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서

덤프버전 :

1.1. 나무위키에 등재된 병서 목록
1.1.1. 동아시아
1.1.2. 유럽
2.1. 각자 병서
2.2. 합용 병서
2.2.1. 초성 합용 병서
2.2.2. 중성 합용 병서
2.2.3. 종성 합용 병서



1. [편집]


군사를 다루는 법인 병법을 설명한 책을 일컫는다.


1.1. 나무위키에 등재된 병서 목록[편집]


순서는 가나다 순으로 해 주십시오.


1.1.1. 동아시아[편집]




1.1.2. 유럽[편집]




2. [편집]


한글에서 두 개 이상의 자음 또는 모음을 가로로 병기해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을 일컫는다. 각자병서와 합용병서 두 종류가 있으며, 현재 각자병서는 자음(쌍자음)만, 합용병서는 모음(복모음)만 남아 있다.

세로로 병기한 것은 '연서'(連書)라고 한다. 순경음반설경음을 표기하기 위해 순음과 반설음 ㄹ 밑에 ㅇ을 붙여 썼으며 현재 쓰이지 않는다.


2.1. 각자 병서[편집]


. 같은 글자를 두 번 병기한 것.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오늘날 쓰이는 것 외에도 쌍히읗이 존재했고, 비공식적으로는 쌍니은과 쌍이응 등도 존재해서 쓰였다고 알려져 있다. 동국정운식으로 한자음을 표기할 때 각자 병서를 전탁음 표기에 썼다.

오늘날에는 된소리를 표기하는 데 쓰이며 'ㄲ', 'ㄸ', 'ㅃ', 'ㅆ', 'ㅉ'가 이에 해당된다.

한글 기계식 키보드 자판에서 발전한 세벌식 자판에서는 전통적인 입력법에 따라 같은 자음을 두 번 치는 방법으로 각자병서를 입력한다. 그러나 초성과 종성 자판의 구별을 없애버린 두벌식 자판에서는 같은 자음을 두 번 치는 걸로는 입력할 수 없고 시프트 키를 누른 채로 해당 자음 자판을 누르는 방법을 써야 한다.[1] 아래아한글iOS에서는 어두 초성의 쌍자음에 한하여 낱자를 두 번 치는 걸로 입력할 수 있다.

옛 한글 가운데에는 자음 '', '', 이중모음 'ᆂ', '', 'ퟄ'가 있다.

2.2. 합용 병서[편집]


. 합용 병서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글자들을 합쳐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이다. 자음과 모음, 양쪽 다 합용 병서가 가능하다. 이들은 다시 초성, 중성, 종성이 합용 병서된 경우로 나뉜다.

합용병서를 사용하면 생각보다 쉽게 나타낼 수 있는 것들이 많다. 하단의 예는 영문 Strong을 만들어 본 것.
파일:strong.png
IPA(국제음성기호)로 적으면 /stʰɾo̞ŋ/일 듯하다.


2.2.1. 초성 합용 병서[편집]


ㅂ계 합용병서, ㅅ계 합용병서, ㅄ계 합용병서가 있다.


2.2.2. 중성 합용 병서[편집]


삼출자(三出字)

현재 쓰이는 , , , , , , , , , , 옛한글 가운데 ᅟᆜ 등은 해당 문서를, 나머지 옛한글인 ㆇ, ㆈ, ㆉ, ㆊ, ㆋ, ㆌ, ㆎ 등은 옛한글/자모를 참고하자.


2.2.3. 종성 합용 병서[편집]


현재 원형을 나타내기 위해 겹받침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이 쓰인다. 1933년부터 1988년까지 겹받침 ᇚ이 쓰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16:25:14에 나무위키 병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시프트는 'ㅐ/ㅔ'의 [j\] 개재형 ㅒ/ㅖ 입력과 기능이 겹치기에 '떄' 같은 오타가 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