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울산광역시)

덤프버전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자치구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svg
중구

파일:남구(울산광역시) CI.svg
[[울산광역시청|

시청
]] 남구
파일:동구(울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
북구

자치군
파일:울주군 CI.svg
울주군







울산광역시자치구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

북구
北區
Buk-gu





구청 소재지
산업로 1010 (연암동)
광역자치단체
울산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8[1]
면적
157.36㎢
인구
216,567명[2]
인구밀도
1,389.99명/㎢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천동 (재선)
구의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석[3]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석[4]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5]


1석[6]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석[7]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상헌 (재선)
상징
구화
참나리
구목
느티나무
구조
산까치
지역번호
052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
2. 상징
3. 역사
4. 지리
5. 인구
5.1. 행정동별 인구
6. 교통
7. 교육
8. 의료기관
10. 하위 행정구역
10.1. 舊 울산군 하상면 지역
10.2. 舊 울산군 방어진읍 지역
10.3. 舊 울산군 농소면 지역
10.3.1. 농소1동
10.3.2. 농소2동
10.3.3. 농소3동
10.4. 舊 울주군 강동면 지역
11.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울산광역시의 중북부에 위치한 자치구. 과거에는 대부분의 지역이 경상남도 울주군 → 울산군 → 울산시 울주구(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소속이었고, 울산의 광역시 승격시 울산시 울주구의 농소읍, 강동면 지역[8]과 일부 중구[9]동구[10] 지역을 합쳐 설치된 자치구로 특별·광역시의 자치구치고는 농어촌 비중이 꽤 높다. 하지만, 2019년과 2020년에 들어 진행된 급속도의 도시 개발로 자치구 설치 23년 만인 2020년 9월 중구의 인구를 추월하였다.

심벌마크는 구청 소개에 따르면 '전체 둥근 원은 북구 구민의 화합을 의미하며, 위의 녹색부분과 아래의 청색부분은 북구의 지역적 특색인 산과 바다를 함께 지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중앙의 주황색 둥근 원은 동해의 일출과 희망의 태양 및 북구에 위치한 자동차 산업 등 공업의 메카를 의미'한다고 한다. 구화는 참나리, 구목은 느티나무, 구조는 산까치, 구 마스코트는 아래에 나오는 쇠부리와 참나리.


2. 상징[편집]


북구의 CI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
전체 둥근 원은 북구 구민의 화합을 의미하며, 위의 녹색부분과 아래의 청색부분은 북구의 지역적 특색인 산과 바다를 함께 지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중앙의 주황색 둥근 원은 동해의 일출과 희망의 태양 및 북구에 위치한 자동차 산업등 공업의 메카를 의미한다

북구의 브랜드 슬로건
파일:북구(울산광역시) 브랜드 슬로건.svg
{{{#000,#fff 북구의 대표축제인 쇠부리축제를 중심으로 달천 철장, 불빛경관 명소화 전략 등 북구를 대표하는 ‘불’의 이미지와 도시정원 조성을 의미하는 ‘꽃’의 이미지를 융합했으며, 세상을 뜻하는 ‘누리’를 더해 미래로 성장하는 도시 이미지를 의미한다.
슬로건 속 불의 ‘ㅂ’과 꽃의 ‘ㅊ’에는 쇠부리를 상징하는 불과 구화인 참나리를 시각화 요소로 적용했으며, 캘리그라피 로고타입을 통해 불이 피어 오르고 꽃이 피어나는 역동적인 도시 이미지를 전달한다.}}}

북구의 마스코트
파일:북구(울산광역시) 마스코트 쇠부리와 참나리.svg
{{{#000,#fff 쇠부리는 철 제련 시 필요한 용광로의 타오르는 불처럼 뜨거운 열정을 지닌 구민을 상징적으로 표현
참나리는 성장 가능한 울산 북구의 맑고 푸른 미래, 행복과 번영을 상징적으로 표현
쇠부리가 들고 있는 망치는 4차 산업을 주도하는 디지털방망이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

