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책략전/장수/ㅅ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삼국지 책략전/장수

1. 개요
2. 장수
2.1. 사
2.1.1. 사마가
2.1.2. 사마랑
2.1.3. 사마사
2.1.4. 사마소
2.1.5. 사마염
2.1.6. 사마의
2.1.7. 사적
2.1.8. 사정
2.1.9. 사환
2.1.10. 상거
2.1.11. 상홍
2.2. 서
2.2.1. 서상
2.2.2. 서서
2.2.3. 서성
2.2.4. 서영
2.2.5. 서황
2.2.6. 설난
2.2.7. 설례
2.2.8. 설영
2.2.9. 설종
2.2.10. 설제
2.2.11. 성의
2.3. 소
2.3.1. 소유
2.3.2. 소비
2.3.3. 손건
2.3.4. 손견
2.3.5. 손관
2.3.6. 손광
2.3.7. 손권
2.3.8. 손기
2.3.9. 손등
2.3.10. 손랑
2.3.11. 손례
2.3.12. 손상향
2.3.13. 손소
2.3.14. 손수
2.3.15. 손양
2.3.16. 손유
2.3.17. 손이
2.3.18. 손익
2.3.19. 손정
2.3.20. 손중
2.3.21. 손책
2.3.22. 손화
2.3.23. 손환
2.3.24. 손호
2.3.25. 손휴
2.3.26. 송겸
2.3.27. 송과
2.3.28. 송충
2.3.29. 송헌
2.4. 수
2.4.1. 순상
2.4.2. 순심
2.4.3. 순우경
2.4.4. 순욱
2.4.5. 순운
2.4.6. 순유
2.5. 시
2.5.1. 신명
2.5.2. 신비
2.5.3. 신의
2.5.4. 신탐
2.5.5. 신평
2.5.6. 심배
2.5.7. 심영
2.5.8. 심영


1. 개요[편집]


삼국지 책략전 장수들 중 ㅅ으로 시작하는 장수들을 모아놓은 틀이다.

2. 장수[편집]



2.1. 사[편집]



2.1.1. 사마가[편집]


무력 84지력 25정치 14매력 44
의리 49야망 2수명 6상성 67

특기반격무쌍화공

황건적의 난과 동관 전투에서는 무릉, 반동탁 연합부터 관도전까지는 운남, 공명의 활약에서는 남해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삼국 정립부터 맹획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대부분의 맹획군 장수들이 무력돼지형 장수들이지만, 그 중에서도 무력이 높은 편이라 유용하게 쓸 수 있다.

2.1.2. 사마랑[편집]


무력 24지력 72정치 82매력 81
의리 87야망 10수명 7상성 26

특기치료수습고무

황건적의 난과 군웅 할거에서는 낙양, 반동탁 연합에서는 진류, 관도전에서는 허창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부터 조조군 소속로 등장하는 장수. 원래는 217년에 죽는 장수지만 수명이 이상하게 길어 뻔뻔하게 삼국정립까지 등장하며, 심지어 바로 죽지도 않는다.

2.1.3. 사마사[편집]


무력 64지력 88정치 82매력 78
의리 85야망 11수명 2상성 26

특기혼란내분수습화공

사마의의 관례로만 등장하는 장수. 대략 230즈음에 등장한다. 영웅의 시대에서는 사마의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등장시기가 너무 느려 영웅에 시대 시나리오가 아닌 이상 거의 쓸 일이 없다. 그러나 그때쯤 되면 인재들이 픽픽 쓰러져나가기 때문에 얻기만 한다면 큰 도움은 되는 장수. 무력도 군사치고 높은편이라 스토리 후반기에는 전투에서도 써 볼 만 하다.

