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람이와 고슴도치

최근 편집일시 :

파일:attachment/다람이와 고슴도치/dhvmsld.jpg
오프닝 변천사.
파일:attachment/다람이와 고슴도치/오프닝.gif
최근 오프닝.어린 동무들 안녕하십네까?

영명: Squirrel and Hedgehog[1]
중국: 松鼠和刺猬 (송서화자위)
1. 소개
2. 특징
3. 인기
6. 에피소드 제작년도
7. 성우 목록
7.1. 첫번째 시리즈
7.2. 두번째 시리즈
8. 기타
9. 관련 문서



1. 소개[편집]



파일:attachment/다람이와 고슴도치/김준옥.png
다람이와 고슴도치의 창작자인 김준옥

북한의 만화영화 제작소인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2]에서 제작되고 조선중앙텔레비죤에서 상영되는 TV 시리즈 애니메이션이다.

연출가는 북한의 월트디즈니라고 불려지는 '김준옥'[3], 감독은 '김영철'이다.[4] 1977년부터 2005년까지 첫번째 시리즈가 발표되었으며, 큰 줄거리는 다람쥐고슴도치, 그리고 물오리들이 힘을 합쳐 자신들의 고향 꽃동산을 호시탐탐 노리는 족제비까마귀, 들을 무찔러서 꽃동산을 지켜낸다는 것이다.

2006년 12월부터는 캐릭터들의 외견을 재디자인하고, 제작방식을 상당수 변경한 두번째 시리즈가 발표되었다. 승냥이, 여우, 악어 등등 새로운 악당들이 군단을 내세워 족제비 군단의 패배로 평화를 되찾은 꽃동산을 위협하기 시작한다는 내용이다.

1~24부까지는 초창기 디즈니나 옛날 서양 만화영화 방식으로 만든 셀 애니메이션이었다가, 25부부터 디지털로 방식을 변경해 제작하는 중. 작붕도 줄어들고 상당히 깔끔해진 모습이 눈에 뜨인다. 29부 부터는 어도비 플래시를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다.

매우 이상하게도 2015년부터 모바일 유튜브에서 감상이 불가능한 오류가 일어난다. 소리는 안나오고 기타 잡음만 나는 현상이 일어났다.[5]

현재는 러시아 기업으로 추측되는 채널이 국가차단을 해 IP우회나 다른 사이트에 저장된 동영상으로만 볼 수 있다.


2. 특징[편집]


등장인물들은 군인이거나 그에 준하는 인물들인데 작중의 국가에서 군은 굉장한 비중을 차지하고 군인은 영웅 대접을 받으며 선망받는 모습을 보여준다. 승냥이에게 잡혀간 두더지박사를 구하기 위해 어린 밤색이가 군인이 된다고 하자, 말리기는커녕 장하다고 칭찬하는 것이 좋은 예.

이 애니메이션은 또한 만화의 형식을 빌려 국제정세를 은유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관점이 대다수. 다람쥐, 고슴도치, 토끼, 오리 등 작고 약하지만 용감한 동물들은 북한 주민을, 가난하고 비열한 생쥐들은 남한 주민을, 생쥐들을 이끄는 족제비는 남한 지도층[6]을, 족제비의 동맹이며 덩치가 크고 사나운 승냥이와 여우 장교[7] 들은 미국이나 서방국가를 비유한 것으로 여겨진다.

왜 하필 주인공 포지션인 동물들이 약하고 작은 동물들인가 하면, 북한 선전에서는 조선 민족이 어린이와 같이 도덕적으로 순수하고 약하며, 이 때문에 절대적 수령의 리더쉽 하에서만 살아남을 수 있다고 주입하기 때문이다.[8]

파일:external/aedad8580eaf4c9a03562df96542280e5ba8c9b26d5494166a0c8a8824634381.jpg

재미있는 점은 남한 주민들을 족제비나 늑대와 분리하여 ‘쥐’라는 약한 동물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쥐들은 꽃동산으로 비유되는 북한 주민인 다람쥐들의 땅을 빼앗고 그곳에만 있는 행복을 누리고 싶어한다.

과거 북한 선전은 남한이 미국의 압제와 가난에 신음하고 있기 때문에, 아이들은 먹을 것을 찾아 쓰레기더미를 뒤지다 미군의 사격 연습용 표적이 된다는 식으로 묘사했으며 뭐라고?![9], 남한 주민들 또한 조선 민족이며 통일된 조선에서 김정일의 품에 안기고 싶어한다고 주장하였다.[10] 그렇다보니 남한 주민들은 같은 적임에도 불구하고 남한 지도층과 미국과는 다른 약한 동물으로 묘사되는 것일 것이다. 아동용 애니지만 이런 면을 굉장히 신경쓰며 제작하기 때문에 시청할 때 주의를 요한다.

