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교통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전광역시에 있었던 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산호교통 문서
산호교통번 문단을
산호교통#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D 운송그룹 로고.svg
시외버스 노선 · 영업소 · 이야깃거리 · 문제점 및 비판

[ 운송 사업 ]
고속/시외
>
시내
경기버스
전세
>
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
공주산성정류소 [ a ]
동두천터미널
부천종합터미널
성남임시터미널
송탄시외버스터미널
수원버스터미널
안동터미널
안성종합버스터미널
연천공영버스터미널
울산고속버스터미널
울산시외버스터미널
울산신복버스정류소
영덕종합터미널
장호원버스터미널
점촌터미널
춘천고속버스터미널
하남시외버스터미널
향남환승터미널

매표소
공도시외버스정류장
금촌고속버스정류소
김포공항터미널
문산고속버스터미널
양주역시외버스정류장
운정고속버스정류소
의왕고천정류장
display: inline-block; width: 135px"
주왕산버스터미널

해체
대원상운
영덕T/R
안동터미널관광

[a] 터미널 사업부가 아닌 삼흥고속에서 직접 운영

}}}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비운송 사업 ]
차량
[ b ]
display: inline-block; width: 135px"
KD 오토리사이클링
직원복지
display: inline-block; width: 135px"
KD 상조회
display: inline-block; width: 135px"
KD 푸드피아

의료
세명대학교부속충주한방병원

교육
대원대학교
성희여자고등학교

대원교육재단 :
세명대학교
세명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b] CHTC의 수입사



파일:성동구 CI.svg 서울특별시 성동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주식회사 대원교통
Daewon Traffic Corp.
파일:KD 운송그룹 로고.svg
핵심인물
허명회 (회장)
허상준 (대표이사 사장)
김승한 (부사장)
설립일자
1974년 2월 1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견기업
지분구조
대원고속 46.84%
권동현 35.44%
허상준 17.72%
슬로건
기다리고 싶은 버스, 타고 싶은 버스
길이 있는 곳에 KD 운송그룹이 있습니다.
홈페이지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특징
3.1. 대원교통, 대원여객, 메트로버스 3각 트레이드
4. 운행 노선
5. 폐선된 노선
5.1. 개편 전 운행노선
6. 면허 체계
7. 보유차량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KD 운송그룹 계열사인 버스 회사.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2. 역사[편집]


본래 1974년에 설립된 금성교통[1]이라는 버스회사였으나 1994년 10월 28일 오전 좌석버스 765번 망우리고개 전복 사고 사상자 보험처리문제로 인해 경영상의 문제가 생기게 되어 1996년 3월 4일 KD 운송그룹에 인수된 후 대원교통으로 사명을 바꾸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남양주시 업체인 삼용버스/서울시내버스 업체인 태화상운 등과의 경쟁을 위해 165, 165-2, 165-3번 모두 구간요금을 받지 않았다.

2001년에는 태화상운의 166, 166-2, 400[2]번을 인수했으며 2003년에는 우신운수가 운행을 포기한 568번을 입찰받아 운행하게 되었다.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당시 컨소시엄 중 메트로버스에 출자, 현재 20%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때문에 현재 메트로버스에서 운행중인 일부 차량 면허는 대원교통 출신 버스들이다. 동시에 대원여객으로 568번을 이관했다.[3][4]

이후 2005년부터 대대적인 경기도발 노선 개편이 시작되었는데, 구리/남양주권에서 서울로 가던 노선들의 정리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2005년에는 9201번은 폐선, 9203, 9204번을 대원운수로 이관시키고[5] 같은 해 12월에는 2016, 2229번을 정리하면서 240번을 신설하고[6] 2006년 12월에는 2231번은 폐선, 9205번은 중랑공영차고지로 자르고 203번으로 개편했다.[7] 이후 2007년에는 203번을 폐선하면서 241번을 신설하고 240, 2015번을 단독배차하게 되었다.

2008년에는 2227번의 서울시내구간을 자르고 2228번을 폐선시키면서 41, 4434번을 신설했으며[8] 2009년에는 9202번을 폐선시키고 2225번을 신설했다.[9] 2011년에는 2225번을 0213번과 통합시켜 2016번으로 만들고 2227번의 경기도구간을 완전히 단축하면서 경기도에서 철수했다.

