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행정구역)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기타
3. 목록


1. 개요[편집]


班 / Ban / Hamlet

대한민국최말단 행정구역.

1938년 일본 제국이 전시동원을 위해 국민정진총동원연맹을 조직하고 애국반을 설치한 것이 시초로, 이것이 해방 이후 1949년 국민반, 1961년 재건반으로 개칭되었다가 최종적으로 1975년 현재의 명칭인 반이 되었다.

해당지역의 조례에 따라 또는 아래에 설치된다. 일단 행정구역이라고는 하지만, 통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행정구역이다. 1980년대까지는 존재감이 상당했지만 이는 정책적으로 반상회를 이용하려는 의도가 강했기 때문에 그런 측면이 있었다. 그러다가 제6공화국 들어서는 반상회에 대한 정권의 통제가 줄어들고 핵가족화까지 겹치면서 행정구역의 일을 논의한다기보다는 동네 친목모임 정도의 이미지가 남게 된 것이다.

지자체마다 다르지만 통상 20~100개 가구를 묶어서 1개 반을 구성하고 반장을 임명한다. 행정구역으로서의 반은 유명무실하지만 사실 관심만 가지면 쉽게 볼 수 있는데, 한 달에 한 번 하는 반상회가 예 중 하나이다.

최말단행정구역으로서 구체적인 행정업무를 담당하기보다는, 이웃친목 위주의 교류나 나눔 활동을 통해 이웃간 단절을 해소하여 삭막한 도시화를 극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옆집에 누가 사는지 모르는 경우도 꽤 있기 때문에 농촌지역이 아니고서는 명목상으로만 있는 것이다.

2. 기타[편집]


초등학교, 중학교의 경우 같은 에 1개 이상의 학교가 설치된 경우가 많으므로 통, 반까지 나누어 통학구역을 설정한다.[1] 아마 1990년대~2010년대 초까지 초등학생이었다면 한 번쯤 학교에서 '통, 반 알아 오기' 같은 것을 알림장에 받아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공립 초등학교의 경우, 주소지에 의거하여 이렇게 짜인 통학구역에 의해 아이가 다니게 될 학교를 배정받는다.

북한에서도 사용하는 행정단위로, 북한에서는 인민반으로 불린다. 군면리 대폐합 이후 변한 북한 행정체계상으로는 남한의 리, 통에 대응한다. 남한의 경우에는 반이 존재감이 떨어진 것에 비해서 북한에서 아직도 존재감이 있다. 인민반에서 관리업무와 친목모임같은 통상적인 업무뿐만 아니라 사상동향 보고를 비롯한 통제업무까지 부여받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민반장도 동네에서 권한있는 직위로 여겨진다. 다만 반장의 대우는 시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편이라 한때는 동네 심부름꾼이라는 이미지도 있었고, 고난의 행군 시절에는 기피 직종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김정은 집권기에는 권한이 확대되면서 거의 동네 유지나 다름없는 수준으로 대접받다보니 선호되는 직종이다.

3.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통·반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3:58:50에 나무위키 반(행정구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 몇 통~몇 통, 몇 반~몇 반은 ○○초등학교 이런 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