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구

덤프버전 :

분류






부산광역시자치구


파일:사상구 CI.svg

사상구
沙上區
Sasang-gu





구청 소재지
학감대로 242 (감전동)
광역자치단체
부산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2[1]
면적
36.10㎢
인구
203,139명[2]
인구밀도
5,755.45명/㎢
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조병길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석[3]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석[4]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석[5]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장제원 (3선)
상징
구화
철쭉꽃
구목
소나무
구조
까치
구가
사상구민의 노래
지역번호
05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상징
3. 역사
4. 지리
5. 인구
5.1. 행정동별 인구추이
6. 교통
7. 경제
7.1. 금융
8. 문화/명소/상권
9. 교육
9.1. 대학교
9.2. 고등학교
9.3. 중학교
9.4. 초등학교
9.5. 특수학교
10. 의료기관
12. 하위 행정구역
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1995년 3월 1일에 북구의 가운데 부분을 분리하여 모라동 남쪽 부분이 북구에서 독립하여 생겨난 곳이다. 따지고 보면 옛 동래군 사상면의 관할구역이 그대로 자치구로 승격한 셈이다.[6]

흔히 사하구, 강서구, 북구와 함께 낙동강 벨트의 한 축으로서 서부산권에 속하는 지역이며 북부산이라는 명칭은 공식적으로 쓰이는 명칭은 아니지만 북구를 가리킨다.


2. 상징[편집]


파일:attachment/erqerqwer.jpg
사상구청. 2002년 준공되었다.

파일:사상구 마스코트.jpg
사상구 마스코트이자 캐릭터 '신바람이'.[7]

파일:external/pbs.twimg.com/pPvyH86g.jpg
파일:external/smartsiren.co.kr/sinbaram_400x400.png


3. 역사[편집]


금관가야시기엔 현재의 경부선보다 고도가 낮은지대, 주례역 삼거리 서쪽 지역 및 사상공단 일대의 경우,거의 해수면 아래에 위치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경상도 동래군 사천면의 영역에 해당한다.

  • 1914년 4월 1일: 경상남도 동래군 사천면이 남북으로 분할되어 북쪽지역을 사상면으로 설치.[8]
  • 1963년 1월 1일: 사상면이 부산직할시에 편입되고 부산진구 사상출장소로 전환.
  • 1975년 10월 1일: 사상출장소가 폐지되고 직할시 직할 북부출장소로 전환.[9]
  • 1978년 2월 15일: 북부출장소가 북구로 승격. 김해군의 일부지역이 북구에 편입.
  • 1979년 1월 1일: 주례동이 주례1동과 주례2동으로 분리.
  • 1979년 8월 8일: 감전동이 감전1동과 감전2동으로 분리.
  • 1982년 5월 1일: 법정동 경계조정으로 감전동(1동 소속)의 일부가 엄궁동으로 편입.
  • 1982년 9월 1일: 덕포동이 덕포1동과 덕포2동으로 분리.
  • 1991년 9월 15일: 모라동이 모라1동과 모라2동으로, 주례1동의 일부가 주례3동으로 분리.
  • 1994년 7월 1일: 모라2동의 일부가 모라3동으로 분리.
  • 1995년 3월 1일: 북구의 일부(구 사상출장소)가 사상구로 승격되어 분리됨.
  • 2008년 1월 1일: 감전1동과 감전2동이 감전동으로, 모라1동과 모라2동이 모라1동으로 합병.


4. 지리[편집]


부산의 대표적인 공업지구인 사상공단이 있는데 1968~1975년에 걸쳐 조성된 공단이다.# 공단이 조성된 땅은 낙동강 삼각주처럼 점토로 이루어진 충적평야였던 곳으로 폭우가 쏟아지기라도 하면 꼼짝없이 홍수 피해가 극심한 곳이었으며 1991년에 태풍 글래디스로 인하여 구포에서 낙동강 제방이 붕괴되어 낙동강 물이 범람하여 서부터미널 일대까지 홍수 피해를 입은 전적이 있다.