이후 2014년에는 241번을 단독배차함과 동시에 2227번을 메트로버스로 양도하며, 2015년 2월에 41, 4434번을 통합하여 242번 간선버스를 개통한다.

대개편때에 비하면 노선갯수가 많이 줄어들었고 무엇보다도 연고지인 구리남양주권에서 철수한 점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그리고 대체노선을 대원운수에서 신설하면서 대원운수의 규모도 덩달아 커진 점도 포인트이다.

2019년 2월에 본사(면허지)를 성동구의 KD 운송그룹 신사옥으로 이전했다.

2020년에 자일대우버스 베트남 이전 논란으로 인한 노사갈등으로 울산 공장이 한동안 폐쇄되면서 현대 저상버스를 자체 출고하였다.

2021년부터 신차는 전기버스만 출고중이다. 2021년에는 서울시의 쿼터제 규정 때문에 일렉시티와 아폴로 1100을 균등하게 뽑았으나, 2022년에는 일렉시티만 뽑고 있으며, 12월 팬더가 전멸되고 계열사 중 인수된 삼흥고속을 제외하고 최초로 현대자동차의 댓수가 자일대우버스의 댓수를 역전했다.[10] 2023년에는 아폴로 1100 2대를 다시 뽑았다.


3. 특징[편집]


  • 구리시/남양주시권 노선, 특히 광역버스가 많았는데[11] 태화상운 좌석버스를 인수하기 전에도 165번 하나만으로 경춘로 승객들을 쓸어담았고, 태화상운 좌석버스를 인수한 뒤에는 대원운수와 함께 오남읍, 진접읍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남양주시 전체 교통을 책임지는 회사가 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죄다 칼질당하고 폐선당해 전 노선이 서울시 경계선을 벗어나지 않는다.[12][13] 버스 개편 전과 후의 모습이 가장 다른 회사라면 바로 이 대원교통을 꼽을 수 있겠다.[14]

  • 반면 서울시청의 버스 증차 금지 정책의 최대 피해자라 할 수 있는 회사인데, 경기도로 진입하는 노선을 경기도 면허 KD 운송그룹 계열사로 넘긴 다음, 서울시내만 이동하는 다른 노선에 공동 배차하거나 새로운 노선을 만들어서 운행하는 일이 잦다.(41, 2016 등) 이는 대원여객도 마찬가지이며, 현재 대원교통은 사실상 중랑공영차고지를 중심으로 운행 중이다. 게다가 새로 개통한 241, 242(구 41, 4434)는 일부 구간에선 그야말로 잘 개통한 셈이다.

  • 특이하게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 중 4번째[15]이자 당시로서는 유일하게 간선, 지선, 광역, 순환 4색도색을 모두 채용한 업체였다. 시기는 41번(3기)이 신설된 2008년 9월부터 9202번이 없어진 2009년 6월까지였다.[16] 그리고 이 4색 도색을 적용한 마지막 업체이기도 하다.

  • 현재 회사는 성동구 신사옥으로 옮겼는데, 실제 영업소는 중랑구에 있는 아이러니함이 있다. 그나마 2016번이 본사를 경유하며, 그 외 나머지 노선들(공동배차 노선인 262번 제외)도 성동구를 경유하긴 한다.[17]

  • 개편 전에는 KD 운송그룹의 자금력을 보여주는 일이 있었는데, 2001~2년경 당시 갓 출시된 BS106 천연가스버스 88대를 출고하여 568번, 165-3번, 166번, 166-2번같은 노선에 대거 투입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동시에 도곡리 차고지에 충전소를 지었다. 기존 하이파워랑 로얄시티 경유차는 모두 대원운수, 경기고속으로 넘어갔다고 한다.[18][19]

  • KD 운송그룹 내에서도 월등히 속도가 빠른 편이다. 물론, KD 특유의 저속운행을 하는 차량도 종종 보이지만 2015번 등 배차가 빡빡한 노선이 많아 에코점수가 60점을 넘기지 못하는 차량들이 많다.[20]

  • 메트로버스의 2016번 공동배차 철수 이후 한동안 중랑구 소속 버스 회사 중 소속 노선 모두 단독 배차로 운행했다. 이는 보광운수에 이은 2번째. 그러나 2023년 6월 26일 이후 262번 공동 배차에 메트로버스 대신 참여하게 돼 다시 공동 배차 노선을 운행하게 됐다.


