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미필자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미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국과 필리핀의 대외관계인 미필관계에 대한 내용은 미국-필리핀 관계 문서
미국-필리핀 관계번 문단을
미국-필리핀 관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군미필자의 구분
3. 군필자와의 차이
4. 차별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군미필자()는 병역을 필하지 않은 자, 즉 대한민국의 병역의무를 마치지 않은 사람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줄여서 '미필'로 부르며, '미필자'라고도 한다. 물론 병역의무가 없는 대한민국 국적의 여성과 징병제가 아닌 국가에서 군복무 경험이 없는 사람도 미필로 구별할 수 있다. 다만 이 문서에서는 대한민국의 병역기준에 맞춰서 주로 다룬다.


2. 군미필자의 구분[편집]


  1. 대한민국 남성으로서
  2. 병역판정검사에서 현역병 또는 보충역 판정을 받았음에도[1]
  3. 입대하지 않은 자[2]

일상에서는 '현역병으로 병역의무를 이행한 적이 없으면 전부 미필'이라는 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의무를 마치지 않았다는 건 의무가 있음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애초에 병역의 의무가 없는 전시근로역[3]+병역면제, 여성은 미필이 아니다.[4] 또한 "미필"의 기준은 병역의 의무 수행여부이지, 현역병으로의 입대 여부가 아니므로 소집해제 또는 복무만료된 보충역도 미필이 아니다.

병역기피를 한 경우는 미필자다. 물론 명목상 면제자로, 1년 6개월의 징역형을 받아 전시근로역으로 전환되고 면제받는 것이지만, 제재를 통해 입대를 유도하므로 미필자보다 못한 대우를 받는다. 게다가 병역의무가 종료되는 40세까지 제재를 받는다.

간혹 밀리터리 지식이 없는 사람들을 미필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유머적 표현일 뿐 매우 부정확한 기준이다. 애초에 그 밀리터리 지식이 정말로 밀덕질을 의미한다면 군대 안간 밀덕이 군필자보다 더 잘 알 수도 있고 군대 지식을 말한다면 군필자들마다 아는 군대 지식이 다르다. 게다가 군필자도 자신이 복무한 군종, 병과 외의 다른 분야의 지식은 잘 모르는 편이며, 당장 같은 병과라 하더라도 근무지마다 특화된 지식은 상이하다. 같은 군 안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육해공이 갈라지는 순간 지식의 차이는 매우 크게 달라진다.

참고로 법적으로 한국에서 군대를 안가도 되는 경우, 가령 신검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거나 여성, 장애인, 대성동마을 같은 특정 지역 거주자의 경우 미필이 아니라 면제로 구분된다.

3. 군필자와의 차이[편집]


2000년대 이전까지는 물론이고, 군대 내부의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한 2000년대 이후에도 군미필자(정확히는 군대 안 간 사람)는 여전히 군필자에 비해 미숙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남자가 만 19세 성인이 되었을 때 어른들이 하는 말이 미필자들에게 너 군대는 언제가는고?, 징병검사는 받았냐, 징검에서 몇 급 나왔냐라고 물어보게 된다. 그리고 군대를 가야 사람이 되지 너도 나처럼 군대 한 번 가봐라. 사내놈으로 태어났으면 당당하게 가야지라는 오지랖섞인 훈수[5]도 같이 듣게 된다.[6] 그에 비하면 군필자가 된 경우에는 이런 말을 들을 일이 거의 없어지는 편이다.

사실 '미필'이 군필자에 비해 반드시 미숙하다고 하다 볼 수은 없다. 그렇게 치면 대다수의 한국인 남성들은 옆동네 중국, 일본인들보다 성숙하고 윗동네 북한은 남자 여자 모두 완숙한 인재겠는가? 학업을 마치고 사회활동을 시작하게 되는 20대 초반에 입대하는 것을 고려하면 군대 내에서의 경험이 사회경험의 일정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고 볼 수는 있지만 꼭 군복무를 하지 않아도 동일한 기간동안 아무 활동 없이 놀고만 있지 않다면 다른 방법으로도 사회경험을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사회생활, 특히 기업같은 조직은 반드시 조직문화가 자리하게 마련이므로, 위계질서로 대표되는 조직문화의 정점인 군대를 경험했다는 것은 여러모로 미필자보다 분명히 나은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군대를 경험한 사람이라면 적어도 미필자보다는 리더십, 끈기, 지구력, 자제력 등에서 더 성숙하다는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 군대라는 조직은 폭력을 다루는 배타적 조직이기 때문에 위계적이고 폐쇄적인 환경에서 공격성을 제어하는 생활을 살게 된다. 미국에서 전역한 군인들에게 가점을 주는 것이나 장교 특채전형이 많은 것도 군필자가 미필자에 비해 우세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4. 차별[편집]