북구의 상징물
구목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화합, 번영, 안정성과 강한 생명력을 상징하는 장수성 나무로서 북구의 힘찬 번영과 도약을 의미하며 미래를 선도하는 북구의 희망을 상징한다.
구화
참나리
참나리꽃은 청초 우아함과 순결함을 지닌 꽃으로 번식력이 강하여 신설 북구의 깨끗함과 번영을 상징한다.
구조
산까치
산까치는 친숙성과 아름다움을 함께 갖추고 있으며 자연환경과 잘어울리는 새로 더불어 사는 북구의 희망과 친환경성으로 자연과 함께 하는 이미지를 상징한다.


3. 역사[편집]


신라시대 때 박제상일본으로 건너간 율포항을 망부석 등 다른 박제상 관련 설화와 연계하여 오늘날 울산 북구의 정자항으로 보기도 하는 등 역사적으로는 굉장히 오래된 지역 중 하나. 울산과 경주의 경계 지역이기 때문에 통일신라 때 여기에 관문성이 지어졌다. 역할은 말 그대로 서라벌 남쪽의 관문.

조선 태종 때 3포를 개항하는데, 3포 중 하나인 염포이기도 하다. 다만, 일본에서 거리가 멀어 이쪽으로 일본인들이 잘 오지는 않았다고.

1895년 부남면이 하부면으로, 농소면이 농동면으로, 수서면이 농서면으로, 유포면이 강동면으로 개칭되었다.

1997년 7월 15일경상남도 울산시의 광역시 승격에 따라 중구 송정동, 효문동, 양정동 등 동천강 이동 지역, 울주구 농소동(구 농소읍), 강동동(구 강동면), 동구 염포동[11]을 분리해 만들어진 구로 울산광역시에서 가장 마지막에 생긴 구이자 전국의 자치구 중에서도 가장 마지막으로 생긴 구이다.


4. 지리[편집]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강동산하1로 · 강동산하2로 · 강동산하3로 · 강동산하4로 · 강동산하5로 · 고래로 · 고헌로

농서로

달천로 · 동남로 · 동대로 · 동대중앙로 · 동천서로 · 동해안로

마동로 · 매곡1로 · 매곡2로 · 매곡3로 · 매곡로 · 매곡산업로 · 매산1로 · 매산2로 · 매산3로 · 매산4로 · 매산5로 · 매산6로 · 매산로 · 명촌로 · 모듈화산업로 · 무룡1로 · 무룡로 · 미포산업로

박상진1로 · 박상진2로 · 박상진3로 · 박상진4로 · 박상진5로 · 박상진6로 · 박상진7로 · 박상진8로 · 박상진9로 · 박상진10로 · 박상진11로 · 박상진12로 · 박상진13로 · 박상진14로 · 방어진순환도로 · 번영로 · 북부순환도로

산성로 · 산업로 · 산하중앙1로 · 산하중앙2로 · 산하중앙3로 · 상방로 · 숙보로 · 신답로 · 신천로 · 신천소공원로

아산로 · 아진1로 · 아진2로 · 아진로 · 염포로 · 오토밸리로 · 이예로

죽전로 · 중산공업로 · 중산동로 · 중산로 · 중산산업로 · 중산서로 · 진장로 · 진장유통1로 · 진장유통로

천곡남로

호계로 · 호계매곡1로 · 호계매곡2로 · 호계매곡3로 · 호계매곡4로 · 호계매곡5로 · 호계매곡6로 · 호수1로 · 호수2로 · 호수중앙로 · 화동로 · 화봉로 · 화산로 · 화산중앙로 · 활밤로 · 효문1로 · 효문2로 · 효성로 · 효암로 · 효자로
울산광역시의 도로 틀 둘러보기




북에서 남으로 동천강이 흘러 태화강에 합류하며 강 주변을 따라 띠를 이루며 평야지대가 위치한다. 동천강 양 옆으로 산맥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서쪽으로는 산지지형이 많아 달천, 상안, 천곡지역 일부를 제외하고는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다. 동쪽으로는 제법 경사가 완만한 지형이 이어지다가 동대산, 무룡산과 같은 산이 형성되어져 있다. 이 완만한 평야를 따라 옛부터 시가지가 형성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농소1동 주민센터 주변(구 농소읍내 지역), 화봉동 일대이다. 최근 송정택지지구, 호계매곡지구 등 택지 조성사업이 활발하게 진행 중인 곳도 이 평야 일대이다.

