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 이씨

덤프버전 :



한국의 성씨

[ 펼치기 · 접기 ]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조선 6대 국반


파일:덕수 이씨 종문.png
德水 李氏
덕수 이씨


관향
개성시 덕수리[1]
시조
이돈수(李敦守)
집성촌
충청북도 괴산군
충청남도 서천군
충청남도 아산시
충청남도 당진시
경기도 성남시
경기도 양평군
경기도 용인시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용산리
황해도 신천군
평안남도 용강군 금곡면 담부리
인구
58,513명(2015년)
링크
덕수이씨대종회

1. 개요
2. 분파
3. 지폐 등장
4. 인물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개성시 덕수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 때 중랑장 벼슬을 지낸 이돈수(李敦守)로 전해져 있다. 2015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덕수 이씨는 총 58,513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2. 분파[편집]


여러 분파가 있지만 그중 가장 유명한 파가 13세손 율곡 이이를 파조로 하는 문성공파(文成公派), 12세손 충무공 이순신을 파조로 하는 충무공파(忠武公派)이다.[2] 문성공파의 경우 특이한 점으로 이이의 적자가 아닌 서자가 계승하였다. 이이에겐 적자가 없어서 임금인 선조의 명으로 이이의 서손이 봉사손으로 지명되어 그 족보가 후대에 이어진 형태다. 조선 중기 이후의 사대부 집안에서는 적자가 없을 경우 서자가 있어도 따로 양자를 둬서 가문을 계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이 집안의 사례가 특이한 편이다. [3]

충무공파의 경우 이순신의 영향으로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유명한 무신 집안으로 자리잡았다. 무과 급제자만 267명이고, 역대 삼도수군통제사 중 13명이 덕수 이씨이다. 종가는 아산 현충사 인근의 이순신 고택이다.

충무공파와는 달리 문성공파의 경우 남한에는 그 수가 상당히 적은 편이다. 율곡 이이의 본가가 황해도 해주시 인근에 있었다가 남북 분단 당시 월남한 후손들만이 남한에 있기 때문이다. 문성공파의 종가도 고택이 아닌 경기도 고양시의 평범한 아파트에 자리를 잡은 형편이다.

덕수이씨는 조선조에서 문과 급제자 105명, 상신 7명, 대제학 5명, 공신 4명, 청백리 2명을 배출하였는데 상신[4] 7명과 대제학 4명은 연헌공파(蓮軒公派)[5]가 배출하였고, 대제학 1명은 문성공파(文成公派)[6]율곡 이이가 역임하였다.


3. 지폐 등장[편집]


충무공 이순신 장군(100원), 율곡 이이 선생(5000원), 그리고 이이 선생의 어머니인 신사임당(5만원)으로 한국 화폐의 삽화 모델의 과반을 덕수 이씨 가문이 차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이 이야기는 실제로 가문에서도 농담처럼 회자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군다나 한국은행 총재도 종중의 이주열이 2014년부터 2022년 까지 8년간 재임했고, 후임으로 2022년 3월 23일 취임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또한 덕수 이씨이다.

4. 인물[편집]


