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스크

덤프버전 :



1. 벨라루스의 수도[편집]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출국권고 지역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60><tablewidth=100%><tablebgcolor=#79605f><bgcolor=#333> {{{#yellow {{{-2 다음 지역들은 '''출국 권고'''가 내려진 지역입니다.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긴급한 용무가 아니면 '''출국'''할 것을 권장하며, 
이 지역에 여행을 예정하고 계신 분들은 '''여행'''을 '''취소'''하거나, '''연기'''하시길 바랍니다.
(기준일: 2023.11.24)}}}}}}
{{{-2 {{{#fff 자세한 정보는 [[http://www.0404.go.kr/dev/main.mofa|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
##
##동북아
##
||<-60><bgcolor=#aa0000> '''{{{#fff 동북아시아}}}''' ||
||<-60><width=50%>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50]]]][br][[일본|{{{#fff 일본}}}]]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일본 여행경보.jpg

후쿠시마 원전 [[후쿠시마현#s-7.1|{{{#000,#e5e5e5 반경 30km 이내일본 정부 지정 피난지시구역}}}]]
2011.03.13
}}} || ||<-60><bgcolor=#222> || ## ## 북미 ## ||<-60><bgcolor=#aa0000> '''{{{#fff 북미}}}''' || ||<-60><bgcolor=#784d4c> '''해당 없음''' || ||<-60><bgcolor=#b49d9d,#763737> || ||<-60><bgcolor=#222> || ## ## 중남미 ## ||<-60><bgcolor=#aa0000> '''{{{#fff 중남미}}}''' || ||<-20><width=20%> [[베네수엘라|[[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50]]]][br][[베네수엘라|{{{#fff 베네수엘라}}}]] ||<-20><width=20%> [[볼리비아|[[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50]]]][br][[볼리비아|{{{#fff 볼리비아}}}]] ||<-20><width=20%> [[아이티|[[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50]]]][br][[아이티|{{{#fff 아이티}}}]] || ||<-20><width=20%> [[자메이카|[[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50]]]][br][[자메이카|{{{#fff 자메이카}}}]] ||<-20><width=20%>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50]]]][br][[콜롬비아|{{{#fff 콜롬비아}}}]] ||<-20><width=20%> [[페루|[[파일:페루 국기.svg|width=50]]]][br][[페루|{{{#fff 페루}}}]]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전 지역
전 지역 - 2019.12.03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볼리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태양의 섬
2019.05.08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

전 지역
전 지역 확대 발령 2019.02.27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자메이카 여행경보_2022.08.22.jpg

킹스턴, 세인트앤드류, 세인트캐서린
2022년 08월 22일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콜롬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베네수엘라 국경지역 20km, 뚜마코 시, 바예델카우카주(깔리 시 제외), 아라우카주, 카우카주, 안티오키아주 일부, 초코주 일부, 카케타주 일부
2017.08.22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페루 여행경보_2023.05.08.jpg

아푸리막 주 : 안다우아이라스, 친체로스 지역
아야쿠초 주 : 라 마르, 우안타 지역
우앙카벨리카 주 : 츄르캄파, 타야카하 지역
쿠스코 주 : 라 콘벤시온 지역
후닌 주 : 사티포, 우안카요, 콘셉시온 지역
2017.2.22
}}} || ||<-60><bgcolor=#222> || ## ##서남아시아 ## ||<-60><bgcolor=#aa0000> '''{{{#fff 서남아시아}}}''' || ||<-20><width=33%> [[방글라데시|[[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br][[방글라데시|{{{#fff 방글라데시}}}]] ||<-20><width=33%> [[인도|[[파일:인도 국기.svg|width=50]]]][br][[인도|{{{#fff 인도}}}]] ||<-20><width=33%> [[파키스탄|[[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br][[파키스탄|{{{#fff 파키스탄}}}]]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여행경보_2020.01.25.jpg

동남부 치타공 힐 트랙스 지역
2011.08.04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 여행경보_2020.01.25.jpg

카슈미르, 카르길 시
2017.11.15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파키스탄 여행경보_2022.08.22.jpg