제작진이 낚시광이거나 물고기 요리 덕후인지 희한하게 낚시장면과 물고기 먹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작중에서도 특히 족제비와 승냥이(늑대)[11]들이 물고기를 보면 환장한다.

하지만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의 제작진들은 이러한 주장들을 부정하고 있다. 애국과 사랑을 심어주기 위해 제작한거지 북-미 대결을 은유하는 것은 절대 아니라고.(...)

3. 인기[편집]


북한에서는 당연히 인기가 아주 높다. 소년장수, 령리한 너구리와 함께 북한에서 손꼽히는 유명한 만화영화라고. 비록 캐릭터들이 동물의 모습을 하고 있긴 하지만, 군인의 모습이라는 점에서 많은 순수하고 아무것도 모르는 북한의 어린이들이 좋아한다고 한다.

파일:attachment/다람이와 고슴도치/Example.png
한편... 물건너 예상치 못한 사람들에게도 컬트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다양한 팬아트들이 범람한다. 역시 양덕들의 소굴4chan [12] Flower Hill is best Hill...

이는 웃기게도 김정일"아무리 만화 영화를 섬세하게 만든다 하더라도 실제 사람의 행동처럼 섬세하게 만들 수 없을 것이며, 이로 인해 실존하는 것들을 왜소하고 거짓되게 표현할 위험이 있다" 는 발언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 조항 때문에 북한에서 만화 영화를 통해 항일 유격대원이나 인민군대를 형상화할 경우 목숨을 보장할 수 없었다. 그렇다보니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가 동물들이 나오는 우화 애니를 많이 만드는 쪽으로 노선을 변경하는건 당연한 일. 이런 정치적 상황속에서 북한 애니의 다수가 이 문서처럼 Furry하고 귀여워졌고, 발 넓은 양덕들을 주측으로 인기를 끌게 되었다.

다만 2016년도에 김정은이 역사적 사실을 다루는 아동영화의 유용성을 강조하는 발언을 했기 때문에, 앞으로의 북한 만화영화 제작 노선도 변화를 겪을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젊은 무사들"[13], "소년장수"같은 시대극이나 전래동화, 실제 역사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이 인간을 그려넣는 게 허용됨으로써, 현재는 실제 사람들을 그린 아동영화가 많아졌다. 이 때문인지 2013년 이후로는 북한에서 우화 애니메이션이 단 한번도 나오지 않는다. 아마 노선을 바꾼 듯 하다.


4. 등장동물[편집]


다람이와 고슴도치/등장동물 문서 참조.


5. 만화책[편집]


파일:attachment/다람이와 고슴도치/만화책.jpg
'용감한 고슴도치'라는 만화책판이 있다고 한다. 저자는 김철균, 김상복. 1991년에 출간되었으며 다람이와 고슴도치 1~4부를 각색한 내용이라고 한다. 이쪽은 다람이보다 고슴도치의 비중이 훨씬 높다. 다만 출판년도가 년도인지라 그림체나 등장인물들의 생김새가 애니판과 많이 다르다.


6. 에피소드 제작년도[편집]


1화: 1977년[14]
2화: 1980년(추정)
3~4화: 1982~1983년(추정)
5~7화: 1997년
8~12화: 1998년
13~16화: 1999년[15]
19~20화: 2001년
21~22화: 2002년
23~24화: 2003년
25화: 2004년[16]
26화: 2005년[17]
27화: 2006년
28~29화: 2008년
30화: 2010년
31화: 2011년
32화: 2012년

아마 4~5화 사이에 공백기가 없었더라면 현재 50부 이상 나왔을지도 모르겠다.

1977년부터 1982년까지 제작된 1~4화는 매우 부드럽게 움직이다가, 어째서인지 90년대 말부터 제작한 5~14화는 작화와 움직임(프레임) 등이 불안정해진다. 고난의 행군시기 였기 때문에 그에 따른 여파가 있었던 모양이다.[18] 그러다가 15화부터 점차 나아지더니 최근엔 웬만한 미국 애니메이션 못지않게 프레임수가 급상승했다.


7. 성우 목록[편집]



7.1. 첫번째 시리즈[편집]





7.2. 두번째 시리즈[편집]


  • 금색이: 원정숙(27~31부)[19]→ 허경희(32부)
  • 줄다람이: 림복희
  • 밤색이: 림운영
  • 물오리 정찰병: 오류경
  • 은도치: 최현하
  • 고슴도치 부대장: 림복희(28부)→ 김조경(30부~)
  • 다람이 부대장: 리은주(28부)→ 허경희(30부~)
  • 두더지 박사: 김대홍



그 외: 장춘하, 최순봉

북한 애니메이션은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등장동물들의 성우가 자주 바뀌는 편이다. 그리고 은근 중복 캐스팅이 많다...그래도 두번째 시리즈인 29부부터는 문제점을 인식했는지 성우가 나름 많이 투입되어 전보다는 나아진 편.


