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릴륨

덤프버전 :


주기율표
[ 펼치기 · 접기 ]
족→
주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수소|{{{#d00,#fc3 H
{{{-5

수소
]]
[[헬륨|{{{#d00,#fc3 He
{{{-5

헬륨
]]
2
[[리튬|{{{#000,#fff Li
{{{-5

리튬
]]
[[베릴륨|{{{#000,#fff Be
{{{-5

베릴륨
]]
[[붕소|{{{#000,#fff B
{{{-5

붕소
]]
[[탄소|{{{#000,#fff C
{{{-5

탄소
]]
[[질소|{{{#d00,#fc3 N
{{{-5

질소
]]
[[산소|{{{#d00,#fc3 O
{{{-5

산소
]]
[[플루오린|{{{#d00,#fc3 F
{{{-5

플루오린
]]
[[네온|{{{#d00,#fc3 Ne
{{{-5

네온
]]
3
[[나트륨|{{{#000,#fff Na
{{{-5

나트륨
]]
[[마그네슘|{{{#000,#fff Mg
{{{-5

마그네슘
]]
[[알루미늄|{{{#000,#fff Al
{{{-5

알루미늄
]]
[[규소|{{{#000,#fff Si
{{{-5

규소
]]
[[인(원소)|{{{#000,#fff P
{{{-5

]]
[[황(원소)|{{{#000,#fff S
{{{-5

]]
[[염소(원소)|{{{#d00,#fc3 Cl
{{{-5

염소
]]
[[아르곤|{{{#d00,#fc3 Ar
{{{-5

아르곤
]]
4
[[칼륨|{{{#000,#fff K
{{{-5

칼륨
]]
[[칼슘|{{{#000,#fff Ca
{{{-5

칼슘
]]
[[스칸듐|{{{#000,#fff Sc
{{{-5

스칸듐
]]
[[티타늄|{{{#000,#fff Ti
{{{-5

티타늄
]]
[[바나듐|{{{#000,#fff V
{{{-5

바나듐
]]
[[크로뮴|{{{#000,#fff Cr
{{{-5

크로뮴
]]
[[망가니즈|{{{#000,#fff Mn
{{{-5

망가니즈
]]
[[철(원소)|{{{#000,#fff Fe
{{{-5

]]
[[코발트|{{{#000,#fff Co
{{{-5

코발트
]]
[[니켈|{{{#000,#fff Ni
{{{-5

니켈
]]
[[구리|{{{#000,#fff Cu
{{{-5

구리
]]
[[아연|{{{#000,#fff Zn
{{{-5

아연
]]
[[갈륨|{{{#000,#fff Ga
{{{-5

갈륨
]]
[[저마늄|{{{#000,#fff Ge
{{{-5

저마늄
]]
[[비소|{{{#000,#fff As
{{{-5

비소
]]
[[셀레늄|{{{#000,#fff Se
{{{-5

셀레늄
]]
[[브로민|{{{#00f,#3cf Br
{{{-5

브로민
]]
[[크립톤|{{{#d00,#fc3 Kr
{{{-5

크립톤
]]
5
[[루비듐|{{{#000,#fff Rb
{{{-5

루비듐
]]
[[스트론튬|{{{#000,#fff Sr
{{{-5

스트론튬
]]
[[이트륨|{{{#000,#fff Y
{{{-5

이트륨
]]
[[지르코늄|{{{#000,#fff Zr
{{{-5

지르코늄
]]
[[나이오븀|{{{#000,#fff Nb
{{{-5

나이오븀
]]
[[몰리브데넘|{{{#000,#fff Mo
{{{-5

몰리브데넘
]]
[[테크네튬|{{{#000,#fff Tc
{{{-5 __

테크네튬
__]]
[[루테늄|{{{#000,#fff Ru
{{{-5

루테늄
]]
[[로듐|{{{#000,#fff Rh
{{{-5

로듐
]]
[[팔라듐|{{{#000,#fff Pd
