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뚜기목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생물 목록에 대한 내용은 메뚜기목 생물 목록 문서
메뚜기목 생물 목록번 문단을
메뚜기목 생물 목록#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메뚜기목(직시류)
Orthoptera


파일:메뚜기목.jpg

학명
Orthoptera
Latreille, 1793
분류

동물계(Animalia)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메뚜기목(Orthoptera)
1. 개요
2. 해부학 특징
3. 생태
4. 기타



1. 개요[편집]


흔히 메뚜기, 여치, 귀뚜라미 등으로 부르는 곤충류. 학명인 Orthoptera는 '곧은 날개'라는 뜻이며 한자로 직시류(直翅類)라고도 한다.


2. 해부학 특징[편집]


몸은 길고 약간 원통형이며 많은 종이 옆면이 납작한 모습이다. 채색은 보통 위장색인데 서식지에 따라 식물의태를 보이기도 한다. 땅 위에 사는 종들은 회색, 황회색, 갈색, 황색, 또는 검정 등이고, 초목에서 서식하는 종들은 녹색 계열이다. 앞날개보다 뒷날개의 색이 아름다운데 적색, 황색, 등황색, 남색 검정으로 되어있다. 심지어 벌레 먹은 잎사귀 흉내를 내는 종류나 온도에 따라 몸 색을 바꾸는[1]도 있다. 식물에 사는 것은 녹색이거나 밝은 색이다. 피부는 가죽질의 키틴질로 되어 있고 몸의 마디를 구분하는 선이 뚜렷하다.[2]

머리가 잘 발달하였다. 입은 하구식이나 일부는 전구식이다. 머리는 앞가슴등판에 부착되어 있고 수직으로 위치한다. 전형적인 저작형으로 큰턱이 잘 발달하였다. 머리방패와 윗입술이 크다. 더듬이는 길고 실 또는 채찍 모양이다. [3] 이외에도 곤봉 형태의 마디가 여러 개 있다. 겹눈은 크고, 홑눈은 2~3개이며, 없는 것도 있다. 동굴성은 촉각과 눈이 퇴화했다.

앞가슴의 대부분(양 측면, 배면)을 크게 발달한 앞가슴등판이 뒤덮고 있다. 특히 모메뚜기의 경우 복부까지 앞가슴등판이 뻗어나가 있다. 가운데가슴등판과 뒷가슴등판은 같은 모양이며 구조적으로도 동일하다. 앞날개는 혁질로 변형되어 복시라하고, 시맥은 가로맥이 많고, 전연맥은 앞날개의 앞가장자리 보다도 약간 떨어져 있으며, 길어서 배의 끝까지 덮는 종류도 있다. 뒷날개는 막질로 날개를 접어 앞날개의 밑에 넣는다. 날개 색은 앞날개보다 뒷날개가 아름다워 적색, 황색, 등황색, 남색, 흑색 등의 무늬가 있다. 색이나 모양이 주변의 환경과 닮은 의태현상을 보인다. 앞다리와 가운뎃다리는 작고 보행형이나 뒷다리는 크게 발달한 도약형이다. 즉 뒷다리가 생명인 곤충류이다. 밑마디는 작고 좌우 폭이 넓게 분리되어 있다. 발목마디는 3~4마디이다. 땅강아지의 경우 땅을 파기에 알맞게 변형되어 있으며 포식성 메뚜기목 곤충의 경우 다리에 가시돌기가 있다. 메뚜기목 곤충은 발음기가 존재하며, 여치아목의 발음기관은 두 장의 앞날개를 유리창 모양의 울음판으로 발전, 메뚜기아목은 뒷다리의 넓적다리마디로 겉날개를 비벼서 소리를 낸다.[4] 메뚜기 중에는 날 때 앞날개와 뒷날개 부딪히거나, 뒷날개를 빠르게 부채처럼 열었다 닫았다 해서 소리를 내기도 한다. 날개가 없는 곱등이 같은 메뚜기목 곤충도 복부를 두드리거나 문질러서 소리를 내기도 한다. 청각기관인 고막은 우는 종류의 경우 암, 수 모두 있다. 여치아목은 앞다리의 종아리마디에, 메뚜기아목은 제1배마디에 있다.

