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

덤프버전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기본 모드
소환사의 협곡 · 무작위 총력전 · 전략적 팀 전투 · 격전 · 랭크 게임 · AI 상대 대전
이벤트 모드
U.R.F 모드 · 돌격! 넥서스 · 궁극기 주문서 · 아레나 · 기타
챔피언 관련
역할군 · 능력치 · 스킬 · 특수 능력 · 군중제어기(CC) · 소환사 주문 · 스킨
유닛
챔피언 · 구조물 · 포탑 · 미니언
정글
몬스터 · 협곡 바위 게 · 협곡의 전령 · 내셔 남작(바론) · 식물
드래곤
바람 · 대지 · 화염 · 바다 · 마법공학 · 화학공학 · 장로 · 시즌 6 이전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시즌 8 이전
아이템
시작 · 기본 · 서사 · 전설 · 신화 · 소모품 · 장화 · 특수 · 삭제된 아이템
전략
· 정글 · 미드 · 바텀 · 서포터
세계관
챔피언 관계 · 룬테라 · 종족 · 스토리 · 멀티버스 · 유니버스 이전 · 영상 · 음악 · 타임라인 · 지역 · 등장인물 · 세력
월드 챔피언십 · MSI · 시즌 킥오프 · 올스타전 · LCK · LCS · LEC · LPL · 세체 · 역체 논쟁 · 골든로드 · Silver Scrapes ·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문제점
비매너 게임 · 밸런스 · 대리 게임/어뷰징 · 버그 · 스토리 · 팬 문화 · 서포터 혐오
사건 사고
2011~2015 · 2016~2020 · 2021~2025 · 틀:개별 문서가 있는 논란 및 사건 사고
업데이트
패치 내역 · 시즌 · 프리시즌

1557 · 가붕이 · 럼자오자레 · 야 꿀벌 · 전국 우르곳 협회 · 정글차이
기타
시스템 · 서버 · 클라이언트 UI · 인게임 · 도전과제 · 용어 · PBE · 개발자 · 흥행 · 패러디 · 영상 · 감시단의 비상


  [  펼치기 · 접기  ]  
파일:_portrait.png

}}}


## 🔶🔶 틀 닫기 🔶🔶

1. 개요
2. 상세
3. 가격 및 로테이션
3.1. 과거 챔피언 가격 변동 내역
5. 분류 및 기준
5.4. 나무위키 문서 및 틀
7. 챔피언 업데이트 유형
8. 출시 예정인 신규 챔피언
8.1. 드래곤 챔피언
8.2. 여성 바스타야 챔피언
9. 기타
10. 편집 시


1. 개요[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각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캐릭터다. 한국 서버 기준 브라이어까지 165명의 챔피언이 존재한다.

2. 상세[편집]


본래 챔피언 명칭에 관련된 설정이 존재했다. 결투재판대전사(Champion)라는 명칭을 차용한 것에서도 볼 수 있듯 어떻게 그들이 계속해서 부활하며, 어째서 생판 모르는 남이나 친구, 가족끼리도 싸우며, 왜 설정보다 훨씬 더 약한 상대에게도 지는지, 소환사(유저)가 챔피언의 힘을 제약해서 조종하고 그 링크가 서서히 맞추어진다는 설정으로 다 설명이 가능했다. 하지만 챔피언의 잇따른 추가로 스토리 진행이 힘들어지자 소환사 관련 설정은 대폭 축소되고 그냥 챔피언이라는 명칭만 남게 되었다.

게임 내적으로 보자면 아펠리오스를 제외한 모든 챔피언은 패시브 스킬에 더해 스킬의 단축키에 따라 Q, W, E, R(궁극기)에 할당된 4개 이상의 스킬을 가지고 있다.[1] 그리고 골드를 벌어 아이템을 통해 성장한다는 개념 자체는 모든 챔피언이 일치한다.[2] 일반 게임에서는 같은 팀 내에서 동일한 챔피언이 나올 수 없고[3], 랭크 게임에서는 더 나아가 상대팀과 같은 챔피언을 선택할 수 없는 고유한 존재이다.[4]