3.1. 대원교통, 대원여객, 메트로버스 3각 트레이드[편집]


2014년 1월 16일자로 세 회사간 노선 교환이 있었다. 노선 관리를 중랑공영차고지 한 곳에서 하고 싶던[21] 메트로버스와 근로 환경 문제[22]를 해결하고 싶던 KD 운송그룹 간의 이해관계가 맞아서 세 회사간 노선 교환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당시 대원교통이 운행하던 2227번 버스의 차량들이 241로 이동하였으며 262, 2016, 241번에 있던 대원여객 차량들이 370으로 이동하였으며, 370번에 있던 메트로버스 차량들은 262, 2016, 2227번으로 이동하였다.

대원교통이 겪게 된 변화는 다음과 같다.



4. 운행 노선[편집]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240
중랑공영차고지
봉화초등학교 - 신내6단지 - 서울의료원 - 능산지하차도 - 상봉터미널 - 면목역 - 면목시장 - 중곡역입구 - 세종초등학교 - 광진광장 - 건대입구역 - 영동대교 - 프리마호텔 - 압구정현대아파트 → 압구정역학동역신사역 → 현대고등학교
신사역
8~14
241
중랑공영차고지
신내데시앙포레아파트 - 새우개마을 - 봉화산역 - 신내7단지.홈플러스 - 서울의료원 - 중랑구청사거리 - 망우역 - 중랑역.동부시장 - 청량리역 - 서울시동부병원 - (→ 왕십리도선동주민센터 →/← 상왕십리역 ←) - 신당초등학교 - 행당역 - 응봉동주민센터 - 금남시장 - 한남동 - 신사역 - 논현역학동역언주역신논현역
논현역
7~12
242
중랑공영차고지
능산지하차도 - 면목역 - 면곡시장 - 군자교 - 화양사거리 - 영동대교 - 프리마호텔 - 강남구청.강남세무서 - KT강남지사 - 영동중앙교회 - 한티역 - 중대부고 - 개포현대1차아파트 → 개포래미안포레스트 → 포이초교 → 풍양빌딩
개포동
10~17
262[공동배차]
중랑공영차고지
양원역 - 망우역 - 면목역 - 면목두산아파트 - 촬영소사거리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종로2~6가 - 남대문시장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청파동 - 원효로2.3가 - 청암동강변삼성아파트 → 삼부아파트 → 샛강역여의도역여의도환승센터
여의도
6~10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 간격
2015[23]
중랑공영차고지
중랑구청사거리 - 망우역 - 상봉역 - 사가정역 - 장안2동주민센터 - 전농사거리 - (→ 답십리역 →/← 동대문중학교 ←) - 동대문구청.용두역 - 성동구청 - 신당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
6~10
2016
중랑공영차고지
능산지하차도 - 상봉역 - 면목두산1차아파트 - 면곡시장 - 동곡삼거리 - 세종초등학교 - 광진광장 - 건대입구역 - 성수역 - 왕십리역 - 응봉동주민센터 - 금남시장 - 한남역 - 동빙고동 - 서빙고역 - 이촌역
이촌2동
8~13


5. 폐선된 노선[편집]


폐선된 노선이 많아 관련 항목이 있는 경우만 표기했다.

  • 41(탄천공영차고지 - 개포동) [24]
  • 203(신내동 - 서울역) - 구 9205번 단축[25]
  • 240B(신내동 - 신사역) - 구 240[27]
    • 2225(신내동 - 건대입구역) - 구 240B[26]
  • 2227(신내동 - 중곡동) - 구 165-2[28]
  • 2228(양수리 - 청량리역) - 구 166-2 [29]
  • 2229(덕소 - 청량리역) - 구 166[30]
  • 2230(사릉 - 청량리역) - 구 165-3[32]
    • 2016(사릉 - 동대문운동장역) - 구 2230 연장[31]
  • 2231(호평동 - 면목동) - 구 165 단축[33]
  • 4434(탄천공영차고지 - 개포동) - 구 8443 [34]
  • 8401(고속터미널 - 삼각지역)[35]
  • 8443(탄천주차장 - 개포동) [36]
  • 9201(차산리 - 제기동) - 구 765-1번[37][38]
  • 9202(차산리 - 잠실역) - 구 901번, 광역버스 중 최후의 아웃서울 노선[39]. 현 대원운수 1200번
  • 9203(덕소 - 잠실역) - 구 1670[40]
  • 9204(덕소 - 강변역) - 구 1660[41]
  • 9205(차산리 - 서울역) - 구 765[42][43]


