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참고봉사

덤프버전 :

1. 디지털 참고 봉사의 개념
2. 디지털 참고 봉사의 유형 및 특징
2.1. 전자우편
3. 디지털학술정보서비스
3.1.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3.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3.3. 국립중앙도서관
3.4. 국회도서관
3.5. 오픈 액세스 (Open Access)
4.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4.1. LibAnswers
4.2. 사서에게 물어보세요
4.3. 상세
5. 관련 문서



1. 디지털 참고 봉사의 개념[편집]


전자정보서비스 초기 시절에, 주로 이용자의 참고질문을 해결하기 위해서 CD-ROM, 인터넷 등의 전자 정보원을 활용하던 것에서 시작하여 나중에는 이용자들이 도서관을 방문 하지 않고도 컴퓨터 네트워크와 같은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각종정보서비스를 원격지에서 주고 받는 것도 포함되어 의미가 확대되었다. 즉, 현대에 들어와서는 전통적 참고서비스 과정에서 인쇄자료 대신 전자정보원을 활용하는 것과 정보 기술을 활용한 원격 참고정보 서비스 두 종류를 포함해 의미한다.

디지털정보서비스는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태동하였다. 전통적인 도서관에서의 수서, 목록, 대출 및 반납 등의 업무는 도서관 자동화를 통해 실현되었으나, 디지털도서관은 네크워크를 통해 다양한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제공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정보서비스는 정보의 제공 외에도 상호운용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정보공유의 효과를 극대화하며 개방성, 참여성 및 통합성을 추구한다.

전통적인 도서관 서비스의 여러 기능들, 예를 들면 정보 제공, 교육, 그리고 상담, 모두가 디지털로 전환되어 이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즉, 디지털정보서비스는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기능을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이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디지털정보서비스의 주요 목적은 이용자에게 최적의 조건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연결, 웹 사이트 구축, 사용자 인터페이스 최적화, 효과적인 검색시스템 구축 등의 기술적인 측면과 저작권 보호, 전자 자원 확보 등의 서비스 측면, 그리고 정보 문해 및 최근 강조되는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등의 교육적인 측면을 포괄한다.

요약하면, 디지털정보서비스는 디지털 시대의 기술을 활용하여 도서관 서비스를 혁신하고 향상시키는 방법론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필요한 정보와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2. 디지털 참고 봉사의 유형 및 특징[편집]


디지털 정보서비스(digital reference) : '가상정보 서비스(virtual reference)', '전자정보서비스(electronic reference)'라고도 한다.

도서관의 사서 및 주제전문가가 인터넷의 양방향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정보요구를 지닌 원격 이용자에게 문헌정보, 인터넷정보원, 등의 관련주제 분야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2.1. 전자우편[편집]


전자우편을 이용하여 참고질의, 면담, 해답제공 등의 정보서비스 전체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 장점
    • 시,공간의 장애 없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 사서와 이용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록보존이 가능하다.
    • 비동사성으로 인해 질의에 대해 어느 정도 시간적 여유를 갖고 해답을 찾을 수 있다.
    • 일반 우편이나 전화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신속한 전달이 가능하다.
    • 사서와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의 내용과 과정들을 로그파일 분석을 통해 기록으로 보존 가능.


3. 디지털학술정보서비스[편집]


디지털학술정보서비스란 디지털 환경에서 학술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3.1.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편집]


  • 대표 서비스: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 주요 기능: 통합검색, 상호대차서비스, 국내외 학위논문서비스, 학술지 원문제공서비스 등
  • 기타 서비스: 해외 논문구매대행서비스, 외국학술지지원센터, RISSAnalytics, KOCW(Korea Open Course Ware)


3.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편집]


  • 대표 서비스: 사이언스 온 (ScienceOn)
  • 주요 기능: 국내학술지, 해외학술지, 국가 R&D 보고서 정보 제공 및 연구자 간 협업 서비스 등


3.3. 국립중앙도서관[편집]


  • 주요 기능: 국내 출판물 대표서지작성 및 보급, 메타데이터 표준안 작성
  • 디지털 서비스: 디지털도서관, 국가전자도서관, 디지털컬렉션, OASIS,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등


3.4. 국회도서관[편집]


  • 주요 기능: 의회정보서비스, 법률정보서비스, 아르고스 서비스
  • 추가 데이터 서비스: 정기간행물 기사색인, 한국박사 및 석사학위논문총목록, 저자명 참조 DB, 용어관계사전 등


3.5. 오픈 액세스 (Open Access)[편집]


오픈 액세스란, 인터넷을 통해 합법적인 목적으로 저작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최근,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오픈 액세스 전환 및 구축 연구와 활동이 활발하며, 여러 학술정보서비스 기관이 이를 지원하고 있다.


4.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편집]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CDRS)란, 도서관 간의 협력을 통해 더 풍부하고 다양한 디지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개별 도서관의 제한된 리소스를 넘어서, 다양한 도서관과의 협력을 통해 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LibAnswers'와 '사서에게 물어보세요'가 있다.


4.1. LibAnswers[편집]


https://www.springshare.com/libanswers/
2002년, 미국 의회도서관과 OCIC가 함께 구축한 QuestionPoint는 세계의 다양한 도서관을 연결하는 참고봉사 협력망으로 알려져 있었다.

2019년에는 Springshare가 OCIC로부터 QuestionPoint를 인수, LibAnswers +Social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Springshare의 플랫폼을 사용하는 도서관 이용자들에게 24/7 참고봉사 서비스를 제공한다.


4.2. 사서에게 물어보세요[편집]


https://www.nl.go.kr/NL/contents/N50203010000.do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운영되는 웹 서비스로, 국민들의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도서관 간의 협력을 통해 정보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도서관 방문 없이 웹을 통해 질의응답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2019년 12월 기준 633개의 도서관이 참여하여 16,565건의 질의응답이 이루어졌다.


4.3. 상세[편집]


최근에는 대학도서관이나 전문도서관에서 연구성과 분석 및 관리 서비스 같은 내부 협력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연구자의 연구 성과 관리, 학술지의 영향력 평가 등의 공통된 목표를 위해 개발되었다.

이 서비스는 장기적으로 연구성과 분석을 위한 오픈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부산대학교 도서관은 이러한 연구성과 분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CMS 플랫폼 기반의 성과분석시스템을 오픈 소스로 공개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20:32:05에 나무위키 디지털 참고봉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