게임 외적으로 보자면, 신규 챔피언 업데이트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주요 컨텐츠다. 초창기부터 2013 시즌 즈음까지는 무려 2주에 신규 챔피언 하나씩을 찍어냈을 정도다. 그러다가 2014년 이후 '신규' 챔피언 발매 수는 매년 대여섯 명 남짓으로 줄어들었고, 2018년에는 3명까지 떨어지기도 했으나[5] 그만큼 기존 챔피언을 리메이크해주기 때문에 체감 발매 주기는 여전히 빠르다고 볼 수 있다. 예전에 비하면 둔화되긴 했지만 타 AOS 게임들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빠른 편으로 새로운 챔피언의 출시나 구 챔피언의 리메이크 등 챔피언 자체에 대해 커뮤니티에서 평가하는 것을 즐기는 유저들이 많다. 또한 몇몇 챔피언의 경우 몰입감이 크고 고유한 캐릭터로서의 즐길 거리가 많아 게임 밖에서도 창작이나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3. 가격 및 로테이션[편집]


챔피언은 소액 결제 화폐인 RP나 게임 머니인 BE(파랑 정수)로 구매할 수 있다. Xbox Game Pass 가입자나 대한민국PC방에서는 모든 챔피언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RP의 가치는 현금 대비 8배 정도.[6] 즉 최신 챔피언 한 명을 구매하기 위해선 소액 결제시 8000원 대의 적잖은 돈이 나간다. 문제는 챔피언 수가 160명이 훌쩍 넘었기에 챔피언을 전부 현금으로만 소유하려면 현금으로 90만 원 가량이 나간다. 로테이션, 게임 머니로 구매, PC방 이용, Xbox Game Pass 연동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선택의 폭을 넓힐 수는 있으나 자유로운 챔피언 선택은 쉽지 않다. 챔피언 자유 이용권이 없다.[7] 게임을 아주 오래 이용하면서 동시에 돈도 좀 많이 써야 챔피언을 전부 소유할 수 있다. 달리 보면 스킨과 더불어 롤의 주 수입원이다.

13.5 패치부터 도입챔피언 가격 책정 및 인하 정책은 다음과 같다.[8]
  • 챔피언이 처음 출시될 때는 7800 BE(975 RP)로 판매되고, 일주일 후 6300 BE(975 RP)로 인하된다.
  • 출시된 후 세 번째 시즌을 맞는 6300 BE(975 RP) 챔피언[11]은 신규/복귀 플레이어 사용 지표 및 각종 데이터에 따라 아래의 가격 중 하나로 인하된다.
    • 450 BE(260 RP): 신규/복귀 플레이어가 다루기 좋고, 출시된지 여러 시즌이 지난 챔피언
    • 1350 BE(585 RP): 조금은 복잡하지만 진입 장벽이 그다지 높지 않은 챔피언
    • 3150 BE(790 RP): 운용법을 익히기 어렵거나 고도로 전문화된 스킬 구성을 갖춘 챔피언
    • 4800 BE(880 RP): 그 외 대부분의 챔피언
    • 단, ,[9] 벨코즈[10]와 같이 확고한 챔피언 콘셉트가 있는 경우 그에 맞춘 특별한 BE 가격이 적용되고, 신지드, 케일, 라이즈, 트위스티드 페이트 등 오래전에 출시되었지만 초보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챔피언의 경우 신규 플레이어가 무심코 구매하지 않도록 BE 가격은 비싸게, RP 가격은 저렴하게 책정된다.
  • VGU, CGU, 중간 규모 업데이트 등 챔피언의 난이도가 바뀔 경우 가격이 변동될 수 있으며,[12] 그 외의 경우에는 절대 가격이 변경되지 않는다.

챔피언들은 일정 주기로 돌아가며 RP 할인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벤트 패스를 통해 얻은 토큰을 챔피언 파편으로 교환해 파랑 정수로 바꾸거나 온전한 챔피언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등 정가보다 싸게 챔피언을 구할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심지어 아예 과금하지 않더라도 소환사 레벨업을 통해 얻은 캡슐로 챔피언 파편을 수급할 수 있다. 다만 한번에 원하는 챔피언을 다 얻으려면 얄짤없이 많은 과금이 필요하다.

하지만 반드시 챔피언을 구매해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BE가 부족한 소환사들을 위해 라이엇은 소환사의 레벨이 11레벨 미만일 때는 초보자 추천 챔피언[13]을 제공하며, 그 이상인 경우 로테이션 시스템으로 챔피언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 매주 화요일마다 16명[14]의 챔피언이 무작위로 선정된다. 현재 절대 주류 메타인 EU 스타일의 각 포지션의 챔피언들이 고루 정해지며 최근 출시된 챔피언의 경우 출시 후 약 2~3주가 지나고부터 로테이션 리스트에 올라간다.[15] 예외는 출시 일주일 만에 로테이션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세라핀벡스크산테. 전부 롤드컵 시즌에 출시되는 챔피언들이다.