{{{-5

팔라듐
]]
[[은|{{{#000,#fff Ag
{{{-5

]]
[[카드뮴|{{{#000,#fff Cd
{{{-5

카드뮴
]]
[[인듐|{{{#000,#fff In
{{{-5

인듐
]]
[[주석(원소)|{{{#000,#fff Sn
{{{-5

주석
]]
[[안티모니|{{{#000,#fff Sb
{{{-5

안티모니
]]
[[텔루륨|{{{#000,#fff Te
{{{-5

텔루륨
]]
[[아이오딘|{{{#000,#fff I
{{{-5

아이오딘
]]
[[제논(원소)|{{{#d00,#fc3 Xe
{{{-5

제논
]]
6
[[세슘|{{{#000,#fff Cs
{{{-5

세슘
]]
[[바륨|{{{#000,#fff Ba
{{{-5

바륨
]]
(란)
[[하프늄|{{{#000,#fff Hf
{{{-5

하프늄
]]
[[탄탈럼|{{{#000,#fff Ta
{{{-5

탄탈럼
]]
[[텅스텐|{{{#000,#fff W
{{{-5

텅스텐
]]
[[레늄|{{{#000,#fff Re
{{{-5

레늄
]]
[[오스뮴|{{{#000,#fff Os
{{{-5

오스뮴
]]
[[이리듐|{{{#000,#fff Ir
{{{-5

이리듐
]]
[[백금|{{{#000,#fff Pt
{{{-5

백금
]]
[[금|{{{#000,#fff Au
{{{-5

]]
[[수은|{{{#00f,#3cf Hg
{{{-5

수은
]]
[[탈륨|{{{#000,#fff Tl
{{{-5

탈륨
]]
[[납|{{{#000,#fff Pb
{{{-5

]]
[[비스무트|{{{#000,#fff Bi
{{{-5

비스무트
]]
[[폴로늄|{{{#000,#fff Po
{{{-5

폴로늄
]]
[[아스타틴|{{{#000,#fff At
{{{-5 __

아스타틴
__]]
[[라돈|{{{#d00,#fc3 Rn
{{{-5

라돈
]]
7
[[프랑슘 |{{{#000,#fff Fr
{{{-5 __

프랑슘
__]]
[[라듐 |{{{#000,#fff Ra
{{{-5

라듐
]]
(악)
[[러더포듐 |{{{#000,#fff Rf
{{{-5 __

러더포듐
__]]
[[더브늄 |{{{#000,#fff Db
{{{-5 __

더브늄
__]]
[[시보귬 |{{{#000,#fff Sg
{{{-5 __

시보귬
__]]
[[보륨 |{{{#000,#fff Bh
{{{-5 __

보륨
__]]
[[하슘 |{{{#000,#fff Hs
{{{-5 __

하슘
__]]
[[마이트너륨 |{{{#000,#fff Mt
{{{-5 __

마이트너륨
__]]
[[다름슈타튬 |{{{#000,#fff Ds
{{{-5 __

다름슈타튬
__]]
[[뢴트게늄 |{{{#000,#fff Rg
{{{-5 __

뢴트게늄
__]]
[[코페르니슘 |{{{#00f,#3cf Cn
{{{-5 __

코페르니슘
__]]
[[니호늄 |{{{#000,#fff Nh
{{{-5 __

니호늄
__]]
[[플레로븀 |{{{#00f,#3cf Fl
{{{-5 __

플레로븀
__]]
[[모스코븀 |{{{#000,#fff Mc
{{{-5 __

모스코븀
__]]
[[리버모륨 |{{{#000,#fff Lv
{{{-5 __

리버모륨
__]]
[[테네신 |{{{#000,#fff Ts
{{{-5 __

테네신
__]]
[[오가네손 |{{{#000,#fff Og
{{{-5 __

오가네손
__]]
(란)
[[란타넘|{{{#000,#fff La
{{{-5

란타넘
]]
[[세륨|{{{#000,#fff Ce
{{{-5

세륨
]]
[[프라세오디뮴|{{{#000,#fff Pr
{{{-5

프라세오디뮴
]]
[[네오디뮴|{{{#000,#fff Nd