동대산, 무룡산의 경우 동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횡압력에 의해 형성된 산맥이며 동천강의 동쪽 지역에 완만한 평야가 형성될 수 있었던 곳도 이들 산맥에서 흘러나온 하천의 토사가 쌓여 가능했던 것이다. 이들 산맥은 동쪽으로 급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북구 해안 지역의 경우 평야가 협소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지리적으로 경주시와 붙어있으면서 월성 원자력 발전소와 가깝다. 최근 방사능폐기물로 인해 북구 일대가 난리가 났다.경주시민은 생각하면서 정작 인구 110만명 울산시민들은 생각을 안해줬기 때문에, 한때 북구 시내 일대가 원전에서 반경 10km라고 항의할 정도로 심한 상황까지 올 정도였다.

울산항 일부는 북구에 걸치며,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자동차를 수출하는 자동차부두가 북구에 있다. 이와 별개로 동쪽에는 어항 정자항과 정자해수욕장이 있다.


5. 인구[편집]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 울산광역시 북구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7년 7월 15일 경상남도 울산시 → 울산광역시 승격
중구 동부지역[12] + 울주구 농소읍·강동면 → 북구 승격 분리
1998년 3월 1일 동구 염포동 → 북구 편입
2000년 121,073명
2005년 146,117명
2010년 177,488명
2015년 191,063명
2020년 219,014명
2023년 10월 216,56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200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동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농소2동 42,432명}}}
농소3동 36,971명}}}
송정동 36,619명}}}
농소1동 36,107명}}}
효문동 29,360명}}}
강동동 16,155명}}}
염포동 10,183명}}}
양정동 9,495명}}}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2020년 9월 중구의 인구를 23년 만에 제쳤다. 울주군과의 인구도 3000여 명 차이로 좁혀졌다. 2023년 기준 울산 북구와 인구, 면적, 인구밀도가 모두 비슷한 해외도시로는 네덜란드 흐로닝언 등이 있다.


