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 갑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마포구/정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마포구 갑
아현동, 공덕동, 도화동, 용강동 등
麻浦區 甲
Mapo A



파일:국회선거구 마포구 갑.svg

선거인 수
157,500명 (2020)
상위 행정구역
서울특별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마포구 일부
아현동, 공덕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신설년도
1988년
이전 선거구
마포구·용산구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정훈




1. 개요[편집]


좁은 의미의 '마포'가 바로 이 지역으로, 도심과 마찬가지로 일제강점기부터 서울시여서 각 행정동별 면적이 작은 편인데다가 아파트 등 고층건물의 밀도가 매우 높은 탓에 지도상으로 을 선거구와 비교해 보면 3분의 1도 될까말까한 상당히 작은 면적의 선거구이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마포구 갑 지역을 동마포라고 부른다. 마포구 을 지역은 서마포라고는 안 하고 홍대거리-망원동을 따라서 홍대망원지구라고 부른다.

대체로 공덕오거리 주변 생활권으로, 집 가까이 공덕역 근처로 출퇴근하거나, 광화문이나 여의도 등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이 많이 살고 있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소속 비례대표 포함 재선 조정훈 의원이다.

홍대입구와 상암동 DMC를 끼고 있는 마포구 을에 비해 보수세가 강한 편이다. 특히 아현동과 도화동 지역이 보수세가 강한 편이라 각종 선거에서도 이기거나 지더라도 접전 양상이 제법 벌어지는 편이다. 다만 정의당 입장에서도 그나마 조직력이 탄탄한 마포구 을 지역구보다 지지세가 약한 지역이라, 오히려 보수정당 출마자 입장에서 보았을 때 3파전 양상이 될 수 있는 마포구 을이 의외로 난이도는 더 쉬울지 모른다는 주장도 간혹 있다.

마포구 갑 지역은 여의도 및 용산과 접해있어 입지가 좋은데다가, 공덕역을 중심으로 업무지구와 아현뉴타운[1]이 조성되어 있어 부동산 가격이 높아 아무래도 종부세같은 부동산 관련 세금에 상대적으로 민감할 수밖에 없는 지역이다.[2] 또한 공덕역 등지에 보수정당 지지층이 많은 노령층이 많이 사는 것도 그나마 강북에서 보수정당 지지세가 있는데 일조했다.

그래서 1990년대 이후 선거 결과를 보면 박명환 의원이 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 보수정당 3선 연임을 하고, 허니문 선거로 구도 자체가 기운 18대 총선에서도 한나라당 강승규 후보가 당선되기도 했다. 다만 2012년 19대 총선부터는 내리 민주당이 승리하고 있다. 특히 노승환-노웅래 부자가 도합 9선을 기록한 서울에서 가장 유명한 세습 선거구(...)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하지만 2021년 서울시장 재보궐선거 및 2022년 대선에서는 국민의힘이 승리했기 때문에 2024년 총선의 결과가 주목되는 지역구였다. 2024년 22대 총선에서 국민의힘의 조정훈 후보가 초 접전끝에 당선되었다.

마포구 갑은 마포구 내에서 재개발, 재건축 사업이 몰린 지역구이다. 마포구 을 지역은 합정역 일대와 성산시영아파트 재건축을 제외하면 제대로 재개발, 재건축을 추진하는 지역이 없다. 망원동도 핫플레이스로 뜨긴 했지만 재개발이 한 차례 무산된 지역이라 젠트리피케이션이 어느정도 벌어져야 다시 재개발이 이뤄질 것이고... 반면 마포구 갑 지역은 신수동, 현석동, 대흥동, 염리동, 공덕동, 도화동 등 지역 전역에 대규모 재개발, 재건축 광풍이 불어닥치는 곳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편집]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비고
마포구
제헌
김상돈

[[무소속|
무소속
]]

1948년 5월 31일 ~ 1950년 5월 30일

마포구 갑/을[3]
제2대
오성환

[[대한국민당(1949년)|
대한국민당
]]

1950년 5월 31일 ~ 1954년 5월 30일
마포구 갑
이종현

[[무소속|
무소속
]]

마포구 을
제3대
김상돈


1954년 5월 31일 ~ 1958년 5월 30일
마포구 갑
함두영

[[자유당(1951년)|
]]

마포구 을
마포구
제4대
김상돈


1958년 5월 31일 ~ 1960년 7월 28일

제5대
1960년 7월 29일 ~ 1960년 12월 3일
서울시장 출마로 인한 사퇴.
신상초
1961년 2월 11일 ~ 1961년 5월 16일

마포구
제6대
박순천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3년 12월 27일 ~ 1967년 6월 30일