공단에 인접한 주거지가 으레 그렇듯이 주거환경에 있어서는 다른 자치구에 비해 평판이 나쁘다. 사실 모라동[10]과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은 택지로써 괜찮게 개발되기는 했지만 공장과 주거지가 확실하게 분리되지 않은 감전동이나 삼락동,[11] 덕포동일수록 이런 경향이 현저하다. 더군다나 사상공단에 입주해 있는 업체들이 하나같이 공해 산업으로 악명높은 주물업체라서.

학장천, 감전천, 삼락천 같은 자연하천이 흐른다.


5. 인구[편집]


파일:사상구 CI.svg부산광역시 사상구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1일 북구 일부 지역[12] → 부산광역시 사상구 승격 분리
1995년 293,924명}}}
2000년 301,127명}}}
2005년 277,481명}}}
2010년 257,843명}}}
2015년 237,711명}}}
2020년 212,586명}}}
2023년 11월 203,139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동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학장동 26,815명}}}
모라제1동 26,619명}}}
엄궁동 24,669명}}}
괘법동 24,467명}}}
주례제2동 21,978명}}}
주례제1동 16,688명}}}
감전동 12,344명}}}
주례제3동 12,321명}}}
덕포제2동 12,230명}}}
덕포제1동 10,824명}}}
모라제3동 9,470명}}}
삼락동 5,324명}}}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5.1. 행정동별 인구추이[편집]