8. 기타[편집]


  • 이 만화영화는 북한에서 자체 제작한 최초의 TV 시리즈 애니메이션이기도 하다. 북한에서 장편 만화영화가 얼마 없어 유추하기가 쉬운데, 소년장수는 1980년대 초반부터, 령리한 너구리는 1987년, 교통질서를 잘 지키자요는 2006년경에 처음 나왔으니 이쪽이 최초이다. 참고로 북한 최초 애니메이션은 1960년에 만들어진 금도끼와 쇠도끼이다.

  • 원래 이 만화는 1977~1982년까지 총 4부로 완료될 만화영화였다. 그러나 이 애니메이션이 북한 어린이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는지, 시청자들의 후속편 요구로 중단된지 15년이 지난 1997년부터 다시 제작을 재개했다.
그 뒤 2005년 즈음에 총 26부로 종결내려고 하다가, 후속편 요구가 끊이지 않자 2006년에 다시 제작을 시작했으며 앞으로 52부까지 제작하는것이 목표라고 한다. 하지만 발언이 무색하게 2012년 32부에서 잠정 제작중단되었다.(...) 김정은의 지시로 소년장수를 비롯한 다른 만화영화 제작에 인원이 갔기 때문.4년이 지났는데도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해외의 양덕들이 새 에피소드가 나오기를 한없이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파일:htm_2014060294040m2602420.jpg
파일:17572785-C5E7-4A2B-AB62-64FE93E4F3A5_cx0_cy6_cw0_w1023_r1_s.jpg
파일:htm_201406029414m2602420.jpg
파일:다람이 우표.jpg
파일:external/img-fotki.yandex.ru/0_4f28d_c222c469_L.jpg
파일:attachment/다람이와 고슴도치/다람이와_고슴도치3.png
값 1300원 물론 북한의 장마당 물가를 감안하면...
송도원국제소년단야영소에 그려져 있는 벽화.
  • 만화영화의 인기로 인해 북한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활쏘기 과녁은 무시하고 넘어가자

파일:/uf/image/U01/ruliweb/515A377E337AA8001E?.jpg
  • 대외적인 홍보를 위해 마카오 디지털 시네마 페스티벌에서 '고구려의 젊은 무사들', '령리한 너구리'등과 함께 출품된 적이 있고, 중국의 애니메이션 전시회에서도 여러 번 다람이와 고슴도치가 다른 애니메이션들과 함께 나왔다고 한다. 이런 홍보 때문이었는지 우리나라 tv에서 다른 북한 애니메이션들과 함께 소개된 적이 있었다.[20]

  • 다람이와 고슴도치가 1초에 60프레임이 들어간 애니메이션이라는 잘못된 정보가 인터넷에서 떠돌아다니고 있다. 제작 도중에 애니메이터 과로사하는 소리 들린다 북한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 애니메이션에 프레임을 많이 넣는 편이긴 하지만, 실제 북한에서 애니메이터였던 탈북자 최성국의 발언으로는 24프레임까지가 한계라고 한다. 기술적으로도 60프레임이 말이 안되는게, PAL에 비해 프레임 레이트가 높은 NTSC도 30프레임이 한계, 북한 같이 PAL을 쓰는 곳은 25프레임이 한계다. 1080p 60fps 디지털 방송이 완전히 정착되면 60프레임이 가능하겠지만, 북한은 디지털 방송이 정착되지 않고 아직도 아날로그 방송이기 때문에 25프레임이 한계다.

  • 또한 다람이와 고슴도치가 북한의 기술력 탓인지 아직까지도 셀 작업[21]이고, 그렇기 때문에 초당 24 프레임의 작품들을 일일히 손으로 그린다는 정보가 상당히 많이 돌아다니고 있다. 애밀레 이것 또한 잘못된 정보이다. 최근에는 북한에서도 애니메이션을 만들때 카툰 렌더링, 3D, 어도비 플래시 등의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비교적 최근에 제작되고 있는 다람이와 고슴도치(29부 부터[22])나 고구려의 젊은 무사들 또한 어도비 플래시 등으로 제작된 것이다.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딱이고, 딱히 프레임을 많이 넣지 않아도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 큰 장점이라 2007년 이후 북한 만화영화들의 대부분이 어도비 플래시를 기반으로 만들어지고 있다.[23] 최근 만들어지고 있는 미국 애니들이나 프랑스 애니메이션wakfu의 제작 기법과 거의 닮았다고 보면 된다.