제7대
김홍일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67년 7월 1일 ~ 1971년 6월 30일
제8대
노승환
1971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7일

마포구·용산구
제9대
김원만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노승환
제10대
박경원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노승환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제11대
봉두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김재영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제12대
노승환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년 4월 11일 ~ 1988년 5월 29일
봉두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마포구 갑
제13대
노승환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제14대
박명환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제15대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제16대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제17대
노웅래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제18대
강승규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
노웅래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2020년 5월 30일 ~ 2024년 5월 29일
제22대
조정훈

2024년 5월 30일 ~
마포구는 무려 제헌 국회 시절부터 서울 소속으로 별도의 선거구가 있었던 곳인 만큼 이 곳을 거쳐간 인물들의 면면이 만만치 않다. 제헌국회에는 마포구 통합 선거구(서울 제8선거구)였다가 2대 총선때부터 이미 마포 갑, 을로 분구가 되었다. 이후 4~8대 총선에서는 다시 마포 단독선거구였다가 9~12대 총선때까지는 용산구와 함께 1개의 선거구를 구성[4]하기도 했다. 현재의 마포 갑, 을 선거구가 구성된 것은 1988년 13대 총선부터였는데 이때부터 지금까지 별다른 변화 없이 선거구가 유지되어 왔다.

예로부터 야당 강세였던 서울에서 가장 오래된 선거구 중 하나였던 만큼 제헌국회 시절부터 꾸준히 민주당계 정당 소속 또는 이와 가까운 인물들이 꾸준히 선출되어왔다. 초대 의원인 김상돈서울특별시장, 최초의 여성 당대표였던 박순천 의원, 독립운동가 출신 김홍일 장관, 노승환 국회부의장 등의 걸출한 인물들이 많이 나왔다. 어찌 보면 종로구만큼이나 서울에서 비중이 작지 않은 곳이기도 하다. 하지만 2대 총선에서는 대한국민당 오성환, 이종현 후보가 당선되었고, 중선거구제 전환 이후에는 민주공화당 박경원, 민주정의당 봉두완 등이 당선되기도 했다.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포구 갑
아현1동, 아현2동, 아현3동, 공덕1동, 공덕2동, 신공덕동,
도화1동, 도화2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명환(朴明煥)
29,836
2위

29.48%
낙선
2
박홍섭(朴弘燮)
25,012
3위

24.71%
낙선
3
노승환(盧承煥)
36,134
1위

35.71%
당선
4
이종순(李鍾淳)
10,203
4위

10.08%
낙선

선거인 수
150,678
투표율
67.73%
투표 수
102,047
무효표 수
862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포구 갑
아현1동, 아현2동, 아현3동, 공덕1동, 공덕2동, 신공덕동,
도화1동, 도화2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명환(朴明煥)
39,098
1위

40.66%
당선
2
김용술(金容述)
31,437
2위

32.70%
낙선
3
김재영(金在映)
17,716
3위

18.42%
낙선
4
김경민(金慶珉)
5,137
4위

5.34%
낙선
5
고명관(高明觀)
1,622
5위

1.68%
낙선
6
진영환(陣榮煥)
1,125
6위

1.17%
낙선

선거인 수
144,540
투표율
67.26%
투표 수
97,222
무효표 수
1,087


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포구 갑
아현1동, 아현2동, 아현3동, 공덕1동, 공덕2동, 신공덕동,
도화1동, 도화2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명환(朴明煥)
31,022
1위

40.79%
당선
2
김용술(金容述)
26,817
2위

35.26%
낙선
3
김용(金龍)
5,962
4위

7.83%
낙선
4
고순례(高順禮)
11,338
3위

14.90%
낙선
5
고명관(高明觀)
910
6위

1.19%
낙선

선거인 수
129,561
투표율
59.85%
투표 수
77,545
무효표 수
1,496


2.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포구 갑
아현1동, 아현2동, 아현3동, 공덕1동, 공덕2동, 신공덕동,
도화1동, 도화2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명환(朴明煥)
33,909
1위

