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병원

덤프버전 :


파일:부산대학교병원 심볼.svg 부산대학교병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부산대학교병원
釜山大學校病院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NUH
파일:부산대학교병원 로고.svg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개원
1956년[1]
주소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아미동1가)



종류
상급종합병원 (대학병원)
병상 수
1,191병상[2]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3. 규모
4. 산하병원
5. 로고송
6. 사건 사고
6.2. 응급실 방화 사건
6.3. 부산대학교 병원장 임명 지연 사태



1. 개요[편집]


The Smart Leader, Most Valuable PNUH


1956년 11월 1일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설립된 후, 1994년 5월 20일 국립대학병원 설치법에 의거해 대학으로부터 분리된 후, 특수법인으로 변경된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기타공공법인이다. 설립목적은 타 국립대학병원과 동일하게 고등교육법에 의거한 의학 및 치의학 등에 관한 교육 및 연구 진료를 통하여 의학발전을 도모하고,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의 교육연구 및 임상병원과 부산권 거점국립대학병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부산대학교병원 측에서는 1877년 개원한 한국사 최초의 근대적 의료기관인 제생의원을 전신으로 삼아, 본원이 광혜원(제중원)보다 8년 이른 한국 최초의 근대 병원[3]으로서 역사성과 정통성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그래서 부산의료원 역사관이나 부산대학교병원 B동 역사관에도 부산대학교병원과 부산의료원이 제생의원의 공동 후신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옛 부산시립병원이었던 부산의료원만이 제생의원의 실질적 직계 후신이며 부산대학교병원은 부지만 물려받은 물리적 후신 정도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왜냐하면 1877년 광복동에서 개원한 재생의원이 1936년 지금의 토성동 부지로 이전하고 해방 후 부산시립병원이 되었는데 이 시립병원 토성동 부지에 부산대학교병원이 세워진 건 1956년 시립병원이 완월동(현 충무동)으로 이전함과 동시에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이 시립병원에게서 남은 부지와 건물만 물려받아 세워진 것이며 부산의료원은 공립의료원의 기능을 부산시립병원에게서 이관받았기 때문이다. 즉 물리적 뿌리는 같을 수 있어도 정신적으로는 엄연히 부산대학교병원이 신생 기관일 뿐이다.[4][5]

2. 상세[편집]


일반적으로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1가에 있는 본원을 부산대병원으로 가리키지만 법적인 조직은 본원과 함께 분원인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등 여러가지 센터를 포괄한 독립법인을 가르킨다. 2011년 이전까지는 치과병원까지도 포함되었었지만, 현재는 별도의 설치법에 의거해 독립법인으로 분리되었다.

부산대학교병원은 별도 법인으로 이사회에 의해 운영되며 이사장은 법률에 의해 당연직으로 총장이 임명된다.[6] 병원 운영을 총괄하는 병원장은 3년 임기 이사회가 선출해서 교육부 장관이 임명하게 되어있다.[7] 병원장이 분원인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의 원장을 선임하게 되어있다.

국제공인예방접종지정의료기관으로 황열을 접종할 수 있다.


3. 규모[편집]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을 포함하여 2개의 상급종합병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7년 의료수입 7,366억원으로 지역 내 대형병원인 동아대학교병원의 2,824억,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의 2,250억원과는 상당한 격차를 보여주고 있다.#출처


4. 산하병원[편집]



4.1. 본원[편집]


파일:부산대학교병원.png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아미동1가)에 위치해 있으며, 1956년 설립되었다.

내과 등 23개의 의과계 진료부문과 구강내과 등 8개 치과진료 부문, 부속기관으로 의학연구소를 갖추고 있고, 30여개의 전문 검사실과 8개 특수진료센터를 갖추고 있으며, 의사, 간호사, 일반직원 등 총 1,800여명의 구성원으로 1,300여 병상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 지역에서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다음으로 오래된 대학병원이며, 가장 큰 병원이다. 또한, 상급종합병원이다.

현재 병원부지에 원래 의과대학, 간호대학, 치과대학 등이 존재했으나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로 이전한 이후, 암센터, 권역외상센터,[8] 권역호흡기전문질환센터 등의 새로운 건물이 신축되었다.[9]


4.1.1. 교통편[편집]


[시내버스]



토성역 인근에 위치한 정류장에는 시내버스만 경유하고 마을버스는 아미동입구 부산대병원 응급실 부근 정류장에 정차한다.

[도시철도]

이 노선들 중에서 배차간격이 가장 짧은 시내노선은 16번과 87번이고 그 다음으로 161번이 짧은 편이다. 반면에 70번과 134번과 190번은 배차간격이 길다.

다만 161번은 2023년 7월 29일부로 강서공영차고지로 입성하며 배차간격이 대폭 늘어나버렸다.

4.2. 양산부산대학교병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로고송[편집]




이 로고송은 최소한 2017년 하반기 이전에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11]
로고송이 정확히 언제부터 작곡되어 공식적으로 병원에서 사용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참고로 어디선가 많이 들어봤다 하면 기분탓이 아니다. 부산대학교 병원 전화 연결음이다.[12]

가사

부산대학교병원

우리 함께하면 행복한 미소 가득

부산대학교병원

우리 함께가면 건강한 내일의

희망이 보여요~

우리 함께하면 행복한 미소 짓는 당신이 보여요

우리 함께 가면 건강한 내일의

희망이 보여요

치료를 넘어선 치유의 마음

손길 우리 정성 모아

생명을 위하는 간절한 바람~

세계를 향하는 의료의 중심

우리들의 정성 모아

희망을 드리는

부산대학교병원


작사 : 김성만 (작가 :김성만)
제작 : 코드앤멜로디 제작



6. 사건 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6.1. A교수 전공의 상습 폭행 학대 사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산대학교 전공의 폭행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편 제주대학교병원에서도 유사한 사건이 터지면서 네티즌들의 큰 공분을 샀다. 제주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교수 갑질 사건 참조.