여행자제 지역(이슬라마바드, 페이살라바드, 라왈핀디, 라호르, 훈자, 길깃, 스카루드)을 제외한 전지역
2022년 8월 22일
}}} || ||<-60><bgcolor=#222> || ## ##동남아 ## ||<-60><bgcolor=#aa0000> '''{{{#fff 동남아시아}}}''' || ||<-20> [[라오스|[[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br][[라오스|{{{#fff 라오스}}}]] ||<-20> [[말레이시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br][[말레이시아|{{{#fff 말레이시아}}}]] ||<-20> [[미얀마|[[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50]]]][br][[미얀마|{{{#fff 미얀마}}}]] || ||<-20>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50]]]][br][[태국|{{{#fff 태국}}}]] ||<-20> [[필리핀|[[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br][[필리핀|{{{#fff 필리핀}}}]] ||<-20>||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라오스 여행경보_2023.11.24.jpg

골든트라이앵글 경제특구
2023년 11월 24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사바 주 동부 도서, 동부 해안 지역
도서 지역 : 2013.11.25
해안 지역 : 2015.11.23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미얀마 여행경보_2023.11.24.jpg

샨州 북부, 샨州 동부, 까야州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태국 여행경보_2020.01.25.jpg

나라티왓 주, 파타니 주, 얄라 주, 송클라 주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지역
2009년 이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 여행경보_2020.01.25.jpg

팔라완섬 아볼란 및 나라 이남 지역, 민다나오섬(잠보앙가,다바오/카가얀데오로시 제외)
2019년 12월 3일
}}} || ||<-60><bgcolor=#222> || ## ## 중동 ## ||<-60><bgcolor=#aa0000> '''{{{#fff 중동·북아프리카}}}''' || ||<-12> [[레바논|[[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50]]]][br][[레바논|{{{#fff 레바논}}}]] ||<-12> [[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50]]]][br][[모로코|{{{#fff 모로코}}}]] ||<-12> [[모리타니|[[파일:모리타니 국기.svg|width=50]]]][br][[모리타니|{{{#fff 모리타니}}}]] ||<-12> [[사우디아라비아|[[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br][[사우디아라비아|{{{#fff 사우디아라비아}}}]] ||<-12> [[알제리|[[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50]]]][br][[알제리|{{{#fff 알제리}}}]] || ||<-12> [[이란|[[파일:이란 국기.svg|width=50]]]][br][[이란|{{{#fff 이란}}}]] ||<-12>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50]]]][br][[이스라엘|{{{#fff 이스라엘}}}]] ||<-12> [[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50]]]][br][[이집트|{{{#fff 이집트}}}]] ||<-12> [[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50]]]][br][[튀니지|{{{#fff 튀니지}}}]] ||<-12><width=10%>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전 지역
2023.10.19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로코 여행경보_2020.01.25.jpg

서부 사하라모래방어벽 동쪽
2017.02.22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리타니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누악쇼트, 누아디브를 제외한 전 지역
2010.12.06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여행경보_2020.01.25.jpg

사우디-예멘 국경 인근 180km 지역 (슈케이크(Shuqaiq), 아브하(Abha), 카미스 무샤이트(Khamis Mushait)市 포함)
국경 인근 80km 지정일 : 2017.04.21
국경 인근 180km으로 확대 지정일 : 2019.07.03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알제리 여행경보_2020.01.25.jpg

카빌리 지역 6개주 산악지역 (부메르데스, 부아라, 티지 우주, 베자이아, 보르즈부아레리즈, 지젤),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국경지역(튀니지(테베사, 엘웨드 동부, 오아글라 동부), 리비아(일리지 동부), 니제르ㆍ말리ㆍ모리타니(타만라셋 남부, 아드라르 남서부, 틴두프 남서부))
2016.07.29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란 여행경보_2020.01.25.jpg

시스탄발루체스탄 주, 튀르키예ㆍ이라크 국경지역, 페르시아만 연안 3개 주(후제스탄, 부셰르, 호르모즈건(Hormozgan)
2019.12.0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 이스라엘 여행경보_2023.10.19.jpg

가자지구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0월 19일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이집트 여행경보_2023.08.04.jpg

중•북부 시나이 반도(1단계(다합•샴엘셰이크지역, 카이로 등 나일강 유역 도시지역, 마르트루~지중해 유역),2단계(서부사막, 시나이반도 남부 일부지역(성캐더린•타바)) 지역 제외), 리비아 국경으로부터 30km까지(국경도시 Salloum을 포함)
2023년 8월 4일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튀니지 여행경보_2023.03.07.jpg