그 외에도 이벤트성으로 로테이션 챔프를 선정하기도 한다. 2014시즌 슈리마 이벤트에서는 슈리마에 관련된 챔피언까지 로테이션에 더해진 적이 있다. 평소보다 2배는 많은 챔피언을 무료로 쓸 수 있게 되는 것. 심지어 운영진의 장난으로 보라색 챔피언만으로 로테이션이 나오기도 했다.

단, 랭크 게임에서는 로테이션 챔피언을 쓸 수 없다. 일부 이용자들이 하지도 못하면서 재미있어 보인다고 해보지도 않은 챔피언을 픽하거나, 랭크 게임에 참가할 머릿수만 맞추려고 한 행동을 보여 불만이 속출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랭크게임에 참여하려면 최소 20명의 챔피언(밴픽 10 + 중복픽 9 + 본인픽 1)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브라이어까지 출시된 현재, 모든 챔피언을 정가로 사려면 파란정수 약 60만개가 필요하다.

3.1. 과거 챔피언 가격 변동 내역[편집]


쓰레쉬 출시 시점부터 13.4 패치(밀리오 출시 직전)까지는 아래의 규칙에 따라 가격이 변동됐다.
  • 챔피언이 처음 출시될 때는 7800 BE(975 RP)로 판매되고, 일주일 후 6300 BE(975 RP)로 인하된다.
  • 신규 챔피언 출시 시점에 6300 BE(975 RP) 챔피언 중 가장 오래된 챔피언[16]은 4800 BE(880 RP)로 인하된다(정기 가격 인하).
  • 3번째 신규 챔피언이 출시될 때마다 출시일 및 난이도에 의해 결정된[17] 4800 BE(880 RP) 이하 챔피언 중 한 명은 아래 티어로 가격이 인하된다(특별 가격 인하).
  • 한 번 가격이 인하된 챔피언은 챔피언 업데이트를 받더라도 절대 가격이 다시 오르지 않는다.

위 정책에 따라 가격이 변동된 챔피언 목록은 아래와 같다. 발매일은 각 나라에 상관없이 최초로 PBE를 제외한 서버에 플레이어블로 나온 것을 기준으로 기재하였다.
발매일
순서
출시 챔피언
정기 가격 인하 챔피언
특별 가격 인하 챔피언
2013년 1월 23일
110번째
쓰레쉬
요릭
우디르
2013년 3월 1일
111번째

레오나
-
2013년 3월 29일
112번째
자크
오공
-
2013년 4월 30일
113번째
리산드라
스카너
워윅
2013년 6월 13일
114번째
아트록스
탈론
-
2013년 8월 22일
115번째
루시안
리븐
-
2013년 10월 10일
116번째
징크스
제라스
미스 포츈
2013년 12월 13일
117번째
야스오
그레이브즈
-
2014년 2월 27일
118번째
벨코즈
쉬바나
-
2014년 5월 12일
119번째
브라움
피즈
신 짜오
2014년 8월 14일
120번째
나르
볼리베어
-
2014년 9월 16일
121번째
아지르
아리
-
2014년 11월 20일
122번째
칼리스타
빅토르
아무무
2014년 12월 11일
123번째
렉사이
세주아니
-
2015년 3월 12일
124번째
바드
직스
-
2015년 5월 28일
125번째
에코
노틸러스
쉬바나
2015년 7월 9일
126번째
탐 켄치
피오라
-
2015년 10월 14일
127번째
킨드레드
룰루
-
2015년 11월 24일
128번째
일라오이
헤카림
람머스
2016년 2월 1일
129번째

바루스
-
2016년 3월 24일
130번째
아우렐리온 솔
다리우스
-
2016년 5월 18일
131번째
탈리야
드레이븐
신지드
2016년 8월 10일
132번째
클레드
제이스
-
2016년 10월 6일
133번째
아이번
자이라
-
2016년 12월 7일
134번째
카밀
다이애나
갈리오
2017년 4월 19일
135번째
자야
렝가
-
136번째
라칸
신드라
-
2017년 7월 12일
137번째
케인
카직스
모데카이저
2017년 8월 23일
138번째
오른
엘리스
-
2017년 11월 21일
139번째
조이
제드
-
2018년 3월 7일
140번째
카이사
나미
문도 박사
2018년 5월 31일
141번째
파이크
바이
-
2018년 12월 5일
142번째
니코
쓰레쉬
-
2019년 1월 25일
143번째
사일러스

