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대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白雲臺 / 白雲台 / Baegundae
파일:107.jpg
※ 건너편의 만경대 정상에서 바라본 백운대, 숨은벽능선 정상부, 인수봉 (2015.04.26)

파일:XNS200629.jpg
※ 백운대 정상의 모습 (2011.09.05)

1. 개요
2. 상세
3. 등산로[1]


1. 개요[편집]


백운대는 높이 837m의 봉우리로 '북한산 정상'하면 여기를 지칭하고, 서울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2] 중생대 쥐라기에 생성된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효봉-염초봉-백운대로 구성된 북한산 원효능선의 최정점. 조선 태조 이성계가 백운대 정상을 올랐다는 기록이 있으나, 일반인들은 중간의 급경사 슬랩들 때문에 접근이 매우 어려웠으며(추락하면 즉사), 장비를 갖추지 않은 일반인들이 백운대 정상을 오르게 된 것은 1908년에 고정로프가 설치가 된 이후이다. 그러나 이후에도 진동이 매우 심하여 불완전한 공포의 탐방로였고, 2번의 탐방객 추락사 사고를 겪은 뒤 1927년 4월 1일에 조선총독부의 지원으로 고양군에서 철제 난간 공사를 시작하여 1927년 11월 12일에 완공하였다. 이후 일반 등산객들이 본격적으로 백운대 정상을 등정하기 시작했다.


2. 상세[편집]


1년에 10일 정도밖에 되지 않는, 미세먼지스모그는 커녕 구름 한 점도 없는 아주 쾌청하고 맑은 날에 백운대 정상에 오르면 북-동쪽으로는 개성 송악산, 챌봉, 감악산, 불곡산, 운악산, 도봉산, 불암산, 수락산, 천마산, 팔당댐, 연인산과 화악산, 용문산이 보이고, 서-남쪽으로는 서해 앞 바다, 강화도 일부, 김포국제공항, 한강, 관악산, 삼성산, 남산서울타워가 보인다.

백운대 서벽은 신동엽길 이외에 1개의 암벽등반로가 있으며, 가장 보편적인 백운대 산행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도선사 옆 주차장 위에 있는 백운대탐방지원센터(등산로 길이 2.1km), 고양시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등산로 길이 4.2km)에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효봉 정상에서 백운대 정상으로도 갈 수는 있으나, 중간에 있는 염초봉(662m)[3]이 사람 잡아 먹는 봉우리라 국립공원 지킴이들이 항상 근무하고 있으며, 제대로 된 장비를 갖춘 2인 이상의 인원에 한정하여 통과시킨다.

위문 바로 밑부터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이며, 우이동에 속하는 백운산장은 1917년에 개업했으며, 백운산장 바로 옆 계곡은 창릉천의 발원지이다. 창릉천은 비가 올 때에만 흐르는 전형적인 건천으로 산악구조대-사기막골을 거쳐 서해로 흐른다.


3. 등산로[4][편집]


  • 도선사 옆 주차장 - 백운탐방지원센터 - 하루재 - 인수암 - 북한산산악구조대 - 백운산장 - 위문(백운동암문) - 백운대 정상[4]
  •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 개연폭포 - 위문 - 백운대 정상
  • 원효봉 - 염초봉(3개의 봉우리로 구성, 염초1봉(책바위) - 염초2봉(피아노바위) - 염초3봉) - 말바위 - 하강바위 - 백운대 정상[5]
  • 마른폭포 - 서벽밴드 - 위문 - 백운대 정상 [6]
  • 마른폭포 - 여우굴 - 백운대 서벽 - 백운대 정상 [7]
  • 약수암터 - 약수암 릿지 - 백운대 정상 [8]
  • 신동엽길 - 백운대 정상 [9]
  • 백운대 뒷길 - 호랑이굴 - 백운대 정상 [10]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7:45:24에 나무위키 백운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법정탐방로, 비법정탐방로 가리지 않음[2] 수도권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가평강원도 화천 경계에 위치한 화악산이다.[3] '염라대왕이 초대하는 봉우리'라고 염초봉이란 말이 있는데, 그만큼 매우 위험하다는 의미[4] A B 가장 쉬운 코스[5] 전문 릿지 및 암벽등반 코스. 사망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구간이므로 일반인은 얼씬도 않는 것이 좋다.[6] 고소공포증 있는 사람은 얼씬하지 않는 편이 건강에 좋음. 절벽 가운데에 난 좁은 길을 철제 와이어에 의지해야 하고, 서벽밴드 초입 25m 지점에 2.5m 정도의 빈 공간이 있으며, 이곳은 중간에 박혀있는 길이 20cm의 철심을 딛고 가야하는 위험구간.[7] 2014년 6월 백운대 서벽 난간이 철거되어 매우 위험한 코스가 되었음[8] 고난도 릿지 코스. 반대방향으로는 진행 불가능[9] 고난도 암벽등반 루트[10] 고난도 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