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양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조선 총리대신
(1894~1895)

조선 내각총리대신
(1895~1896)


초대

김홍집

초대

김홍집

제2대

박정양

제3대

김홍집

제4대

김병시

제5대

윤용선

조선 의정
(1896~1897)


제6대

김병시

제7대

심순택

대한제국 의정
(1897~1905)


제7대

심순택

제8대

김병시

제9대

심순택

제10대

윤용선

제11대

조병세

제12대

윤용선

제13대

심순택

제14대

윤용선

제15대

심순택

제16대

윤용선

제17대

이근명

제18대

윤용선

제19대

이근명

대한제국 의정대신
(1905~1907)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1907~1910)


제20대

민영규

제21대

조병호

제22대

이완용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大韓帝國中樞院議長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병시

제2대

정범조

제3대

김홍집

제4대

어윤중

제5대

박정양

제6대

정범조

제7대

민영휘

제8대

이호준

제9대

박정양

제10대

한규설

제11대

이종건

제12대

이하영

제13대

조병식

제14대

정낙용

제15대

임상준

제16대

신기선

제17대

김가진

제18대

조병세

권한대행

김가진

제19대

민영소

제20대

박정양

제21대

심상훈

제22대

민종묵

제23대

이근택

제24대

한규설

제25대

서정순

제26대

김윤식


좌의장


우의장

조병세
정범조


부의장


초대

김영수

제2대

어윤중

제3대

신기선

제4대

윤치호

제5대

이하영

제6대

윤치호

제7대

홍종억

제8대

서정순

제9대

김가진

제10대

이유인

제11대

이용태

제12대

이도재

제13대

이종건

제14대

이근호

제15대

이건하

제16대

김가진

제17대

이근호

제18대

이종건

제19대

이근상

제20대

이재곤

제21대

성기운

제22대

신기선

제23대

이근상
제국 중추원 의장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조선 제2대 내각총리대신
박정양
朴定陽 | Bak Jeong-yang


파일:박정양.png

출생
1841년 (헌종 7) 12월 24일
한성부 (현 서울특별시)
사망
1905년 (고종 42) 11월 2일 (향년 64세)
한성부 (현 서울특별시)
재임기간
조선 제2대 내각총리대신
1895년 8월 20일 - 1895년 10월 8일

【 펼치기 ・ 접기 】
시호
문익 (文翼)
본관
반남 박씨 (潘南)

치중(致中)

죽천(竹泉)
주요 경력
주미전권대사
호조판서
한성부 판윤
학부대신
제2대 내각총리대신
내부무대신
표훈원 총재
소속 단체

부모
부 : 박제근(朴齊近, 1819년 - 1885년)
모 : 이응재(李應在)의 딸
배우자
본처 : 양주 조씨(? - 1892년 1월)
후처 : 인동 장씨
자녀
슬하 3남 2녀
박승길(朴勝吉, 1871년 - 1891년)
박승철(朴勝喆, 1897년 ~ ?)
박승희(朴勝喜, 1901년 ~ 1964년)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신, 외교관. 대한제국정치가. 온건 개화파의 대표 인물이며 조선 최초의 주미 대사.

2. 생애[편집]



파일:external/monthly.chosun.com/1604_532.jpg


본관은 반남 박씨. 정조 후궁인 수빈 박씨의 일족으로 박규수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유대치 문하에서 김윤식, 김홍집, 김옥균 등과 교우하였다. 1864년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하고 1866년 문과에서 급제하였으며 온건 개화파의 일원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881년 조사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을 방문하였으며 관직에서 승승장구하여 성균관 대사성, 한성부 좌윤, 사헌부 대사헌 등을 지냈다. 1887년 주미 특파 전권 대사가 되어 워싱턴 D.C.에 부임했다.