파일:사상구 CI.svg 삼락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1,575명
1970년 2,401명
1975년 6,122명
1980년 18,616명
1985년 21,495명
1990년 18,061명
1995년 14,269명
2000년 11,550명
2005년 9,833명
2010년 8,630명
2015년 7,191명
2020년 6,002명
2023년 9월 5,32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모라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3,830명
1970년 5,084명
1975년 9,215명
1980년 20,215명
1985년 23,439명
1990년 38,012명
1991년 9월 15일 모라동 → 모라제1동, 모라제2동 분동
1994년 7월 1일 모라제2동 → 모라제2동, 모라제3동 분동
1995년 43,308명(모라제1동 13,799명 + 모라제2동 29,509명)
2000년 39,009명(모라제1동 10,449명 + 모라제2동 28,560명)
2005년 35,917명(모라제1동 9,159명 + 모라제2동 26,758명)
2007년 12월 31일 모라제1동 + 모라제2동 → 모라제1동 합동
2010년 34,196명
2015년 30,082명
2020년 28,199명
2023년 9월 26,61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모라제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4년 7월 1일 모라제2동 → 모라제2동, 모라제3동 분동
1995년 24,097명
2000년 20,260명
2005년 17,439명
2010년 15,642명
2015년 13,518명
2020년 11,022명
2023년 9월 9,47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덕포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1,846명}}}
1970년 3,440명}}}
1975년 14,577명}}}
1980년 29,719명}}}
1982년 9월 1일 덕포동 → 덕포제1동, 덕포제2동 분동
1985년 24,991명}}}
1990년 24,496명}}}
1995년 18,423명}}}
2000년 15,198명}}}
2005년 14,211명}}}
2010년 12,455명}}}
2015년 12,328명}}}
2020년 8,892명}}}
2023년 9월 10,824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덕포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2년 9월 1일 덕포동 → 덕포제1동, 덕포제2동 분동
1985년 9,495명}}}
1990년 17,628명}}}
1995년 18,706명}}}
2000년 17,800명}}}
2005년 16,529명}}}
2010년 16,466명}}}
2015년 14,735명}}}
2020년 13,200명}}}
2023년 9월 12,230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1985-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괘법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5,349명}}}
1970년 9,576명}}}
1975년 15,618명}}}
1980년 26,848명}}}
1985년 32,132명}}}
1990년 31,793명}}}
1995년 23,628명}}}
2000년 24,924명}}}
2005년 24,258명}}}
2010년 22,028명}}}
2015년 21,424명}}}
2020년 22,045명}}}
2023년 9월 24,467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감전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2,584명
1970년 4,475명
1975년 16,830명
1979년 8월 8일 감전동 → 감전제1동, 감전제2동 분동
1980년 35,058명(감전제1동 17,994명 + 감전제2동 17,064명)
1985년 35,153명(감전제1동 18,374명 + 감전제2동 16,779명)
1990년 34,186명(감전제1동 19,256명 + 감전제2동 14,930명)
1995년 24,810명(감전제1동 14,351명 + 감전제2동 10,459명)
2000년 18,900명(감전제1동 10,424명 + 감전제2동 8,476명)
2005년 17,443명(감전제1동 8,906명 + 감전제2동 8,537명)
2007년 12월 31일 감전제1동 + 감전제2동 → 감전동 합동
2010년 16,162명
2015년 15,479명
2020년 13,829명
2023년 9월 12,3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주례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3,528명}}}
1970년 9,226명}}}
1975년 22,932명}}}
1979년 1월 1일 주례동 → 주례제1동, 주례제2동 분동
1980년 16,830명}}}
1985년 21,966명}}}
1990년 40,860명}}}
1991년 9월 15일 주례제1동주례제1동, 주례제3동 분동
1995년 19,529명}}}
2000년 19,499명}}}
2005년 19,630명}}}
2010년 18,353명}}}
2015년 16,198명}}}
2020년 15,551명}}}
2023년 9월 16,688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주례제2동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1월 1일 주례동 → 주례제1동, 주례제2동 분동
1980년 24,702명}}}
1985년 29,785명}}}
1990년 27,300명}}}
1995년 22,491명}}}
2000년 30,051명}}}
2005년 29,986명}}}
2010년 27,314명}}}
2015년 25,640명}}}
2020년 23,455명}}}
2023년 9월 21,978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80-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주례제3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1년 9월 15일 주례제1동 → 주례제1동, 주례제3동 분동
1995년 22,901명}}}
2000년 20,096명}}}
2005년 18,061명}}}
2010년 16,712명}}}
2015년 15,117명}}}
2020년 13,405명}}}
2023년 9월 12,321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학장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1,625명}}}
1970년 2,192명}}}
1975년 8,233명}}}
1978년 2월 15일 학장동 일부 → 부산시 서구 서대신제4동 편입
1980년 15,773명}}}
1985년 18,259명}}}
1990년 20,432명}}}
1995년 38,769명}}}
2000년 42,505명}}}
2005년 40,178명}}}
2010년 35,778명}}}
2015년 33,374명}}}
2020년 28,998명}}}
2023년 9월 26,815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파일:사상구 CI.svg 엄궁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동래군 사상면 → (정부직할)부산시 편입 및 사상면 폐지
舊사상면 관할지역에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설치
1966년 1,875명}}}
1970년 2,316명}}}
1975년 5,496명}}}
1980년 13,613명}}}
1985년 20,616명}}}
1990년 28,524명}}}
1995년 24,910명}}}
2000년 33,746명}}}
2005년 31,314명}}}
2010년 34,107명}}}
2015년 32,630명}}}
2020년 27,988명}}}
2023년 9월 24,669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6. 교통[편집]






부산 도시철도 2호선사상로가야대로를 따라서 지나가며 경부선 사상역이 이곳에 있다. 하지만 여객취급은 거의 개점휴업상태나 다름없을 정도로 정차 편수가 적다. 부전-마산 광역철도가 이 역을 경유하고 부산김해경전철사상하단선이 사상역에서 시종착하기 때문에 향후 사상역은 왕십리역에 버금가는 환승의 요충지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안그래도 서부산의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이 사상역 근처에 있다.

이 외에도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연결되는 도시고속화도로동서고가로가 사상구의 중앙을 동서로 관통하며 감전나들목과 주례램프가 있다. 이 때문에 주례교차로를 중심으로 한 가야대로 일대는 항상 교통정체에 시달린다. 지나가는 고속도로로는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중앙고속도로가 있다.