{{{-5

네오디뮴
]]
[[프로메튬|{{{#000,#fff Pm
{{{-5 __

프로메튬
__]]
[[사마륨|{{{#000,#fff Sm
{{{-5

사마륨
]]
[[유로퓸|{{{#000,#fff Eu
{{{-5

유로퓸
]]
[[가돌리늄|{{{#000,#fff Gd
{{{-5

가돌리늄
]]
[[터븀|{{{#000,#fff Tb
{{{-5

터븀
]]
[[디스프로슘|{{{#000,#fff Dy
{{{-5

디스프로슘
]]
[[홀뮴|{{{#000,#fff Ho
{{{-5

홀뮴
]]
[[어븀|{{{#000,#fff Er
{{{-5

어븀
]]
[[툴륨|{{{#000,#fff Tm
{{{-5

툴륨
]]
[[이터븀|{{{#000,#fff Yb
{{{-5

이터븀
]]
[[루테튬|{{{#000,#fff Lu
{{{-5

루테튬
]]
(악)
[[악티늄|{{{#000,#fff Ac
{{{-5

악티늄
]]
[[토륨|{{{#000,#fff Th
{{{-5

토륨
]]
[[프로트악티늄|{{{#000,#fff Pa
{{{-5

프로트악티늄
]]
[[우라늄|{{{#000,#fff U
{{{-5

우라늄
]]
[[넵투늄|{{{#000,#fff Np
{{{-5 __

넵투늄
__]]
[[플루토늄|{{{#000,#fff Pu
{{{-5 __

플루토늄
__]]
[[아메리슘|{{{#000,#fff Am
{{{-5 __

아메리슘
__]]
[[퀴륨|{{{#000,#fff Cm
{{{-5 __

퀴륨
__]]
[[버클륨|{{{#000,#fff Bk
{{{-5 __

버클륨
__]]
[[캘리포늄|{{{#000,#fff Cf
{{{-5 __

캘리포늄
__]]
[[아인슈타이늄|{{{#000,#fff Es
{{{-5 __

아인슈타이늄
__]]
[[페르뮴|{{{#000,#fff Fm
{{{-5 __

페르뮴
__]]
[[멘델레븀|{{{#000,#fff Md
{{{-5 __

멘델레븀
__]]
[[노벨륨|{{{#000,#fff No
{{{-5 __

노벨륨
__]]
[[로렌슘|{{{#000,#fff Lr
{{{-5 __

로렌슘
__]]
범례

배경색: 원소 분류
알칼리 금속
]]
[[알칼리 토금속 |{{{#000,#fff
display:inline-block; width:7em; margin:-25px 0"
[[란타넘족|{{{#000,#fff
display:inline-block; width:7em; margin:-25px 0"
[[악티늄족|{{{#000,#fff
display:inline-block; width:7em; margin:-25px 0"
[[전이 원소 |{{{#000,#fff
display:inline-block; width:7em; margin:-25px 0"
[[전이후 금속 |{{{#000,#fff
display:inline-block; width:7em; margin:-25px 0"
[[준금속|{{{#000,#fff
display:inline-block; width:7em; margin:-25px 0"
[[비금속|{{{#000,#fff
display:inline-block; width:7em; margin:-25px 0"
[[비금속|{{{#000,#fff
display:inline-block; width:7em; margin:-25px 0"
[[비활성 기체 |{{{#000,#fff

밑줄: 자연계에 없는 인공 원소 혹은 극미량으로만 존재하는 원소로, 정확한 원자량을 측정하기 어려움.
글자색: 표준 상태(298 K(25 °C), 1기압)에서의 원소 상태, ● 고체 · ● 액체 · ● 기체