6.2. 응급실 방화 사건[편집]


부산대병원 응급실서 불만 품은 환자 보호자가 방화…47명 대피
“아내 빨리 진료해달라” 60대 남편 대학병원 응급실서 방화
응급실에 방화…의료진 침착 대응이 참변 막았다

2022년 6월 24일 오후 9시 45분경 응급실 입구에서 60대 남성 A씨가 방화를 시도했다. 페트병에 담아온 2ℓ의 휘발유를 자신의 몸과 병원 바닥에 뿌린 뒤 라이터로 불을 질렸으며, 불은 병원 의료진이 소화기 등을 이용해 1분만에 신속히 진화됐다.

A씨는 3시간여 전인 이날 오후 7시경 응급실에서 부인을 빨리 치료하라고 고성 및 난동을 피우며 1차로 소란을 피웠었다. A씨 부부 모두 술에 취한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으며, 당시 의료진 신고로 출동한 경찰이 A씨를 아내와 분리한 뒤 귀가 조치했다. 그러나 다시 찾아와 방화한 것.

이 사건으로 응급실 환자 18명과 의료진 29명 등 총 47명이 급히 건물 밖으로 대피했으며 재로 인한 연기와 냄새 등으로 응급실 운영도 11시간 가량 차질을 빚어 6월 25일 오전 9시쯤에서야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

A씨는 왼쪽 어깨부터 다리까지 2∼3도 화상을 입고 부산대병원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으며 경찰은 "A씨를 현주건조물방화죄 혐의로 입건해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6.3. 부산대학교 병원장 임명 지연 사태[편집]


2022년 4월 이정주 전 병원장 퇴임 이후, 11월 현재까지 공석이다.

부산대병원은 이 전 병원장 임기가 만료하기 전에 김영대, 정성운 교수를 후보자로 교육부에 보고했지만, 교육부청와대는 별다른 이유없이 임명을 질질 끌고 있는 상태다.

서울대병원도 현재 마찬가지다. 교육부장관 공석에 서울대·부산대병원장도 몇달째 공석

이정주 전 병원장이 적극 추진하던 에코델타 내 신규병원 진입사업도 퇴임 이후 별다른 소식이 없어, 고신대가 더 유리한 것이 사실이다.

2023년 1월 20일부터 정성운 교수(흉부외과)가 병원장으로 3년 임기를 시작한다.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3:47:25에 나무위키 부산대학교병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생의원 개원일인 1877년으로 볼 수도 있으나 제생의원의 실질적인 직계 후신은 부산의료원이 더 가깝고 부산대학교병원은 물리적 후신 정도로 간주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유는 후술되어 있다.[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06. 입원병실 기준[3] 다만 광혜원(제중원)은 호러스 알렌 선교사의 건의로써 최초로 조선 정부가 직접 지은 근대식 민족 의료기관이라는 점에서 제생의원과는 차별점이 있다. 제생의원은 일본이 지은 것이기 때문.[4] 그리고 충무동으로 이전한 부산시립병원은 1962년 부전동으로 재이전, 1968년 12월에는 연산교차로 목화예식장 맞은편으로 재이전하여 33년간 그곳을 지키고 있다가(지금은 이 부지에 연산SK뷰아파트가 들어섰으며 앞에 부산의료원 셔틀버스 정류장이 남아 있다.) 2001년 12월에 우리가 아는 현재의 거제동 부산의료원이 탄생했다.[5] 다만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공유한 덕인지 부산대학교병원과 협력병원이다. 실제로 부산대학교병원과 협력병원이며 2차병원 진료비로 대학병원급의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걸 어필중. 애초에 부산의료원 1층에 오질나게 안내문이 붙어 있다.(이게 큰 이득인게 거제동이나 연산동에서 토성동까지 갈려면 30분에서 1시간은 잡고 가야 한다. 거기다 외과 기준 15800원이 기본 책정되는 대학병원과 비교하면...) 부산대병원 수련의나 파견의도 많이 보인다.[6] 이사는 병원장, 의과대학장(의학대학원장), 치의학대학원장, 기재부, 교육부, 복지부 고위 공무원 1명씩 당연직으로 임명되고 총 11인의 비상임이사로 구성된다.[7] 국립대학병원 설치법 제14조(대학병원장) ① 대학병원에 원장 1명을 둔다. ② 원장은 대학병원을 대표하며, 대학병원의 업무를 총괄한다. ③ 원장은 이사회의 추천을 받아 교육부장관이 임명한다. ④ 원장의 임기는 3년으로 하되, 한 번만 연임할 수 있다.[8] 부산 지역 외상환자는 대부분 여기로 실려온다.[9] 기존 의대, 치대, 간호대 부지는 대학 소유의 국유지라 병원 측이 임대료를 지급하고 있다고 한다.[10] 충무동 방향만 경유[11] 2017년 12월 경, 부산대병원 병동에서 방송으로 종종 송출되는 것을 들을 수 있었다.[12] 반주만 나온다. 그래서 가사를 모르는 사람이 태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