6.1.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편집]


해당 문서로.


6.2. 관내 철도 목록[편집]


  • 취소선은 미개통역, 사상역은 환승하는 노선이 많으므로, 환승역으로 별도 표기



7. 경제[편집]


학장동, 감전동 일대에 있는 부산 최대의 공단인 사상산업단지가 지역 경제의 8할을 책임지고 있다. 그래서 공단의 존재 덕분에 경제력이 꽤나 높을 것처럼 보이겠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2021년 6월 기준 부산 지역별 평균소득 수준 조사 결과에서 사상구는 부산 전체 16개 구군들 중 14위(30,848천원)로 뒤에서 3위를 기록했다. 1위를 차지한 해운대구(36,789천원), 2위를 차지한 동래구(35,716천원)와는 매우 격차가 넘사벽이며, 꼴찌 중구(30,103천원)[13], 15위 영도구(30,801천원)와 도찐개찐인 수준이다. 원래 사상구의 주물 공단이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잘 나간 편이었지만, 외환위기 때 수많은 회사들이 중국으로 옮겨갔고, 이후 중국에서 저렴한 인건비로 주물 수주를 왕창 쓸어가자 사상공단의 경쟁력과 평판이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공단들도 말이 공단이지 공단 내 공장의 1/3은 회사가 부도로 망해서 기계가 그대로 방치된 공실들이다.

의외로 외국인들의 소비 규모가 큰 지역이다. 2014년에는 부산에서 부산진구에 이어 2번째로 외국인이 신용카드를 많이 사용한 지역으로 꼽혔다. 사상공단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은데다 괘법동 일대에 다문화 거리가 들어서고, 주말이면 괘법동 홈플러스, 이마트를 이용하는 외국인 쇼핑객과 근처 수변공원을 이용하는 외국인 커플의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여기에 김해국제공항과 교통상 가깝다는 점 덕분에 외국인들이 이 곳에서 소비를 많이 하는 것도 보인다.

또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도 있는데, 서부터미널은 부산종합버스터미널보다 오히려 수요가 더 높고 공급도 더 높아 이용객들이 부산의 버스 터미널들 중에서 가장 많으며 버스 기사들을 포함 직원들도 부산의 버스 터미널들 중에서 가장 많다. 물론 규모 자체는 노포동터미널이 더 크다. 사실 이는 노포동터미널이 지나치게 부산의 외곽에 있고 주변에 공동묘지(영락공원)가 있기 때문에 그렇다. 추가로 시외버스를 타고 공단이 많은 경상남도 쪽으로 가는 외국인들도 많다.


7.1. 금융[편집]


사상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부산사상우체국 (7)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4)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6)
시중은행
신한은행 (1)
우리은행 (2)
하나은행 (2)
국민은행 (4)
지방은행
부산은행 (13)
경남은행 (1)
대구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중부산농협 (3)
부경양돈농협 (1)
부경원예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제1,2구잠수기수협 (1)
경남정치망수협 (1)
새마을금고
승학새마을금고 (5)
주례새마을금고 (2)
부산주례새마을금고 (3)
백양새마을금고 (3)
늘푸른사상새마을금고 (5)
사상중앙새마을금고 (2)
감전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사상신용협동조합 (4)
서부산신용협동조합 (2)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진주저축은행 (1)


8. 문화/명소/상권[편집]




9. 교육[편집]



9.1. 대학교[편집]



사상구에 있는 세 대학 중 두 대학은 지역구 국회의원을 거쳐 국회부의장까지 역임한 장성만동서학원 소유다. 현재는 장남인 장제국이 물려받았다. 지금도 사상구에는 동서학원이라는 사학재단의 영향력이 남아있다. 차남인 장제원이 아버지가 닦아놓은 지역구에서 아들의 숱한 범죄에도 불구하고 3선까지 했으니 말이다.

