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으령

최근 편집일시 :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파일:998MS.png 0998 드닐레이브
파일:999MS.png파일:999MS2.png 0999 모으령
파일:1000MS.png 1000 타부자고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펼치기 · 접기 ]



1. 정보
2. 소개
3. 포획
4.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5. 기타
6. 삽화
7. 국가별 명칭



1. 정보[편집]



파일:999 모으령 상자폼.png
파일:999 모으령 도보폼.png
상자폼
도보폼

기본 정보
이름
도감 번호
타입
파일:999MS.png파일:999MS2.png
모으령
コレクレー(코레쿠레)
Gimmighoul
전국: 0999
팔데아: 391



특성
상자폼
주눅
악, 벌레, 고스트 타입 기술을 받으면 스피드가 1랭크 상승한다.
도보폼
도주
야생 포켓몬으로부터 반드시 도망칠 수 있다.

세부 정보
포켓몬

분류
신장
체중
포획률
0999 모으령
상자폼
보물상자 포켓몬
0.3m
35.0kg
45
도보폼
보물찾기 포켓몬
0.1m
0.1kg

유전 정보
성비
알 그룹
부화 걸음수
최대 경험치량
무성
미발견
-
1,250,000

진화
진화
파일:999모으령상자폼.gif
0999 모으령

모으령의코인[1]
999개 획득 후 레벨업

파일:1000타부자고.gif
1000 타부자고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2배
1배
0.5배
0배























종족치
포켓몬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합계
파일:999MS.png
모으령(상자폼)
45
30
70
75
70
10
300
파일:999MS2.png
모으령(도보폼)
45
30
25
75
45
80
300

울음소리
파일:999MS.png
모으령상자폼

파일:999MS2.png
모으령도보폼


도감 설명
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skip을 눌러주세요.

파일:999MS.png
0999 모으령상자폼
포켓몬 GO

스칼렛
약 1500년 전의 보물 상자 안에서 태어났다. 보물을 훔치려 드는 괘씸한 자의 생기를 흡수한다.
바이올렛
낡은 보물 상자 안에 산다. 아무도 포켓몬인 것을 눈치채지 못해 상점 구석에 전시되는 경우도 있다.
파일:999MS2.png
0999 모으령도보폼
포켓몬 GO

스칼렛
코인에 깃든 정념으로 인해 태어났다. 원래 있던 보물 상자로 돌아가기 위해 떠돌고 있다고 한다.
바이올렛
오래된 코인을 짊어진 채 떠돈다. 코인을 주우려 하는 사람의 생기를 흡수하며 살아간다.


2. 소개[편집]


보물 상자 안에 숨어 있어서 움직임이 둔하다
튼튼한 보물 상자 안에 숨어 있는 모으령은 높은 방어력을 가졌지만,
무거운 보물 상자 때문에 움직임이 둔하고, 이동하는 것이 서투릅니다.
이 때문에 골동품으로 착각한 사람이 그대로 들고 가 버리거나, 골동품점에 팔리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고 합니다.
사람이나 포켓몬을 조종해서 코인을 모으게 한다
사람이나 포켓몬의 기척을 느끼면 가만히 기다리고 있다가, 접근한 자를 고스트 에너지로 조종해서 코인을 모으게 합니다.
창고나 상점 구석 등, 사람이나 포켓몬과 마주치기 힘든 장소에 숨어 있다 보니, 한 번 마주친 상대를 집요하게 조종한다고 합니다.

포켓몬스터스칼렛・바이올렛 공식 사이트의 모으령 소개 페이지에서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처음 등장한 새로운 포켓몬. 모티브는 개미 + 다우징 로드[2] + 미믹으로 보인다. 팔데아지방의 모티브가 스페인이라는 점에서 엘도라도의 영향도 있었을 듯.

공개 트레일러에서 카메라 인터페이스에 가려져있던 정체불명의 포켓몬. 멜탄, 멜메탈처럼 Pokémon GO와의 연동으로 얻을 수 있는 포켓몬이지만, 각각의 폼을 본가와 포켓몬 고의 연동으로만 얻을 수 있는 특이한 사례다.

진화할 때 모으령의 코인 999개가 필요한데 도감 설명에 1000개라고 언급된 것으로 보아 나머지 1개는 자신이 들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3. 포획[편집]


도보폼과 상자폼의 포획 방법이 각각 다르다.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무대인 팔데아지방에서는 상자폼만이 포획이 가능하며, 도보폼은 가까이 다가가면 동전을 두고 도주한다.

