 신체적 능력이 부족한 여성의 피해가 더 크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인류 역사상 거의 모든 전쟁은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많이 사망했다. 전쟁이 나면 입대하는 게 생존에 유리하다는 인식은 한국인만 가지고 있는데, 이는 6.25 전쟁이 인류사를 통틀어 아주 이례적으로 민간인 사망자가 많았던 전쟁이였기 때문이다.[3]

"여자의 가치는 보존함으로써 높아지고, 남자의 가치는 성취하므로써 높아진다"라는 말이 있는데, 실제로 남자는 생물학적으로 여성보다 고통을 덜 느끼며, 몸을 치유하는 능력도 떨어지고, 항체도 더 약해서 병원체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능력도 떨어진다. 이는 남성이 평균적으로 고통과 신체 훼손에 훨씬 많이 노출되며, 평균수명이 7년 더 짧다는 결과를 가져왔다. 여성의 경우 늙더라도 자신의 이나 며느리육아를 돕는 역할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기에 늙은 나이에도 생존하는 방향으로 진화했지만, 남성의 경우 늙게 되면 신체능력이 약해져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젊은 남성에게 밀리게 된다. 그래서 소수의 무리 지도자[4]를 제외하면 여성처럼 노년기에 살아남아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여성과 달리 노년기 생존 확률이 늘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진화하게 됐다.

현대 가정에 있어 큰 문제로 대두하고 있는 "일에만 몰두하고 가정에서 소외되는 남성"에 대한 문제 또한 이러한 규범 속에서 스스로 가정의 따뜻함 또는 휴식에서 얻을 수 있는 안식보다는 노동을 통해 가정을 부양하는 것을 더욱 중요시하도록 남성들이 훈련받기 때문이다. 즉, 사회적으로 "가족들과 놀고 싶다" 또는 "가족들과 교감하고 싶다"라는 자신의 욕구보다는 가정을 유지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무가 더욱 우선시되도록 교육받았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남성 내면에는 스스로의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것에서 기인하는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는데, 스스로의 부정적 감정을 주위에 표현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여기도록 훈련되므로 여성과 달리 자신의 고민을 주변에 알리는 것으로 해소하는 것 보다는 남에게 직접 자신의 내면을 노출하지 않고 해소할 수 있는 행위들을 선호하게 된다.[5] 특히, 스스로의 부정적인 감정을 가족이나 파트너에게 표현하는 빈도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높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20:37:27에 나무위키 남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쟁의 신 아레스(마르스)가 방패를 들고있는 형상으로, 아레스의 상징인 화성의 기호와도 관련이 있다. 남성이 창과 방패를 든 모습 같다는 말도 있다.[2] 대표적으로 "남자는 울면 안 돼"라든가 "남자니까 참아라" 등이 있다.[3] 2차 세계대전에서 가장 민간인 사망이 많았던 3년보다, 6.25 전쟁의 민간인 사망자가 더 많다.[4] 무리 내에서 지혜를 담당하는 위치.[5] 취미활동, 음주 또는 흡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