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719

덤프버전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fff,#1f2023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
]]ㆍ[[틀:대구광역시 순환버스|
순환
]]ㆍ[[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간선
]]ㆍ[[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지선
]]ㆍ[[틀:대구광역시 출근맞춤버스|
출근
]]ㆍ[[틀:군위군 마을버스|
군위
]]ㆍ[[틀:대구광역시 폐선된 시내버스|
폐선
]]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상 5223.jpg


파일:관음 3452.jpg

경상버스 차량
관음교통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전철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1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_719_노선도.jpg

기점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칠곡우방타운)
종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신대리(영남대동문)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평일, 공휴일] 05:33 / [토요일] 05:35
막차
[평일, 토요일] 22:20 / [공휴일] 22:23
막차
22:30
평일배차
14분
주말배차
18분
운수사명
경상버스, 관음교통
인가대수
21대[1][2]
노선
칠곡우방타운 - 칠곡운암역 - 구암역(대구운전면허시험장) - 태전역 - 팔달시장 - 침산초교 - 대구시산격청사 - 경북대북문 - 영진전문대정문 - 대구국제공항 - 방촌시장 - 율하역 - 안심교 - 임당역 - 영남대 - 영남대동문

중간 출발 정류소
칠곡우방타운 방향
원대역평일, 복현우체국, 대구국제공항토요일, 방촌시장, 안심주공1단지, 영남대평일, 토요일
영남대동문 방향
복현오거리, 북침산치안센터평일, 토요일, 공단역평일, 공휴일, 구암초등학교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 칠곡우방타운(7)에서 동구 지저동 대구국제공항(1)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신대리 영남대동문(9)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8.5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1995년 12월 15일 323번 좌석버스로 개통했다. 323번은 읍내동 대구소년원(현. 읍내정보통신학교)에서 경북교통 차고지까지 운행했다.[3]

  • 1998년 5월 개편 때 323번은 노선 번호를 719번으로 변경하고 기점이 관음동으로, 종점이 삼천리버스 차고지로 연장되었다.[4][5] 입석네거리~조영동 구간은 980번과 100% 동일했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구암네거리 경유로 변경됐다. 이 때 기점을 동명교통 차고지로 바꾸려고 했지만 관음동 주민들의 반발이 심해서 취소됐다.[6]

  • 2006년 10월 통합요금제 실시 때 일반버스로 형간 전환했다.

  • 2009년 1월 17일 개편 때 980번과 중복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심로를 경유하고 경산시장을 편도 경유하지 않고 경산네거리에서 좌회전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그와 함께 우창여객에서 순환선으로 개편했던 849(-1)번 차량 증차를 위해 2대 감차했다. 운행거리가 줄어서 배차간격은 늘어나지 않았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 때 관음교통 차량 1대가 425번으로 이동하고 경상버스에서 증차분 1대를 719번에 투입했다.

  • 2019년 9월 17일부터 관음공영차고지에서 장기정차한다. 724번, 750번처럼 칠곡우방타운에서 운행을 마치고 관음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 2019년 12월 9일 개편 때 종점이 영남대학교로 임시 단축되었다. 영남대 정문 종점 ~ 갑제동 회차지(영남대 동문) 구간은 공차회송했다. 평일 배차간격은 13분으로 늘어났다.

  • 2020년 2월 15일 개편 때 종점이 갑제동 회차지로 정식 연장되었다. 영남대 정문 ~ 영남대 동문 구간도 승하차를 받는다.

  • 2020년 10월 17일 개편 때 경상버스 1대가 323번으로 이동했다.

  • 2021년 2월 25일부터 시간표 조정으로 인해 평일 배차간격은 14분으로 늘어났다. 고수요 노선이지만 1대 감차, 영남대동문 연장, 시간표 조정으로 인하여 평일 배차간격이 꽤 늘어났다.

  • 2023년 2월 18일부터 관음동 방면 막차의 영남대동문 출발 시간이 22시 41분에서 22시 30분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편집]



  • 관음교통 운행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관음동으로 들어간다. 하지만 관음교통 차고지는 동구 방촌동 방촌공영차고지에 있다.

  • 경상버스 운행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수성구청으로 가지 않으며, 경상버스는 719번과 그 전신 번호 323번을 모두 운행한다.


  • 경산시 대평동차고지 ~ 폐수처리장(시경계) 구간은 대구 차적의 719번과 980번만 다닌다. 경산시 시내버스는 다니지 않는다.