반대로 Pokémon GO에서는 도보폼이 등장하며, 전용 리서치가 존재하여 포획이 가능하게 될 예정이다. 하지만 도보폼이든 상자폼이든 알 그룹이 미발견이라는게 밝혀졌기 때문에 양산이 불가능하다. 결국, 도보폼을 얻고 싶으면 Pokémon GO에서 포획한 뒤, 이를 9세대 연동 적용 후의 포켓몬 홈을 경유하여 보내는 수단이 유일하다.

도보폼이든 상자폼이든 상관없이 가방에 코인 999개를 모은 상태로 모으령을 레벨업시키면 타부자고로 진화하게 된다. 다만, 999개를 모으는 게 생각보다 벅찬지라 쉽게 진화시킬 수는 없다. 심지어 한 번 진화시키면 코인 999개는 그대로 소모된다.

모으령 코인을 모으는 주요 수단은 필드에 리젠되는 상자폼 모으령을 잡는 것이다. 필드 곳곳에 있는 높은 탑 위나[3] 일부 숨겨진 장소에 상자폼 모으령이 있으며, 잡거나 쓰러트리면 모으령코인 10~50개[4][5]를 얻는다. 또한 도보폼 모으령도 곳곳에 존재하며[6] 말을 걸면 1~5개의[7] 코인을 주고 사라진다. 플레이어가 도보폼 모으령 주변에 있을 때 울음소리가 들리니 참고하자.

만약 코인을 999개 모은 상태에서 더 코인을 얻으면 가방에 들어가지 않고 참푸르마을에 있는 미화원으로부터 얻지 못한 코인의 개수만큼의 코인을 얻을 수 있다. 참고로 최초 대화 시 기존에 몇 개 가지고 있던간에 20개를 준다. 이러기 전에 999개를 넘어갈 시 그냥 증발해버리는듯.

필드에 존재하는 상자폼 모으령은 약 24마리 정도라 이론상 거의 모든 상자폼 모으령을 잡거나 쓰러트리는 것만으로도 하루만에 타부자고로 진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일부 모으령은 절벽 위같은 레전드 루트를 충분히 진행하지 않으면 갈 수 없는 곳에 위치한데다가 모으령의 레벨도 낮게는 10레벨, 높게는 무려 50레벨에 달해서 스토리에서 타부자고를 사용하고 싶다면 근성으로 도보폼 모으령이 흘리는 코인을 999개 모아 진화시키거나 모으령 상자폼이 계속 리젠되는 것을 기다리는 일을 해야 후반부부터 활약시킬 수 있게 된다. 훌륭한 능력치와 높은 위력의 골드러시로 남은 트레이너들을 쓸어담을 수 있다는 것이 위안거리.

첫 번째 모으령을 진화시키려 할 때는 코인을 대량으로 주는 상자폼 모으령이 탑이나 숨겨진 장소에 어지간하면 다 있기 때문에 코인 999개 모으기가 크게 어렵지 않지만, 두 번째 타부자고를 만드려 할 때부터는 도보폼 모으령을 찾아 코인을 파밍하는 것으로는 999개를 모으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자폼 모으령을 다시 잡아 코인을 대량으로 얻을 필요가 있는데, 만약 팔데아 전역의 상자폼을 싹 잡고 첫 번째 타부자고를 만들었다면 상자폼 모으령이 리젠될 확률은 24시간마다 5%라는 매우 낮은 확률이라 코인 얻는 난이도가 수직상승해 두 번째부터는 엄청난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4.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편집]



4.1. Pokémon GO[편집]


2022년 11월 5일, 미뇽의 복각 커뮤니티 종료 후에 포켓몬 GO에 선행 등장. 선행 등장이라고 해도 자세한 정보가 공개되거나 포획이 가능해진 것은 아니며 대략적인 이미지만 등장했다.

커뮤니티데이가 끝난 직후부터 일부 포켓스탑이 평소와 달리 노란색의 '골든 포켓스탑'으로 바뀌기 시작하고, 이 포켓스탑을 돌리면 일정 확률로 동전이 쏟아지는 이펙트가 나오며 '?????? 코인'이라는 이름의, 팔데아 지방에서 만들어진 것 같다는 설명밖에 없는 코인을 드랍한다. 처음으로 이 포켓스탑을 돌리면 코인을 확정 드랍함과 동시에 윌로우 박사와 지니어가 영상 통화로 등장하며, 모으령의 도보폼이 플레이어를 따라다니기 시작한다. 윌로우 박사가 모으령이 코인을 수집하는 습성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며 연구를 위해 이를 모으라는 말을 하는 것으로 끝.