2.1.4. 사마소[편집]


무력 57지력 87정치 88매력 80
의리 78야망 10수명 4상성 26

특기내분치료허보

사마사와 마찬가지로 사마의의 관례로만 등장하는 장수. 사마사가 나온 이후에 등장한다. 사마사와 마찬가지로 영웅의 시대에서는 사마의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신기하게도 능력치 총합이 사마사와 완전히 똑같다.

2.1.5. 사마염[편집]


무력 59지력 77정치 79매력 74
의리 52야망 14수명 7상성 26

특기일제화시고무

사마사의 관례로 등장하는 장수로, 대략 260년쯤에 등장한다. 사마사의 아들이나 삼국 정립 시나리오에서는 오류로 사마의의 관례로 등장한다. 황건적의 난을 비롯한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정상적으로 사마사의 관례로 등장한다.

2.1.6. 사마의[편집]


무력 63지력 98정치 93매력 87
의리 89야망 15수명 7상성 26

특기혼란침착수습허보내분일제

황건적의 난과 군웅 할거에서는 낙양, 반동탁 연합에서는 진류, 관도전에서는 허창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부터 조조군 소속로 등장하는 장수. 보물을 빼면 위나라 지력 1위로, 전투에서나 내정에서나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는 장수. 199년부터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는데, 수명도 길어서 웬만해선 통일할 때까지 살아있다.

2.1.7. 사적[편집]


무력 65지력 52정치 41매력 53
의리 67야망 8수명 2상성 115

특기고무

황건적의 난에서는 건업, 반동탁 연합과 영웅의 시대에서는 장사, 군웅 할거에서는 노강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 이후부터 쭉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1.8. 사정[편집]


무력 76지력 34정치 33매력 44
의리 35야망 2수명 7상성 130

특기돌격고무

황건적의 난부터 동관 전투까지 건업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삼국 정립에서는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1.9. 사환[편집]


무력 68지력 43정치 41매력 49
의리 64야망 8수명 7상성 22

특기추격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는 허창, 군웅 할거에서는 장안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 이후부터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1.10. 상거[편집]


무력 24지력 69정치 73매력 58
의리 70야망 3수명 6상성 124

특기수습치료

황건적의 난에서는 성도, 반동탁 연합에서는 평원, 군웅 할거에서는 하비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부터 동관 전투까지 유장군 소속으로, 삼국 정립에서는 유비군 소속으로 있는 장수이다. 유비~조조 상성인 유장군의 유일무이한 등용셔틀.

2.1.11. 상홍[편집]


무력 43지력 54정치 62매력 62
의리 83야망 5수명 7상성 84

특기화공

황건적의 난부터 동관 전투까지 쭉 장안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삼국 정립부터는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2. 서[편집]



2.2.1. 서상[편집]


무력 66지력 55정치 40매력 51
의리 69야망 8수명 6상성 21

특기반격

2.2.2. 서서[편집]


무력 64지력 93정치 80매력 81
의리 79야망 3수명 6상성 65

특기혼란허보내분수습화공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는 양양, 군웅 할거에서는 하비, 관도전에서는 신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으며, 공명의 활약부터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관도전에서 유비군 역사 이벤트인 207년에 삼고초려 이벤트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 인물이다. 지력이 높고, 무력도 60이 넘어 전투나 내정이나 효율이 좋은 장수.

2.2.3. 서성[편집]


무력 81지력 78정치 65매력 73
의리 75야망 9수명 7상성 122

특기수신일제내분

황건적의 난, 반동탁 연합, 군웅 할거에서는 하비에서, 동관 전투에서는 남해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삼국 정립부터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시나리오 대규모 개편 때 상향을 받아 무관으로 임명할 수 있게 되었다. 다른 수치들도 증가한 것은 덤. 특기는 조금 아쉽긴 하나 일제가 있기 때문에 그리 나쁜 것만은 아니다.

2.2.4. 서영[편집]


무력 76지력 62정치 43매력 42
의리 56야망 4수명 2상성 150

특기돌격화공

황건적의 난에서는 천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과 영웅의 시대에서 동탁군으로 등장하는 장수. 이유처럼 동탁과의 상성이 완전히 역상성이다.