알제리 접경지역 (까세린 주 샴비산 일대) 리비아 접경지역 (크사르 길랜 이남 사막지역 전역)
2015.01.27
}}} || ||<-60><bgcolor=#222> || ## ##아프리카 ## ||<-60><bgcolor=#aa0000> '''{{{#fff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15> [[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50]]]][br][[나이지리아|{{{#fff 나이지리아}}}]] ||<-15> [[남수단|[[파일:남수단 국기.svg|width=50]]]][br][[남수단|{{{#fff 남수단}}}]] ||<-15> [[니제르|[[파일:니제르 국기.svg|width=50]]]][br][[니제르|{{{#fff 니제르}}}]] ||<-15> [[말리|[[파일:말리 국기.svg|width=50]]]][br][[말리|{{{#fff 말리}}}]] || ||<-15> [[모잠비크|[[파일:모잠비크 국기.svg|width=50]]]][br][[모잠비크|{{{#fff 모잠비크}}}]] ||<-15> [[베냉|[[파일:베냉 국기.svg|width=50]]]][br][[베냉|{{{#fff 베냉}}}]] ||<-15> [[부룬디|[[파일:부룬디 국기.svg|width=50]]]][br][[부룬디|{{{#fff 부룬디}}}]] ||<-15> [[부르키나파소|[[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width=50]]]][br][[부르키나파소|{{{#fff 부르키나파소}}}]] || ||<-15> [[에리트레아|[[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width=50]]]][br][[에리트레아|{{{#fff 에리트레아}}}]] ||<-15> [[에티오피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50]]]][br][[에티오피아|{{{#fff 에티오피아}}}]] ||<-15> [[중앙아프리카공화국|[[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width=50]]]][br][[중앙아프리카공화국|{{{#fff 중앙아프리카공화국}}}]] ||<-15> [[지부티|[[파일:지부티 국기.svg|width=50]]]][br][[지부티|{{{#fff 지부티}}}]] || ||<-15> [[차드|[[파일:차드 국기.svg|width=50]]]][br][[차드|{{{#fff 차드}}}]] ||<-15> [[카메룬|[[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50]]]][br][[카메룬|{{{#fff 카메룬}}}]] ||<-15> [[케냐|[[파일:케냐 국기.svg|width=50]]]][br][[케냐|{{{#fff 케냐}}}]] ||<-15> [[코트디부아르|[[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50]]]][br][[코트디부아르|{{{#fff 코트디부아르}}}]] || ||<-15> [[콩고민주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50]]]][br][[콩고민주공화국|{{{#fff 콩고민주공화국}}}]] ||<-15> [[탄자니아|[[파일:탄자니아 국기.svg|width=50]]]][br][[탄자니아|{{{#fff 탄자니아}}}]] ||<-15>||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나이지리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니제르델타 부근 8개 주 (에도/ 아남브라/ 델타/이모/ 아비아/ 바이엘사/ 리버스/ 아콰이봄) 및 아다마와/ 보르노/ 요베/ 바우치/ 카노/ 잠파라/ 플래토/ 나사라와/ 아부자/ 타라바/ 소코토/ 카치나/ 지가와/ 곰베 주
2019.06.13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전 지역
2019년 12월 3일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전 지역
2023년 8월 2일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전 지역
2012.04.06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모잠비크 여행경보_2020.01.25.jpg

카보 델가도 주
2019.01.02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베냉 여행경보_2020.01.25.jpg

북부 부르키나파소 접경지역 (Pendjari 국립공원 및 W 국립공원)
2019.05.13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부룬디 여행경보_2020.01.25.jpg

부줌부라市 제외 전 지역
2019.12.03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부르키나파소 여행경보_2022.04.13.jpg

와가두구, 보보디울라소 제외 전역
2020.09.15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에리트레아 여행경보_2023.03.07.jpg

에티오피아·수단·지부티 국경 25Km 이내
2023년 3월 7일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에티오피아 여행경보_2023.08.04.jpg

티그라이 주, 소말리 주, 베니샹굴-구무즈 주, 감벨라 주, 오로미아 주 일부 (East Welega, West Welega, Kelam Welega, Guji, Borena 지역), 암하라 주에서 티그라이주 30km 접경지역, 수단&에리트리아, 케냐&남수단 국경 10km 접경지역, 아파르주에서 티그라이주 10km 접경지역
2023년 8월 4일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전 지역
2012.12.21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지부티 여행경보_2022.08.22.jpg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국경 10km 이내 접경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전 지역
2013.02.20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메룬 여행경보_2020.01.25.jpg