즉 해당 이벤트만으론 별다른 설명이나 정보가 없어서 필드맵에 나타나는 살펴보기도 어려운 이미지와 동전을 모은다는 특성 이외에는 알 수 있는 게 없었다. 모으라고 해서 모은 코인도 아이템적 효과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8] 하지만 최초 공개에서 자세한 정보를 풀지 않은 건 이전 세대의 멜탄도 마찬가지였고, 골든 포켓스탑이 코인 말고도 드랍하는 아이템이 일반 포켓스탑의 몇 배나 되기 때문에 다음날까지 엄청난 양의 아이템 파밍이 가능해서 대체적으로는 반기는 분위기. 단, 골든 포켓스탑이 되어 있는 동안은 로켓단이 뜨지 않으며, 이미 로켓단이 점령 중인 포켓스탑에서도 그 로켓단의 남은 점령 시간에 상관 없이 강제 철수 시키고 뜨기도 하기 때문에 로켓단과 관련된 컨텐츠에서는 다소 방해가 되는 면이 있다.

필드에 따라오는 모으령을 터치하면 코인 모양의 감정 표현을 하면서 필드 어딘가를 손으로 가리키는데, 아마 사람을 조종해서 코인을 모으게 한다는 특성을 표현한 것 같다.


5. 기타[편집]


  • 유출본에서 코인 포켓몬이 등장할 것이라고 하였고, 북미 트레일러에서 나왔던 포켓몬은 유출 정보에서 코인 포켓몬과 관련되어있고 수맥봉을 모티브로 하였다고 한다.

  • 모으령을 소개하는 공식 영상에서 모으령에게 홀린 소녀가 천 개의 코인을 모으는 설화가 소개되었다. 이 이야기를 따르면 이야기에서 보면 코인을 모아 상자 안에 코인을 넣었는데 999개째되니까 모으령이 가지고 있는 코인 하나를 보물상자에 넣었고 빛이 났다. 다시 말해, 코인 999개를 모아야만 타부자고로 진화한다. 실제로 모으령의 전국도감 번호는 999번이다.


  • 소울 시리즈,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등의 판타지 게임에서 단골로 나오는 몬스터인 미믹형 포켓몬이다. 지금까지 포켓몬 세계관에 나온 미믹형으로는 몬스터볼과 똑닮은 형태인 붐볼 계열, 몬스터볼 모양의 갓을 가진 뽀록나 계열, 가운데에 몬스터볼이 그려진 가라르 리전폼 메더가 이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미믹하면 떠오르는 전형적인 보물상자 형태로 나온 것은 모으령이 처음이다.

  • 지니어 선생과 윌로우 박사가 폼체인지로 정의한 이유는 상자폼 모으령은 사람을 홀려 동전을 모으게 하는 능력이 있는 것을 비해 도보폼 모으령은 그런 능력이 없고 오히려 사람들을 보면 도망간다고 한다. 다만 도감을 보면 코인을 주우려 하는 사람의 생기를 흡수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6. 삽화[편집]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파일:999 모으령 dex.png
모으령

7. 국가별 명칭[편집]


언어
이름
유래
한국어
모으령
모으다 + 신령 ()
일본어
コレクレー
コレクト(collect) + (령) + これくれ(이거 줘)
영어
Gimmighoul
Gimmick(눈속임) + Gimme("내놔") + Ghoul(구울)
중국어(번체)
索財靈
찾을 색 + 재물 재 + 신령 령
중국어(간체)
索财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1] 모으령에 해당하는 유실물이며 도보폼에 말을 걸거나 상자폼을 잡거나 쓰러뜨리면 얻을 수 있다.[2] 코인을 찾는 용도로 추정.[3] 망루 위에는 100%확률로 있다.(로스트 사막에 있는 무너진 망루 제외, 없다면 리스폰 되지 않은 것이거나 꼭대기 층으로 가면 된다.)[4] 낮은 확률로 51~777개를 입수할 수 있다.[5] 777개를 얻을 확률은 1/1000.[6] 주로 표지판에 많다.[7] 낮은 확률로 6~200개를 입수할 수 있다.[8] 인게임 데이터 마이닝을 한 사람에 따르면 진화의 돌의 일종이라서 폼체인지, 혹은 진화용 도구로 사용될거라고 한다. 참고로 본가에서는 진화용 도구로 사용되는 게 맞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