2.2.5. 서황[편집]


무력 90[1]정치 48지력 78매력 71
의리 70야망 11수명 5상성 23

특기무쌍돌격반격도발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는 낙양, 군웅 할거에서는 장안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 이후부터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황건적의 난을 제외하면 고유 보물인 대부 (무력 +3)을 항상 가지고 시작하기 때문에, 실질 무력은 꽤 높은 편이다. 무력도 높고 특기도 좋으므로 전투에서 많은 활약을 할 수 있다.

2.2.6. 설난[편집]


무력 61지력 51정치 39매력 46
의리 68야망 7수명 0상성 14

특기치료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는 복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에서 여포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2.7. 설례[편집]


무력 62지력 54정치 42매력 67
의리 49야망 2수명 7상성 102

특기화공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 영웅의 시대에서는 수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에서는 유요군 소속으로 등장하며 그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장수.

2.2.8. 설영[편집]


무력 18지력 64정치 74매력 62
의리 58야망 2수명 7상성 139

특기수습허보

설종의 관례로만 등장하는 장수.

2.2.9. 설종[편집]


무력 16지력 73정치 80매력 63
의리 74야망 8수명 7상성 135

특기치료수습

황건적의 난에서는 초, 반동탁 연합에서는 장사, 군웅 할거부터 관도전까지는 노강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 이후부터 쭉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2.10. 설제[편집]


무력 49지력 61정치 65매력 51
의리 67야망 6수명 7상성 28

특기혼란


2.2.11. 성의[편집]


무력 72지력 41정치 48매력 56
의리 60야망 7수명 1상성 70

특기화시

황건적의 난부터 군웅 할거까지 서량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부터 동관 전투까지 마등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3. 소[편집]



2.3.1. 소유[편집]


무력 59지력 49정치 41매력 49
의리 57야망 8수명 7상성 104

특기혼란고무


2.3.2. 소비[편집]


무력 63지력 66정치 62매력 63
의리 66야망 7수명 6상성 50

특기화공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 군웅 할거에서는 강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에서 유표군 소속으로, 공명의 활약 이후부터 쭉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능력치도 그저 그렇고, 특기도 안 좋지만 오경과 함께 몇 안 되는 오나라 상성이 아닌 장수이기 때문에 유비나 유표쪽 상성 장수들 등용 담당으로 써먹을 수 있다. 단 유표군이 아닌 손권군일 때는 초기 충성도가 매우 낮으니 이에 주의. 상성이 50이라 유비든, 조비든 뺏기기 매우 쉽다.

2.3.3. 손건[편집]


무력 33지력 79정치 84매력 84
의리 86야망 9수명 6상성 77

특기치료수습고무

황건적의 난 때는 북해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 때는 도겸군 소속이며, 군웅 할거 이후부터 쭉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3.4. 손견[편집]


무력 90[2]지력 79정치 73매력 91
의리 68야망 13수명 1상성 125

특기돌격수신반격화시난사

황건적의 난, 반동탁 연합, 영웅의 시대에서 군주로 등장하며, 마왕동탁에선 양양 점령 시 자동으로 등용된다. 무력도 굉장히 높고, 버릴 것이 없는 좋은 특기들만 가지고 있어 전투에서의 효율이 매우 좋다. 또한 손가의 보물인 고정도(무력 +4)를 가지고 시작하기 때문에 실 무력도 94로 굉장히 높은 편이다.[3] 그러나 유일한 단점은 저 수명. 거의 191년~192년을 못 넘기고 죽는다.

거의 모든 시대에서 군주로 등장하기 때문에 별 의미 없는 정보이긴 하지만, 시나리오 개편 이전에 원래 지력은 84였다.