몇몇 군필자들이 미필이였던 시절을 잊고 미필이 조롱의 대상이 되거나 혐오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특히나 자신이 알고 있는 밀리터리 지식과 다른 지식을 갖고 있다는 이유 만으로 미필 소리가 나오고, '군대를 안갔다와서 철이 없다.' 는 식의 얘기를 줄여 말할 때 쓰는 등, 사실상 미필 이란 단어가 욕설이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단순히 미필자라는 이유로 취직이나 선발 등에 불이익을 준다면 이는 차별이 된다. 과거에는 남성의 입사 기준에 군필 또는 면제받은 자를 명시하는 기업이 많았고 심지어 공무원이나 경찰 등 국가에서 선발하는 자리에도 공공연하게 미필자를 차별했다. 간혹 면제자들을 미필자처럼 취급할 때도 있다. 최근 들어 국가인권위원회를 중심으로 이러한 군미필자에 대한 차별을 시정하려는 움직임이 보이면서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실질적인 이유로 인해 미필자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고 있다.

물론 기업 입장에서도 할 말이 없지는 않다. 취업의 경우 미필자라면 언젠가는 군에 입대하든 사회복무요원으로 소집되든 결국은 회사를 그만두거나 장기간 쉬는 수밖에 없게 되고, 회사 입장에서 보면 기껏 미필자 뽑아 놓아서 잘 교육해 놨는데 그가 군 문제로 퇴사한다면 상당히 비효율적인 일이 된다. 그래서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남자의 경우 군 문제를 포함한 모든 문제가 해결된(즉, 현역 복무, 사회복무요원 복무, 또는 면제된) 안정적인 사람을 우선 채용하려는 것이다. 미필자가 사회 경험이 없니 하는 이유로 안 뽑는 건 아니다.

5. 기타[편집]


일반인의 경우 전역하고 예비군 훈련만 끝나도 군대에서의 기억이 쇠퇴하기 시작해 민방위 3년차쯤 되면 군에서 배운 지식이 거의 미필수준으로 잊혀진다. 보충역이나 사회복무요원의 경우 복무지에서 한 달 가량 근무하다보면 자연스레 잊혀진다. 논산 육군훈련소 같은 곳에서 주특기으로 후반기교육을 받은 사람이야 좀 더 남는 지식이 많지만, 그냥 일반 알보병소총 분해 조립 정도 가물가물하게 기억하지[7] 부분별 명칭이나 총기제원은 싹 까먹고[8] 1년에 훈련이 몇 번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이름이 뭐였는지도 까먹게 된다.

더구나 세월이 흐르는 사이 군대도 여러가지가 바뀌면서 많은 것이 달라지게 되므로 전역한지 10년이 넘어가면 현역이나 갓 제대한 사람과 군대 이야기를 할 경우 말이 많이 안 맞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인터넷에서 별것도 아닌 걸로 군대 이야기를 두고 키배가 벌어지면 전역한 지 오래된 아저씨가 종종 미필로 몰리기도 한다.

하지만, 군대에서 고생을 많이 한 사람들은 트라우마가 되어 현역 시절 군번이나 총기번호를 전역한지 한참 지나서도 기억하는 등[9] 시간이 지나도 사소한 것이 안 잊어지기도 한다.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진의 궁극기 커튼콜을 명중 못하는 사람을 미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3:58:39에 나무위키 군미필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너무 어리거나 너무 늙은 경우 병역판정검사에서 나이 제한이 걸리고, 병역판정검사 결과에 따라 전평시 모두 병역을 면제받는 병역면제 대상자 혹은 평시에 병역을 면제받는 전시근로역 대상자들이 추려진다.[2] 입대했더라도 귀가판정을 받은 뒤 재입대를 하지 않은 자도 포함[3] 엄밀히는 평시 한정이다. 이들은 민방위는 참여한다.[4] 다만 병역의 의무가 아닌 단순히 군대를 가지 않았다는 뜻의 미필의 범주에는 포함된다.[5] 정작 1980년(1961년생) 현역 판정률은 45%, 2010년(1991년생) 현역판정률은 91%, 2020년(2001년생) 현역 판정률이 81%라서 오히려 군 미필자의 비중은 나이든 세대가 훨씬 많다. [6] 어차피 갔다오기 전에는 자신에게 병역이 의미가 있는지 없는지 알지 못하므로 적당히 걸러 들으면 된다. 군대에 대한 경험은 특히나 더 개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7] 그나마도 현역 때 다루는 소총은 K2 소총인데 예비군에서는 M16 소총을 쓰기 때문에 처음부터 다시 알아야 한다.[8] 소총보다 부품이 훨씬 많고 복잡한 M60 기관총이나 K3 경기관총은 말할 것도 없다.[9] 이를 활용하여 비밀번호로 쓰는 경우도 종종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