5.1. 행정동별 인구[편집]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농소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902명}}}
1970년 10,494명}}}
1975년 10,876명}}}
1980년 13,248명}}}
1985년 14,183명}}}
1990년 15,379명}}}
1995년 3월 2일 농소면 → 농소읍 승격
1995년 38,987명}}}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북구 신설
농소읍 폐지 및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설치
2000년 16,053명}}}
2005년 21,003명}}}
2010년 24,054명}}}
2015년 30,853명}}}
2020년 37,470명}}}
2023년 9월 36,107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농소2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북구 신설
농소읍 폐지 및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설치
2000년 23,151명}}}
2005년 21,992명}}}
2008년 29,602명}}}
2009년 29,659명}}}
2010년 31,862명}}}
2011년 33,176명}}}
2012년 33,153명}}}
2013년 32,672명}}}
2014년 32,702명}}}
2015년 32,521명}}}
2016년 34,958명}}}
2017년 36,205명}}}
2018년 37,328명}}}
2019년 40,120명}}}
2020년 40,329명}}}
2021년 41,750명}}}
2022년 42,082명}}}
2023년 9월 42,432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2000-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농소3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북구 신설
농소읍 폐지 및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설치
2000년 22,759명}}}
2005년 27,376명}}}
2008년 38,637명}}}
2009년 39,710명}}}
2010년 40,866명}}}
2011년 41,281명}}}
2012년 41,754명}}}
2013년 42,400명}}}
2014년 42,959명}}}
2015년 43,104명}}}
2016년 42,787명}}}
2017년 41,909명}}}
2018년 41,127명}}}
2019년 39,763명}}}
2020년 39,096명}}}
2021년 38,117명}}}
2022년 37,555명}}}
2023년 9월 36,971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1980-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강동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598명}}}
1970년 7,753명}}}
1975년 6,926명}}}
1980년 5,856명}}}
1985년 4,979명}}}
1990년 5,079명}}}
1995년 5,236명}}}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북구 신설
강동면 → 강동동 전환
2000년 4,745명}}}
2005년 4,403명}}}
2010년 4,717명}}}
2015년 9,589명}}}
2020년 16,634명}}}
2023년 9월 16,155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효문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4,239명(명촌동 557명 + 진장동 629명 + 연암동 1,837명 + 효문동 1,216명)}}}
1970년 4,272명(명촌동 347명 + 진장동 737명 + 연암동 1,956명 + 효문동 1,232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명촌동 + 진장동 → 진장동 신설
연암동 + 효문동 → 효문동 신설
1975년 5,737명(진장동 1,634명 + 효문동 4,103명)}}}
1980년 9,283명(진장동 2,378명 + 효문동 6,905명)}}}
1985년 10,158명(진장동 2,660명 + 효문동 7,498명)}}}
1990년 10,818명(진장동 2,666명 + 효문동 8,152명)}}}
1995년 12,433명(진장동 1,696명 + 효문동 10,737명)}}}
1998년 10월 1일 진장동 + 효문동효문동 합동
2000년 16,114명}}}
2005년 29,102명}}}
2010년 29,234명}}}
2015년 29,091명}}}
2020년 29,904명}}}
2023년 9월 29,360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송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222명(화봉동 1,215명 + 송정동 1,007명)}}}
1970년 2,195명(화봉동 1,183명 + 송정동 1,012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화봉동 + 송정동 → 송정동 신설
1975년 2,295명}}}
1980년 2,511명}}}
1985년 2,774명}}}
1990년 3,282명}}}
1995년 6,767명}}}
2000년 13,281명}}}
2005년 14,029명}}}
2010년 20,352명}}}
2015년 21,159명}}}
2020년 35,440명}}}
2023년 9월 36,619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양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68명}}}
1970년 2,967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양정동 일시 폐동 → 염포동 편입
1975년 -명}}}
1979년 5월 1일 염포동 → 염포1동, 염포2동 분동
1980년 14,561명}}}
1983년 5월 1일 염포1동 → 양정동 개칭
1985년 17,026명}}}
1990년 19,391명}}}
1995년 15,808명}}}
2000년 12,258명}}}
2005년 9,322명}}}
2010년 12,846명}}}
2015년 12,370명}}}
2020년 10,063명}}}
2023년 9월 9,495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svg염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170명}}}
1970년 3,159명}}}
1972년 10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염포동 + 양정동 → 염포동 신설
1975년 12,155명}}}
1979년 5월 1일 염포동 → 염포1동, 염포2동 분동
1980년 14,548명}}}
1983년 5월 1일 염포2동 → 염포동 개칭
1985년 17,909명}}}
1990년 17,748명}}}
1995년 14,481명}}}
2000년 9,893명}}}
2005년 14,077명}}}
2010년 13,557명}}}
2015년 12,376명}}}
2020년 10,078명}}}
2023년 9월 10,183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6. 교통[편집]


남북축을 잇는 도로망은 잘 발달되어 있어서 중구나 남구 지역으로 가는 데 불편함은 없다. 다만 현대자동차를 비롯해서 공단이 사방에 있다 보니 화물차가 다녀 위험하기도 하고 노면도 고르지 못한 도로가 많다. 거기에 동구나 남구에서 올라오는 화물차들도 있고 오토밸리로, 이예로 등을 개통시켜 이런 통행량을 분산시키고자 하는데 동해고속도로도 구를 지나가지 않아서 화물차들이 어쨌든 북구를 관통해야 하는 상황이다.

동해선이 구를 관통했었으며, 여객열차가 정차했던 역은 호계역 하나였다. 2021년 12월에 이설된 구간에 신설된 북울산역까지 동해선 광역전철이 운행될 예정이다. 송정동에 울산공항이 있다. KTX 운행 이후 밀리던 세가 현재는 안정되면서 나름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선방하는 중이다.