4Be
베릴륨 >

 | 
Beryllium

분류
알칼리 토금속
상태
고체
원자량
9.0121831
밀도
1.85 g/cm3
녹는점
1282 °C
끓는점
2970 °C
용융열
12.2 kJ/mol
증발열
292 kJ/mol
원자가
2
이온화에너지
899.5, 1757.1, 14848.7 kJ/mol
전기음성도
1.57
전자친화도
-50 kJ/mol
발견
L. N. Vauquelin (1797)
CAS 등록번호
7440-41-7
이전 원소
리튬(Li)
다음 원소
붕소(B)




파일:naver-Be.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e-140g.jpg

1. 개요
2. 특징
3. 용도
4. 문제점
5. 구성




1. 개요[편집]


주기율표 제2족에 속하는 알칼리 토금속원소.

결정구조는 밀집육각결정, 공간군은 P63/mmc.


2. 특징[편집]


1797년 프랑스의 화학자 보클랭은 녹주석(Beryl)에서 미지의 금속산화물을 발견했다. 그는 이 산화물을 맛보고 단맛이 났기 때문에 그리스어로 '달다'를 의미하는 '글루시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하지만 원소를 분리하지는 못하고, 1828년 독일의 화학자 뷔시와 뵐러가 각각 독자적으로 원소의 분리에 성공해, 그해에 베릴륨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금속 치고는 이온화 에너지가 높아 공유 결합을 하기도 한다.

보통 짝수의 양성자를 가진 원소는 둘 이상의 안정 동위원소를 가지는 경우가 흔하지만 안정한 동위원소는 베릴륨-9 뿐이다. 베릴륨-8은 알파 붕괴를 하는 가장 가벼운 동위원소이다. 수명도 매우 짧기 때문에 항성이 헬륨을 탄소로 융합하는 삼중알파과정에서 병목현상을 유발한다. 그러나 만일 우주 초기의 물리 상수가 미세하게 달랐다면 베릴륨-8 또한 안정적일 수 있었을 것인데, 베릴륨-8이 만일 안정적이었다면 항성들은 베릴륨 연소 과정(8Be + 4He = 12C, 8Be + 8Be = 16O)을 통해 탄소와 산소를 더 수월하게 만들 수 있게 되며, 우주에서 베릴륨의 존재비도 훨씬 높았을 것이다.

단순 물성만 보면 공학적으로는 최고의 소재이다. 두 번째로 가벼운 금속 원소이며, 주기율표 상 4번에 위치하고 있어서 같은 부피일 때 알루미늄의 0.7배, 티타늄의 0.4배, 의 0.23배 정도의 무게밖에 안 나가지만 가벼운 무게와 어울리지 않는 탁월한 강성(영률 287GPa[1])으로 인하여 어마어마한 비강도(무게 대비 강도)를 지닌다. 그 가볍다는 티타늄보다도 훨씬 가볍고 훨씬 튼튼할 정도다.

더불어 표면에 1~10nm 두께의 매우 얇고 단단한 산화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기/담수/해수에 부식되지 않으며, 높은 비열(1925 J·kg-1·K-1)과 열전도율(216 W·m-1·K-1) 덕분에 단위 중량 당 방열 성능으로는 금속 중 최고다. 이 방열 성능과 상대적으로 낮은 열팽창계수(11.4×10-6 K-1)로 인해 열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에서 대단히 뛰어난 안정성을 보이며, 더불어 극저온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우주 망원경에서도 쓴다. 그야말로 현실판 미스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금 독특한 특성으로 낮은 밀도와 높은 탄성계수로 인해 베릴륨 내부의 음속은 12.7km/s로 비상식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낸다. 수중에서의 음속이 약 1,400m/s, 강철 내부의 음속이 약 5000m/s인 것을 생각하면 대단한 수치다.