47.58%
당선
2
김윤태(金侖兌)
32,100
2위

45.04%
낙선
3
이종순(李鍾淳)
1,911
4위

2.68%
낙선
4
진영환(陣榮煥)
820
5위

1.15%
낙선
5
서상영(徐祥榮)
2,519
3위

3.53%
낙선

선거인 수
129,887
투표율
55.30%
투표 수
71,826
무효표 수
567


2.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포구 갑
아현1동, 아현2동, 아현3동, 공덕1동, 공덕2동, 신공덕동,
도화1동, 도화2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신영섭(申英燮)
31,693
2위

39.09%
낙선
2
정형호(鄭亨浩)
6,514
3위

8.10%
낙선
3
노웅래(盧雄來)
35,842
1위

44.21%
당선
4
정관용(鄭寬容)
3,783
4위

4.66%
낙선
5
조영권(曺永權)
506
6위

0.62%
낙선
6
강영원(姜榮元)
2,672
5위

3.29%
낙선

선거인 수
131,628
투표율
62.04%
투표 수
81,669
무효표 수
599


2.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포구 갑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노웅래(盧雄來)
28,523
2위

45.38%
낙선
2
강승규(姜升圭)
30,203
1위

48.05%
당선
4
윤성일(尹成一)
3,204
3위

5.09%
낙선
6
남기준(南基俊)
922
4위

1.46%
낙선

선거인 수
138,661
투표율
45.80%
투표 수
63,512
무효표 수
660
2대째 마포구에서 정치를 하고 있는 노씨 집안 가문의 특성상 쉽지 않은 싸움이 예상되었지만, 김근태 의장의 지역구였던 도봉구 갑과 마찬가지로 민주노동당과 진보표가 갈려 강승규 후보가 신승하였다. 그러나 서울 대부분의 지역에서 민주당이 한나라당에게 털렸다는 것을 생각하면 노웅래 후보도 나름 선전하기는 했다.


2.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포구 갑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신영섭(申英燮)
31,104
2위

42.83%
낙선
2
노웅래(盧雄來)
39,398
1위

54.25%
당선
6
정형호(鄭亨浩)
2,119
3위

2.91%
낙선

선거인 수
128,869
투표율
56.79%
투표 수
73,190
무효표 수
569
터줏대감 노웅래답게 12%p 차이에 가까운 표차로 넉넉하게 승리했다.


2.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포구 갑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대희(安大熙)
28,429
2위

33.20%
낙선
2
노웅래(盧雄來)
44,451
1위

51.92%
당선
3
홍성문(洪聖文)
7,786
3위

9.09%
낙선
5
이상이(李相二)
1,295
5위

1.51%
낙선
6
강승규(姜升圭)
3,649
4위

4.26%
낙선

선거인 수
136,193
투표율
63.44%
투표 수
86,401
무효표 수
791
현역인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은 단수추천으로 공천받아 3선에 도전한다.

새누리당에서는 당초 18대 국회의원을 지낸 강승규 전 의원이 출마를 준비하고 있었으나, 당에서는 되레 안대희 전 대법관[5]을 당에서 전략공천하자 이에 극렬 반발하고 탈당,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여기에 국민의당 홍성문 후보까지 가세하면서 2여2야의 선거 구도가 만들어졌다.

안대희에 맞서 같은 법관 출신 조응천을 전략공천한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지만, 조응천은 최재성 의원의 지역구였던 남양주시 갑에 전략공천되었고, 최종적으로 지역 터줏대감 노웅래가 3선에 도전하게 되었다.

사실 원래 마포구 자체가 새누리당으로서는 전력으로 붙어도 승리를 장담하기 힘든 민주당계 정당텃밭인데, 강 전 의원의 무소속 출마로 지역 조직이 크게 동요한데다가 안 전 대법관이 정계에 처음 입문한 고위 법관 출신들의 고질병이라고 할 수 있는 숙이고 들어가는 친화력의 부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예상보다도 더 큰 차이로 참패를 당하고 말았다.

출구조사에서부터 51%대34%로 노웅래 후보에게 크게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개표 결과에서는 차이가 더 벌어지며 52%대33%라는, 서울특별시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큰 표차로 참패했다. 물론 관악구, 구로구와 함께 서울 진보의 심장이라 불리는 마포구이나, 안대희는 한때 국무총리 후보로까지 거론되었던 나름 거물인지라 20%p차의 참패는 정치적으로 매우 치명적이었다. 결국 안대희는 이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불출마를 선언하며 사실상 정계를 은퇴하였다.

