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책략전/장수/ㅎ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삼국지 책략전/장수

1. 개요
2. 장수
2.1. 하
2.1.1. 하진
2.1.2. 하후난
2.1.3. 하후덕
2.1.4. 하후돈
2.1.5. 하후무
2.1.6. 하후상
2.1.7. 하후연
2.1.8. 하후위
2.1.9. 하후은
2.1.10. 하후존
2.1.11. 하후패
2.1.12. 하후현
2.1.13. 하후혜
2.1.14. 하후화
2.1.15. 학맹
2.1.16. 학소
2.1.17. 한거자
2.1.18. 한당
2.1.19. 한맹
2.1.20. 한복
2.1.21. 한복
2.1.22. 한섬
2.1.23. 한수
2.1.24. 한숭
2.1.25. 한윤
2.1.26. 한현
2.1.27. 한호
2.2. 햐
2.2.1. 향랑
2.2.2. 향총
2.3. 허
2.3.1. 허공
2.3.2. 허사
2.3.3. 허유
2.3.4. 허저
2.3.5. 허정
2.3.6. 허창
2.4. 혀
2.4.1. 형도형
2.5. 호
2.5.1. 호거아
2.5.2. 호적아
2.5.3. 호반
2.5.4. 호재
2.5.5. 호진
2.6. 후
2.6.1. 후선
2.6.2. 후성
2.7. 휴
2.7.1. 휴고
2.8. 화
2.8.1. 화웅
2.8.2. 화흠
2.8.3. 화흡
2.8.4. 환계
2.8.5. 황개
2.8.6. 황권
2.8.7. 황보숭
2.8.8. 황완
2.8.9. 황조
2.8.10. 황충


1. 개요[편집]


삼국지 책략전 장수들 중 ㅎ으로 시작하는 장수들을 모아놓은 틀이다.


2. 장수[편집]



2.1. 하[편집]



2.1.1. 하진[편집]


무력 40지력 6정치 41매력 68
의리 50야망 15수명 10상성 90

특기돌격내분화공

황건적의 난에 등장하는 하진군의 군주이다. 특기는 좋지만, 능력치가 매우 암울하다. 지력이야 원소 진언 무시하고 우유부단하게 대처하다 자기를 파멸시켰으니 한자리대인건 그렇다 쳐도, 무력은 대장군임에도 왜 저렇게 받았는지 의문이 들게 한다.

황건적의 난에서 군주인 하진은 별 볼일 없지만 휘하의 장수들이 꽤 쓸만하다. 조조, 원소, 유표, 도겸 등 군주란 군주는 대부분 다 모여 있으며, 노식, 장합 같은 쓸만한 장수들도 휘하에 있다. 군주 본인의 능력은 보잘 것 없지만, 장수들의 능력과 물량이 압도적이니 황건적의 공세에 버티며 양주를 털어서 후방을 정비하자. 업, 장안, 낙양, 진류에서 조운, 저수, 하후돈, 조인, 하후연 등의 우수한 장수들이 나오므로 반드시 수색을 돌려 등용하도록 하자.

다만 군주들과 대부분의 장수들이 빠져나간 영웅의 시대 시나리오는 암울한 편이다.

2.1.2. 하후난[편집]


무력 72지력 53정치 42매력 68
의리 73야망 8수명 7상성 23

특기반격화공

오로지 장수수색으로만 찾을 수 있는 장수. 황건적의 난부터 공명의 활약까지 쭉 진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동관 전투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1.3. 하후덕[편집]


무력 73지력 32정치 40매력 52
의리 77야망 9수명 0상성 24

특기무쌍

황건적의 난부터 관도전까지 진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부터 동관 전투까지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삼국 정립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1.4. 하후돈[편집]


무력 90지력 63정치력 70매력 81
의리 90야망 9수명 6상성 25

특기돌격반격화시화공무쌍

황건적의 난에서는 진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 이후부터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하후연과 더불어 조조군 초반 무력 담당이다. 무력은 하후연이 근소하게 높지만, 꽤 좋은 특기인 무쌍과 돌격이 있어 전장에선 하후돈이 좀 더 좋게 느껴진다. 거기다 정치력도 70이라 급할 때 내정셔틀도 시킬 수 있는게 메리트.