Bigpicture 원소 기호 '빅데이터' 자료에 의하면 서적에서의 언급 빈도 순위는 55위로, 기본 원소 20개 중에 꼴찌라는 굴욕을 맞이했다. 바로 윗순위가 38위인 아르곤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낮은 빈도다. 원자번호 20 이하의 원소 중에서는 붕소, 네온, 아르곤과 같이 일반인들에게는 그리 친숙한 원소가 아니라는 점도 있다.

3. 용도[편집]


  • 녹주석(Be3Al2(Si6O18) : 베릴륨과 알루미늄이 농집된 지역에서 형성되는 광물. 아무 불순물이 없다면 투명하지만 결정 구조에 다양한 불순물이 함유되면 색을 띄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베릴륨의 정제용 원광으로 쓰이며, 크고 투명하며 색이 잘 나온 것은 보석으로 대접받는다. 녹주석에 크로뮴이나 바나듐 이온이 함유되어 녹색이 된 것이 바로 에메랄드이며, 2가 철이나 스칸듐이 함유되어 물색이 된 것이 아쿠아마린이다.

  • 식용: 단맛이 나서, 예전에는 베릴륨을 먹기도 했다. 과 비슷한 사례. 물론 맹독성 원소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진 뒤에는 절대 쓰지 않는다.

  • 원자력 분야: 원자력 발전에는 핵분열 후에 방출되는 중성자의 속도를 낮춰, 다음의 핵분열을 일으키기 위한 감속재가 필요하다. 베릴륨은 주로 중성자의 감속재나 반사재로서 이용된다. 아주 작고 산란단면적이 큰 베릴륨은 경수, 중수, 흑연과 함께 중성자의 감속재 및 반사재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우라늄 원자탄의 경우 무기급 우라늄 코어를 베릴륨 반사재로 10cm의 두께로 감싸면 52kg 정도인 임계질량을 1/3 로 감소시켜 18kg 정도로 줄일 수 있다. 이는 천연우라늄을 반사재로 쓰는 것보다 효율이 좋다. 또 용융염 원자로 등에서 용윰염의 주성분은 리튬염이지만 용융온도가 높기 때문에 비슷한 원자적 성질을 가진 리튬염과 베릴륨염을 혼합해서 녹는온도를 낮춘다.

  • 베릴륨-9(9Be)는 1.67 MeV 이상의 감마선을 맞으면 중성자를 내며 베릴륨-8(8Be)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중성자를 발생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 합금: 구리에 1~2%의 베릴륨을 섞은 합금은 '베릴륨 청동'이라 불리며, 순 구리에 비해 6배 이상 강인하고 탄력성이 있으며, 전기전도성도 높아서 많은 응용 분야에 쓰인다.

  • 방사선 분야 : 대부분의 X선감마선 파장에 대해 거의 완전히 투명하다. 때문에 대부분의 X선 연구용 샘플 홀더나 방사창문은 베릴륨으로 만들어진다. 베릴륨 방사창을 사용하면 약 100eV 가량의 저에너지 X선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

  • 거울 : 얇게 펴면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대역을 반사하는 거울로도 쓸 수 있는데, 열적 안정성이 뛰어나서 극저온 환경에서도 쓸 수 있으며 매우 가볍기 때문에 기상위성우주 망원경의 광학계통에 절찬리에 쓰이고 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거대한 반사경은 18개의 육각형 금도금 베릴륨 패널을 합쳐 만들어졌으며[3], 스피처 우주 망원경은 아예 광학계 전체가 다 베릴륨이다. 또한 매우 빠른 움직임을 위해 저질량과 고강성이 요구되는 주력전차 사통장치의 거울로도 쓰인다.[4]

  • 세라믹 : 베릴륨과 산소의 화합물인 산화베릴륨은 열전도율이 높은 절연체이다. 때문에 소결하여 세라믹으로 만들어 반도체에 많이 쓰이는데, 비슷한 용도의 산화알루미늄보다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반도체 내부의 절연체로 사용할 경우 반도체의 방열성능 향상 효과를 볼 수 있다. 진공관이나 마그네트론 등에는 구조용 세라믹으로도 사용된다.