  • 고수요 노선이다. 경북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영남대학교를 경유하므로 대학생 승객이 많다. 영진고등학교, 경상고등학교 통학 수요도 많다. 동구 거주 학생들이 719번을 타고 통학한다. 노선이 적은 구암초교, 구암역 일대에서 팔달교 이남으로 가는 수요가 많다. 팔달시장, 침산남로~성북로 일대에서도 719번을 많이 이용한다. 영남대동문 연장 이후로 연장 구간에서 율하역, 방촌시장, 대구국제공항, 경북대학교를 오가는 신규 수요도 생겼다. 다만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역 연장과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일부 승객들이 도시철도로 이동하여 장거리 수요가 조금 줄었다. 그리고 2호선 영남대역 연장 이후 율하지구와 경산을 오가는 일부 승객들이 604번을 타고 연호역에서 환승하는 방법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율하지구~경산 이동 수요도 604번으로 조금 이동하였다. 604번 폐선 이후에는 수성3(-1)번이 계승하고 있다.

  • 가스 충전은 관음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관음교통 기사 교대는 방촌역에서, 경상버스 기사 교대는 복현우체국에서 실시한다.

  • 반야월역 환승은 칠곡우방타운 방면 한정으로 환승하기 불편하다. 안심중학교 정류소와 반야월역 간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1호선을 이용하려면 신기역(1번출구)에서 하차해야 하며 이 때문에 신기역(1번출구) 하차량이 의외로 많다.

  • 719번은 7권역 회사가 참여하지 않아서, 두 업체 모두 공차회송 시간이 많이 나온다. 특히 경상버스의 경우 칠곡우방타운에서 경상버스 차고지까지 무려 약 1시간 40분이나 걸린다고 한다. 이 문제는 7권역 업체가 719번 배차에 참여해서 해결해야 하지만, 운수업체 사이 이해관계 때문에 해결하기 쉽지 않다.[7] 2020년 10월 17일 1대 감차 이전에는 관음교통이 칠곡 방향 막차 순번 대부분을, 경상버스가 경산 방향 막차 순번 모두를 전담했다.[8] 그러나, 2020년 10월 17일 이후에는 두 회사가 전 순번을 돌아가면서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4.1. 일평균 승차량[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719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2,553명
-
2015년
12,506명
▽ 47
2016년
12,509명
△ 3
2017년
12,326명
▽ 183
2018년
12,126명
▽ 200
2019년
11,222명
▽ 904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6,688명[9]
▽ 4,534
2022년
8,157명
△ 1,469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전철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8권역
(경산)

급행5
518-1
708
814
818 · 818-1
808
55·555
8권역
(영천)

군위-신녕
9권역
309
449
509
609
649
719
840
909
939
980
849-1
100 · 100-1
399
990
991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초록색 : 경산시 시내버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0:48:22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71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경상버스 11대 / 관음교통 10대[2] 토요일은 20대(경상버스 10대 / 관음교통 10대), 공휴일은 16대(경상버스 10대 / 관음교통 6대)로 운행[3] 비슷한 일반노선은 21번이 있었으며, 1998년 개편 때 718번으로 변경되었다가 2006년 개편 때 폐선됐다.[4] 1998년 개편 이전부터 영남대 학생들은 당시 반야월에서 영남대로 가던 유일한 노선인 30번이 혼잡하며 경산시장 굴곡 구간으로 인해 경산네거리에서 바로 좌회전하는 것보다 15~20분 더 시간이 소요되어 불만이 많았고, 무료환승제가 없던 시절임에도 경산네거리에서 1번, 36번, 75번 등으로 환승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영남대생들은 지역 언론 등을 통해 30번과 유사한 좌석버스인 330번을 경산네거리에서 바로 좌회전하는 형태로 반야월에서 영남대까지 연장해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330번은 331번과 통합해 608번이 되었다가 2006년 폐선되었고, 330번 대신 연장된 323번의 후신 719번은 2009년까지 영남대 방면에 한하여 경산시장 굴곡 구간이 있었다.[5] 다만 719번의 삼천리버스 차고지 연장을 포함해 1998년 5월 개편 당시 경산 방면 노선 조정은 경산시와 협의하지 않았다.# 경산버스는 449번 신설과 719번 무단 연장에 반발하여 경산 99번을 서문시장으로, 경산 399번을 동대구터미널로 무단 연장했다. 다만 449번 신설은 1990년 무렵 100번의 황금네거리 연장에 대한 맞대응이라고도 볼 수 있다.[6] 당시 관음동에는 717번, 719번, 724번이 있었는데 개편 초안에는 717번의 폐지와 719번의 기점 변경 계획이 있었다. 이대로 하면 관음동에는 724번만 남게 되어 관음동 주민들이 반발했던 것이다. 다만 717번이 폐지되었지만 719번의 기점 변경 계획이 취소되었고 750번이 관음동까지 운행하게 되어 반발이 사그라들었다.[7] 그나마 관음교통의 경우 외곽순환도로 둔산IC 덕분에 공차거리 문제가 경상버스에 비해 조금이나마 나아졌다.[8] 성북교, 영진전문대후문 종료 순번은 경상버스가 전담했다.[9] 경산시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10] 칠곡우방타운 방면은 안심중학교 정류소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