한편 신라대학교는 박영학원 소유이고, 예전에는 사상구가 아닌 연제구 연산동에 있다가 이전해왔다. 원래 위치는 현재의 이마트 연산점 인근이었으며 병설 중학교인 신라중학교가 부일여자중학교였을 때 위치도 이마트 연산점 맞은편(현 경동메르빌아파트 부지)이었다.


9.2. 고등학교[편집]


파일:사상구 CI_White.svg 부산광역시 사상구 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면적이 상당히 넓은 구인 반면 고등학교는 여섯 곳 뿐이라 고등학교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그 와중에도 서부산공업고등학교특성화고이며 부산산업학교는 직업학교라 직업반들만 갈 수 있기 때문에[14] 실질적인 일반계 고등학교는 넷 뿐이며 남녀공학은 하나도 없다.[15][16] 때문에 주례동(주례역, 냉정역 부근)에 사는 사람들은 부산진구의 고등학교로 통학하는 편이고 삼락동, 모라동에 사는 사람들은 북구의 고등학교로 통학하는 편이다.[17] 엄궁동 거주자는 사하구 하단동에 위치한 건국고등학교부산여자고등학교로 가기도 하고 학장동의 경우 여고생들은 부산서여자고등학교[18], 남고생 중 구덕고등학교가 과밀 현상이 발생하면 구덕터널을 넘어서 학군을 넘나들며 서구에 있는 경남고등학교나 남녀공학인 부경고등학교, 특성화고인 경성전자고등학교부산관광고등학교로 올 정도이다. 거짓말이 아니라 실제로 학장동에서는 사상고로 가는 것보다 구덕터널 하나 넘어서 동대신동으로 가면 바로 경남고랑 부경고로 갈 수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로 학년당 130~160명대의 학생들이 재학하고 있다.



9.3. 중학교[편집]




  • 덕포여자중학교(덕포동 136)
  • 동주중학교(주례동 543): 근처에 있을 듯한 동주여자중학교는 사하구에 있다.
  • 모동중학교(모라동 75-12)
  • 모라중학교(모라동 1348)
  • 삼락중학교(삼락동 380-17): 학교 부지가 위치한 곳이 모덕역 근처에 사상공단 부근이라 주변환경이 별로 좋지 못하다. 학생 수 감소와 사상공단 한복판에 위치한 어이없는 위치[19]와 사상공단 특성상 공해[20]로 인하여 2019년 3월에 폐교됐다.
  • 신라중학교(덕포동 66-2)
  • 엄궁중학교(엄궁동 2)
  • 주감중학교(주례동 995)
  • 주례중학교(주례동 55-33)
  • 주례여자중학교(주례동 95)
  • 학장중학교(학장동 574-116)


9.4. 초등학교[편집]




  • 감전초등학교(감전동 119-6): 2011년 즈음부터 체육진흥공단의 지원으로 운동장이 모두 인조잔디로 교체되고 트랙이 설치되었다. 여자축구부가 창설되면서 지원이 들어온 것. 덕분에 모래운동장이 대부분인 인근 초등학교보다 인프라가 앞서는 편이다. 이때 담도 모두 헐어 개방형구조를 취하고 있다.
  • 괘법초등학교(괘법동 556-2): 1998년 창진초등학교와 분리되었다.
  • 구학초등학교(학장동 168-15)
  • 덕상초등학교(덕포동 775-1)
  • 덕포초등학교(덕포동 406-1)
  • 동궁초등학교(엄궁동 680-4)
  • 동주초등학교(주례동 537)
  • 모덕초등학교(모라동 1364-1)
  • 모동초등학교(모라동 75-11)
  • 모라초등학교(모라동 655-3)
  • 모산초등학교(모라동 550)
  • 사상초등학교(덕포동 692-1)
  • 삼덕초등학교(삼락동 409-17)
  • 서감초등학교(감전동 122-1)
  • 엄궁초등학교(엄궁동 47)
  • 주감초등학교(주례동 319)
  • 주양초등학교(주례동 10-1)
  • 주학초등학교(주례동 84-192)
  • 창진초등학교(괘법동 519-2): 1998년 괘법초등학교와 분리되었다.
  • 학장초등학교 (학장동 242-1): 학생수가 많지 않다. 사상공업단지 안에 위치해 있어서 학부모들이 인근의 학진초등학교나 모라초등학교로 보내는 일이 많은 편.
  • 학진초등학교 (엄궁동 25-21)