2.3.5. 손관[편집]


무력 78지력 51정치 39매력 66
의리 42야망 10수명 7상성 16

특기일제고무

황건적의 난에서는 하비, 반동탁 연합과 군웅 할거에서는 복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 이후부터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영웅의 시대에서는 도겸군 소속이다.

2.3.6. 손광[편집]


무력 46지력 44정치 65매력 56
의리 70야망 8수명 6상성 125

특기돌격

2.3.7. 손권[편집]


무력 67[4]지력 80정치 89매력 95
의리 96야망 14수명 7상성 125

특기침착내분수신수습고무

황건적의 난, 반동탁 연합에서는 손견의 관례로, 군웅 할거에서는 손책의 관례로 등장하며 관도전부터 쭉 군주로 등장하는 장수. 전투보단 내정용에 특화되어 있으나, 고정도로 어느정도 무력이 보강되고 침착, 수습같은 유용한 특기가 있기 때문에 전투에도 쓸 수 있다.

2.3.8. 손기[편집]


무력 67지력 51정치 60매력 66
의리 56야망 8수명 7상성 128

특기돌격반격일제

오로지 장수수색으로만 찾을 수 있는 장수. 264년 이후에 등장한다. 본래 무력은 74에 지력은 72였으나 너프를 받아 특기가 무색한 장수가 되었다.

2.3.9. 손등[편집]


무력 37지력 79정치 80매력 87
의리 90야망 11수명 0상성 125

특기허보치료

손권의 관례로만 등장하는 장수.

2.3.10. 손랑[편집]


무력 43지력 30정치 40매력 45
의리 82야망 9수명 6상성 125

특기수신


2.3.11. 손례[편집]


무력 81지력 67정치 73매력 74
의리 48야망 3수명 7상성 21

특기반격화공

황건적의 난에서는 대현에서, 반동탁 연합에서는 진류, 군웅 할거에서는 낙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 이후부터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3.12. 손상향[편집]


무력 86지력 69정치 62매력 87
의리 100야망 7수명 10상성 127

특기화시난사일제도발

공명의 활약 이전까지 손가의 관례로 등장하는 장수. 반동탁연합에서는 202년경 손견의 관례로 등장하며, 공명의 활약에서는 손권군 소속으로, 동관 전투에서는 유비군 소속으로, 삼국 정립에서는 다시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다. 화시와 난사를 모두 가지고 있어 안행에 특화된 장수이다.


2.3.13. 손소[편집]


무력 79지력 76정치 69매력 74
의리 51야망 8수명 6상성 124

특기수신돌격

2.3.14. 손수[편집]


무력 51지력 53정치 57매력 58
의리 72야망 3수명 7상성 123

특기일제수습

손권의 관례로만 등장하는 장수.

2.3.15. 손양[편집]


무력 29지력 70정치 79매력 88
의리 85야망 13수명 6상성 125

특기화공내분치료

영웅의 시대에서는 264년 이후의 장사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그 외의 시나리오에서는 손권의 관례로만 등장하는 장수.

2.3.16. 손유[편집]


무력 70지력 68정치 69매력 78
의리 81야망 7수명 6상성 125

특기화시

황건적의 난에서는 손정의 관례로, 반동탁 연합에서는 손견의 관례로 등장하며 공명의 활약 이후부터 쭉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3.17. 손이[편집]


무력 71지력 55정치 62매력 61
의리 67야망 7수명 7상성 122

특기화공치료

손소의 관례로만 등장하는 장수.

2.3.18. 손익[편집]


무력 78지력 27정치 16매력 45
의리 78야망 7수명 6상성 125

특기화시수신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는 손견의 관례로, 군웅 할거에서는 손책의 관례로 등장하며, 관도전에서는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관도전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3.19. 손정[편집]


무력 53지력 73정치 71매력 72
의리 78야망 1수명 6상성 125

특기수신

황건적의 난부터 삼국 정립까지 쭉 동오 소속으로 개근하는 장수.