정사를 반영하면 무력을 깎고 정치를 올려야 하지만, 이 게임은 연의 기반으로 책정한 삼국지 시리즈 능력치를 그대로 복붙해왔으니 할 말이 없다. 특정 한 곳의 능력치로 지나치게 측정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연의와 정사의 이미지를 섞은 것 같은 능력치이다.


2.1.5. 하후무[편집]


무력 7지력 4정치 21매력 2
의리 35야망 8수명 7상성 25

특기혼란

군웅 할거 이전까지는 하후돈의 관례만 등장하며, 군웅 할거 이후부터 삼국 정립까지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백하팔인답게 끔찍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전투나 내정이나 효율이 낮은 정말로 쓸데가 없는 장수이기 때문에, 그리 여유가 없는 상황이면 참수해도 지장은 없다.

2.1.6. 하후상[편집]


무력 72지력 75정치 65매력 61
의리 82야망 10수명 0상성 24

특기돌격도발

관도전 이전까지 하후연의 관례로만 등장하며, 공명의 활약부터 삼국 정립까지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아슬아슬하게 장군과 군사 모두 안 되는 불쌍한 장수.

삼국 정립 이전의 시나리오에서는 하후현을 관례시킨다.

2.1.7. 하후연[편집]


무력 91지력 68정치 61매력 80
의리 92야망 8수명 5상성 25

특기추격화시난사일제화공

황건적의 난에서는 진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이후 반동탁 연합부터 동관 전투까지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삼국 정립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하후돈과 더불어 조조군 초반 무력을 투탑을 책임지는 장수로, 하후돈이 워낙 좋은 특기인 무쌍과 돌격이 있어서 그렇지 이쪽도 시나리오에 몇 안 되는 안행 특화 장수라 괜찮은 편이다. 하후돈 문단에 서술했듯이 급할 때 내정까지 돌릴 수 있는 하후돈에 비해 활용도가 좀 떨어지는 편이다. 다만 비교대상이 하후돈이라 그렇지 능력치는 굉장히 좋은 편이다.

하후연의 또 다른 메리트는 바로 자식농사. 하후패, 하후위, 하후혜, 하후화, 하후상으로 무려 다섯이나 임관시킨다. 이 중 하후패가 가장 아버지에 근접하고, 나머지는 하후위를 제외하고 다 균형잡힌 능력치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최후반이지만, 하후상은 하후현을 임관시키기에 꼭 필요하다.

2.1.8. 하후위[편집]


무력 73지력 49정치 57매력 67
의리 90야망 8수명 7상성 25

특기추격일제내분고무

황건적의 난부터 공명의 활약까지 하후연의 관례로 등장하고, 이후 동관 전투부터 삼국 정립까지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11년에 하후연이 성인식을 치러준다.

2.1.9. 하후은[편집]


무력 72지력 53정치 45매력 71
의리 89야망 7수명 7상성 26

특기화시수습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는 진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부터 관도전까지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공명의 활약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1.10. 하후존[편집]


무력 64지력 51정치 47매력 42
의리 78야망 8수명 0상성 25

특기내분

오로지 장수수색으로만 찾을 수 있는 장수. 황건적의 난부터 동관 전투까지 진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으며, 삼국 정립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1.11. 하후패[편집]


무력 84지력 77정치 55매력 71
의리 89야망 11수명 7상성 25

특기돌격무쌍화공

군웅 할거까지는 하후연의 관례로만 등장하고, 관도전부터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1.12. 하후현[편집]


무력 39지력 76정치 92매력 66
의리 97야망 3수명 0상성 25

특기치료혼란수습고무

삼국 정립 이전까지는 하후상의 관례로만 등장하고, 삼국 정립에서는 진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는 장수. 후반부 장수치고는 매우 높은 정치와 좋은 특기, 의리가 돋보인다.