9.5. 특수학교[편집]


  • 부산산업학교(덕포동 775-1): 직업반 학생들이 주로 다니는 학교로 특수학교에 속한다. 서부산공업고등학교 바로 옆에 붙어 있다.
  • 부산솔빛학교(삼락동 365-8)


10. 의료기관[편집]


종합병원으로 부산보훈병원(475병상)과 좋은삼선병원(375병상)이 모두 주례동에 있다. 모두 구 경계에 있다 보니 지역 주민들이 이용하기에는 편리하지 않은 편.


11. 정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사상구/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하위 행정구역[편집]


파일:사상구의 행정구역.png


12.1. 삼락동[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5,451명.[P]

면적 대부분은 삼락생태공원을 포함한 낙동강 둔치 지역이고, 나머지 지역의 대부분도 주거지라기 보다는 공단이 밀집한 곳이다. 면적은 사상구 내 행정동 중에서도 가장 넓은데 인구는 1만 명도 되지 않는다. 다른 지역에는 삼락생태공원으로 그나마 알려져 있다. 부산사상소방서가 있다. 학교는 삼덕초, 부산조리고와 특수학교인 부산솔빛학교가 있다.


12.2. 모라1동, 모라3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모라동이다.
  • 모라1동: 인구는 26,998명.[P] 신모라라고 불리며 인접한 북구와 생활권을 공유한다. 경부선을 중심으로 서쪽은 공단과 주거지가 혼재되어 있고 동쪽에 우신모라아파트(1,620세대), 동원아파트(1,110세대) 등 주거지역과 상업시설이 있다. 학교는 모덕초, 모라초, 모라중이 있다.
  • 모라3동: 인구는 9,599명.[P] 백양산 안쪽 골짜기에 주거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백양그린아파트 근처 빌라들을 제외하면 모두 아파트이다. 백양터널을 통해 부산진구 및 도심으로 넘어갈 수 있다. 학교는 모동초, 모산초, 모동중이 있다.


12.3. 덕포1동, 덕포2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덕포동이다. 1동과 2동 모두 경부선에 의해 동이 동서로 나뉜다.
  • 덕포1동: 인구는 8,297명.[P] 평범한 주거지역이다. 경부선 서쪽으로 재개발을 통해 사상 중흥S-클래스 그랜드센트럴(1,572세대)이 건설되었다. 학교는 사상초, 덕포여중, 신라중, 사상고가 있다.
  • 덕포2동: 인구는 12,431명.[P] 경부선 서쪽은 덕포역 부근을 제외하곤 거의 공단지역이며 그 와중에 부산도서관, 사상도서관, 부산지방고용노동청 부산북부지청이 있다. 경부선 동쪽에는 1동처럼 평범한 주거지역이다. 백양산에서 가장 경치가 좋은 지역으로 손꼽힌다. 학교는 덕상초, 덕포초, 대덕여고, 서부산공고와 일반계고 직업위탁교육기관인 부산산업학교가 있다.


12.4. 괘법동[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4,717명.[P]

김해경전철, 부산 2호선이 정차한다.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이 서부산의 관문 역할을 한다. 서부산 전체를 통틀어 교통이 가장 편리한 동네라 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부산권에서 상권이 가장 발달한 곳이다. 괘법르네시떼역이라는 눈에 띄는 역명으로 회자되기도 한다. 경부선 동쪽에도 주택과 소규모 공장 등이 있는데, 이어주는 길은 왕복 1차로 좁은 굴다리 하나 뿐이다. 그 외 부산산업용품유통단지, 이마트 사상점, 홈플러스 사상점, 애플아울렛, 르네시떼 등이 있다. 신라대학교가 있지만 진입로는 덕포동으로 연결된다. 학교는 괘법초, 창진초가 있다.


