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헌법 제2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대한민국 헌법 제1장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3px 0px;"
헌법 憲法



1. 개요
2. 특징
3. 역사
4. 의의
5. 판례
6. 관련 법률


1. 개요[편집]


① 대한민국의 국민이 되는 요건은 법률로 정한다.
② 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재외국민을 보호할 의무를 진다.

대한민국 헌법의 조항. 1장의 두 번째 조항으로, 총 2개의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특징[편집]


제1항에 따라 국적법이 제정되어 있다. 제2항의 재외국민은 재외동포법(재외동포의 출입국과 법적 지위에 관한 법률)에 규정되어 있다. 또한 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재외국민보호법)이 2019년 제정되었다.

그리고 제2항을 근거로 해서 아덴만 삼호주얼리호 납치사건 때에는 국가 차원에서 피랍자들을 적극적으로 구출하게 되었다. 또한 2020년 1월에 중국에서 창궐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중국의 후베이성 우한시가 봉쇄 되었을 때, 정부가 제2항을 근거로 1월 30일~31일 이틀간 대한민국 국적의 교민들을 전세기를 통해 송환하였다.

3. 역사[편집]


헌법내용
제헌 헌법제3조 대한민국의 국민되는 요건은 법률로써 정한다.
5차 개헌제2조 대한민국의 국민 요건은 법률로 정한다.
8차 개헌제2조 ①대한민국의 국민의 요건은 법률로 정한다.
②재외국민은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9차 개헌제2조 ①대한민국의 국민의 요건은 법률로 정한다.
②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재외국민을 보호할 의무를 진다.

8차 개헌에서 재외국민 보호조항이 새로 만들어져 9차 개헌에서 국가의 의무로 되었다.

4. 의의[편집]




5. 판례[편집]




6. 관련 법률[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21 17:59:11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헌법 제2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