*북구지역 항구.어항 보유현황
  • 국가어항 : 정자항
  • 지방어항 : 당사항
  • 어촌정주어항 : 굼바우항, 신명항, 어물항, 제전항
  • 소규모어항 : 우가항, 윗우가항, 판지항, 화암항
총 : 10개소


7. 교육[편집]











  • 초등학교
    • 강동초등학교 (산하동 산98-7)
    • 고헌초등학교 (송정동 1237-3)
    • 농서초등학교 (달천동 1-19)
    • 농소초등학교 (호계동 858-1)
    • 동대초등학교 (신천동 125)
    • 동천초등학교 (천곡동 381-4)
    • 매곡초등학교 (매곡동 497)
    • 매산초등학교 (매곡동 334)
    • 명촌초등학교 (명촌동 887-1)
    • 상안초등학교 (천곡동 434-1)
    • 송정초등학교 (화봉동 427)
    • 신천초등학교 (신천동 316-4)
    • 약수초등학교 (중산동 1006)
    • 연암초등학교 (연암동 354)
      • 연암초등학교 효문분교 (효문동 767): 2020년부로 폐교
    • 염포초등학교 (염포동 179)
    • 울산양정초등학교 (양정동 470)
    • 은월초등학교 (호계동 1009-1)
    • 이화초등학교 (중산동 710)
    • 중산초등학교 (중산동 156)
    • 천곡초등학교 (천곡동 560-1)
    • 호계초등학교 (호계동 266)
    • 화봉초등학교 (화봉동 1339)

  • 특수학교
    • 태연학교 (대안동 156)


8. 의료기관[편집]


원래 종합병원이 없었으나, 도시가 발전하면서 종합병원도 2개가 생겼다. 연암동의 울산시티병원(259병상)이 가장 크며, 그 다음으로 호계동에 울산엘리야병원(164병상)이 있다. 중구나 동구가 멀지 않기 때문에 필요하면 울산대병원이나 동강병원으로 간다.


9.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북구(울산광역시)/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attachment/북구(울산)/map5.jpg


10.1. 舊 울산군 하상면 지역[편집]


1914년 군면대폐합 때 하부면과 내상면이 합병되어 하상면이 출범하였고, 1962년 출범하는 울산시에 흡수되어 사라졌고 그 자리에 병영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6년에 병영출장소가 폐지되었다. 이외에도 하상면이었던 곳은 중구 남외동·동동·반구동·서동·약사동·장현동이다.


10.1.1. 효문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명촌동·연암동·진장동·효문동이다. 인구는 29,342명.[P]

북구청, 북구보건소, 강북교육지원청 동 행정복지센터가 연암동에 있으며 화봉동과 같이 북구의 주요 인구밀집지역이기도 하다. 강동동에서 무룡터널(혹은 무룡고개)을 지나 시내로 향하는 길목이기도 하며 연암동에 시내버스 종점이 있어 버스들이 많이 다닌다. 연암동은 울산지방중소벤처기업청, 울산광역시강북교육지원청이 있다. 효문동은 효문공단 하나로 설명 끝...은 아니고, 동명의 유래가 세종대왕 시기의 이름난 효자 송도 선생이라는 정도만 추가하면 될 듯. 명촌동은 명촌대교가 있어서인지 북구(더 나아가서는 동구)와 남구를 잇는 길목의 이미지가 강하다. 산업로를 기준으로 서쪽은 명촌주공아파트(534세대)와 평창 리비에르 1~3단지(3,152세대)가 있는 주거지역이며 동쪽은 현대자동차 주행시험장이 있는 공단지역이다.

진장동은 동천강과 산업로 사이에 있는 저밀도 주거지역이며 롯데마트 진장점·메가마트 울산점·코스트코 울산점·모다아울렛 울산점·하나로마트 울산점·농수산물유통센터가 있는 울산지역 유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울산우편집중국도 진장동에 있다.