여론조사는 접전이었던 가운데 다들 하나같이 야권의 근소 우세를 점쳤지만, 20대 총선의 수도권 여론조사가 다 그랬듯이 실제 개표 결과는 현역 노웅래 의원의 여유 있는 낙승으로, 안 대법관이 마포 출마를 선언하며 외쳤던 험지 차출론을 본인의 낙선으로 셀프 인증을 하고만 셈이 됐다.


2.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포구 갑
아현동, 공덕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노웅래(盧雄來)
53,160
1위

55.99%
당선
2
강승규(姜升圭)
40,775
2위

42.95%
낙선
7
김명숙(金明淑)
482
4위

0.53%
낙선
8
박선아(朴宣峨)
512
3위

0.95%
낙선

선거인 수
136,417
투표율
70.6%
투표 수
96,058
무효표 수
1,129

21대 총선 서울 마포구 갑 개표 결과
정당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노웅래
강승규
득표수
(득표율)

53,160
(55.99%)

40,775
(42.95%)

+ 12,385
(△13.04)

136,417
(70.6%)

공덕동
56.05%
42.89%
△13.16
63.46
아현동
51.99%
47.22%
△4.77
70.63
도화동
52.97%
46.04%
△5.93
72.64
용강동
55.77%
43.26%
△12.51
72.57
대흥동
57.10%
41.58%
△15.52
61.08
염리동
58.75%
40.23%
18.52
69.64
신수동
55.46%
43.51%
△11.95
68.17
후보
노웅래
강승규
격차
거소·선상투표
65.28%
31.25%
34.03
관외사전투표
62.92%
35.71%
△27.21
국외부재자투표
61.26%
38.41%
△22.85

마포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


격차
(1위/2위)
후보
노웅래
강승규
마포 쌍용황금
54.38%
44.82%
△9.56
마포 강변 힐스테이트
52.87%
46.14%
△6.73
대흥 태영[6]
52.30%
46.38%
△5.92
현대홈타운
52.26%
46.59%
△5.67
마포 삼성
36.52%
62.38%
▼25.86
도화3지구 우성
42.46%
56.65%
▼14.19
마포 래미안푸르지오
45.20%
54.20%
▼9.00
공덕 삼성
46.70%
52.11%
▼5.41
신공덕 삼성래미안 1차
49.10%
50.40%
▼1.30
래미안 공덕 5차
49.28%
49.80%
▼0.52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지역구 현역인 노웅래 의원과 김빈 전 청와대 행정관의 경선이 이루어졌고, 노 의원이 압도적인 지역 인지도를 바탕으로 경선을 통과해 4선에 도전하게 됐다.

제1야당 미래통합당에서는 강승규 전 의원이 공천되었는데, 이로써 노웅래 vs 강승규의 세 번째 매치가 성사되었다.

국민의당에서는 민주당 사무총장 출신으로 2004년 17대 총선에는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2012년 19대 총선에는 정통민주당 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한 바 있는 정형호 후보가 등록되어있다. -음?- 분명 안철수 대표는 지역구에 공천을 하지 않기로 했는데 어떻게 된 일인지 예비후보로 등록되어있었지만, 3월 13일에 최종 사퇴했다.

이 밖에 옛날에 있었던 통일민주당의 이름을 재활용한 군소정당인 통일민주당에서는 참여연대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회원인 박선아 후보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선거 기간 중 주요 여론조사에 포함되지도 않을만큼 민주당 노웅래 후보가 내내 우위를 점했고, 실제 개표 결과도 그렇게 되었다. 선거 결과 역시 민주당 노웅래 후보가 55.9%의 득표율을 얻으며 여유있는 격차로 통합당 강승규 후보를 격파하고 당선됐고 4선 의원이 되었다.

다만, 마포 삼성아파트(도화동 제3투표소, 미래통합당 강승규 득표율 62.48%) 및 마포 래미안푸르지오아파트(아현동 제5·6투표소, 강승규 득표율 54.20%)와 같은 고가 아파트 단지는 고소득층 입주민들의 비율이 높고 종부세로 인해 타격을 입은 입주민들이 많기 때문에 미래통합당 강승규 후보가 승리했다. 하지만 그 숫자는 노웅래 후보가 우세를 점한 사전 투표가 반영되지 않은 것이고, 해당 아파트들은 마포구 토박이가 아닌 타 지역 출신들이 거의 대부분이라 노웅래의 세습 프리미엄이 무의미한 측면도 있다.


