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레마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딜레마(동음이의어) 문서
딜레마(동음이의어)번 문단을
딜레마(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어
양도논법
흑백논리
한자
兩刀論法
영어
Dilemma
일본어
ジレンマ(지렌마)

1. 개요
2. 오남용
3.1. 논리학에서의 '딜레마'
4. 일상에서의 딜레마
4.1. 긍정적인 딜레마
4.2. 부정적인 딜레마
5. 고대의 딜레마
6. 나무위키에 등재된 딜레마들
7. 여담
8. 딜레마의 뿔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두 가지 중 하나를 골라야 하는 상황을 나타내는 말. 주로 해도 문제, 안 해도 문제인 상황에 부합한다.

영어의 어원은 di(두 번) + lemma(제안, 명제). (참고로 영어식 발음은 '딜레마' 혹은 '다일레마' 둘 다 된다. #)


2. 오남용[편집]


흔히 '딜레마' 자체를 '혼돈', '절망'과 같은 뜻으로 잘못 아는 경우가 상당히 있으나 딜레마는 상기했듯이 단순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라는 중립적 표현에 불과하다. 딜레마로 인해 부정적인 상황을 몰고 올 수는 있으나 그 반대로 긍정적인 상황을 몰고 오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다.


3. 논리학[편집]


논리학에서 삼단논법의 특수한 형식 중 하나로[1], 양도논법([2]論法)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편, 선택권이 3가지인데 3가지 모두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은 트릴레마(trilemma)라고 한다.


3.1. 논리학에서의 '딜레마'[편집]


딜레마는 a→(p or q) 이면 p→r, q→r는 양쪽 선택지가 하나의 결과로 수렴하는 '단순 양도 논법'과, a→(p or q) 이면 p→r, q→s로 양쪽 선택지가 각각 다른 결과로 수렴하는 '복합 양도 논법'으로 나뉜다. 물론 복합 양도 논법의 명제 r과 s 모두 주장하는 자가 원하는 결과로 가야 함은 자명하다.


3.2. 거짓 딜레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거짓 딜레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실상은 두 가지 상황이 아니라 세 가지 혹은 그 이상 중에 선택할 수 있는 상황임에도, 상대방이 의도적으로 두 가지 상황만 있는 것처럼 조장하는 것을 뜻한다. 논리학에서는 이를 오류로 받아들였다.

예를 들어 모순 관계가 아닌 것들을 모순 관계로 오인할 때 딜레마의 오류에 빠지게 된다. 즉,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바람직하지 않은 두 개의 선택만이 전부인 것처럼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배중률 자체의 오류가 아니라 그저 배중률을 잘못 사용했을 뿐이다. 예를 들어, ‘만일 어떤 학생이 공부하기를 좋아한다면 그 학생에게는 자극이 필요 없을 것이다. 또 만일 그가 공부하기를 싫어한다면 어떤 자극도 필요 없을 것이다. 학생은 공부하기를 좋아하든지 싫어한다. 그러므로 어쨌든 자극이란 필요 없는 것이다.’ 이 논증에서는 선택지가 불완전하다. 공부하기를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은 모순 관계의 선택지가 아니다. 학생 중에는 공부에 무관심한 태도를 갖는 학생들도 있다. 이런 학생들에게는 자극이 필요하다.


4. 일상에서의 딜레마[편집]



4.1. 긍정적인 딜레마[편집]


합격한 두 회사나 합격한 두 대학을 골라 가야 하는 상황이라면 행복한 딜레마에 빠졌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얼마든지 긍정적인 두 가지의 조건 앞에서 한 가지만 골라야 하는 경우 긍정적인 딜레마라고 할 수 있다.


4.2. 부정적인 딜레마[편집]


국내와 일본, 그리고 영미권에서 주로 이 부정적인 상황을 가리키고 쓴다. 진퇴양난이나 궁지라고 불리기도 한다.

현실에서 이 딜레마에 빠진 상태를 표현할 때 영어로 'Between Skylla and Charybdis'라는 표현이 있다. 직역하면 '스킬라카리브디스 사이에서'라는 뜻. 스킬라와 카리브디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괴물들의 이름이다. 진퇴양난의 곤경에 처했음을 의미하는 또 다른 구어적 표현으로는 'catch-22' (situation) 이라는 것도 있다. 조지프 헬러(J.Heller)라는 소설가가 자신의 작품에서 새로 만들었던 신조어가 대중적 호응을 받아 퍼져나갔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소피스트들의 주무기가 되기도 했다. 파훼법은 1. 상대방이 제시한 선택지 중 하나 이상을 잡아서 반론하는 것[3]과 2. 상대방이 선택지 세팅을 애초에 잘못 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4]


5. 고대의 딜레마[편집]


고대 그리스에서 프로타고라스라고 하는 철학자가 변론술을 가르치고 있었다. 그 중 에우아틀로스라는 제자가 있었는데 그는 수강료를 지불할 경제적 여력이 없었다. 그래서 프로타고라스는 에우아틀로스에게 첫 번째 소송을 수임해서 승소하면 수강료를 지불하라는 조건을 내걸었고 율라투스는 이를 받아들였다. 하지만 에우아틀로스는 프로타고라스에게 변론술을 다 배우고 나서도 소송을 수임하지 않아서[5]

참다 못한 프로타고라스는 '내게 수강료를 지불하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재판정에서 프로타고라스가 말하길

자네는 어떻게 하든 수업료를 내게 되어 있네.