파일:beryllium.jpg
  • 매우 가볍고 튼튼하다는 점을 이용해 고성능 스피커의 진동판 소재로도 쓰다. 대표적인 게 포칼트위터이며 이어폰, 헤드폰의 진동판 소재나 코팅재로도 알음알음 쓰이고 있다.

4. 문제점[편집]


파일:GHS 보건재해 표지.svg

[ 펼치기 · 접기 ]
1군: 확실한 발암 물질 120개
X선 · 감마선 · 가공육 · 가죽 먼지 · 간흡충 · 설퍼 머스터드 · 고엽제 · 광둥성식 염장 생선 · 그을음 · 니켈화합물 · 흡연간접흡연 · 비소 및 유기 비소 화합물 · 디젤 엔진배기 가스 · 라듐 · 톱밥(목재 먼지) · 미세먼지 및 기타 대기오염 · B, C형 간염 · 방사성 핵종 · 베릴륨 · 벤젠 · 벤조피렌 · 빈랑 · 사염화탄소 · 산화에틸렌(에틸렌 옥사이드) · 석면 · 석탄 · 셰일 오일 · 스모그(화학성 안개) · 방사성 스트론튬 · 방사성 요오드 · 아플라톡신 · 알루미늄 공정 ·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 에탄올() · 역청 · 위나선균 · 규소 먼지 · · 인유두종 바이러스[1] · 자외선과 자외선 태닝 기계 · 제철 공정 · 카드뮴 · 크로뮴 · 토륨 · 포름알데하이드 · 염화비닐, 염화 폐비닐 · 플루토늄 ·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토젠 경구 피임약 · 에이즈
2A군: 발암 가능성 있는 물질 75개
DDT · 교대근무 · 야간 근로 · 화합물 · 뜨거운 음료(65°C 이상) · 말라리아 · 미용 업무 · 바이오매스 연료 · 적색육[2] · 튀김 및 튀김 조리 업무 ·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 우레탄 · 인유두종 바이러스 · 질산염 및 아질산염 · 아크릴아마이드
2B군: 발암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의심되는 물질 313개
4-메틸이미다졸 · 가솔린 엔진배기 가스 · 경유 · 고사리[3] · 나프탈렌 · · 니켈 · 도로 포장 중의 역청 노출 ·드라이클리닝 · 목공 업무 · 아세트알데하이드 · 아스파탐#발암물질 · 알로에 베라 잎 추출물 · 이산화 타이타늄 · 인쇄 업무 · 자기장 · 초저주파 자기장 · 클로로포름 · 페놀프탈레인 · 피클 및 아시아의 절임 채소류 · 휘발유
3군: 발암여부가 정해지지 않은 물질 499개
4군: 암과 무관한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 1개[4]
[1] 암의 종류에 따라 1군/2A군으로 나뉜다.
[2] GMO, 항생제 등 고기 잔류 물질이 문제가 아니다. IARC에서는 확실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고기의 성분 자체가 조리되면서 발암 물질을 필연적으로 함유하기 때문이라고 논평하였다. 청정우 같은 프리미엄육을 사 먹어도 발암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에 전세계의 육류업자들이 고기를 발암물질로 만들 셈이냐며 정식으로 항의하기도 하는 등 논란이 있었다.
[3] 단, 올바른 조리 과정을 거치면 먹어도 문제는 없다. 문서 참조.
[4] 카프로락탐. 2019년 1월 18일 IARC 서문 개정에 따라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삭제되었다.#