  • 이돈수: 덕수 이씨의 시조
  • 율곡 이이: 조선 중기의 유학자이자 정치가로 오천원권 지폐에 그려진 인물이다.
  • 충무공 이순신: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임진왜란 때 조선 수군을 통솔했으며 100원 주화에 그려진 인물이다.
  • 이광: 조선시대의 문신
  • 이규갑
  • 이기영: 월북 소설가. 1954년부터 1961년까지 연재됐던 대하소설두만강」으로 노벨문학상 후보. 김정일의 동거녀이자 김정남의 친모 성혜림이 바로 이기영이 북에서 둔 3남 1녀 중 장남인 리평(李平)의 전처였다
  • 이길영
  • 이민우 (전)국회의원
  • 이종환: 충무공파 후손으로 대한민국의 前 방송인
  • 이홍렬: 1954년생의 코미디언
  • 이재수: 문혜공파 후손. 대한민국군인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남동생박지만의 동기이다. 前 기무사령관을 역임했다.
  • 이미숙: 충무공파 후손. 대한민국의 여배우.
  • 이본: 대한민국의 탤런트, 가수, MC
  • 이봉상:이순신의 5대손, 조선 후기의 무신, 제94대 삼도수군통제사, 이인좌의 난때 반란군에게 피살.
  • 이범석(1967) : (현) 청주시장
  • 이은주#: 대한민국의 배우
  • 이용우(1964)
  • 이종남(1919) (전)국회의원
  • 이재준(1960) (전) 고양시장
  • 이종남(관료) (전)법무부장관, (전)검찰총장, (전)감사원장
  • 이주열: 前 한국은행 총재 및 금융통화위원회 의장
  • 이상아: 충무공파후손.대한민국 여배우 (80-90년대 하이틴스타)
  • 이영렬: 노무현대통령비서실 사정비서관,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제58대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관련 대검찰청 특별수사본부장을 맡았다.
  • 이승현: (현)KBS 아나운서, 서울대학교 화학과.[7]
  • 이세영(1869~1938), 이종옥, 이응렬: 충무공의 12대, 13대, 14대손으로 일제강점기 시절 3대에 걸쳐 독립운동가로 투신하였다. #
  • 이진훈
  • 이창용 : 경제학자. 옥산공파 후손. (현)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및 국제통화기금(IMF) 아시아•태평양국장, 제27대 한국은행 총재
  • 이행 : 중종 때의 대제학·좌의정. 중종 때 권력을 잡은 영의정 남곤, 우의정 심정과는 평생의 벗이자 정치파트너[8]
  • 이기 : 명종 때의 영의정. 親문정왕후 인물[9]
  • 이식 : 인조 때의 대제학. 조선 중기 문장 4대가 월상계택(月象谿澤)으로 꼽혔다. 시호는 문정(文靖)[10]
  • 이단하(李端夏) : 숙종 때의 대제학·좌의정. 시호는 문충(文忠)[11]
  • 이여(李畬) : 숙종 때의 대제학·영의정. 송시열(宋時烈)의 문하생, 노론[12]
  • 이안눌(李安訥) : 이기의 장증손. 문혜공파(文惠公派)의 파조.
  • 이집(李㙫) : 영조 때의 좌의정[13][14]
  • 이은(李溵) : 영조 때의 좌의정. 시호는 충목[15]
  • 이병모(李秉模)[16] : 정조 후반 ~ 순조 초반의 영의정. 사실상 최후의 소론의 영수. 정조가 즉위한 후 준론 탕평책을 실시함에 따라 노론 시파김조순, 남공철, 심상규, 이상황, 서매수 등과 협치하였고 김귀주, 심환지 등의 벽파와 대립하였다.[17] 이병모를 마지막으로 이름있는 소론 대신은 더 이상 나오지 않았고, "정치세력"으로서의 소론도 종언을 고하면서 약 19~20개의 세도가문들[18]이 순조의 처가인 신 안동 김씨를 지지하는 세력 vs 순조의 사돈인 풍양 조씨를 지지하는 세력으로 나뉜다. 세도정치 항목에도 있지만 이 20개의 명벌가문이 고위직을 모두 독식하게 되는 사회로 흘러가게 된다.
  • 이재현(李載弦) : 문성공파 후손, 27대 (현)트라닉스


5. 둘러보기[편집]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이순신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소속
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이순신대교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파일:이순신 수결.svg

[각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7:14:18에 나무위키 덕수 이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한민국 이북 5도 행정구역상 경기도 개풍군 중면 덕수리[2] 거기다 50000원도 덕수 이씨의 부인이었으니 참으로 화폐에 올라갈 만한 위인들을 많이 배출한 가문이라고 하겠다.[3] 다만 이는 주자가례에 따른 것으로, 주자가 주자가례를 집필한 송대의 풍습상 가문의 계승 우선순위는 적자가 없을 경우 서자가, 서자도 없을 때 비로소 양자를 들이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이의 가문도 주자가례의 규정에 충실하게 서자가 가문을 계승한 것 뿐이다. 오히려 조선 중기 이후에 양반들이 '천출이 가문을 계승하는 것'을 기피하는 풍조가 생겼기 때문에, 주자가례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서자를 건너뛰고 양자를 들여 가문을 잇게 한 것이다.[4] 영의정/좌의정/우의정[5] 이행이기의 아버지인 이의무(李宜茂)가 파조이다. 연헌공파 안에 문정공파와 문혜공파가 있다.[6] 이의무(李宜茂)의 둘째형인 이의석(李宜碩)의 후손인 율곡 선생이 파조.[7] 2023년 10월 22일 이슈픽 쌤과 함께에서 광화문 월대편에서 광화문광장에 이순신상이 언급될 때 이순신이 자신이 할아버지라고, 덕수 이씨라고 했다.[8] 이의무(李宜茂)의 3남.[9] 이의무(李宜茂)의 차남. 즉 이행과는 형제지간이다.[10] 이행의 4대손이자 문정공파(文靖公派)의 파조.[11] 이식의 3남.[12] 이식의 차남인 이신하(李紳夏)의 차남. 즉 이단하(李端夏)의 조카이다.[13] 이안눌(李安訥)의 장증손, 문혜공파(文惠公派) 4세[14] 외손자가 서명선이다.[15] 이집(李㙫)의 장손, 문혜공파 6세[16] 이단하(李端夏)의 4대손.[17] 애초에 혼맥적으로 이병모의 어머니가 남공철의 큰아버지인 남유상(南有常)의 딸이고, 이병모의 외손녀사위가 심상규의 장남인 심정우(沈正愚)이다.[18] 덕수이씨도 포함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