2.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마포구 갑
아현동, 공덕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지은(李知恩)
47,743
2위

47.70%
낙선
2
조정훈(趙廷訓)
48,342
1위

48.30%
당선
5
김혜미(金慧美)
2,033
3위

2.03%
낙선
7
김기정(金基楨)
1,959
4위

1.95%
낙선

선거인 수
139,968
투표율
72.22%
투표 수
101,086
무효표 수
1,009

22대 총선 마포구 갑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이지은
조정훈
득표수
(득표율)

47,743
(47.70%)

48,342
(48.30%)

- 599
(▼0.60)

101,086
(72.22%)

공덕동
48.48%
47.71%
△0.77
63.35
아현동
44.22%
51.99%
▼7.77
71.74
도화동
44.55%
51.65%
▼7.10
73.86
용강동
44.34%
52.07%
▼7.73
72.69
대흥동
48.24%
47.03%
△1.21
63.45
염리동
48.96%
46.59%
△2.37
71.52
신수동
46.43%
49.67%
▼3.24
68.51
후보
이지은
조정훈
격차
거소·선상투표
47.41%
49.14%
▼1.73
관외사전투표
55.87%
39.83%
△16.04
재외투표
60.55%
35.36%
△25.19

마포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아파트 개표결과는 사전투표가 반영되지 않은 본투표 결과임에 유의해서 읽어야한다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후보
이지은
조정훈
마포 쌍용황금
43.41%
51.98%
▼8.57
마포 강변 힐스테이트
41.74%
53.25%
▼11.51
대흥 태영[7]
41.02%
54.23%
▼13.21
현대홈타운
42.14%
54.05%
▼11.91
마포 삼성
31.15%
64.82%
▼33.67
도화3지구 우성
31.49%
65.16%
▼33.67
마포 래미안푸르지오[8]
38.12%
58.04%
▼19.92
신공덕 삼성래미안 1차
39.70%
56.50%
▼16.80
래미안 공덕 5차
39.95%
56.57%
▼16.62

전통적으로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을 꾸준히 지지해 왔으나, 서울 전체적인 우향우 경향이 나타났던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12%p 차로 크게 이긴 지역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후 서울특별시에서의 국정 지지도가 다시 상당히 떨어진 상황인 만큼 서울특별시의 주요 접전지 중 하나로 꼽힌다.

현역 노웅래 의원이 뇌물 수수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면서 2024년 2월 22일 마포구 갑을 더불어민주당이 전략 선거구로 지정하며 노웅래는 컷오프되었다. 노웅래 의원은 이에 반발해 민주당 최고위 회의실에서 단식 농성을 하기까지 했다. 이후 컷오프를 받아들이고 이지은 후보 캠프에 합류했다.

노웅래 외에는 마포구에서 오랫동안 거주해 온 이은희노무현 청와대 제 2부속실장과 오성규박원순 서울특별시장 비서실장, 그리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마포구 갑에 공천을 신청했었던 김빈 전 행정관이 있다. 마포 지역 토박이로 문재인 청와대 비서실 해외 언론비서관을 지낸 이지수 미국 뉴욕 주 변호사도 출마를 선언했다.[9] 2024년 2월 26일, 영입 인재인 이지은중앙경찰학교 교무과장이 전략 공천되었다.

국민의힘에서는 조정훈 의원이 출마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실제로 입당 이후 사무실을 개소하였다. # 신지호 전 의원 또한 출마하였으며 경선 끝에 조정훈 의원이 공천을 받았다. 그 전까지 3번 출마했던 강승규 전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은 본인 고향인 충청남도 홍성군·예산군 선거구로 옮겨 공천을 받았다.

녹색정의당에서는 녹색당에서 후보로 선출된 김혜미 후보가 출마한다.

개혁신당에서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윤석열 후보 캠프 미디어법률단 위원이었던 김기정 변호사가 공천을 받았다.

개표 결과 조정훈 의원이 599표차로 이겼다. 이로써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16년 만에 보수 정당이 마포구 갑을 탈환했다. 2024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출구조사가 가장 크게 빗나간 지역이다. 출구조사 공개 당시에는 이지은 후보가 9.4%p 차이로 조정훈 후보를 앞설 것으로 예측돼 접전으로 나오지도 않았지만, 실상은 조정훈 후보가 0.60%p 차로 당선돼 10.0%p를 뒤집었다. (-9.4% → +0.6%)