1889년 귀국하여 홍문관 제학, 호조판서, 한성부 판윤 등을 지내고 1894년 갑오개혁으로 제1차 김홍집 내각이 수립되고 군국기무처가 설치되자 회의원이 되었다. 11월 제2차 김홍집 내각 때는 학무대신이 되었고 1895년 삼국간섭 등으로 제2차 김홍집 내각이 무너지자 총리대신이 되어 과도 내각을 세웠다가 을미사변 때 수구파의 대대적인 탄핵을 받고 파면되었다. 다시금 제3차 김홍집 내각이 수립되자 내부대신이 되어 을미개혁을 진행하다가 아관파천으로 김홍집이 살해당해서 제4차 김홍집 내각이 무너지자 내부대신, 총리대신 서리, 궁내부대신 서리를 겸임하여 정국을 주도했다.

1897년 독립협회 설립을 주도하였고 만민공동회에 정부 측 인사로 참가하였다. 독립협회가 폭력적으로 탄압당하자 사직서를 올렸으나 반대로 고종에 의해 내무부대신이 되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오적을 사형에 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9월 표훈원 총재가 되었고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훈장도 받았으나 병이 악화되어 11월 사임 후 곧바로 사망하였다. 순종 때 문익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3. 여담[편집]


  • 개화에 앞장섰으나 온건 개화파를 보호하는 역할을 자임해서 정쟁에 자주 휘말렸다. 김홍집의 3번의 내각에 모두 참가하였으면서도 제3차 김홍집 내각 전후로 총리대신 서리를 맡았다는 점에서 박정양의 정치 역경을 알 수 있다. 한 마디로 당시 정치적 문제에 대한 수습은 거의 박정양이 맡았다는 것이다.

  • 친일적인 측면이 엿보였다는 평도 있으나[1]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에 정부 측 인사로 계속 참가했다는 점과, 을사오적에 대한 처벌을 주장했다는 점, 그리고 이상재 등 젊은 개화파의 정치적 후견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우리가 아는 친일파하고는 거리가 멀다고 볼 수 있다.



  • 박정양보다 몇 년 앞서 미국에 갔던 민영익처럼, 박정양도 미국 대통령을 만나는 자리에서 땅바닥에 몸을 엎드려 큰절을 했다.

  • 미국 사교계 파티에 참석했다가 충격을 받기도 했다. 파티에 여자들도 많이 있는 것을 보고 '저 여자들은 모두 기생인가?' 라고 물었다가[2], '저 여자들은 미국 저명인사들의 아내이거나 딸이다'라는 대답을 듣고 놀랐다. 그런가 하면 파티에 참석한 여자들의 옷차림(가슴과 어깨를 많이 드러낸 드레스)과 남녀가 짝이 되어 서로의 몸을 잡고 춤을 추는 것에도 충격을 받았다.

  • 박정양의 둘째 아들 박승철은 독립운동가로 아버지가 타계한 후 아버지의 문인이었던 이상재로부터 영어를 교육받고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유학했으며, 1922년엔 해방 후 법무부 장관을 지낸 김준연과 함께 독일 베를린 대학교로 다시 유학을 갔으며 막 독립한 폴란드를 포함해서 유럽권 일대를 순회하고 잡지에 기행문을 게재하기도 했다. 귀국 후엔 배재고등보통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다가 농촌 운동과 관련된 기독교계 항일 민족주의 단체에 참여해 옥고를 치뤘다. 해방이 될 때까진 고향인 연천군에서 계속 거주한 것으로 보이나 해방 후 38선이 그어져 연천이 북한에 속하게 되자 월남해 현재 한국전력의 전신이기도 한 남선전기의 사장을 지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납북되면서 언제 사망했는지는 알 수가 없는 상태다.

