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직부관

덤프버전 :

분류





당직부관의 책무

당직사령을 보좌하고, 그의 지시를 받아 근무하며, 당직근무 상 필요한 기록을 작성·유지한다.

당직부관 완장

1. 개요[편집]


군대의 당직근무 중 하나. 참모장의 임무를 대리수행한다.

대한민국 육군대한민국 공군의 당직근무요원 중 하나로, 보통 대대 이상의 부대, 그러니까 당직사령 밑에 하루 한 명의 근무자가 배치된다. 당직사관-당직부사관처럼 당직사령의 대리자. 원칙적으로는 당직사령이 주둔지의 장을 대리하듯 참모장(연대 이하의 경우 작전과장)을 대리하는 역할이지만 사실상 당직사령이 자리를 잠시 비울 때 대기하는 역할이 주 임무이며, 덤으로 위병소/탄약고 근무교대를 도와준다.[1]

'당직팀장', '상황반장', '상황부관'이라고 부르는 등 부대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르다. [2] 병사의 경우는 상황병.

예전에는 주번부관, 일직부관으로 불렀었다.


2. 대한민국 육군[편집]


당직사령을 보좌하여 일일 당직 근무에 임한다. 근무 시 노란 바탕에 붉은 색 세 줄 팔띠를 착용한다. 기본적으로 지휘통제실 근무이기 때문에, 지휘통제실 업무와 관련이 많은 자가 서야 한다. 야전부대의 경우에서는 본부중대 선임병사 및 하사가 당직부관 근무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대체로 당직사령과 중대가 같다. 여단급부터는 아예 장교/부사관이 서고[3] 사단 이상 가면 당직부관은 거의 장교다.[4][5] 이 경우에는 당직부관이 아니라 상황장교라고 호칭하는데, 대대급에서도 가끔식 소위~중위급이 당직부관 근무를 들어가는 경우가 있으며 이 때도 상황장교라고 부른다. 군무원이 많으면 군무원이 서는 부대도 있다. 다만 병사들에게는 그 주둔지 안에 근무하는 당직계통 중 가장 존재감이 없는 당직계통으로, 당직병~당직사관 라인은 경계근무 교대에서 직접 마주치고 당직사령5분전투대기부대 상황이 걸리거나 아침 점호 때 반드시 마주치지만 당직부관은 병사와 직접 접촉하는 일이 거의 없다.[6]

간부의 수가 부족하거나 규모가 작은 부대의 경우 당직 부관을 건너뛰고 당직사관과 당직사령만 투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부대 출신들은 당직부관이란 게 존재했단 사실을 아예 모르고 있기도 하다. 이런 경우 부관에 맡는 임무는 해당 부대의 본부중대 당직병이 대신한다.

가끔 부대 사정에 따라 하사병장이 당직 부관을, 상병이하 병사가 당직병을 맡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부대 사정에 따라 당직사관의 자리에 부사관 간부가 들어가고, 당직부관 자리마저도 인원 미달로 인하여 선임병의 숙련도를 믿고 투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충중대같은 사람 수가 극단적으로 적은 부대의 경우 일병도 투입한다. 인원 상황상 숙련병으로만 돌리면 숙련병들은 교대로 당직근무를 서는 경비원이 되기 때문이다.[7][8] 그럴 만도 한 게, 이럴 경우 병사가 당직병-당직부관 테크트리를 탄 거라 당직병의 업무를 도와줄 수도 있으며 부대사정에 대해 빠삭하여 유사시 대처사항을 해 부대 임기제부사관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훈련받았기 때문이다.

반대로 당직부관에 중위나 선임중사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간혹 고연차 중위가 연대 당직부관을 서는 경우 대대 당직사령들을 모아놓고 화상회의로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경우도 있다. 포병연대의 경우 연대본부에 중소위나 중하사 보직이 거의 없기 때문에 당직부관에 중위나 중사들이 들어가는 경우가 간혹 있다.

사단 이상의 당직부관의 경우, 당직사령이 짬소령이나 짬중령일 경우 당직부관은 당연히 물소령이 서게 되는데[9] 이 경우, 당직부관이 당직사령을 대신해서 상황보고를 해야 하기 때문이 상당히 토나오는 일이다. 상황보고 내용은 당직사령 항목에 가면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항목을 참고하면 된다. 당직부관이, 주임원사가 아닌 참모장의 대리임무수행인 이유는 여기에 있다. 주임원사는 상황보고 같은거 안하기 때문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19:11:24에 나무위키 당직부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부대 규모에 따라 ''급의 부대에서 당직사관-당직부관의 관계로 존재할 때도 있다.[2] 상황부관이라고 부르는 경우, 당직부사관을 '당직부관'이라 많이 부르기도 한다.[3] 부사관이라도 짬 찬 중사부터는 웬만하면 당직사관으로 투입된다. 중위도 참모부 장교만 당직부관으로 투입된다.[4] 사단은 대위~소령, 군단은 소령, 작전사 이상은 중령이 주로 임명된다.[5] 다만 당직사령으로 들어가는 소령들과는 짬 차이가 크다.[6] 마주치는 횟수는 매우 적은 데다, 당직사관보다도 많은 3줄짜리 완장 덕분에 본부중대 고참병사가 당직부관 근무를 서다 타 중대 병사와 마주치면 경례를 받기도 한다. 그 자리에서 간부 아니라고 하기도 애매해서 경례를 받아주게 되는 경우도 있다.[7] 전역 직전 말년휴가 중 혹한기 훈련 일정이 겹쳐 휴가를 나눠서 휴가 중간에 5일간 부대에 복귀해 4박 5일 당직을 선 사례도 있다. 해당 병사는 포상휴가 4박5일을 다녀와서 5일간 당직-근침을 5일간 반복 후 9박10일 정기휴가와 격오지 위로휴가를 다녀온 다음날 전역했다.[8] 물론 말만 중대지 실제 규모는 친구들 모임 수준이라 가능한 일이다. 다만 그린캠프 관리업무를 떠맡은 경우에는 자살소동과 몽유병 탈영같은 화려한 쑈도 구경 가능하다.[9] 사단의 경우만 짬대위가 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