인체 흡입 시 비소수은에 버금가는 독성을 발휘하는 것이 베릴륨의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베릴륨은 확실하게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판명된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고 있으며, 베릴륨으로 인해 발생되는 질환은 특별히 '베릴리아증(Berylliosis)' 또는 '만성 베릴륨증(Chronic Beryllium Disease, CBD)'이라고 불린다.
체내 유입된 베릴륨 입자는 T세포를 자극하여 해당 위치로 림프구와 대식세포가 끝없이 모이게 하여 육아종을 형성하며, 결국 폐섬유증이나 을 초래한다. 짧은 시간 동안 고농도의 분진에 노출되면 급성 폐렴 증세가 나타나며, 긴 시간 동안 낮은 농도에 노출되면 폐, 간, 피부, 피하조직, 림프절 등 다양한 부위에 염증성 종양이 생성된다. 또한 베릴륨 이온(Be2+)은 화학적으로 마그네슘 이온(Mg2+)과 유사하기 때문에 조직과 세포에 굉장히 쉽게 흡수되는데, 흡수되고 나면 마그네슘을 사용하는 수많은 효소들에 마그네슘 대신 결합하여 작용을 억제한다. 이렇게 교란되는 효소에는 DNA 합성에 쓰이는 효소가 포함된다.

베릴리아증은 많은 양에 짧게 노출되거나, 적은 양에 오래 노출되는 두 경우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환자의 약 1/3이 사망하고 생존해도 후유증이 남는다.

베릴륨 자체가 워낙 튼튼해서 일정 형태로 가공된 후에는 별 문제가 없기는 하지만, 필연적으로 분진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제조/가공 과정에서 분진과 흄 방호를 위해 매우 신경써야 하기에 제조단가 상승에도 톡톡히 한몫을 한다. 더불어 독성 때문에 도검류, 절삭공구류, 차량 등 사용하면서 손상/마모될 수밖에 없는 물건에는 절대 사용할 수가 없다. 물론 금속 분진치고 사람 몸에 좋은 게 없긴 하지만, 베릴륨 분진은 개중에서도 인체독성이 석면, 비소, 수은 등과 맞먹는 수준이라는게 특이한 점이다.

  • 과도한 가격
    • 2020년 기준으로 베릴륨의 가격은 kg당 약 850달러로, 같은 무게의 (520달러)보다 훨씬 비싸다. 텅스텐은 kg당 33달러, 티타늄도 kg당 11달러 정도고 순철은 kg당 0.4달러 수준으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베릴륨 자체가 지각에서 그렇게 희귀하지는 않지만,[5] 베릴륨의 원료인 녹주석이 채산성이 있을 만큼 모여있는 곳이 미국 유타 주 중부지역밖에 없는데다가, '머티리언'[6]이라는 한 회사에서 독점 공급하고 있어서 가격 하락은 꿈도 꿀 수 없을 정도다.
    • 녹는점이 1287도로 매우 높은 편인데, 반응성 때문에 용접하기 어려운데다 상술한 독성까지 신경써야 하니 가공비마저도 비싸다.

  •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공업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베릴륨청동 이외에는 실용화가 어렵다. '내구성과 강도가 요구되면서 가벼울수록 좋은 소재'가 필요한 곳은 산업계에서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지만, 원재료 단가부터 무지막지한데다 손상·파괴되었을 때 뒤처리가 매우 곤란해지므로 제대로 쓸 수가 없다. 거기다가 물성 면에서는 좀 떨어지지만 독성도 없고 단가도 (베릴륨에 비해) 훨씬 저렴한 티타늄, 알루미늄, 마그네슘이라는 대체제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모든 어려움을 감당하고 사용하려는 시도조차 없는 것이 현실이다.

