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사

덤프버전 :

분류



[ 펼치기 · 접기 ]
직할교구
제2교구
제3교구
제4교구
제5교구
조계사
용주사
신흥사
월정사
법주사
제6교구
제7교구
제8교구
제9교구
제10교구
마곡사
수덕사
직지사
동화사
은해사
제11교구
제12교구
제13교구
제14교구
제15교구
불국사
해인사
쌍계사
범어사
통도사
제16교구
제17교구
제18교구
제19교구
제20교구
고운사
금산사
백양사
화엄사
제21교구
제22교구
제23교구
제24교구
제25교구
송광사
대흥사
관음사
선운사
봉선사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동화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
팔공산 동화사
八公山 桐華寺 | Donghwasa


위치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길 1
(도학동 35)
설립
493년(신라 소지 마립간 15년)
창건자
극달화상(極達和尙)[1]
주지
능종
등급
제9교구의 교구본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1. 개요
2. 역사
3. 주요 문화재
3.1. 보물
3.1.1. 마애여래좌상
3.1.2.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3.1.3. 비로암 삼층석탑
3.1.4.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3.1.5. 당간지주
3.1.6. 도학동 승탑
3.1.7. 사명당 유정 진영
3.1.8. 대웅전
3.1.9.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
3.1.10. 아미타회상도
3.1.11. 보조국사지눌진영
3.1.12. 삼장보살도
3.1.13. 지장시왕도
3.1.14. 수마제전
3.1.15. 극락전
3.2. 비석 목록
3.3. 세계최대 동화사 통일약사대불
4. 교통
5. 주변시설
6. 여담



1. 개요[편집]



파일:동화사.jpg


동화사 전경





동화사 홍보영상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길 1(도학동 35)에 위치한 사찰로, 팔공산 내에 있다.

대한불교 조계종 경북 5대 본산 중의 하나이자 제9교구의 본사로, 대구에서 규모가 제일 큰 사찰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대구광역시 관내의 일부 대한불교 조계종 사찰들(ex. 유가사, 용연사)은 이 사찰의 말사들이다.[2]


2. 역사[편집]


493년(신라 소지 마립간 15년) 극달화상이 세운 유가사(瑜伽寺)[3]832년(흥덕왕 7년)에 심지왕사(心地王師)가 중건하였다. 이 때 사찰 주변에 오동나무 꽃이 만발하여 있어 동화사라 개칭하였다고 전한다. 그 후 여러 차례 중창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1732년 8번째 중건한 대웅전, 극락전을 비롯하여 연경전, 천태각 등 20여 채의 큰 규모의 건물이 있다. 그 외에 당간지주 등의 문화재가 있다. 1992년에는 높이 30m[4][5]나 되는 석불인 약사대불(藥師大佛)이 조성되었는데 이것은 남북통일을 기원하며 조성된 석불이다. 갓바위와 더불어 전국에서 많은 신자들과 관광객들이 몰려드는데 부속 암자로는 비로암, 금당암[6], 염불암 등이 있다. 부속 말사[7](末寺)로는 파계사, 부인사, 송림사(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유가사[8], 대견사[9], 운문사 등이 있다.

파일:동화사 전경3 국립중앙박물관.jpg

일제강점기에 찍은 동화사 전경 [10]

3. 주요 문화재[편집]




3.1. 보물[편집]




3.1.1. 마애여래좌상[편집]



파일:동화사 마애여래좌상 문화재청.jpg


동화사 마애여래좌상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불상으로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3.1.2.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편집]




3.1.3. 비로암 삼층석탑[편집]



파일: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남동측면 2009년 국립문화재연구소.jpg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3.1.4.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편집]



파일: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북동측면 2009년 국립문화재연구소.jpg


동화사 금당암 동·서 삼층석탑



3.1.5. 당간지주[편집]



파일:동화사 당간지주 문화재청.jpg


동화사 당간지주



3.1.6. 도학동 승탑[편집]



파일:도학동 승탑 문화재청.jpg


도학동 승탑



3.1.7. 사명당 유정 진영[편집]




3.1.8. 대웅전[편집]



파일:동화사 대웅전 전경 2015년 문화재청.jpg


동화사 대웅전



3.1.9.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편집]



파일: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 문화재청.jpg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



3.1.10. 아미타회상도[편집]



파일:동화사 아미타회상도 문화재청.jpg


동화사 아미타회상도



3.1.11. 보조국사지눌진영[편집]




3.1.12. 삼장보살도[편집]




3.1.13. 지장시왕도[편집]



파일:동화사 지장시왕도 문화재청.jpg


동화사 지장시왕도



3.1.14. 수마제전[편집]




3.1.15. 극락전[편집]



파일:동화사 극락전 2015년 문화재청.jpg


동화사 극락전



3.2. 비석 목록[편집]


  • 동화사 유공인영세불망비
  • 동화사 인악대사비
  • 동화사 보사계유공비
  • 동화사 사적비


3.3. 세계최대 동화사 통일약사대불[편집]