노르드 주(NORD), 아다모와 주(ADAMAOUA)지역, 암바조니아(북서부 주, 남서부 주), 최북부 주 (엑스트림므-노르드(EXTREME-NORD)지역)
2018.08.27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케냐 여행경보_2022.jpg

케냐‧소말리아 국경 100km 이내 모든 지역, 나이로비 북부 이스트레이, 가리사
2016년 6월 29일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코트디부아르 여행경보_2022.04.13.jpg

소라이베리아ㆍ기니와 국경을 접한 서부 지역 (Denguele주, Montagnes주, Bafing주), 초로고(Tchologo) 및 붕카니(Bounkani) 주(州)
2021년 4월 23일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여행경보_2020.01.25.jpg

남수단ㆍ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의 국경 50km 이내 지역, (바우엘레주, 오트우엘레주, 이투리주, 북키부주, 남키부주, 마니에마주, 카사이주, 카사이오리앙탈주, 카사이상트랄주) 舊 카탕가주 북부 지역(일부: 오트로마미주,루알라바주, 오트카탕가주)
2018.08.27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탄자니아 여행경보_2020.11.09.jpg

음트와라(Mtwara) 주(州)
2020년 11월 9일
}}} || ||<-60><bgcolor=#222> || ## ##러시아·중앙아시아 ## ||<-60><bgcolor=#aa0000> '''{{{#fff 러시아·중앙아시아}}}''' || ||<-30>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50]]]][br][[러시아|{{{#fff 러시아}}}]] ||<-30> [[타지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br][[타지키스탄|{{{#fff 타지키스탄}}}]]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러시아 여행경보_2023.02.16.jpg

북캅카스 지역 : 체첸, 다게스탄, 세베로오세티야(북오세티아), 카바르디노발카르(카바르티노-발카리야 공화국), 잉귀쉬(잉구세티아),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까라차이-체르케스), 아디게이(아디게야), 로스토프, 벨고로드, 보로네시, 쿠르스크, 브랸스크 주, 오룔 주 일부(샤블르키노, 드미트롭스크, 사스코보, 크로믜, 트로스나 5개 지역)
2023년 2월 15일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여행경보_2020.01.25.jpg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역
2011.08.04
}}} || ||<-60><bgcolor=#222> || ## ##유럽 ## ||<-60><bgcolor=#aa0000> '''{{{#fff 유럽}}}''' || ||<-20> [[벨라루스|[[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50]]]][br][[벨라루스|{{{#fff 벨라루스}}}]] ||<-20> [[아제르바이잔|[[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50]]]][br][[아제르바이잔|{{{#fff 아제르바이잔}}}]] ||<-20> [[조지아|[[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50]]]][br][[조지아|{{{#fff 조지아}}}]] || ||<-20> [[코소보|[[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50]]]][br][[코소보|{{{#fff 코소보}}}]] ||<-20> [[키프로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50]]]][br][[키프로스|{{{#fff 키프로스}}}]] ||<-20>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50]]]][br][[튀르키예|{{{#fff 튀르키예}}}]]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벨라루스 여행경보_2022.08.22.jpg
브레스트·고멜 지역 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30km를 제외한 전 지역
2022.03.01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아그담(Aghdam), 피줄리(Fizuli), 자브라일(Jabrayil), 장길란(Zanglian), 구바들리(Guabadly), 라친(Lachin), 켈바자르(Kelbajar)), 나흐치반 아르메니아 접경지역
2023년 4월 15일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조지아 여행경보_2020.01.25.jpg

남오세티아, 압하지아
2019.02.27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코소보 여행경보_2020.01.25.jpg

미트로비차 북부
2011.08.04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여행경보_2022.11.29.jpg

파마구스타 내 바로샤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터키 여행경보_2020.01.25.jpg

