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개성단/분류

덤프버전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산개성단

항성은하천문학
Stellar & Galactic Astronomy
[ 펼치기 · 접기 ]
항성천문학
항성 ()광도 · 별의 등급 · 색등급도 ·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 별의 종족 · 다중성계(쌍성) · 변광성(세페이드 변광성) · 성단(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항성 진화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갈색왜성 · 황소자리 T형 별 · 주계열성 · 적색거성 · 적색초거성 · 볼프–레이에별 · 행성상성운 · 초신성(중력붕괴 · 좀비별 · 감마선 폭발)
밀집성백색왜성(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에딩턴 광도)
성간물질성운(전리수소영역) · 패러데이 회전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은하(분류) · 활동은하핵(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은하수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처녀자리 초은하단(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
2. 할로 섀플리의 산개성단 분류표
3. 로버트 트럼플러의 산개성단 분류법


1. 개요[편집]


고전적인 산개성단의 분류 방법을 설명하는 문서.
눈으로 직접 보고 분류하는 방식이라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고 않다.


2. 할로 섀플리의 산개성단 분류표[편집]


1930년 할로 섀플리가 산개성단을 7개의 등급으로 분류하는 표를 작성하였다.
할로 섀플리의 산개성단 분류표
등급의미예시
a불규칙적
b별들의 군집
c매우 느슨하고 불규칙적인 형태파일:external/www.atlasoftheuniverse.com/ngc2244.jpg
NGC 2244
d매우 느슨한 형태파일:external/scienceblogs.com/messier-36.jpg
M18
e별들이 중간 정도로 풍부하고 촘촘한 형태파일:external/messier.seds.org/m7noao.jpg
M7
f별들이 꽤 풍부하고 촘촘한 형태파일:external/tcaa.us/M26.jpg
M26
g별들이 매우 풍부하고 응집된 촘촘한 형태파일:external/messier.seds.org/n2477.jpg
NGC 2477


3. 로버트 트럼플러의 산개성단 분류법[편집]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로버트 트럼플러에 의해 개발된 분류법이다.
분류 방법은 로마숫자 I~IV로 밀집도의 차이를 표기하고 숫자 1~3으로 성단을 구성하는 항성들의 밝기를, p,m,r로 항성의 갯수를, n으로 성운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표기하였다.
절대적인 기준이 없다보니 같은 산개성단도 학자마다, 또는 성도를 제작하는 회사마다 분류가 다르므로 적당히 넘어가자.
로버트 트럼플러의 산개성단 분류법
IIIIIIIV
중심을 향한 강한 밀집중심을 향한 약한 밀집중심을 향하지 않고 느슨한 밀집주변과 분리되지 않음
123
어두움중간 정도로 밝음매우 밝음
pmr
별이 적음(50개 미만)중간 정도(50~100개)별이 많음(100개 이상)
n
성단내에 성운이 존재함
예시
II,3,r,n성단이 성운 내에 존재하며 별들이 중심을 향해 약하게 밀집되어 있고 항성들이 매우 밝으며 100개 이상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는 성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2:07:09에 나무위키 산개성단/분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