2.1.13. 하후혜[편집]


무력 44지력 76정치 73매력 66
의리 90야망 7수명 7상성 25

특기돌격반격일제혼란고무

관도전 이전까지는 하후연의 관례로만 등장하고, 공명의 활약 이후부터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개편 이전 무력 80 지력 81로 만능형 장수였으나, 시나리오 개편 이후 무력이 큰 폭으로, 지력과 정치도 소폭 너프되어 이도 저도 아닌 문관형 장수가 되었다.

2.1.14. 하후화[편집]


무력 51지력 71정치 76매력 64
의리 87야망 8수명 7상성 25

특기허보

황건적의 난부터 동관 전투까지 쭉 하후연의 관례로 등장하고, 삼국 정립부터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1.15. 학맹[편집]


무력 67지력 42정치 34매력 48
의리 60야망 7수명 1상성 5

특기일제

황건적의 난에서는 진양, 반동탁 연합에서는 복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와 영웅의 시대에서는 여포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관도전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1.16. 학소[편집]


무력 79지력 78정치 62매력 72
의리 93야망 10수명 7상성 23

특기돌격일제혼란고무무쌍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 영웅의 시대에서는 진양, 군웅 할거에서는 평원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 이후부터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돌격과 일제, 무쌍 등 무장으로써는 훌륭한 특기들만 있으며, 혼란과 고무도 전투에서 효율이 좋다. 공명의 활약이나 동관 전투 등의 시나리오에서의 기본 충성도가 67로 굉장히 낮은 편이지만, 의리가 93이라 쉽게 계략에 넘어가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소소한 단점이라면 살짝 낮은 무력으로, 원래 무력은 85로 꽤 높은 편이였으나 시나리오 개편 때 너프를 받아 저 수치가 되었다.

2.1.17. 한거자[편집]


무력 59지력 51정치 46매력 52
의리 43야망 8수명 6상성 98

특기수습

황건적의 난부터 군웅 할거까지 남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에서는 원소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공명의 활약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1.18. 한당[편집]


무력 85지력 61정치 51매력 68
의리 83야망 7수명 5상성 130

특기수신돌격

모든 시나리오에서 등장하는 장수로, 황건적의 난부터 삼국 정립까지 쭉 손가 소속으로 등장한다. 수명이 오군에서 특출나게 긴 편이기 때문에 후반까지 잘 쓰게 된다. 다만 221년에 사망하기에 셋 중에선 제일 일찍 퇴장한다. 무력도 높고, 특기에 돌격이 있어 전투에 큰 효율을 보여주는 장수이다.

2.1.19. 한맹[편집]


무력 65지력 43정치 41매력 48
의리 52야망 8수명 7상성 90

특기내분

황건적의 난부터 군웅 할거까지 남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에서는 원소군 소속으로, 공명의 활약부터 삼국 정립까지는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2.1.20. 한복[편집]


무력 3지력 27정치 62매력 60
의리 57야망 8수명 6상성 20

특기치료수습고무

황건적의 난에서는 하진군 소속으로 등장하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업의 군주로 등장하는 장수. 군웅 할거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1.21. 한복[편집]


무력 67지력 56정치 40매력 60
의리 36야망 6수명 0상성 139

특기화공

위의 장수와는 동명이인으로, 오관참장의 일원인 한복이다.

오로지 장수수색으로만 찾을 수 있는 장수. 황건적의 난부터 반동탁 연합, 영웅의 시대에서는 진류에서, 군웅 할거에서는 허창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다. 관도전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흔한 잡장으로, 진류나 허창은 점거 세력이 조조이기 때문에 완전히 역상성인 한복은 등용도 어려울 뿐더러, 한복을 찾았을 때쯤엔 이미 더 좋은 장수진을 갖췄을 확률이 높다.

2.1.22. 한섬[편집]


무력 66지력 36정치 18매력 51
의리 27야망 7수명 1상성 10

특기내분

황건적의 난과 영웅의 시대에서는 장각군 소속으로, 반동탁 연합에서는 동탁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정치가 18이므로 어지간해선 버리자

2.1.23. 한수[편집]


무력 75지력 82정치 61매력 80
의리 72야망 3수명 6상성 70

특기추격일제내분

황건적의 난에서는 천수, 반동탁 연합에서는 진양, 군웅 할거에서는 천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에서는 마등군 소속으로, 공명의 활약에서는 조조군 소속으로, 동관 전투에서는 마등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삼국 정립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무력도 높고, 지력도 괜찮아 초반 군사로 쓰든 전투에서 쓰든 좋은 효율을 보여준다.