블라디미르
2019년 5월 14일
144번째
유미
자크
-
2019년 6월 28일
145번째
키아나
리산드라
-
2019년 11월 10일
146번째
세나
아트록스
트런들
2019년 12월 11일
147번째
아펠리오스
루시안
-
2020년 1월 14일
148번째
세트
징크스
-
2020년 7월 22일
149번째
릴리아
야스오
볼리베어
2020년 8월 6일
150번째
요네
벨코즈
-
2020년 9월 21일
151번째
사미라
브라움
-
2020년 10월 30일
152번째
세라핀
나르
이즈리얼
2020년 12월 10일
153번째

아지르
-
2021년 1월 22일
154번째
비에고
칼리스타
-
2021년 4월 16일
155번째
그웬
렉사이
아리
2021년 7월 23일
156번째
아크샨
바드
-
2021년 9월 24일
157번째
벡스
에코
-
2022년 1월 21일
158번째
제리
탐 켄치
소나
2022년 2월 18일
159번째
레나타 글라스크
킨드레드
-
2022년 6월 8일
160번째
벨베스
일라오이
-
2022년 7월 15일
161번째
닐라

레오나
2022년 11월 5일
162번째
크산테
아우렐리온 솔
-


4. 출시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출시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분류 및 기준[편집]



5.1. 역할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역할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지역 및 국가[편집]





데마시아 챔피언(보기/접기)


아이오니아 챔피언(보기/접기)


필트오버 챔피언(보기/접기)


그림자 군도 챔피언(보기/접기)


녹서스 챔피언(보기/접기)


빌지워터 챔피언(보기/접기)


자운 챔피언(보기/접기)


공허 챔피언(보기/접기)


이쉬탈 챔피언(보기/접기)


슈리마 챔피언(보기/접기)


타곤 챔피언(보기/접기)


프렐요드 챔피언(보기/접기)


밴들 시티 챔피언(보기/접기)


룬테라 챔피언(보기/접기)




5.3. 소환사의 협곡 포지션[편집]








5.4. 나무위키 문서 및 틀[편집]




6. 챔피언 관계도[편집]


챔피언간의 우호, 적대적인 관계를 다룬다. 설정이 바뀌기 전의 내용 또한 다룬다.

7. 챔피언 업데이트 유형[편집]


챔피언 출시 및 업데이트 예정 순서[18]
흐웨이

스카너[VGU]

티모, 리 신[ASU]

  • 비주얼 및 게임플레이 업데이트(VGU[* Visual and Gameplay Update]): 기존 챔피언의 모든 면을 새롭게 탈바꿈 하는 대규모 업데이트. 전반적인 게임플레이 방식과 모델,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한 비주얼까지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테마나 서사 등도 최소 약간씩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 종합 게임플레이 업데이트(CGU[* Comprehensive Gameplay Update]): 모델과 테마, 서사는 그대로 유지하고 스킬 구성 등 게임플레이를 처음부터 다시 기획하는 업데이트다.
  • 아트 및 지속 가능성 업데이트(ASU[* Art and Sustainability Update]): 오래된 챔피언의 특정 비주얼 부분을 업데이트하며 그 중 목과 손목같은 어색한 신체부위, 낙후된 애니메이션 동작, 시대에 뒤떨어진 의상과 음성 대사 등을 수정한다. 챔피언 팀이 아닌 개인화(스킨) 팀에서 작업한다.
  • 중간 규모 업데이트[20]: 시대에 뒤떨어지는 챔피언을 전반적으로 개선하는 업데이트. 주기적으로 하는 단순 버프 및 조정이 아니며, 그렇다고 챔피언의 기본적인 게임플레이 방식이 크게 변화하는 업데이트도 아니다. 말 그대로 '중간 규모' 업데이트. 챔피언 팀이 아니라 협곡 팀에서 작업한다.
    • 라이즈[19], 트위치, 소라카(4.17), 잭스(13.1), 유미(13.5), 니코(13.9), (13.11)

보통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상단에 서술된 챔피언 업데이트 유형 명칭들을 포괄하여 리메이크, 혹은 리워크로 칭한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업데이트인 VGU와 CGU는 리메이크로, 비교적 간단한 수준인 중간 규모 업데이트는 리워크로 통칭되며[21], ASU는 비주얼 업데이트라고 주로 부른다.