내가 이 재판에서 이기면 자네는 (법정의 판결에 따라) 수업료를 내야 하고, 진다면 첫 번째 소송에 이긴 것이므로 (계약에 따라) 수업료를 내야 한다네.

여기에 에우아틀로스는 (딜레마를 공격하는 방법 세 가지 중 하나인) 되받아치기로 반박한다.

저는 이 재판의 결과가 어떻게 되든 수업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됩니다. 제가 재판에서 진다면 "첫 번째 소송"에서 이기지 못했으므로 (계약에 따라) 수업료를 내지 않고, 이긴다면 (판결에 따라) 수업료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또한 계약 조건으로 봤을 때, 첫 번째 소송에서 이겨서 얻은 금액이 없으므로 내지 않아도 된다.)


이런 식으로 예로부터 상대를 곤란하게 하는 방법으로 이용되어 온 것이 딜레마다. 위의 예시와 같이 소피스트들이 상대를 엿 먹이기 위해서 즐겨 쓴 논법이라고 전해진다.

위의 예시 딜레마의 해답은 이하와 같다.

결국 두 계약의 제한은 "첫 번째 소송"이라는 것이 중요점이므로, 위 소송에서 재판관은 일단 제자 에우아틀로스의 승소 판결을 내린다. 그렇게 되면 제자는 자기가 말한 대로 재판에서 이겼으니 수업료를 내지 않아도 되지만, 동시에 "첫 번째 소송"을 이겼으니 이제 수업료를 지불할 의무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스승은 패소한 후에 다시 한 번 같은 명목으로 재판을 걸면 이번에는 제자의 핑계가 없어진 상태이므로 재판에서 이겨 수업료를 받아낼 수 있다. 이는 2005년 PSAT 언어논리,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영역 A&B형 공통 비문학 지문으로 나왔다.[6]

단, 위의 답변은 법률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의 답이므로 딜레마를 완벽히 해결한 것은 아니다


6. 나무위키에 등재된 딜레마들[편집]




7. 여담[편집]


  • 대한민국 현행법상 형사재판에는 일사부재리의 원칙, 민사재판에는 기판력이 있지만, 조건부로 판결이 난 사건은 다시 재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계약을 한 후 계약금 납부일 이전에 '계약금 미납에 대한 재판'을 하여 주지 않아도 된다고 판결이 났더라도 이후 계약금의 납부 기간이 지난다면 이전과는 다른 법적 효력이 발생한다. 이때 소송을 다시 걸 수 있고 이를 통해 받기로 한 돈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창작물에서는 작가의 역량을 눈여겨볼 수 있는 요소다. 딜레마에 걸려서 말 그대로 '어느 쪽을 선택해도 문제인' 상황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면 보는 사람들이 긴장할 수밖에 없어진다. 그리고 그 상황을 타개하게 되면 독자는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하지만 딜레마와 그 돌파구를 설계하는 것은 복잡한 일이다. 따라서 이를 개연성과 핍진성을 갖추어 설계할 수 있는 작가는 문학적 능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딜레마를 활용한 영화로는 다크 나이트가 있다.[8]


8. 딜레마의 뿔[편집]


딜레마의 뿔(the horns of the dilemma)은 양도논법의 틀을 갖는 삼단논법의 모습이 흡사 성난 짐승의 두개의 뿔에 비유된 논리학의 관용어이다. 진퇴양난의 딜레마상황을 비유하기도 하지만 문제의 핵심을 가리키는 용어로도 사용되며 이러한 맥락에서 뿔 피하기, 뿔 잡기, 반대 딜레마(뿔 되받아치기)와 같은 딜레마에 대응을 염두에 두는 말이기도 하다.


9.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21:58:01에 나무위키 딜레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LOGIC ,INDUCTIVE AND DEDUCTIVE BY WILLIAM MINTO 1893,1915https://www.gutenberg.org/files/31796/31796-h/31796-h.htm PART IV. Chapter VII. III.—The Dilemma.[2] 가 아니다.[3] "딜레마의 뿔을 잡는다" 라고 한다.[4] "딜레마의 뿔을 피한다"라고 한다.[5] 그는 음악가가 되었다. [6] 이 지문에서 오답률 1위 문제가 나왔는데, 지문 자체의 문제를 묻는 것이 아닌 어휘 문제였다.[7] <우는 아기 딜레마>도 등장한다[8] 두 여객선에 탄 사람들에게 조커가 '버튼을 눌러 상대 배를 폭파시키면 살려주겠다'는 게임을 제안한 장면이 있다. 사실 이 영화만의 독창적인 딜레마는 아니고, 죄수의 딜레마를 응용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