가지안테프, 디야르바커, 마르딘, 반, 바트만, 비트리스, 빙골, 산리우르파, 시르낙, 시르트, 엘라지, 킬리스, 툰셀리, 하카리,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히타이)
2010년 이전
}}} || ||<-60><bgcolor=#222> || ## ##오세아니아 ## ||<-60><bgcolor=#aa0000> '''{{{#fff 오세아니아}}}''' || ||<-60> [[파푸아뉴기니|[[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width=50]]]][br][[파푸아뉴기니|{{{#fff 파푸아뉴기니}}}]] || ||<-60><^|1><bgcolor=#b49d9d,#763737><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
지도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파푸아뉴기니 여행경보_2020.01.25.jpg

서던 하일랜즈 주, 헬라 주
2018.08.27
}}} || ||<-60><bgcolor=#222> || ||<-60><bgcolor=#fefefe,#454545> {{{-3 {{{#000,#fff [[틀:여행금지 목록|{{{#000 여행금지국가}}}]] · [[틀:출국권고 목록|{{{#C82613 출국권고국가}}}]] · [[틀:여행자제 목록|{{{#eeae00 여행자제국가}}}]] · [[틀:여행유의 목록|{{{#4444ff 여행유의국가}}}]]}}}}}} ||}}}



유럽의 국가별 수도

[ 펼치기 · 접기 ]
서유럽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더블린 문장.png 더블린
파일:그레이터 런던 휘장.svg 런던
파일:파리 문장.svg 파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암스테르담 문장.svg 암스테르담
파일:브뤼셀 깃발.svg 브뤼셀
파일:룩셈부르크 국장.svg 룩셈부르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모나코 국장.svg 모나코
중부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베를린 주장.svg 베를린
파일:1222px-Wien_3_Wappen.svg.png
파일:WARSAW Coat of arms.png 바르샤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프라하 문장.png 프라하
파일:브라티슬라바 문장.svg 브라티슬라바
파일:부다페스트_주기.png 부다페스트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베른 주장.svg 베른
파일:파두츠 문장.svg 파두츠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모스크바 휘장.svg 모스크바
파일:민스크 시 문장.png 민스크
파일:키이우 문장.svg 키이우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키시너우
파일:예레반 시 휘장.png 예레반
파일:Seal_of_Tbilisi,_Georgia.svg 트빌리시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Coat_of_Arms_of_Tskhinval.png 츠힌발리
아스타나
파일:바쿠 시 휘장.png 바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티라스폴
파일:Gerb_Sukhum.png 수후미
남유럽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마드리드 시장.svg 마드리드
리스본
안도라라베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로마시 휘장.svg 로마
바티칸
산마리노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발레타
류블랴나
자그레브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사라예보
베오그라드
프리슈티나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포드고리차
티라나
파일:스코페 휘장.png 스코페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테네 문장.png 아테네
앙카라
니코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616px-ROU_Bucharest_CoA.svg.png 부쿠레슈티
소피아
레프코샤
북유럽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탈린
리가
빌뉴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헬싱키
스톡홀름
오슬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코펜하겐
레이캬비크

아메리카의 수도 | 아시아의 수도 | 아프리카의 수도 | 오세아니아의 수도



민스크
Мінск · Минск

파일:민스크 시기.png
파일:민스크 시 문장.png
시기
문장



행정

[ 펼치기 · 접기 ]
국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시간대
UTC+3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2,009,786명(2021년)
면적
409.5km²

ISO 3166-2
BY-HM
공식 사이트
홈페이지

파일:external/www.minsknightlife.net/independance-square-minsk.jpg

벨라루스어: Мінск(공식표기)/Менск
러시아어: Минск


1.1. 개요[편집]


벨라루스의 수도이자 최대도시. 1920~30년대 전간기 당시에는 폴란드와의 국경 가까이에 위치한 도시였다. 스탈린이 총애했던 도시 중 하나로서 독소전 발발 전 이 도시를 소련의 중심 도시로 육성하겠다는 원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니 이 도시를 독일 국방군에게 함락당한 직후 스탈린이 얼마나 화를 냈는지 짐작할 법도 하다.