세부적으로 보면 이지은 후보가 대학가를 끼고 있는 대흥동과 공덕동에서 승리하긴 했지만 표차가 크지 않았다. 특히 결정적으로 재개발이 많이 된 아현동[10]에서 조정훈 후보가 이지은 후보를 가장 크게 앞섰고 개표 막판에 한강을 까고 있는 도화동, 용강동에서 조정훈 후보에게 몰표가 쏟아지며 승기를 굳혔다. 즉 마포구 갑 지역의 보수화가 사실상 패인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인물론적으로 보면 도봉구 갑과 비슷하게 애와 어른의 싸움이 된 것이 제일 크다. 조정훈 후보는 지역구 관리를 4년 동안 성실히 했던 사람이지만, 이지은 후보는 분명히 서류상으로 보면 거물급 이지만[11] 급하게 전략공천 되어 지역구 관리를 제대로 못한 점,[12], 그리고 로스쿨 입학 관련 논란까지 겹쳐서 패배의 요인으로 작용했다.[13]

2024년 이후로는 이 일대에 재개발이 더 활발해질 예정이라, 더불어민주당한테는 차츰 험지로 변할 선거구이다. 가장 큰 타격이 될 것은 서강대역 복합역사 개발(2024년 6월 착공 예정)에 따라 서강대역 역세권인 대흥동-서강동, 신석동 일대 역세권 재개발이 잡히고 있기 때문이다.

경향신문에서 지적한 바에 따르면, 서울 지역 동별 아파트 실거래가와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개표 결과에 나타난 진보-보수 정치성향의 상관관계는 0.76으로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의 상관관계지수 0.74보다도 높아졌다. 즉 아파트 실거래가가 높은 지역일 수록 보수 정당인 국민의힘에게 힘이 실리는 것이다. 기사 오마이뉴스에서도 표면적으로는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이지만 부동산 표심이 점차 강화하고 있다며 우려하고 있을 정도다. 보수 성향 한국경제신문에서도 출구조사를 뒤집고 국힘이 당선된 선거구들의 공통점으로 고가 아파트 밀집지구가 존재한다는 점을 내세웠다. 기사 중도보수 성향 머니투데이에서도 집값 비싼 동네일 수록 보수 성향으로 바뀐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역구 내에 있는 단독주택이나 빌라 등 저가 주택에서 고급 아파트나 주상복합이 들어서면 급격하게 성향이 보수로 쏠리게 되고, 재개발, 재건축이 대량으로 이뤄져 인구 구조 자체가 바뀌게 되면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는 앞으로 서울특별시 시내지구에서 선거를 풀어나가기 어렵게 된다. 특히 마포구 갑 지역은 이지은 후보가 앞섰던 공덕동, 대흥동, 염리동 일대에 아현뉴타운 해제 지구들이 다시 신속통합기획이나 모아타운을 통해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할 예정이라 인구 구조가 급격하게 바뀔 예정이다.


[1] 마포 대장주인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를 비롯해 고가, 대단지 아파트가 밀집해있다.[2] 그 외 강북에서 종합부동산세에 민감한 지역으로는 중구성동구 을용산구 등이 있다.[3] 지금의 마포구 갑 지역은 당시 마포구 갑/을 두 선거구에 걸쳐있다.[4] 당시에는 중대선거구제로 1개 지역구에서 2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했다.[5] 당초에는 고향 부산광역시 쪽에서 출마해서 안정적인 당선을 노리려 했지만, 안대희는 이 곳에 공천되었다.[6] 용강동 제4·5투표소[7] 용강동 제4·5투표소.[8] 아현동 제5·6투표소.[9] 과거에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을 지역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고,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해당 지역에 공천을 신청했으나, 전략 공천 지역으로 확정되어 컷오프되었다.[10] 아현동에 있는 3885세대 규모의 그 유명한 매머드급 신축 대단지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에서 조정훈 후보가 이지은 후보를 무려 20%p 차이로 앞섰다. 또 아현동엔 마포경찰서가 있다. 왜 이걸 언급했는지는 후술.[11] 경무관이라면 자그마치 3급 공무원이며, 공무원 계급으로 따지면 부이사관이나 고위공무원 말단 정도는 된다.[12] 연고가 있는 지역이기는 하다, 제일 처음으로 발령받은 곳이 바로 서울마포경찰서인데, 이 경찰서가 바로 마포구 갑 지역에 속한 아현동에 있기 때문이다.[13] 특히 지역구 현역인 노웅래 의원이 뇌물수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어서 이 논란이 생각보다 타격이 컸다. 김혜미 후보가 진보표를 잠식한 경우는 개혁신당에서도 김기정 후보가 비슷하게 보수표를 잠식했기에 별 영향이 없었다는 게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