관내 학교는 명촌초, 연암초, 연암중, 진장중, 무룡고, 울산마이스터고, 효정고가 있다.


10.1.2. 양정동[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9,608명.[P]

현대자동차 하나로 설명이 끝나는 곳이다. 염포로를 기준으로 서쪽이 공장, 동쪽이 주거지이다. 산 위에는 소위 울산포대라고 하는 공군부대가 있는데 방공포 관련 특기가 주로 가는 편이다. 학교는 양정초, 효정중이 있다.


10.2. 舊 울산군 방어진읍 지역[편집]


조선시대 울산군 동면이었던 곳이며, 1931년에 동면이 방어진면으로 개칭되었다. 1937년에 방어진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62년에 방어진읍이 출범하는 울산시에 흡수되면서 방어진출장소로 전환되었다. 사실 방어진읍의 대부분은 동구에 속하며, 동구가 아닌 곳은 염포동이 유일하다.


10.2.1. 염포동[편집]


행정동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0,283명.[P]

동명은 3포 개항지 중에 하나인 염포가 위치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하지만 한국사에 언급되는 것을 빼고 실제 울산시민들에게는 동구에서 남목고개와 방어진순환도로를 통해 시내로 나가는 길목으로밖에 인식하지 못하는 곳이다. 관습상으로는 양정동에서 염포초등학교 사이는 신전마을로 불리고 여기에 신전시장이 위치해 있으며 바로 길 건너에 현대자동차 4공장과 5공장 출입구가 있어서 유동인구가 많으므로 작은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염포초등학교에서 염포삼거리 사이는 중리마을이라고 불리고 119안전센터가 위치해 있는데, 성원상떼빌과 KCC사택이 위치해 있다 보니 신전마을보다는 상대적으로 주거지역의 느낌이 크다. 학교도 여기에 염포초 하나만 있다. 삼거리에서 KCC 및 남목고개로 넘어가는 마을은 성내마을이라고 불리는데 성내마을은 신전마을이나 중리마을과는 도로로 분리가 되어있고 동구 방어동에 속해있는 KCC 울산공장과 가장 인접해 있어서 다소 독자적인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1985년 일반구가 설치되면서 중구에 속했고, 1997년에 울산이 광역시로 승격되는 과정에서 동구로 넘어갔다가 1년도 못 되어 북구로 넘어가서 지금에 이르고 있는 어찌 보면 정체성이 모호한 동네이다. 다만 남목고개를 넘으면서 시가지가 끊겨있는 남목이나 지도상으로는 이어져 있지만 KCC 울산공장 및 현대미포조선과 산으로 막혀 있는데다가 버스 노선도 사실상 없어서 남목보다 더 끊겨있는 방어동보다는 특히 신전마을 쪽은 양정동과 연담화가 되어있는 편. 현대제철 울산공장이 이곳에 있다. 참고로 바로 옆에 붙어있는 현대자동차 5공장은 양정동이다.

보니하니로 유명해진 이수민이 어린 시절부터 14살이 될 때까지 살았다.


10.3. 舊 울산군 농소면 지역[편집]


1914년 군면대폐합 때 농동면과 농서면이 합병되어 농소면이 출범하였다. 이 중에서 송정리·화봉리가 1962년 출범하는 울산시에 편입되어 분리되었고(물론 이들 지역은 편입후 병영출장소에 속했다). 남은 곳은 울주군 농소면이 되었다. 이렇게 오랫동안 쭉 유지되다가, 1995년 울주구 시절에 읍으로 승격되었고, 1997년 울산광역시가 출범하면서 강동면과 같이 행정동인 농소1~3동으로 전환되어 신설되는 북구에 편입되었다. 농소1~2동 및 송정동은 1914년 이전의 농동면, 농소3동은 농서면의 영역에 해당한다.

동천의 서편이 몽땅 농소3동이며, 동편은 다시 매곡천을 경계로 남동쪽이 1동, 북서쪽이 2동이다.