파일:9982B3465DD5F93909.jpg
- 좌대높이 : 13m, 전체높이 : 33m
- 불상원석 : 2천톤, 좌대원석 : 3천톤 (전북 익산군 황동석)
약사여래대불(藥師如來大佛)은 칠천만 겨레의 숙원인 남북통일과 세계평화, 인류의 행복을 간절히 염원하며 조성한 팔공총림 동화사의 대표 불상이다. 전체 높이가 33m에 이르러 석조 불상으로는 세계최대의 규모이다. 1990년 10월 26일 착공하여 1992년 11월 27일 점안대법회를 봉행하였다. 팔공산은 신라시대부터 오악(五岳) 가운데 하나인 부악(父岳)으로 추앙받던 민족의 영산(靈山)이자 약사신앙의 중심지로서, 팔공산 곳곳에는 수많은 약사여래상이 모셔져 있다. 약사여래는 보살도를 닦으면서 열두 가지 큰 원(十二大願)을 세워 성취하고, 중생의 고통과 일체 병자가 없는 이상세계를 완성하신 부처님이시며, 그 이상세계는 유리처럼 청정한 동방만월세계(東方滿月世界)이다. 우리 역사 속에는 불력(佛力)으로 국난을 극복하고자 하였던 대규모 불사의 예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통일약사대불의 본원은 우리 민족의 숙원인 통일을 하루빨리 성취하고 분단의 아픔을 해소하여 민족 대화합을 이루어 내는 데 있다. 약사여래대불 앞에는 국내최대의 삼층석탑(높이 17m, 원석 2천톤) 2기, 석등(높이 7.6m) 2기가 있고, 뒤로는 호법신장과 금강역사가 병풍처럼 조성되어 있다. 앞에는 통일기원대전이 조성되어 있는데,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고 통유리를 통해 약사여래대불을 바라보게 되어 있다. 약사여래대불 지하에는 불교문화관(국제관광선체험관)이 조성되어 있다.


4. 교통[편집]


급행1번, 팔공1번(동화사행)의 종점이며[11] 주말, 공휴일 한정으로 팔공3번이 경유한다. 하지만 동화사행 팔공1번은 10회밖에 들어오지 않고 팔공3번은 말 그대로 주말, 공휴일인데다가 11월부터 2월까지는 운행하지 않으니 이용할 노선은 사실상 급행1번뿐이다. 이렇다 보니 급행1번은 동화사를 찾는 승객들과 등산 승객 등으로 인해 급행 노선은 물론 다른 노선과 견주어 봐도 수요가 상당히 많아 탑승할 때마다 곤욕이다. 거기다 행사기간에는 감차가 아니라 되려 증차가 되는[12] 매우 희귀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13]


5. 주변시설[편집]


동화사 입구는 동화시설집단지구라는 위락지구로 지정되어 식당이 매우 많다. 식당 외에도 숙소가 밀집되어 있고 그 밖에도 동화지구캠프장, 자동차극장씨네80,[14]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팔공산 케이블카 등이 있다. 씨네 80에서 매년 가을 팔공산 승시축제가 열린다.# 다만 2015년부터는 씨네 80이 주차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축제의 주 무대가 동화사 경내로 옮겨졌다.


6. 여담[편집]


봉은사와 마찬가지로 지역의 유명 사찰들 중 하나이기 때문에 여러 번 땅밟기등을 당하거나 반달리즘에 가까운 문화재 훼손을 당하거나 하는 등 여러 번이나 수난을 당한 전력이 있다. 관련 기사.

북한이탈주민의 증언에 따르면 동화사 뒤뜰에는 금괴가 묻혀있다고 한다. 탈북자 양아버지의 증언. 하지만 그 금괴가 인민군 약탈의 행위로 판단되어 한국은행도 나섰다. 관련 기사. 하지만 지금은 발굴이 잠정 보류된 상태

2023년 11월 19일 오후 5시 50분경 동구 신용동 팔공산로 파계사에서 동화사로 가는 방면 내리막길에서 드라이브 중이던 i30 차량이 연석을 들이받고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낙엽에 미끄러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10대 여학생 1명이 현장에서 사망했으며 또다른 10대 여학생은 인근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 20대 운전자도 심정지 상태로 대구파티마병원에 실려 갔으나 11월 20일 오전 결국 사망했다. 함께 동승한 10대 남학생 2명도 중상을 입고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이들은 각기 연인과 지인 사이로 확인됐다. #1 #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7:27:09에 나무위키 동화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승려[2] 성당으로 치자면 계산성당을 생각하면 된다.[3] 산스크리트어 yoga의 음역으로 주관ㆍ객관의 모든 사물이 서로 응하여 융합하는 일을 말한다. 참고로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양리의 비슬산 유가사와 한자는 같으나, 같은 절이 아니다. 다만 동화사의 말사 중 하나가 비슬산 유가사이다.[4] 자료에 따라서는 31m라고 쓰인 곳도 있고, 33m라고 쓰인 곳도 있다.[5] 입상 석불 중에서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대불이지만 의외로 별로 알려져 있지 않다. 심지어는 동화사의 소재지인 대구 시민들도 대부분 이 사실을 모른다.[6] 일반인 출입 엄금 지역. 이곳은 신도증이 있어야 출입 가능.[7] 대한불교조계종 본사의 관할 하에 있는 사찰이다.[8] 이게 진짜 비슬산 유가사이다. 2010년에 이 곳의 주지인 계성 스님이 음력 법회를 없애고 대신에 일요법회를 정례화했다.[9] 비슬산 대견봉 꼭대기에 있는 절로 1917년 일제에 의해 폐사가 되어 삼층석탑 외에는 터만 남아 있다가 2013년 복원 공사가 시작되어 2014년 3월 1일 중창되었다. 이전에는 터만 있어 대견사지라고 했었는데 달성군 유가읍 용리 산에 있다.[10]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가 가능하다.[11] 대신 정문 입구에서 좌회전하여 시설지구 종점으로 가니 참고할 것.[12] 단, 동화사~동대구역 구간 증차 운행으로 전체 경로를 기준으로 하는 증차는 아니다.[13] 물론 급행1번 문서에서도 서술했지만 동화사 수요 외에도 중구, 서구, 달서구 성서 지역을 급행으로 연결 하다보니 이 수요 또한 상당히 혼잡하다. 그나마 급행5번이 도와주는 중이다.[14] 위탁받은 업체가 운영했는데 한 때 업체의 계약이 만료되어 없어졌다가 부활해 동화사가 직접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