2.3.20. 손중[편집]


무력 71지력 36정치 8매력 14
의리 50야망 7수명 6상성 7

특기수습

황건적의 난에서 장각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무력 외의 어떤 것도 특출나지 않는 장수. 심지어 무력도 그렇게 높지도 않다.

2.3.21. 손책[편집]


무력 92[5]지력 70정치 74매력 92
의리 90야망 15수명 0상성 127

특기무쌍수신돌격고무도발반격

황건적의 난, 반동탁 연합에선 손견의 관례로 등장하며, 군웅 할거에선 노강의 군주로 등장하는 장수.


2.3.22. 손화[편집]


무력 39지력 68정치 71매력 76
의리 85야망 10수명 6상성 125

특기고무

손권의 관례로만 등장하는 장수.

2.3.23. 손환[편집]


무력 73지력 76정치 68매력 78
의리 68야망 8수명 7상성 127

특기허보일제


2.3.24. 손호[편집]


무력 28지력 31정치 6매력 3
의리 63야망 11수명 3상성 125

특기수습화공

손화의 관례로만 등장하는 장수. 덕분에 후반중에 최후반에나 볼까말까하다.

2.3.25. 손휴[편집]


무력 39지력 78정치 75매력 81
의리 79야망 12수명 0상성 124

특기일제

손권의 관례로만 등장하는 장수.

2.3.26. 송겸[편집]


무력 78지력 42정치 39매력 64
의리 64야망 8수명 6상성 128

특기화공화시

황건적의 난에서는 건업에서 장수수색으로, 반동탁 연합에서는 장사에서 장수수색으로, 군웅 할거부터 손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3.27. 송과[편집]


무력 56지력 48정치 43매력 46
의리 32야망 6수명 0상성 4

특기수습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는 낙양에서 장수수색으로, 군웅 할거에서는 장안에서 장수수색으로 등장하는 장수. 관도전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3.28. 송충[편집]


무력 33지력 41정치 55매력 60
의리 64야망 3수명 6상성 38

특기화공

황건적의 난, 공명의 활약, 동관 전투에서는 상용에서, 관도전에서는 양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과 군웅 할거에서는 유표군 소속으로, 삼국 정립부터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3.29. 송헌[편집]


무력 77지력 38정치 27매력 31
의리 32야망 7수명 2상성 14

특기추격

황건적의 난에서는 진양, 반동탁 연합에서는 복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와 영웅의 시대에서 여포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시나리오 대규모 개편 때 버프를 받은 장수중 하나이다. 조정 이전까지는 장군으로 임명할 수도 없어 잉여 취급이였으나, 능력치 조정 이후 77로 올라 초반에 징병 담당으로 써봄직해졌다. 단 특기는 전혀 건드리지 않아 달랑 추격 하나뿐이기 때문에 전투에서의 효율은 그리 좋지 않다.

2.4. 수[편집]



2.4.1. 순상[편집]


무력 45지력 70정치 77매력 76
의리 83야망 4수명 4상성 8

특기혼란치료허보

황건적의 난에서는 장안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동탁군 소속으로, 군웅 할거에서는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며 관도전에서는 낙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는 장수. 공명의 활약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4.2. 순심[편집]


무력 25지력 78정치 78매력 64
의리 58야망 8수명 6상성 105

특기수습내분

황건적의 난에서는 허창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부터 관도전까지 원소군 소속으로 있다가 공명의 활약부터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신비와 마찬가지로 지력과 정치가 딱 2 모자라서 군사가 될 수 없다.