배의 첫째 마디의 복판은 뒷가슴과 연합하였다. 복부는 11마디인데 10마디까지는 분명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제11마디는 퇴화하여 흔적으로 남아있거나 보이지 않는다. 배 끝에는 꼬리털이 있다. 기문은 가슴에 2쌍, 배에 8쌍이 있으며 이주형은 마디마다 공기주머니를 형성한다. 수컷의 외부생식기는 노출되지 않았다. 산란관의 경우 여치아목의 여치나 귀뚜라미는 칼모양 또는 창모양으로 잘 발달되어 식물의 조직이나 부드러운 흙 또는 좁은 틈바구니에 산란하기 좋은 형태이다. 메뚜기아목은 짧고 강해서 땅을 파고 그 속에 산란할 수 있다. 미모는 짧고 작은 것과 길고 큰 것이 있다. 마디가 없거나 또는 많은 마디로 된 것이 있다. 여치류는 미모가 길고, 메뚜기류는 미모가 짧다.


3. 생태[편집]


메뚜기목에 속하는 모든 종의 수는 17,000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 북극과 남극지방을 제외한 전세계에 분포한다. 대개 뒷다리가 발달하여 도약에 능하나 장시형 이외에 나머지는 그냥 파닥거리는 수준이다. 하지만 풀무치사막메뚜기같은 대형 종의 경우 무리를 지어 대륙을 가로지어 날아가는 수준이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황충(곤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거의 모두가 유성생식을 하나 단위생식 종도 알려졌으며, 여치아목은 식물의 줄기나 잎의 속 또는 겉, 습기가 있는 흙 속에 한 개씩 산란하는 종이 많지만 메뚜기아목은 땅을 파고 그 속 에다 무더기로 낳는 종이 많다. 배의 발생기간은 다양한데, 온대지방에서는 겨울을 휴면란으로 보내는 종류가 많다.[5] 유충은 대개 4~6회의 탈피하고, 흔적적인 날개는 종령유충때 나타낸다.

메뚜기아목은 주로 낮에, 여치아목은 대다수가 밤에 활동한다. 뛰거나 나는 것은 특히 메뚜기류에서 발달하였다. 그러나 몇 그룹은 습기가 많은 통나무나 돌 밑에 숨어 살며, 어떤 종은 동굴성이다.

대부분이 초식성이나 여치아목의 경우 육식성과 잡식성이 많으며 메뚜기아목의 경우에도 먹이가 부족하면 잡식성이 되기도 한다. 초식성 곤충들은 대개 초목에서 단독 생활을 하지만 때때로 크게 발생해 야산지의 포장이나 과수지에 큰 피해를 주기도 한다. 풀무치류에는 군비성이 있어, 대륙을 건너서 날아 이동하는 종들이 있다.

모든 메뚜기종류들은 손으로 잡으면 입에서 검은 장액을 뱉는데, 매우 쓴 맛이 나 천적이 자신을 못 잡아먹도록 방어 기제를 보인다.


4. 기타[편집]


가장 오래된 화석이 나온 시대를 고려하면 고생대 석탄기에서 페름기에 등장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경남 진주의 백악기 지층에서 메뚜기목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파노르피디움 스피카(Panorpidium spica)라고 명명되었다. 그런데 여치아목과 메뚜기아목의 특징이 섞여있는데 해당 종이 속한 분류군이 이미 모두 멸종되어 정확한 분류가 어렵다고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4:24:32에 나무위키 메뚜기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호주의 Kosciuscola tristis 라는 메뚜기로, 낮은 온도에서는 칙칙한 색이지만 높은 온도에서는 밝은 파란색으로 바뀐다.[2] 그래서 곤충의 몸 구조를 설명하는 그림에서 매번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3] 여치아목은 긴 실 모양으로 몸 길이보다도 더 길다. 반면 메뚜기아목은 굵은 편이고 짧으며 뭉툭하다.[4] 날개가 퇴화된 몇몇 메뚜기는 가운뎃다리를 들어서 퇴화된 날개를 펼친 뒤 날개를 떨어서 소리를 내기도 한다.[5] 각시메뚜기 등 일부종은 성충태로 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