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물루스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에 대한 내용은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문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번 문단을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CE774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F0E09, #9F0807 20%, #9F0807 80%, #8F0E09)"
[ 펼치기 · 접기 ]

초대
로물루스
제2대

누마 폼필리우스
제3대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제4대

안쿠스 마르키우스
제5대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제6대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제7대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독재관
황제

기원전 6세기 집정관
기원전 5세기 집정관
기원전 4세기 집정관
기원전 3세기 집정관
기원전 2세기 집정관
기원전 1세기 집정관
1세기 집정관
2세기 집정관
3세기 집정관
4세기 집정관
5세기 집정관
6세기 집정관
7세기 집정관
8세기 집정관
9세기 집정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0_Lupa_Capitolina_%282%29.jpg
암늑대가 로물루스·레무스 형제에게 젖을 물리는 모습을 묘사한 '카피톨리노의 늑대상(Lupa Capitolina)'

1. 개요
2. 일대기
3. 여담
4. 창작물



1. 개요[편집]


고대 로마의 건국자이자 초대 로마 국왕이다.

로마 건국 신화에 따르면 로마(Roma)라는 이름부터가 로물루스(Romulus)에 접미사 '-a'를 붙인 명칭이다. 즉 '로마'는 '로물루스의 땅'이라는 뜻.

그러나 언어학적으로는 'Roma'에서 'Romulus'가 파생되었다는 견해가 더욱 타당하다. 즉 '로마'가 '로물루스의 땅'인 게 아니라 '로물루스'가 '미스터 로마'인 것이다.

2. 일대기[편집]


로마 건국신화에 따르면 어머니의 이름은 레아 실비아. 그녀의 본래 신분은 알바 롱가의 왕 누미토르의 외동딸로 공주였다. 하지만 누미토르의 왕위를 빼앗고 대를 끊으려 한 그의 동생 아물리우스에 의해 베스타(헤스티아) 신전의 사제가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마르스신이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에 반하게 되어 쌍둥이를 임신하게 되었고, 로물루스는 동생인 레무스와 함께 쌍둥이로서 태어나게 된다.[1]

이후 그녀의 자식이 자신의 권력을 뺏어갈까 봐 두려워한 아물리우스 왕에 의해 바구니에 담겨 티베리스 강에 버려지게 된다. 바구니는 강을 따라 흘러가다 팔라티움 언덕[2] 근처의 무화과나무 옆에 도달했고 암컷 늑대에게 건저져 키워지게 된다. 둘은 암컷 늑대의 젖과 딱따구리가 물어다주는 것을 먹으며 지내게 된다.[3][4]

그 후 양치기 파우스툴루스가 둘을 발견해 키우게 된다. 어느 날 레무스가 도둑맞은 양떼에 대한 분쟁에 휘말려 외할아버지 누미토르 앞에 서게 된다. 이를 알게 된 파우스툴루스는 그들에게 출생의 비밀을 알려주었고, 그들이 타고 온 아기 바구니를 누미토르에게 보여주어 레아 실비아의 아들임을 증명하게 된다. 이후 세력을 키운 두 쌍둥이는 아물리우스 왕에게 반감을 품은 사람들을 동원하고 알바롱가 성 안의 사람들을 선동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아물리우스는 결국 굴복하였고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들은 알바롱가의 왕위를 외조부 누미토르에게 돌려주고 파우스툴루스에게 발견되었던 자리에 새로운 도시를 세우기로 한다.

하지만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도시를 세울 자리를 두고 언쟁을 벌이게 된다. 로물루스는 로마 광장이 있는 팔라티움 언덕을, 레무스는 아벤티누스 언덕을 주장했고 독수리 점을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아벤티누스 언덕에 있던 레무스의 머리 위로 6마리의 독수리가 먼저 날아갔지만, 팔라티움 언덕의 로물루스의 위에는 12마리의 독수리가 날아갔다. 그들은 먼저 본 사람이 우선인지, 많이 본 사람이 우선인지 다투다가 전쟁을 벌이게 되었고, 이 전쟁에서 레무스가 죽게 된다.[5][6][7][8]

레무스가 죽은 후 로물루스는 팔라티움 언덕에 도시를 세우고, 자신의 이름을 따서 로마라고 이름짓게 된다. 건국 당시 로물루스는 토스카나에서 불러온 사람들과 고서적들을 통해 신성한 풍습을 비롯한 여러 규칙을 정한다. 건국일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들이 오가지만 고대 로마의 철학자인 마르쿠스 바로의 견해에 따라 기원전 753년 4월 21일로 여긴다. 이날 로물루스는 흰 암소와 수소에 쟁기를 매서 깊은 도랑을 팠고 이를 도시 성벽의 경계로 삼았다고 한다. 이 경계는 성역으로 지정되었고 후에 '포메리움'으로 명명되었다.

로마의 왕이 된 로물루스는 로마에 성인 남성은 많지만 여성의 수가 부족한 것을 보고 이웃 나라들에 사절을 보내 혼인 관계를 맺을 것을 청했다. 하지만 모두 거절당하자 여성들을 납치하기로 한다. 로마의 종교적인 축제에 이웃의 사비니 인들을 초대했고, 축제 도중에 여성들을 납치하고 나머지는 추방하게 된다. 이에 사비니 인의 도시 쿠레스의 왕 타티우스가 이끄는 연합군이 로마를 공격하게 되었다. 몇 년간 지속된 로마-사비니 전쟁은 로마에 정착하게 된 사비니 여성들에 의해 끝나게 되었고,[9] 양국은 합병을 하게 된다.