8. 출시 예정인 신규 챔피언[편집]


대략 2019년을 기점으로 라이엇에서는 개발 중이거나 출시 및 리메이크 예정인 챔피언들을 공식 영상, 개발자 블로그 등에서 직간접적으로 자주 언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사일러스가 새롭게 출시 되기 전에는 패트리사이트 사슬을, 유미는 노라의 책을 이미지로 연상시키던 식.

아래는 라이엇이 직접 언급한 출시 예정 챔피언들 관련 떡밥이다.

이전까지는 챔피언별 출시 주기가 불규칙했으나[22] 개발자 블로그에 의하면 2020년을 기점으로 가장 인기가 많으며 주로 기용되는 챔피언간의 플레이스타일이 판이하게 다른 미드 포지션를 제외하고 매년 포지션마다 새로운 챔피언을 1명씩, 미드 포지션은 2명씩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2022 시즌 챔피언 영상에서는 두 챔피언의 출시 연기에 따라 2022년의 신규 챔피언 출시 일정을 계획할 때 각 챔피언에게 충분한 시간을 쏟으려면 이전부터 계획했던 일정[23]대로 챔피언을 제작할 수 없다는 것을 뚜렷하게 인지했으며, 가능한 많은 챔피언을 소개하고 싶지만 완벽하게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출시하는 것을 지양한다는 점을 명목삼아, 2022년에는 출시 속도를 늦춘다고 발표했다. 고로 여러 해에 걸쳐서 모든 공격로에 챔피언을 출시할 계획이며 매년 모든 포지션의 챔피언을 출시하지 못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그럼에도 마법사와 암살자 챔피언을 균등하게 출시할 수 있도록 인기가 많은 중단 공격로의 챔피언과 관련한 언급에서는 조금 더 자주 출시할 예정이라는 것을 밝혔다.

결국 이에 대해 어느 정도는 한계가 있었는지, 2024년부터는 신챔 발매 주기는 줄이고, 기존 챔피언의 내실을 다지겠다는 안내를 했다.



8.1. 드래곤 챔피언[편집]


성장 중인 꼬마 용 모습의 원거리 딜러 챔피언. 나피리에 이은 크리처 형태의 챔피언이다.

8.2. 여성 바스타야 챔피언[편집]


프렐요드 고산지대의 숲 출신으로 포지션은 단독 라인. 프렐요드 곳곳을 여행 중이며 눈에 안보이는 것을 보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개발자 블로그에서 제작진은 "Running around before breakfast is tough"[24]라는 표현을 사용했는데, 이것이 Rabbit, 즉 토끼역두문자어가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토끼 바스타야가 나올 것이라는 주장이 심심치 않게 보이고 있다.

9. 기타[편집]


초창기 챔피언들은 한국어 더빙을 제대로 하지 않아서 대사만 더빙하고 웃음소리, 스킬 기합 보이스, 사망 시 나오는 비명 등은 북미 음성을 그대로 가져와 썼다. 덕분에 갭이 커서 이상하게 들리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정혜원이 담당한 르블랑이나 미스 포츈 같은 캐릭터들은 평소 목소리와 전혀 다른 굵직한 웃음소리가 압권이다.

2020 시즌 스킨 & 이벤트 영상에서 라이엇이 언급한 가장 인기 많은 챔피언들은 럭스, 이즈리얼, 아리, 카이사라고 한다. 또한 유저수가 많고 스킨이 잘 팔리는 챔피언은 배경으로 지나간 것으로 보아 아칼리, 야스오, 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언급한 챔피언 모두 스킨 출시텀이 짧은 편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가 한국 게임계에서 워낙 독보적인 입지에 오르다 보니 타 게임에서도 캐릭터를 챔피언이라 일컫는 경우가 있다.