2.4.3. 순우경[편집]


무력 66지력 29정치 29매력 36
의리 60야망 9수명 4상성 95

특기돌격화공

황건적의 난에서는 하진군 소속으로 등장했다가, 반동탁 연합부터 군웅 할거까지 원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관도전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4.4. 순욱[편집]


무력 14지력 95정치 98매력 93
의리 90야망 2수명 3상성 27

특기혼란내분허보치료수습고무

황건적의 난에서는 허창에서, 반동탁 연합에서는 진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 이후로 동관 전투까지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삼국 정립에서는 이미 죽어 등장하지 않는다. 보물을 제외하면 전 시나리오 정치 1위인 98이라는 수치를 가진 최상급 참모.

2.4.5. 순운[편집]


무력 41지력 42정치 69매력 72
의리 78야망 7수명 7상성 27

특기내분혼란

212년 이전까지는 순욱의 관례로만 등장하고, 삼국 정립 이후부터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영웅의 시대에서는 천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다.

2.4.6. 순유[편집]


무력 26지력 94정치 88매력 84
의리 81야망 8수명 4상성 27

특기혼란치료수습내분일제침착

황건적의 난에서는 허창, 반동탁 연합에서는 진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 이후부터 동관 전투까지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삼국 정립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순욱과 마찬가지로 내정 면에서는 최상급 성능을 보여주는 장수.

2.5. 시[편집]



2.5.1. 신명[편집]


무력 59지력 48정치 42매력 65
의리 82야망 7수명 7상성 109

특기허보화공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 군웅 할거에서는 남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에서는 원소군 소속으로, 공명의 활약 이후에는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2.5.2. 신비[편집]


무력 24지력 79정치 79매력 72
의리 72야망 7수명 7상성 17

특기치료수습내분

황건적의 난에선 허창, 반동탁 연합에선 북해, 군웅 할거에선 평원, 관도전에선 북해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부터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지력과 정치가 딱 1 모자라서 군사가 될 수 없는 안타까운 장수. 그냥 후방에 짱박아 두고 내정을 시키는 것이 좋다.

2.5.3. 신의[편집]


무력 59지력 60정치 56매력 47
의리 61야망 7수명 5상성 32

특기돌격

황건적의 난부터 동관 전투까지 쭉 상용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삼국 정립에서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영웅의 시대에서는 진류에서 장수수색에서 찾을 수 있다.

2.5.4. 신탐[편집]


무력 62지력 54정치 41매력 47
의리 70야망 8수명 5상성 32

특기반격

황건적의 난부터 동관 전투까지 쭉 상용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삼국 정립에서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영웅의 시대에서는 진류에서 장수수색에서 찾을 수 있다.

2.5.5. 신평[편집]


무력 43지력 77정치 75매력 68
의리 70야망 7수명 6상성 115

특기일제화공

황건적의 난에서는 허창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한복군 소속으로, 군웅 할거에서는 실종, 관도전에서는 업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는 장수. 공명의 활약 이후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2.5.6. 심배[편집]


무력 60지력 83정치 73매력 70
의리 90야망 9수명 3상성 102

특기일제혼란수습화공

황건적의 난에서는 남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부터 관도전까지 원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공명의 활약 이후부터는 죽어서 등장하지 않는다.

2.5.7. 심영[편집]


무력 55지력 48정치 52매력 65
의리 34야망 5수명 7상성 121

특기고무

황건적의 난에서는 건업, 반동탁 연합 연합에서는 남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부터 관도전까지는 원소군 소속으로 있고, 공명의 활약 이후부터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5.8. 심영[편집]


무력 77지력 61정치 42매력 65
의리 50야망 8수명 7상성 135

특기무쌍

오로지 장수수색으로만 찾을 수 있는 장수. 264년 이후부터 등장한다. 황건적의 난에서는 건업, 반동탁 연합과 영웅의 시대에서는 장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45:17에 나무위키 삼국지 책략전/장수/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용 보물) 대부 - 무력 +3[2] (보물) 고정도 - 무력 +4[3] 단, 황건적의 난에서는 고정도가 없고, 대신 손자병법서를 가지고 시작한다.[4] (보물) 고정도 - 무력 +4[5] (보물) 고정도 - 무력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