10.3.1. 농소1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매곡동(일부)·신천동(일부)·창평동·호계동이다. 인구는 36,522명.[P] 매곡동과 신천동은 매곡천과 매곡로를 기준으로 행정동이 나눠져 있다.

옛 농소면 중심지였던 호계동과 매곡지방산업단지 앞쪽으로 월드 메르디앙 월드시티(2,686세대), 울산 드림인시티 에일린의 뜰 1~2차(2,462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들어선 매곡동에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두 지역 사이는 원래 비어있었으나 현재 택지로 조성되고 있으며 완료되면 두 지역이 연담될 것으로 보인다. 호계동의 아래에 있는 창평동은 농촌지역으로, 이남쪽에 위치한 울산공항의 이착륙[13] 코스라 원지마을, 차일마을 등 낮은 건물 말고는 없으며, 농소공영차고지, 농소종합운동장, 동해선 북울산역이 있다. 학교는 농소초, 매산초, 은월초, 호계초, 농소중, 호계중, 매곡고, 호계고가 있다.


10.3.2. 농소2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매곡동(일부)·신천동(일부)·중산동이다. 인구는 42,082명[P]로 북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동이다.

중산동은 북구의 최북단에 위치하며 울산과 경주를 잇는 길목에 해당한다. 자연취락과 함께 아파트들이 왕창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북구 인구 1위 자리에 올라섰는데, 아파트단지가 밀집되어 있지는 않고 여기저기 분산되어 건설된 상태이며 그 중 가장 큰 단지는 U스타시티 일동 미라주 더 스타 1~3단지(1,755세대), 오토밸리로 효성 해밍턴플레이스(1,059세대)이다. 북구 기적의 도서관이 중산동에 있다. 학교는 동대초, 매곡초, 신천초, 약수초, 이화초, 중산초, 매곡중, 이화중, 울산외고와 특수학교인 메아리학교가 있다.


10.3.3. 농소3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가대동·달천동·상안동·시례동·천곡동이다. 인구는 37,555명.[P]

동천의 서쪽에 해당하는 곳으로, 가대동과 시례동은 아직 개발제한에 묶여있어 옛 마을 그대로의 시골을 체험해볼 수 있는 곳이다. 울산 버스 257이 유일한 이 동네의 통로. 울산 버스 942도 시례동을 경유하나 상안, 달천, 천곡동에서 바로 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호계역을 경유하여 시례동으로 빠져나간다. 하지만 단 1대 가지고 운행하기 때문에 배차간격이 180분 넘게도 벌어지니 타기 어렵다. 그에 반해서 달천동, 천곡동, 상안동에는 아파트 단지가 제법 들어서 있다. 1993년 8월 준공된 일지리버타워아파트를 시작으로, 1994년 7월 준공된 원동현대아파트, 1996-1998년 준공된 쌍용아진 그린타운 1~4차, 우방, 대동, 대동황토방아파트까지 들어서면서 일종의 신도시격으로 아파트가 들어서게 되었다. 이 당시에는 쌍용아진 외에는 별 것이 없었으나 2000년 한국토지신탁에서 코아루아파트 건립을 추진하면서 2005년 9월 코아루1차 아파트가 들어섰다. 이로 인해 꽤 동네가 커지게 되었고, 2004년과 2005년에 준공된 그린카운티 1~4차, 2008년 준공된 달천 아이파크 1~3차 아파트로 인해 동네가 매우 커지게 되었다. 그 후 코아루2차아파트와 한신휴플러스 1~2단지, 신일건설이 진행하다 부도로 인해 무산된 땅에 벽산건설에서 대신 완성시킨 천곡 벽산블루밍까지 들어섰다.

이와 같이 동네 자체는 북구에서 화봉지구 다음가는 아파트 단지가 형성되어 있는 곳으로 학생들이 많다. 하지만 송정, 화봉2, 매곡, 호계, 신천 등의 아파트촌이 동천강 반대편에 형성되면서 공급과잉으로 인한 집값 하락이 계속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동천강에서 흘러나오는 천곡천에 생태하천공원을 만든 것을 시작으로 7번 국도 확장, 동해선 이설 등으로 매곡, 호계와 시가지가 이어져 형성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이 아주 없지는 않다. 학교는 농서초, 동천초, 상안초, 천곡초, 달천중, 상안중, 천곡중, 달천고, 울산동천고가 있다.