이전에는 미형이 아니더라도 다양하고 개성적인 챔피언이 자주 출시되었으나, 2017년의 자야&라칸의 출시를 기점으로 오른을 제외하면 계속해서 미형의 인간형 챔피언만 주기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개발자 블로그에 의하면 사람들에게서 많은 공감과 관심을 받는 캐릭터들이 대부분 인간형이었으며, 세계의 더 다양한 인종과 외형의 챔피언을 디자인하기 위해 2018년을 기점으로 범용 챔피언(미형의 폭넓은 유저층의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비율을 70%, 틈새 챔피언(소수의 매니아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비율을 30%로 확립했다고 한다.[25] 이 이후 출시된 챔피언들 중 객관적으로 미형과 거리가 먼 챔피언들은 섬뜩한 비주얼을 가진 파이크나 헤어스타일이 많이 난해한 , 공허 괴수인 벨베스 정도뿐이다.

특히 남성 챔피언들은 남성미를 강조하기 위해 상반신을 노출한 상의탈의 디자인이 많아졌다. 사실 많아진 정도가 아니라, 라칸 이후 출시된 인간형 남성 챔피언들 중 제대로 의복을 차려입은 게 아펠리오스크산테, 밀리오뿐이다![26] 물론 다들 이유없이 벗어던진 건 아니고 챔피언 설정상 납득이 가는 디자인이지만[27] 노출이 심해진 것은 사실이다. 라이엇도 이를 인지하고 있는지 공식 스토리나 챔피언 설정 등에서 자학 개그 소재로 사용하고 있다.[28] 여성 챔피언들도 남성 챔피언 만큼은 아니더라도 자야, 카이사, 사미라처럼 섹시함을 강조하거나 릴리아, 세라핀, 그웬처럼 귀여움을 강조하는 등 미형 챔피언이 나오는 비율이 대폭 늘었다. 칼리스타, 일라오이, 렉사이 등 개성적인 여성 챔피언이 많이 나오던 시절과는 대조적. 그리고 2022년에는 비인간형의 괴물 챔피언을 출시하겠다고 했으나 Reav3가 레딧에 올린 코멘트에 따르면 비인간형 괴물 챔피언은 2023년 초에나 공개될 것 같다고 언급하였다. 더불어 벨베스는 비인간형 괴물 챔피언이 아니라 괴물형 인간을 목표로 개발하였으나 개발하면서 훨씬 더 괴물 형태에 가까워졌다고 한다. 바로 윗문단에서 언급한 개발자 블로그에서도 맨 마지막에 '괴물 같은 챔피언을 좋아하신다면 2022년에는 인간형 범주에 속하지만 마음에 드실 만한 챔피언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라고 했었는데, 이것이 바로 벨베스이다.

라이엇 측에서 챔피언들의 신장, 체중, 쓰리사이즈 등과 같은 신체 프로필을 공식적으로 수치화해서 공개한 적은 없다. 인터넷상에서 떠도는 챔피언들의 신체 프로필 자료들은 유저들이 배경, 일러스트, 시네마틱 영상 등을 토대로 추정한 수치일 뿐 공식 설정은 아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아케인의 등장인물들은 공식 신장이 맞다.#

9.1. 챔피언의 능력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능력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2. 챔피언의 특수 능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특수 능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편집 시[편집]


각각의 챔피언 문서 생성 및 편집은 템플릿: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을 참고하세요.