죽기 전 팔라티움 언덕에 창을 박아넣으며 이곳이 로마라고 선언했고, 그 창에서 자란 나무는 로마의 흥망성쇠를 같이 겪었다는 전설이 있다. 다른 전승으로는 어느 날 천둥 번개가 몰아치며 번개(혹은 짙은 구름)가 그를 감싸며 데리고 갔다고 한다. 하지만 부하들에게 살해당했다는 전승도 있다.[10][11]

로마 신화에 따르면 그는 갑자기 사라지고 나서는 율리우스 프로쿨루스(Julius Proculus) 앞에 나타나 신이 되었다는 말을 남겼으며, 이 신은 퀴리누스라는 이름으로 로마인들에게 중요한 신앙의 대상 중 하나가 되었다.


3. 여담[편집]



  • 2020년에는 로마의 원로원 건물 계단 밑에서 로물루스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무덤이 발견되었다. 링크 그러나 위치상 그럴지도 모른다는 것이지 확정된 것은 아니다. 당장 로물루스의 실존조차도 입증되지 않은 상황이다.



4. 창작물[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28 13:08:54에 나무위키 로물루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9:15:31에 나무위키 로물루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버지가 신이고 어머니가 인간이니 그리스 신화의 반신과 같은 격이라 볼 수 있다. 뭐 로마인들 입장에서야 용비어천가마냥 자신들의 건국시조의 아버지가 인기있는 전쟁의 신인 마르스였다고 하고 싶어 그리한 듯하다.[2] 현대 이탈리아에서는 팔라티노라고 부른다.[3] 늑대와 딱따구리는 마르스에게 바쳐진 신성한 동물이었다.[4] 여기에 재밌는 가설을 하나 소개하자면, 늑대를 지칭하는 라틴어 단어는 'lupa'인데 이는 매춘의 관용적인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했고 단어 'lupanare'는 아예 매음굴을 가리키는 표준적 용어이기도 하다. 이 가설에 따르면 초기 기록에서 쌍둥이를 발견한 것은 늑대가 아니라 그 지역의 매춘부였고 이를 옮겨 적다보니 쌍둥이의 보모가 늑대로 변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의외로 역사가 깊어서 기원전 1세기 역사가 티투스 리비우스가 처음 제기한 가설이다. 물론 이는 로마 신화를 역사의 영역으로 내리는 과정에서 생긴 하나의 합리화일 뿐이고 너무 맹신하지는 말자. 출처- 로마는 왜 위대해졌는가, 메리 비어드.[5] 다른 전설에 따르면 레무스와 로물루스는 군주의 자리를 두고 다투고 있었는데, 갑자기 까마귀 떼가 나타나서는 로물루스에게는 1천 마리가 레무스에게는 500마리가 머리 위에서 날고 있었다. 로물루스가 이것을 보며, "난 도시 1천 곳을 다룰 수 있다는 뜻이지만, 넌 내 절반밖에 안 된다는 것이다." 하고 레무스를 조롱했고, 결국 분노한 레무스와 싸움을 벌인 끝에 레무스의 머리를 돌로 쳐죽였다고 한다. 반대로 로물루스가 세운 울타리를 레무스가 뛰어넘으며 로물루스를 조롱했다가 분노한 로물루스에게 죽었다는 전승도 있다.[6] 여담으로 이 일화를 끝으로 레무스는 전혀 언급되지 않고 신화 내내 비중도 거의 없다. 형제살해(창세기 아담이브의 아들인 형 카인이 동생 아벨을 살인한 것이 인류 1번째 살인이자 형제 살해)라는 막장스러운 일화를 굳이 남겨놓으면서도 쌍둥이 형제를 기록한 이유에 대해서는 아마 단군신화의 곰과 호랑이 이야기같이 초기 로마가 어떠한 서로 다른 시민 계급 혹은 민족 집단들의 융화에서 출발했다는 추측만을 할 수 있다.[7] 또 다른 얘기로는 로물루스의 동료 부하였던 켈레르라는 인물이 레무스를 죽였다는 것이다. 켈레르는 로물루스로부터 성벽 건설과 관리의 책임자로 위임되었다. 이때 로물루스에게 정당한 권리를 빼앗겼다고 생각한 레무스가 그것을 보고는 켈레르에게 건설 중인 성벽을 뛰어 넘는 행위를 보이며 성벽을 조롱하는 말을 했다. 이에 격분한 켈레르가 건설에 쓰이는 연장으로 레무스를 내리쳐 죽였다. 이 전승에 따르면 로물루스는 동생이 죽었다는 사실을 알고는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고 한다.[8] 재밌는 것은 백제의 건국 설화에서도 형제인 비류와 온조가 서로 다른 지역(현재의 인천에 해당하는 미추홀과 현재의 서울 동남부 위례)에 도읍을 정하고 갈라지는 내용이 있다. 이 경우는 전쟁은 하지 않았지만 미추홀에 도읍을 정한 비류가 나중에 자살한다는 전설이 전해진다.[9] 이 때 사비니 여성들이 로마인과 사비니인을 말리며 하는 말이 걸작인데 서로 친족 지간이면서 피를 흘리려고 하냐며 우리가 전쟁의 명분이라면 우리가 죽겠다고 말했다. 아무래도 사비니 여성들이 로마인들에게 반한 모양이다.[10] 후기 로마의 근위대인 '스콜라이 팔라티나'와 '팔라티나 코미타텐세스'의 '팔라티나'는 팔라티움 언덕에서 유래하였으며, 이 팔라티나에서 유래된 영단어가 바로 성기사, 궁정기사를 뜻하는 팔라딘이라고 한다.[11] 만화 로마사에서는 글자로 로물루스는 신들의 부름을 받았다고 써있지만 해당 만화 장면에서는 궁 깊숙한 곳에서 부하들에게 살해당하는 장면을 그려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