12.5. 감전동[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2,490명.[P]

사상구청, 부산사상경찰서, 북부산세무서가 있어 구의 행정중심지 역할을 한다. 대부분이 산지 없는 평탄한 땅이라 공장과 주택이 혼란하게 들어서 주거환경은 썩 좋지 않다. 학교는 감전초, 서감초가 있다.


12.6.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편집]


관할 법정동은 주례동이다. 1동과 2동은 경부선동서고가로로 동이 남북으로 분절된 상태이다.
  • 주례1동: 인구는 16,704명.[P] 경부선 북쪽은 백양산자락에 있는 주거지역으로 아파트가 많고, 반대로 남쪽은 공장들이 많다. 경부선변으로 주례 롯데캐슬 골드스마트(998세대)가 준공되면서 인구가 증가하였다. 학교는 주감초, 주감중이 있다.
  • 주례2동: 인구는 22,010명.[P] 1동과 마찬가지로 경부선으로 분절되어 있으며 북쪽은 백양대로를 따라 반도 보라매 머드타운(1,206세대) 등 대형 아파트단지가 들어서 있고 그 옆에 부산보훈병원이 있다. 남쪽은 대부분 주택과 빌라이며 산 위에 동서대학교, 경남정보대학교가 있다. 학교는 주양초, 주학초, 주례중, 주례여고가 있다.
  • 주례3동: 인구는 12,433명.[P] 주례럭키아파트(1,963세대)가 동 한가운데에 큰 규모로 자리하고 있다. 그 외 아파트단지와 빌라들이 많은 주거지역이지만, 서쪽 끝에는 사상공단 공장들과 부산구치소가 있다. 학교는 동주초, 동주중, 주례여중이 있다.


12.7. 학장동[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7,042명[P]으로 사상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학장천을 기준으로 북쪽은 공단, 남쪽은 주거지역이며 구학마을아파트(1,110세대)를 필두로 아파트단지들이 많이 있다. 구덕터널서구 서대신동과 이어주며 사상하단선(부산 5호선)이 개통되면 여기도 역세권의 수혜를 입게 될 전망이다. 또 그만큼 RH 시간대에 교통 체증이 가장 극심한 지역이다. 학교는 구학초, 학장초, 학장중, 구덕고가 있다.


12.8. 엄궁동[편집]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24,857명.[P]

동쪽은 승학산, 서쪽은 낙동강이 가로막아 그야말로 배산임수의 지형이다. 공단이 인접하고 엄궁농산물도매시장, 롯데마트 사상점이 있다. 주거지로는 승학산 안쪽으로 엄궁로를 따라 엄궁 롯데캐슬 리버(1,852세대), 엄궁 코오롱아파트(1,158세대), 엄궁 한신2차(1,016세대) 등 엄궁아파트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사상하단선이 개통되면 이곳도 역세권의 수혜를 입게 된다. 학교는 동궁초, 엄궁초, 학진초, 엄궁중이 있다.


13.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편집]