5.1. 개편 전 운행노선[편집]


  • 165(호평동 - 남양주시청 - 금곡역 - 73사단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현대코아)

  • 165-2(호평동 - 남양주시청 - 금곡역 - 73사단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현대코아)

  • 165-3(사릉(용정리) - 사릉한신아파트 - 홍유릉 - 지금동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현대코아)

  • 166(도곡리 - 덕소역 - 양정동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현대코아)

  • 166-2(양수리 - 다산유적지 - 팔당댐 - 도곡리 - 덕소역 - 양정동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역 - 중랑교 - 위생병원 - 현대코아)

  • 568(구리시 - 망우리 - 송곡여자고등학교 - 상봉터미널 - 상봉시장 - 면목동 - 장안교 - 군자교 - 건대입구 - 구의역 - 강변역(동서울터미널))

  • 765(대성리 - 구암리 - 마석시내 - 평내동 - 금곡동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터미널 - 중랑교 - 청량리역)

  • 765-1(차산리 - 창현지구 - 마석시내 - 평내동 - 금곡동 - 도농동 - LG백화점 - 돌다리 - 망우리 - 상봉터미널 - 중랑교 - 청량리역)

  • 901(차산리 - 창현지구 - 마석시내 - 평내동 - 금곡동 - 도농동 - 남양주IC - 구리요금소 - 강변북로 - 잠실역)

  • 1660(도곡리 - 덕소역 - 수석동 - 토평IC - 워커힐/강변북로 - 강변역(동서울터미널))

  • 1670(도곡리 - 덕소역 - 수석동 - 토평IC - 강변북로 - 잠실역)


6. 면허 체계[편집]


  • 서울 70 사 27##, 62##, 63##호[44]
  • 서울 74 사 1569, 1577, 1598[45], 42## ~ 43##[46], 5009, 6315, 6316, 6331, 6335, 7415, 7422, 7587, 7588, 7590, 7596, 8201, 8205, 8210, 8219, 91## 전반부[47], 9725, 9790호
  • 서울 75 사 23##, 2874, 29##호


7. 보유차량[편집]



7.1. 현재 보유차량[편집]



7.1.1. 현대자동차[편집]



7.1.2. 자일대우버스[편집]



7.1.3. 우진산전[편집]




7.2. 과거 보유차량[편집]



7.2.1. 자일대우버스[편집]



7.2.2. 현대자동차[편집]



7.2.3. 아시아자동차[편집]



7.2.4. KG모빌리티[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영인운수
정평운수
다모아자동차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태진운수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삼화상운
진아교통
태릉교통
한성여객
흥안운수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동성교통
상진운수
성원여객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여객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서울특별시 관외에 영업소를 둔 시내버스 회사
광명시
범일운수
보영운수
세풍운수
한성운수


고양시
동해운수
서울매일버스
선진운수
신촌교통
제일여객
신수교통
부천시
신길교통
안양시
서울매일버스
군포시·의왕시
군포교통
대원여객
우신버스
성남시
남성버스
동성교통