전후 폴란드 동부지역이 소련령이 됨에 따라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었다. 소련 시절에는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키예프, 타슈켄트에 이어 소련의 5대 도시 가운데 하나였으며, 1984년 민스크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소련 해체 후 다시금 벨라루스의 수도로 지정되었다. 인구는 2,028,104명(2020년 기준)이다. 독립국가연합의 본부가 있는 도시기도 하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극심한 피해를 입어 많은 문화유산이 훼손되었기 때문에 역사 깊은 동유럽의 주요 도시 중 하나임에도 옆나라의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키이우에 비해 볼거리가 부족하다는 말이 많다. 물론 그래도 명색이 유럽 국가의 수도다보니 유럽 느낌은 나고 이런저런 볼거리는 있는 편이다.걸어서 세계속으로 민스크편

벨라루스의 수도지만 정작 민스크 사람들은 벨라루스어보다 러시아어를 더 많이 쓴다. 수백년간 러시아의 지배를 받아 언어적으로는 러시아에 어느 정도 동화가 된 상태기 때문이다. 이렇게 러시아어를 쓰면서도 러시아 본국보다 저렴한 물가 때문에, 러시아어를 배우기 위해서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유학생들이 꽤 많이 가는 도시이다.

1.2. 교통[편집]




1.3. 여담[편집]


2016년 11월 7일에 이곳에 레닌 동상이 세워졌다.#

2019년에는 제2회 2019 민스크 유러피언 게임이 개최되었다.

전술 슈팅 게임 월드 오브 탱크에서 게임 맵으로 구현되기도 하였다. 실제로 월드 오브 탱크의 제작사인 워게이밍의 고향으로 알려져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이후 하르키우와 같이 플레이 가능 맵에서 삭제되었다.

실시간 전술 게임 스틸 디비전 2의 베레지나 캠페인에서 민스크가 메인 목표다. 바그라티온 작전 배경으로 독일군 사령관 발터 모델과 소련군 사령관 이반 체르냐홉스키가 대결한다.

2. 민스크급 구축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민스크급 구축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키예프급 항공모함 2번함[편집]


파일:external/russiancouncil.ru/ruc1.jpg
파일:external/www.joutrip.com/minsk-aircraft-carrier-world.jpg
파일:external/www.the-blueprints.com/ussr-minsk-aircraft-carrier.png

설레발일지는 몰라도 한때 구 소련의 주력함 중 하나. 무려 15억 달러를 들여 건조했으나 소련 붕괴 이후 옐친의 막장 행각으로 인해 러시아가 개박살이 나자 1년에 1억 5천만 달러나 들어가는 유지비용이 감당이 안되어서 노후화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1992년 건조 이후 15년 만에 퇴역했다. 1993년 중국이 이를 매입할 예정이라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으나[1], 천안문 사태 이후 중국을 견제하기 시작한 미국의 견제로 성사되지 않고 결국 고철용으로 판매되었다. 1994년에 다른 200여척의 함정들과 함께 세계 곳곳에 팔려나갈 매물로 나왔으며, 각국의 33개 회사가 입찰하였으며 그 중 한국의 영유통이라는 회사가 낙찰, 톤당 170달러에 구매했다. 민스크는 460만 달러(당시 환율로 37억원), 노보로시스크는 430만 달러(34억원). 군사적으로 전용되지 않도록 러시아 측 감시관이 따라오고 해체 후 확인서까지 전달하는 조건이었다. 본래는 낙찰 이후 바로 인도될 예정이었으나, 한국이 항모를 사들인다는 일본발 보도이후 논란이 일자 러시아 측에서 정보 유출 우려가 제기되어 계약 당시에는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던 무장, 전자장비, 기관까지 몽땅 뜯어낸 뒤 보냈기 때문에 다음해인 1995년 10월 20일에야 예인선에 끌려서 블라디보스토크를 출발, 같은 달 말 한국에 도착했다. 이후 러시아에서는 "이 배를 판 대금, 누가 차지하느냐"를 놓고 논란이 일었다고 한다.

본래 한국 해군은 민스크를 해체하면서 항공모함에 대한 기술력을 습득할 기회로 여기고 있었다. 그러나 해체 예정 수역이었던 마산시, 고성군(경상남도), 남해군, 포항시, 진해시 등지에서 모두 어장 훼손을 우려하는 지역 어민들과 환경단체의 반발로[2] 해체장을 세울 수 없었다. 당시 일부 언론에서는 해체하려고 애쓰지 말고 독도 근처에 정박시켜 인공섬으로 활용하자는 주장도 나왔다.[3] 96년 9월에는 결국 영유통 측에서 해체를 포기하고 해상호텔로 개조한다는 계획도 내놓았으나, 때마침 IMF 사태가 닥치면서 이것도 엎어졌다. 결국 98년 4월에 국내 활용을 포기하고 배를 인도에서 해체하겠다[4]고 한 인도 계열 미국 회사인 GMS사에 민스크를 넘겼다고 했는데, 중간에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종국에는 중국에 배가 넘어갔다. 중국에서 이 배를 사들인 대가는 430만 달러였다고 하며, 이로써 영유통은 민스크에 한해서는 상당한 손해를 보았을 것으로 보인다.