  • 샤오(업텐션)
  • 손수조: 前 정치인
  • 유니스: DIA 소속 멤버
  • 이시언: 배우[21]
  • 임시완: 제국의아이들 소속 가수, 배우
  • 하재익: 배우, 방송인
  • 현철: 트로트 가수
  • NO:EL: 래퍼
  • 윤도영: 학원강사
  • 제이티스트: 가수, 작곡가 겸 음악 프로듀서
  • 한동희: 롯데 자이언츠 야구선수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5:37:22에 나무위키 사상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8개 법정동, 12개 행정동[2] 2023년 11월 주민등록인구[3]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신혜정, 김종선
사상구 나선거구 (모라1동, 모라3동): 이종구
사상구 다선거구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윤숙희
사상구 라선거구 (학장동, 엄궁동): 김정옥
비례대표: 김윤경
[4]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이정욱
사상구 나선거구 (모라1동, 모라3동): 김향남
사상구 다선거구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정춘희
사상구 라선거구 (학장동, 엄궁동): 정두희
비례대표: 황수진
[5] 사상구 가선거구 (삼락동, 모라1동, 모라3동, 덕포1동, 덕포2동, 괘법동, 감전동): 윤태한 (초선)
사상구 제2선거구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 김창석 (초선)
[6] 사상구 아랫동네인 사하구도 동래군 시절에는 사하면이라 마찬가지라 볼 수 있겠지만 정확히는 사하면 시절의 관할구역은 사하구와 서구 암남동까지 포함했다. 그러니까 지금의 사하구는 사하면에서 서구 암남동을 뺀 나머지 영역이라 볼 수 있다. (정확히는 암남동이 먼저 부산으로 편입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나중에 부산으로 편입되었다.)[7] 사상구의 미래상인 ‘첨단문화도시'의 모습이자, 머리 위의 바람개비를 이용하여 사상구 곳곳을 날아다니며 신바람을 일으키는 귀염둥이라고 한다.[8] 당시 면사무소는 현재의 사상초등학교 옆에 있는 사상교회교육관 자리에 있었고 1962년까지 면사무소로서 기능을 하였다. 사상구 지역의 부산시 편입 직후부터 2002년 5월 중순까지 사상구청, 구의회 및 보건소를 신축하여 이전하기 전에는 북구(1995년 3월 1일 이후에는 사상구) 보건소로 사용되었다.[9] 같이 폐지되는 구포출장소와 한데 묶어 출범하였다.[10] 사실 모라1동은 30~40%가 공장이 차지하지만 나름 괜찮게 개발된 지역이다. 경부선 선로를 기준으로 나뉘어져 공장과 주거단지가 나누어져 있다.[11] 사람들이 오해하는 게 있는데 공단의 반은 삼락동 안에 포함되어있다. 삼락동이 워낙 땅덩어리가 넓어서 사상의 괘법부터 북구의 구포 사이가 다 삼락동이기 때문에 공단 중간에 있는 하천을 경계삼아 덕포, 모라, 삼락이 나눠진다.[12] 모라제1동, 모라제2동,모라제3동, 삼락동, 덕포제1동, 덕포제2동, 괘법동, 감전제1동, 감전제2동, 주례제1동, 주례제2동, 주례제3동, 학장동, 엄궁동[13] 다만 중구는 면적이 좁고 인구도 적다는 건 감안해서 봐야 한다.[괄호] A B C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4] 각 고등학교 직업반 학생들끼리 서로 모여서 직업훈련을 하는 학교이다. 이 때문에 자체 교복은 없으며 특수학교로 취급받는다.[15] 구덕고랑 사상고는 남자고등학교이고 대덕여고랑 주례여고는 여자고등학교다.[16] 그마저도 구덕고랑 사상고는 도로 주변에 학교가 있어 접근성이 좋으나 주례여고랑 대덕여고가 접근성이 몹시 좋지 않기때문에 부산진구나 서구, 사하구에 위치한 학교들로 많이 가는 편이다.[17] 이들 동네는 구포3동에 위치한 성도고등학교삼정고등학교로 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낙동고등학교화명신도시에 위치한 화명고등학교, 금곡고등학교로 가기도 한다.[18] 주례여고로 갈 수 있으나 67번을 타면 환승없이 서여고로 바로 이어준다. 또한 주례여고는 환승을 해서 가야 하며 동서대 인근에 위치해서 접근성이 매우 병맛이다.[19] 학교 안에서 굴뚝에서 연기나오는 모습이 심심찮게 보인다.[20] 바로 옆에 페인트 공장이 있다.[P] A B C D E F G H I J K L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21] 학교는 북구 만덕동 일대에서 다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