의정부시·양주시
대원여객
제일여객

파주시
신수교통
제일여객




파일:중랑구 CI.svg 서울특별시 중랑구 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시내버스
경성여객
대원교통[a]
메트로버스[b]
보광운수
북부운수
마을버스
중랑운수
금창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
선진교통
우성버스
마을버스[c]
대중교통
세화마을버스
태릉시장마을버스
[a] 중랑구 이외 지역에 주사무소를 둔 회사 / [b] 주간선버스 회사 / [c] 현 보광운수(舊 용림교통)로 통합된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4:38:39에 나무위키 대원교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서울승합 금곡영업소에서 분사한 회사였다. 당시 본사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153번지. 1990년대 후반 46번 국도 확장으로 본사 차고지가 상당부분 수용되면서 호평동 차고지와 통합, 이전하게 되었다.[2] 차량만 인수[3] 이 시절 대원여객에서도 2003년말에 시범적으로 도입한 저상버스 2대를 빼서 여기로 보내기도 했다. 대신 위에서 언급한 대원교통차 일부를 빼서 보상차원으로 대원여객 소속으로 다니게했다. 다만 2015, 240 단독배차로 바뀌면서 원대복귀했으며, 5624 소속 일부는 여전히 대원여객 소속으로 다닌다.[4] 이 외에 영인운수, 송파상운이 컨소시엄 탈퇴를 하면서 일부 KD 출신 면허를 가져가기도 했다.[5] 각각 경기고속 1670, 112-3번과 통합되었으며 한동안 공동배차를 하다가 지금은 대원운수에서 1670, 1660번으로 운영하고 있다.[6] 대체노선으로 대원운수가 165-3, 166번 신설.[7] 대체노선으로 대원운수가 765-1 신설 및 165번 증차.[8] 대체노선으로 대원운수가 167번 신설.[9] 대체노선으로 대원운수가 1200번 신설.[10] 대원교통은 일괄적으로 대차를 하는 경우가 잦았고, 행당동 사고 이후 그 점이 더욱 부각되어 차량 교체주기가 일정 시기에 대규모 물량을 처리하게 되었다. 대원여객은 그에 비해 연식 분포도가 다양하고, 상대적으로 구형 가스차량을 오래 사용했기에 아직까진 대우버스의 비율이 많다. 그러나, 초기형 뉴비 차량들이 많기에 이 차량들이 대차되면 대원교통처럼 현대버스의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할 예정.[11] 남양주권 광역버스(서울면허)는 대원교통에서 독점했다.[12] 현재 대원교통이 과거 남양주에 존재했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흔적은 도곡리 차고지에 있는 충전소로 대원교통 명의로 표기되어 있었다. 물론 철수 이후로도 한동안 41번과 4434번의 가스 충전 또한 이곳에서 했었다.[13] 그 외에 대원교통의 주 사무소 소재지도 아직까지 호평동 165번 종점으로 뜬다. 연락처 또한 경기도 지역번호인 031로 시작.[14] 또 다른 사례인 아진교통의 경우에는 기존 도봉산 본사 차고지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신인운수는 과거 신인운수의 빗자루질 노선인 옛 150번5528번을 통하여 부분적으로 개승하고 있다. 삼성여객은 개편과 동시에 오랫동안 본사였던 염곡공영차고지에서 한번 나가고 한동안은 보광동에서 영업했다가, 노선 운영 상의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자사의 여러 노선들을 통·폐합하는 과정에서 다시 또 염곡동으로 복귀했다. 이 회사들이 개편 이전의 흔적들이 조금이라도 남아있는 반면, 대원교통은 아예 모든걸 다 지우고 새롭게 재시작을 한 것이나 다름없다.[15] 동성교통신길운수, 신성교통이 41번을 운행했을 때 4색 도색을 전부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정작 이 41번을 실제로 운행한 건 한국brt였다. 해서 이 회사들은 무의미하다.[16] 240번 신설 이전에는 2가지 도색이라도 보편적인 파란색/녹색이 아닌 녹색/빨간색으로 다닌 회사 중 하나였다(대원교통 외에는 대성운수랑 동해운수가 당시 이 조합이었다. 지금은 서울매일버스가 이 조합으로 다니게 된다). 