1998년 9월에 중국에 도착한 민스크는 개조를 거쳐 2000년부터 선전시에서 테마파크가 되었는데, 2005년 소유주가 파산하는 통에 영업을 중단했다가 2006년 다시 152억원에 팔려서 영업을 재개했다. 하지만 2016년에 부지 임대료 문제로 분쟁이 생겨 사업주가 영업을 중단했고, 저우산시로 견인되어 1년에 걸쳐 개조작업을 받은 뒤 상하이 인근 난퉁시에서 새로 공원을 열고 영업을 재개할 예정이었으나 아직 열리지 않고 있다. 2020년에 한 해외 유튜버가 난퉁시에 방치된 민스크 내부를 탐험하는 영상을 업로드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iGHoBptVwyk

다만 패키지로 들여온 동급 3번함인 자매함 노보로시스크는 언론 보도가 덜 되어 국내 유입 시기도 확실하지 않고, 1997년에 포항시에서 소리소문없이 해체되어 고철로 팔렸다. 민스크는 먼저 들어온 탓에 주목을 더 받아 처리도 못 된듯.

당시 엄격한 보도 통제 탓으로 별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로,[5] 이미 1970년대에 "스크랩(고철로 해체)"할 목적으로 외국 항모가 한국에 들어온 적이 있었다. 바로 영국제 마제스틱급 항공모함이었던 호주 항모 시드니.위키백과(Decommissioning and fate 항목)에 의하면 1975년 동국제강에 67만 3,516호주달러(AU$)로 매각되었다고 적혀 있다.

사족이지만 시드니의 동급 자매함 멜버른은 1985년 중국에 매각되었다. 중국의 항모기술 습득기도는 이미 이 시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 해체작업 과정에서 선체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설계를 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구소련 붕괴로 인해 건조가 중단, 미완성으로 내버려져 있다가 중국이 개조해 취역시킨 랴오닝급은 이러한 항모기술 습득과정의 산물일 수도 있다.

덤으로 북한도 이때 잠수함 다수를 고철이라는 명목으로 구매했다. 이후 북한의 잠수함 전력이 대폭 확대된 바탕이 된 것으로 보인다.


4. 발더스 게이트 시리즈등장인물[편집]


민스크(발더스 게이트 시리즈) 문서 참고.


5. LUSH의 제품[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러쉬 제품 민스크에 대한 내용은 LUSH(화장품)/상품 문서
LUSH(화장품)/상품번 문단을
LUSH(화장품)/상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宮澤(궁택)독트린」의 波長(파장), 동아일보 1993.01.21.[2] 선박 해체시 중금속, 석면, 잔존하는 유류 등의 유출로 인한 환경오염 소지가 큰 건 분명하다. 당시 일부 환경단체는 반대 이유로 방사능 오염을 내세웠다고 하는데, 당시 언론보도로는 이를 확인할 수 없다. 거기에다 그게 사실이라면 해프닝도 그런 해프닝이 없는게 러시아는 원자력 동력 항공모함을 건조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단, 실제로 당시 러시아가 스페인에 판매한 고철에서 방사능이 검출되는 바람에 난리가 났던 건 사실이다("러 고철 방사능오염", 조선일보, 1995.08.04). 이는 러시아가 자체적으로 해체해서 고철로 판 선박 중에 부주의하게 해체한 핵잠수함이 섞여 있었기 때문으로, 러시아산 고철을 경계하게 만들 계기로는 충분했다. 하지만 민스크는 국내에 들여와서 해체할 예정이었으니 핀트가 빗나간 주장인 건 맞다.[3] 「러航母(항모)」쓸곳 있다, 경향신문, 1995.11.22[4] 인도는 싼 인력과 빈약한 환경규제 덕분에 지금도 세계적인 선박 해체업 중심지다.[5] 1976년 2월 7일자 매일경제 기사로 다루어졌다. 고철용 항공모함 시드니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6:53:19에 나무위키 민스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