  • 북한 하면 빠지지 않는 종북 찌라시 자주시보에서도 이 만화를 언급했다. 아이들에게 사랑을 가르치는 작품이라는 둥, 자연스럽게 감동을 불러 일으킨다는 둥 헛소리는 여전하다.[24]기자의 신분도 "중국 시민"으로만 표기되어 신빙성이 떨어진다.

  • 놀랍게도 영어, 스페인, 러시아 더빙판이 있다. 배급사는 Mondo TV. 배경음, 효과음, 캐릭터 이름들을 전부 다 뜯어 고쳤으며 잔인하다 싶은 장면 일부분은 짤렸다. 엔딩 크레딧에 SEK Studio이라고 써져있는 것이 바로 조선4.26만화영화촬영소.

9.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01:10:40에 나무위키 다람이와 고슴도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어로 Squirrel은 주로 청설모를 부르는 단어인데 미국인들마저도 이렇게 쓰고 있다.(...) 이 애니에서 청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데도. 제대로 번역하자면 "Chipmunkie and Hedgehog" 가 알맞은 제목일 듯. 접미사 -ie가 접미사 -이와 비슷한 어감이니.[2] 이전까지만 해도 '조선4.26아동영화촬영소'로 불렸으나 최근 김정은의 지시로 '아동영화'에서 '만화영화'로 바뀌었다.[3] 령리한 너구리, 소년장수도 담당했다사실 어찌보면 재능낭비..[4] 1927년생으로 시인이자 애니메이션 연출가라고 한다.[5] 22~32부는 그냥 모바일로도 감상할 수 있지만 1~21부는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끼고 들어야 제대로 들린다.[6] 혹은 일제 강점기 당시 일본군을 비유했다는 주장도 상당히 많다. 근데 정작 꽃동산이 족제비들과 다를 게 없는 짓을 하니.[7] 영국이나 프랑스를 상징한게 아니냐는 의견들도 소수 존재한다.[8] 『북한은 왜 극우의 나라인가』, B.R. 마이어스, 시그마북스, 78p[9] 80년대까진 철원 같은 곳에서 미군이 주민에게 공포탄을 재미삼아 쏘긴 했다. 주민들은 그다지 신경쓰지 않았지만.[10] 사실 이런 선전은 1998년 금강산 관광 개시와 2000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교류가 활성화 되어 남한의 경제사정이 어느정도 알려지게 되고, 남한드라마나 영화, 예능 프로그램을 담은 알판(VCD/DVD, 유래는 CD-R)가 음지에서 널리 퍼지면서 약빨이 떨어지자 사실상 중단되었다. 물론 이러한 선전 자체가 없어진 건 아니라서 남한의 양극화나 탈북자에 대한 사회적 냉대에 대해 대대적으로 알리는 쪽으로 방향을 바꾸었다.[11] 실제로 북한에선 늑대를 승냥이라 부르기도 한다.[12] 이때 팬더빙 계획까지 있었지만 연기할 여성성우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무산되었다고..[13] "고구려 척사"라는 만화가 원작.[14] 파일럿 에피소드로 추정된다.[15] 한 때, 이 문서에서 16화는 합작이라고 서술되어 있었지만 이는 절대 사실이 아니다. 다람이와 고슴도치는 북한 내수용 만화영화를 전문으로 하는 2개의 창작단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이다.[16] 이때부터 셀화에서 디지털로 바뀐다.[17] 사실 이 화가 마지막화였다. 그러나 시청자들의 후속편 요구로 연장.[18] 이는 다른 북한 애니메이션들도 마찬가지다.[19] 5부부터 꾸준히 역할을 담당해왔으나 어째서인지 최근화에서 성우가 교체되었다. 성우가 베테랑이라고 하여도 나이가 육십이 넘은 고령인지라, 성우계에서 은퇴했거나 건강상의 이유로 교체됐을 가능성이 큰 듯.[20] 물론 공식적으로 방영된건 아니고 통일전망대남북의 창, 이만갑 등의 방송을 통해 편집되어 소개되는 형식이었다.[21] 물론 요즘처럼 디지털화가 아닌 '초창기 디즈니처럼 손으로 그린다'는 식.[22] 1~24부까지 손으로 작업했다가 25부부터 디지털화하면서 28부까지 컴퓨터로 일일히 그려냄.[23] 단, 배경 작화는 제외.[24] 사실 이 말은 4.26만화영화촬영소 제작자들도 했다. 남을 위해 희생하는 우리 나라의 현실이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 작품이라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