10.3.4. 송정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송정동·화봉동이다. 인구는 36,939명.[P]

시가지는 화봉동에 분포해 있으며 동 행정복지센터도 거기 있다. 위쪽의 송정동은 택지 개발이 진행 중이며[14] 현재 모든 아파트 단지가 입주 완료되었고, 버스 노선 역시 6개가 있다. 울산공항, 동울산세무서, 울산북부경찰서, 울산북부소방서가 있다. 구청장의 공약인 북부시외버스터미널을 북울산역 역세권에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학교는 고헌초, 송정초, 고헌중, 화봉중, 울산에너지고, 화봉고가 있다.


10.4. 舊 울주군 강동면 지역[편집]



10.4.1. 강동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구유동·당사동·대안동·무룡동·산하동·신명동·신현동·어물동·정자동이다. 인구는 16,339명.[P]

무룡산의 동쪽에 위치한 해안지역. 삼국시대부터 유래할 정도로 역사가 오래된 편이며 1915년 경주군 양남면 신대리의 일부가 편입되었을 뿐 일제강점기 때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1997년 울산광역시 출범과 함께 북구에 편입되고 면 자체가 행정동으로 전환되었다.

산하동에 신도시가 들어서 신축아파트가 많이 생기면서 인구가 크게 늘었다. 동 행정복지센터는 정자동에 있으며 예전 강동면사무소 건물이었으나 구)강동중학교 앞으로 신축이전 했다. 강동면의 시가지 또한 정자동에 분포해 있으며 어항이 있는 어업전진기지이기도 하다. 해수욕장으로 지정되어 있는 곳은 아니나 휴양지로 알려진 정자해안은 이름과는 달리 정자동이 아니라 산하동에 있는데, 중앙공원 앞에 있는 큰 광고판에 '정자의 일출'이라는 다소 뜨악한 문구가 큼지막하게 있다. 해안 코앞부터 아파트단지가 조성되었다. 머큐어엠버서더 울산이라는 호텔이 생겼다. 학교는 강동초, 강동중, 강동고, 울산스포츠과학고가 있다.


11.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6:10:04에 나무위키 북구(울산광역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7개 법정동, 8개 행정동.[2]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3] 북구 가선거구 (농소1동, 송정동) : 박재완.
북구 나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 김상태, 이선경.
북구 다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 임채오.
[4] 북구 나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 박정환.
북구 다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 손옥선.
비례대표 : 조문경.
[5] 북구 다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 강진희.[6] 북구 가선거구 (농소1동, 송정동) : 김정희[7] 북구 제1선거구 (농소1동, 송정동) : 정치락 (재선).
북구 제2선거구 (농소2동, 농소3동) : 문석주 (재선).
북구 제3선거구 (강동동, 효문동, 양정동, 염포동) : 백현조 (초선).
[8] 이들 지역은 이미 울산시 출범 이래로 울주군 → 울산군 → 울산시 울주구의 산으로 가로막힌 곳이다. 두 지역을 잇는 길이 있기는 하나 험한 산길이다.[9] 이전의 울산시 중구 중 동천강 이동 지역.[10] 염포동 한정. 단, 광역시 출범 이전에는 중구 소속이었다가 광역시 출범 후 동구로 잠시 넘어간 것을 거쳐 북구로 편입되었다.[11] 참고로 광역시 승격 이전에는 중구에 속했다.[12] 진장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P] A B C D E F G H 2022년 12월 주민등록인구통계[13] 이륙 36번 착륙 18번[14] 바로 위쪽 창평동에 역이 들어섰다. 역사가 들어설 예정지가 택지지구와 거리가 아주 가까운 곳으로 행정구역상 송정동이 아님에도 송정역으로 가칭이 붙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