  • 실제로 포칼의 제품 중 베릴륨 소재의 부품이 들어간 제품엔, 하나같이 특히나 위험하다고 주의사항 설명란을 길고 빽빽히 적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스피커 사용 설명서에 장장 한 페이지에 걸쳐 베릴륨 관련 주의사항이 빼곡히 나열되어 있다. 보호그릴 벗기지 마라, 피부나 호흡기에 절대 닿게 하지 마라, 혹시 체내에 흡수되면 즉시 의사한테 달려가라, 버리려면 반드시 재활용 센터에 맡겨라 등등.... 심지어 파손 시 베릴륨 처리 용으로 쓰는 테이프와 봉투까지 동봉해준다. 베릴륨 관련 문의만을 처리하는 전용 이메일 주소까지 있을 정도.

5. 구성[편집]


AME2020,Nubase2020
핵종
스핀패리티
반감기
붕괴 형태,존재비
핵자 당 결합에너지(keV)
질량(u)
5Be[7]
1/2+
불안정
p ?
20(400)
5.03987(215)
6Be
0+
5.0(3) 10-21s
2p
4487.2(9)
6.019726 (6)
7Be
3/2-
53.22(6) d
전자 포획
5371.549(10)
7.01692871(8)
8Be
0+
8.19(37) 10-17s
α
7062.436(4)
8.00530510(4)
9Be
3/2-
안정
존재비 100%
6462.669(9)
9.012183.06(8)
9mBe
3/2-
1.25(10) 10-18s

들뜸 에너지 14390.3(1.7) keV
10Be
0+
1.387(12) 106y
β-
6497.631(8)
10.01353469(9)
11Be
1/2+
13.76(7) s
β- 96.7%
5952.540(22)
11.02166108(26)
β- α 3.3%
β- p 0.0013%
β- n ?
11mBe
3/2-
9.3(1.3) 10-22s
이성질핵 전이 ?
들뜸 에너지 21158(20) keV
12Be
0+
2.146(5) 10-2s
β- 99.5%
5720.72(16)
12.0269221(20)
β- n 0.5%
12mBe
0+
2.33(7) 10-7s
이성질핵 전이
들뜸 에너지 2251(1) keV
13Be
(1/2-)
1.0(7) 10-21s
n ?
5241.4(8)
13.036135(11)
14Be
0+
4.53(27) 10-3s
β- n 86%
4994(9)
14.04289(14)
β- 9%
β- 2n 5%
β- t 0.02%
β- α <0.004%
15Be
(5/2+)
7.9(2.7) 10-22s
n
4541(11)
15.05349(18)
16Be
0+
6.5(1.3) 10-22s
2n
4285(10)
16.06167(18)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3:01:00에 나무위키 베릴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수직 방향에서 가해지는 힘에 대한 인장/압축 강성. 다른 소재들과 비교하면 인간 뼈 14GPa, 고강도 콘크리트 30GPa, 알루미늄 68GPa, Grade 5 티타늄 114GPa, 단방향 CFRP 181GPa, 강철(A36) 200GPa, 다이아몬드가 1200GPa 정도이다.#[2] 방사선에 대해 '투명'한 소재를 사용할수록 더 낮은 에너지의 X선을 얻을 수 있다. 만일 다른 소재로 방사창을 만들면 저에너지 방사선은 방사창에 막혀버리고 고에너지 방사선만 뚫고 나오게 되니 저에너지 X선을 이용한 실험/연구가 불가능해진다.[3] 덕분에 집광면적은 허블 우주 망원경의 7.3배에 달하지만 망원경 전체의 무게는 6.5톤으로 허블의 절반 수준이다.[4] 레오파르트 1, 레오파르트 2의 사통에 베릴륨 거울이 들어간다.[5] 2.8mg/kg 정도로, 주석보다도 조금 많고 텅스텐과 비교하면 두 배나 많다. 56,300mg/kg인 철이나 5,650mg/kg인 티타늄보다는 당연히 아주 적지만 은 이리듐 팔라듐 등의 희귀 금속보다는 훨씬 많다.[6] Materion. 1940년대부터 브러시 웰맨이라는 이름으로 베릴륨 재료를 생산해 온 미국의 기업. 2011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7] 미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