반대의 사례는 한국brt로, 여긴 41번(1기)이 폐선된 2006년까지 파란색/노란색으로 다녔다.[17] 반대로 대원여객 노선 중 제대로 성동구를 경유하는 소속 노선은 2021년 11월 29일 기준 2416번 뿐이다. 370번은 천호대로의 경계만 따라가는 것이 전부이기에 실질적인 성동구 본토로는 들어가지 않는다.[18] 165, 165-2번은 가스차가 들어왔다가 일부차량이 여러가지 이유로 대원여객 55번과 이동식 충전소가 있는 사릉 차고지에 있던 동사의 165-3번, 구리 차고지의 동사 568번으로 트레이드 되었다. 다만 전부 넘어간 것은 아니여서 남은 차량은 대개편을 앞둔 시점까지 운행하다가 메트로버스로 이관되었다. 개편 이후에 2227, 2231번은 165-2, 165번으로 다니던 시절에 비해 운행댓수도 줄어들고 타 노선에서 쓰던 디젤차들이 투입되어 다니게 된다.[19] 55번은 구리차고지에 충전소가 없었고 배차관리가 되지 않아서 그리 오래 운행하지 못 했다. 2003년에 갓 종로5가로 연장되고 민락동에 충전소가 있어서 가스차를 투입하던 12-5번으로 곧 이동했다. 568번은 그래도 운행대수가 적었고 전 차량이 가스차였던 덕분에 그래도 개편 이후까지 덕소로 공차 회송을 해가면서 굴렸다.[20] 특히 2015번이 가장 심한데, 대부분의 차량들이 30점~60점 사이를 오가며 왕십리역에서도 꼬리물기를 하며 좌회전을 하는 등 KD하면 생각나는 운행스타일과 정반대를 보인다.[21] 당시 강동공영차고지의 관리비가 인상되어 이로 인하여 중랑공영차고지 단일체제로 전환하고자 시도중이었다.[22] 대원여객 의정부, 양주 노선 폐선 후 241, 262, 0213에 증차되었는데 의정부, 양주로 출퇴근 하다 중랑공영차고지로 출퇴근하는 기사들의 근무지 이탈 문제가 발생하여 중랑 소속 기사들을 의정부나 양주 지역으로 다시 보내면서 중랑에서 대원여객이 철수했다.[공동배차] 북부운수와 공동배차.[23] 본래 대원여객 노선이었지만, 2006년 이후 대원교통이 대신 맡고 있다.[24] 2015.2.27 서울 버스 개편으로 인해 4434번과 통합되어 242번으로 변경[25] 잉여 노선. 9205번에서 203번으로 바뀐 후 단 1분기만에 241번으로 노선 변경이 이뤄졌다.[26] 0213번과 통합해 2016번이 되었다.[27] 정확히 3주동안만 운행하다 2225번으로 변경. 240A번과는 면목천길 경유라는 점만 달랐다. 일부 차량은 240번으로 돌아갔다.[28] 호평동 - 금곡 - 구리시 - 청량리를 운행하다가 2008년에 신내동으로 1차 단축. 2011년에 신내동 - 상봉동으로 2차 단축을 겪었다. 이후 1213번이 서일대로 잘리면서 2013년에 중곡동으로 연장되었다. 2014년 1월에 메트로버스로 이관되었다.[29]대원운수 167번. 이게 경기면허로 대체되고 남은 차량을 가지고 41번을 개통하게 되었다.[30] 2005년 12월 16일에 2231과 같이 폐선되고, 이후 166번으로 대원운수에서 운행하다 2008년에 경기여객으로 넘어가더니 조용히 폐선.[31] 현재의 2016번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개편 전 165-3번으로 개편 당시 2230번 번호를 부여받았다. 2005년 7월 동대문운동장역으로 연장되면서 2230에서 2016번으로 변경, 2005년 12월 중앙선 개통과 동시에 폐선.[32] 2005년 7월에 2016번으로 변경.[33] 9205가 203으로 형간전환 하던 날 동시에 폐선.[34] 2015.2.27 서울 버스 개편으로 인해 41번과 통합되어 242번으로 변경[35] 대원여객과 공동배차[36] 정규노선인 4434번으로 승격[37]대원운수 65번[38] 이 노선이 폐지되고서, 9205가 대성리에서 마석으로 잘리고, 종로를 따라서 서울역 환승센터로 들어가게 된다.[39] 또 하나의 아웃서울 노선으로는 구 400번이 있었다.[40] 현재는 경기면허 1670번으로 전환되었다.[41] 현재는 경기면허 1660번으로 전환되었다.[42] 현재는 765번도 없어져서 30번이 역할을 대신한다.[43] 폐선 이후 203번 → 241번으로 변경[44] 중랑구 증차 번호.[45] 대원여객 출신. 1152 폐선 후 240, 242 증차분으로 이관[46] 서울승합 금곡영업소를 분리 독립해 금성교통 설립과 동시에 유입된 차호[47] 태화상운 주면허. 후반부는 구 혁성운수 주면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