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기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한 말의 인물이자 삼국지의 인물에 대한 내용은 봉기(삼국지) 문서
봉기(삼국지)번 문단을
봉기(삼국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 Uprising
/ Uprising Armed Forces

봉기 떼처럼 무리지어 세차게 일어난다는 말이다. 주로 무언가[1]에 항거하기 위해 민중이 들고 일어나는 것을 뜻한다. 시민 불복종 운동에 속하며, 부정적인 의미인 폭동과 긍정적인 의미인 항쟁에 비해 또 궐기와는 달리 가치 중립적인 단어가 필요할 때 주로 쓰인다.


2. 상세[편집]


전봉준 : “그간 도처에 무수히 많은 민란(民亂)들이 터졌고, 수없이 많은 탐관오리들을 죽였네. 허나 무엇이 바뀌었는가? 새로운 탐관오리는 보복을 자행하고, 탐학을 일삼고, 해서 또 민란이 터지고 또 죽이고 죽고 또... 이젠 종지부를 찍어야 하네!”

녹두꽃 3회 중에서

역사적으로 봉기가 발생하면 군대와의 무력 충돌이 생기곤 했다. 독일 농민전쟁 (1524~26년), 홍경래의 난(1811년), 진주민란(1862년), 임오군란(1882), 동학 농민 혁명(1894년), 부활절 봉기(1916년), 바르샤바 봉기(1944년), 1953년 동독 봉기(1953년) 등이 이에 속한다.

민란()이라는 표현도 있는데, 민중에 의한 봉기를 질서를 유지해야 하는 위정자 입장에서 다소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단어로 사서에도 많이 나오지만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보다 가치중립적인 민중봉기 정도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도 동학란 이전까지의 민란은 탐관오리 수령과 결탁해서 횡포를 저지르던 아전이나 지역 유지들은 분풀이로 폭행, 살해당하는 경우가 흔했던 반면 수령 본인은 모욕을 가할 뿐 죽이지는 않았다. 이유야 어찌되었든 임금이 임명한 수령을 죽이면 역모로 몰렸기 때문이다[2]. 그래서 민란 주동자들은 "우리는 수령의 탐학과 폭정에 항거 할 뿐이지 조정과 임금에게 반역할 생각이 없다."라는 것을 해명할 정도였다. 조정에서도 이럴 경우엔 "수령에 대해선 따로 처벌할 것이니 해산하라. 민란의 주동자는 별도로 처벌할 것이며 단순 가담자들은 죄를 묻지 않겠다."라고 결정하는게 보통이었다.

일본사에서는 잇키(一揆)라는 단어가 쓰인다. 사실은 공동체를 결성하는 일을 뜻하는 거지만, 봉기도 어쨌든 사람이 모여서 일어날 테니 그 과정에서 공동체가 생기는 건 자명하고, 잇키 공동체나 잇키 공동체가 일으키는 분규·반란이나 다 잇키로 부르기에 구분하기는 어렵다.

세계사를 통틀어 봉기가 정권을 바꾸는데 성공한 경우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국가 멸망의 한 원인이 될 수는 있지만 대부분 봉기 자체는 관군에 의해 진압된다. 급히 조직된 반란군은 조직력, 명분, 부패와 변질 등의 각종 문제가 중앙정부 못지 않기 때문이다.[3] 또 본격적으로 관군과 전투에 들어가면 무기, 훈련도 등 모든 면에서 뒤떨어질 수밖에 없어서 한 번 대패하면 급격히 기세가 꺾이고 와해되곤 했다. 여기서 전술했듯 정부가 "단순 가담자는 조용히 돌아가면 묻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우면 대부분 이탈해버린다.[4]

그래서 역사적으로 정권을 완전히 바꾸는 사건은 주로 어느정도 탄탄한 기반을 가진 중간 계급 이상의 혁명이었다. 가장 유명한 시민 혁명프랑스 혁명도 부르주아 계급이 주도했고, 러시아 혁명의 2월 혁명은 진압군이 봉기에 가담해 성공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1:50:46에 나무위키 봉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를 들어 지도자의 폭정 등[2] 실제로 본격적인 반란의 경우 수령 등 조정에서 임명한 관리를 직접 살해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일례로 이괄의 난의 경우는 이괄이 자신의 아들을 체포하기 위해 파견된 의금부의 도사와 선전관 등을 죽인 것이 반란의 시작이었다.[3] 대표적으로 황건적의 난의 경우 조정의 부패로 인한 민중봉기가 분명하지만, 타 지역으로 넘어가며 약탈을 일삼아 결국 대부분의 민중들에게도 도적떼로 인식되었으며, 수장에 대한 개인숭배로 사이비종교의 면모를 보여 결국 천하는 커녕 제후국의 그릇도 될 수 없음을 스스로 증명했다. 태평천국, 동학 농민 운동 등도 나름의 의의는 인정받지만 이런 폐해를 피할 수 없었다. 기존 식자층의 지지를 얻고, 약탈을 전면금지하고 구성원의 일탈을 막을 만큼 강한 사상적 토대, 행정력과 보급선을 가지고 있다면 그건 이미 국가이지 반군이 아니다.[4] 다만 민중이 들고 일어날 정도로 몰렸다는 것은 이미 그 사회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진압 성패와는 상관없이 얼마 못가 무너지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