4. 관련 문서[편집]




5. 둘러보기[편집]


김홍집 내각
(갑오개혁을미개혁)


[ 펼치기 · 접기 ]
차수
제1차
제2차
제3차
제4차
내부대신
군국기무처를 통한 개혁
박영효
박정양
유길준
농상공부대신
엄세영
김가진
정병하
신기선
이범진
군부대신
조희연
안경수
조희연
법부대신
서광범
서광범
장석주
탁지부대신
어윤중
심상훈
어윤중
외부대신
김윤식
김윤식
김윤식
학부대신
박정양
이완용
서광범
※ 2차 내각은 출범당시 3차 내각은 특정기간을 기준으로 함.
을미사변 이후 친일성향으로 조각되어 을미개혁을 추진하였으나 아관파천 이후 고종에게 을미사적으로 불리고 처형 명령이 떨어지면서 실각한다.






[ 펼치기 · 접기 ]


초대

박정양

제2대

이완용

제3대

서광범

제4대

이도재

제5대

조병직

제6대

신기선

제7대

민종묵

제8대

이완용

제9대

조병직

제10대

조병호

제11대

이도재

제12대

김명규

제13대

윤용구

제14대

신기선

제15대

민병석

제16대

이건하

제17대

김규홍

제18대

민영소

제19대

박정양

제20대

이용직

제21대

민영환

제22대

이재극

제23대

박제순

제24대

민영철

제25대

이지용

제26대

이완용

제27대

이재곤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가진

제2대

이범진

제3대

정병하

제4대

조병직

제5대

이윤용

제6대

정낙용

제7대

이도재

제8대

민병석

제9대

김명규

제10대

박제순

제11대

김명규

제12대

권재형

제13대

박정양

제14대

권재형

제15대

민병석

제16대

민영기

제17대

이종건

제18대

민병석

제19대

권재형

제20대

김규홍

제21대

민종묵

제22대

민영소

제23대

김가진

제24대

이도재

제25대

이지용

제26대

박제순

제27대

이근택

제28대

박제순

제29대

조동희

제30대

권중현

제31대

성기운

제32대

송병준





[ 펼치기 · 접기 ]


초대

박영효

제2대

이헌영

제3대

박정양

제4대

유길준

제5대

박정양

제6대

남정철

제7대

박정양

제8대

이근명

제9대

심상훈

제10대

민영환

제11대

이근명

제12대

이건하

제13대

민병석

제14대

이건하

제15대

김주현

제16대

이헌영

제17대

조병호

제18대

이재극

제19대

민영환

제20대

이도재

제21대

이용태

제22대

조병필

제23대

조병식

제24대

이도재

제25대

이지용

제26대

임선준





[ 펼치기 · 접기 ]


초대

어윤중

제2대

윤용선

제3대

심상훈

제4대

어윤중

제5대

박정양

제6대

민종묵

제7대

조병호

제8대

심상훈

제9대

민영기

제10대

조병호

제11대

조병직

제12대

민영기

제13대

박정양

제14대

민영환

제15대

민영기

제16대

조병직

제17대

조병식

제18대

민병석

제19대

김규홍

제20대

심상훈

제21대

김성근

제22대

심상훈

제23대

이용익

제24대

박정양

제25대

민영기

제26대

조병호

제27대

민영기

제28대

민영철

제29대

민영기

제30대

고영희


파일:독립협회 검은색 글자.svg

지도부


[ 펼치기 ・ 접기 ]
회장
초대
안경수
제2대
이완용
제3대
서재필
제4대
윤치호
간부
위원장
이완용
고문
서재필
위원
김가진
남궁억
박정양
송헌빈
안창호
오세창
유길준
윤치호
이상재
이승만


[1] 취소선 쳐진 인물은 독립협회에서 제명된 인물을 의미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0:49:23에 나무위키 박정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본래 개화파치고 친일 의혹 안받아보는 사람이 없다. 19세기에는 어느 국가와 가까운지에 따라 파당 이름이 결정되는 일이 많았다. 이 때문에 친일파라고 해서 이완용 등과 동급으로 생각하면 곤란하다.[2] 유교 문화권인 조선에서는 큰 잔치를 벌여도 남녀의 자리를 별도로 마련했고, 남자들 자리에 자유롭게 드나드는 여자들은 음식 시중 드는 노비이거나 노래와 춤으로 흥을 돋우는 기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