새로운 챔피언이 추가되면 해당 역할군/지역에 가나다 순으로 추가해주세요.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7:49:26에 나무위키 리그 오브 레전드/챔피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패시브에 사실상의 액티브 효과를 갖고 있는 경우, 일부 스킬에 스킬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형태에 따라 4개 이상의 액티브 스킬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등 다양한 케이스가 있지만, 4개의 키에 스킬이 할당되지 않은 챔피언은 아펠리오스뿐이다. 아펠리오스는 Q와 R을 공격 스킬로, W를 무기 교체 키로 사용하지만, E키는 아예 사용하지 않으며 스킬 포인트를 스킬 대신 패시브의 추가 능력치에 투자한다.[2] 아이템의 효과를 온전히 누리지 못하는 경우는 있어도 아이템을 산다고 오히려 약해지는 경우는 없다.[3] 비공개 선택 게임의 경우 적팀에서도 같은 챔피언이 선택 가능한데 같은 포지션까지 갈 경우 미러전이라고 해서 각 플레이어의 실력이 여실히 드러나는 싸움이 되기도 한다.[4] 밴픽 대사의 예를 들어, 챔피언을 금지당해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 해당 챔피언이 "밴 대사"를 말하는데, 상대가 챔피언을 가져가서 사용하지 못히게 되는 경우는 밴 대사가 출력되지 않고 밴 효과음만 나온다. 이미 챔피언이 자신을 선택해준 상대 팀에게 가버려서라고 생각할 수 있다.[5] 2018년에는 신규 챔피언 출시보다는 기존 챔피언 리메이크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 해 평소보다 많은 5명의 챔피언이 리메이크되었다.[6] 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RP 가격이 오를 수 있다.[7] Game Pass 구독 및 연동을 하면 모든 챔피언을 플레이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플레이 가능한 상태'가 될 뿐 실제 '구매'한 챔피언처럼 스킨을 구매할 수는 없다.# 내부적으로는 로테이션/PC방 혜택과 동일한 판정으로 작동한다.[8] 해당 정책 적용과 함께 많은 챔피언의 가격이 재조정되었으며, 절반 정도의 챔피언 가격이 인하되었다.#[9] 숫자 4 콘셉트를 따라 4444 BE(880 RP)로 책정.[10] 원주율 콘셉트를 따라 3141 BE(790 RP)로 책정.[11] 즉, 2023 시즌에 출시된 챔피언은 2025 시즌 개시 시점에 가격이 인하된다.[12] 불가피한 가격 인상이 발생할 경우 사전에 가격 인상이 예고된다.[13] 2021 시즌 기준 다이애나, 리븐, 모르가나, 모데카이저, 베이가, 소나, 워윅, 이즈리얼, 케인, 트리스타나. 초보자 추천 치고는 최고난이도 챔프언중 하나가 섞여있다.[14] 전체 챔피언 수의 10%. 최초에는 10명이었고, 2017년 8월 1주차부터 2019년 9월 1주차까지는 14명이었다.[15] 북미 서버에서는 트리스타나가 라이엇걸 스킨과 함께 거의 뿌리다시피 주는 챔피언이라 로테에 잘 올라가지 않는다.[16] 인하 간격은 32명.[17] 출시 순서를 정확히 반영하지는 않는다.[18] 상황에 따라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VGU] [ASU] [19] 이 부문의 왕도. 소규모 및 중간 규모 업데이트를 모두 포함해 총 다섯 번의 업데이트를 받았다.[20] Midscope Update[21] 사실 리메이크든 리워크든 사전적인 의미 차이는 크지 않지만 국내 커뮤니티에서 관습적으로 굳어진 용법이다[22] 예를 들어, 소환사의 협곡 내 포지션과 역할군, 혹은 챔피언별 출생과 거주 도시, 남/녀 인원수와는 관계없이 챔피언을 출시하거나 챔피언 리메이크와의 병행하거나 한 해에 신규 챔피언이 많으면 5명 적으면 단 3명(2018년) 출시되는 등과 같은 일이 적지 않았다.[23] 매년 포지션마다 신규 챔피언을 1명씩 미드 포지션은 2명씩 출시[24] 아침밥 전에 뛰어다니기란 힘듭니다.[25] 웃긴 건 2020년에는 세트-릴리아-요네로 아이오니아 챔피언이 3연속으로 등장했고 2021년에는 비에고, 그웬, 벡스로 그림자 군도 챔피언만 3명이 나오는 등 오히려 지역 획일화가 심해졌다. 다만 이는 2020년 영혼의 꽃 이벤트를 기점으로 해당 지역의 핵심적인 스토리를 진행하면서 이중에서 핵심적인 인물을 추리면서 생긴 현상이다.[26] 인간형이 아닌 챔피언까지 포함하면 오른도 의복을 제대로 차려입었다.[27] 라칸은 직업이 춤꾼이고, 케인은 다르킨 무기 라아스트의 영향 때문에, 사일러스는 에초에 쫓기는 신세인 탈옥수라 옷이 중요한게 아닐 뿐더러 양팔을 구속한 페트리사이트 사슬로 인해 상의를 입고 싶어도 입을 수가 없고 세트는 직업이 격투 선수 겸 투기장 관리인이라 근육을 드러낸 것으로 보이며 아크샨은 활동지역이 더운 슈리마이다. 그리고 파이크, 요네, 비에고는 옷을 제대로 입었냐를 논하기 전에 셋 다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므로...[28] 예시로 케인은 공식 코믹스에서 아칼리에게 노출증 환자 소리를 들었고, 2021 시네마틱 "면죄"에서는 감시자 스킨을 입은 그레이브즈"왜 다들 웃통은 벗고 난리야?!"라는 대사를 치며, 아크샨은 공식 배경 도입부부터 "상반신을 드러낸 아크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