2.1.24. 한숭[편집]


무력 15지력 71정치 77매력 61
의리 51야망 7수명 7상성 40

특기치료수습혼란

황건적의 난에서는 양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부터 관도전까지 유표군 소속으로 등장했다가 공명의 활약에서는 무릉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동관 전투에서는 미등장, 이후 삼국 정립에서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본래 정치가 80 이상이라 참모로 임명할 수 있는 장수였으나, 시나리오 개편 이후 소폭 너프되어 참모로 임명할 수 없는 능력치가 된 장수이다.

2.1.25. 한윤[편집]


무력 29지력 65정치 54매력 44
의리 58야망 7수명 4상성 138

특기침착

황건적의 난에서는 완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이후 반동탁 연합부터 군웅 할거까지 쭉 원술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관도전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특기가 침착 단 하나로, 사실상 특기가 없는 셈이다. 침착맨 무력도 낮으니 그냥 내정용으로나 굴리는 것이 좋다.

2.1.26. 한현[편집]


무력 33지력 7정치 4매력 1
의리 31야망 3수명 5상성 14

특기화공

황건적의 난에서는 낙양, 반동탁 연합과 군웅 할거에서는 수춘, 관도전에서는 장사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에서는 장사의 군주로 등장하는 장수. 한자리대 능력치가 3개나 되며, 그중 매력은 이 게임 최하위 수치인 1이다. 상성이 딱 맞는 장수조차도 등용할 수 없는 수준. 장수로서의 능력치는 최악이지만, 군주로 등장할 땐 휘하에 위연과 황충이 있어 형남 4군중 제일 세력 질이 좋기 때문에, 적당히 어렵게 플레이하려는 유저들이 선택하기도 한다.

2.1.27. 한호[편집]


무력 72지력 68정치 87매력 62
의리 65야망 8수명 6상성 20

특기돌격

황건적의 난에서는 낙양, 반동탁 연합과 군웅 할거에서는 수춘, 관도전에서는 장사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에서는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동관 전투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시나리오 개편의 수혜자로, 정치가 매우 높게 증가하여 돌격 하나만 있는 무관에서 초반 군사로도 기용할 수 있는 장수가 되었다.

2.2. 햐[편집]



2.2.1. 향랑[편집]


무력 18지력 74정치 74매력 69
의리 75야망 6수명 7상성 79

특기치료수습

황건적의 난에서는 양양, 반동탁 연합에서는 평원, 군웅 할거에서는 하비, 관도전에서는 신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부터 삼국 정립까지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본래 성은 이나 번역명을 삼국지 3을 따라가는 바람에 향씨가 되었다.

2.2.2. 향총[편집]


무력 61지력 77정치 67매력 71
의리 50야망 10수명 7상성 79

특기혼란허보고무

황건적의 난에서는 양양, 반동탁 연합과 영웅의 시대에서는 평원, 군웅 할거에서는 하비, 관도전에서는 신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부터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본래 참모로 임명할 수 있는 능력치였으나, 시나리오 개편 이후 평범한 문관 수준으로 너프되었다. 정사나 연의나 무관쪽에 가까운데 왜 스탯이 문관형인지는 의문. 향랑과 마찬가지로 상씨이나, 향으로 오기되었다.

2.3. 허[편집]



2.3.1. 허공[편집]


무력 66지력 64정치 64매력 56
의리 31야망 7수명 7상성 18

특기혼란

오로지 장수수색으로만 찾을 수 있는 장수. 황건적의 난부터 군웅 할거까지 오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손책과 사이가 나빴다는 것을 반영하여 상성은 손책과 역상성인 18이다. 정치가 낮은 편은 아니라 그럭저럭 내정요원으로 굴리기엔 나쁘지 않다.

2.3.2. 허사[편집]


무력 23지력 78정치 45매력 35
의리 33야망 3수명 7상성 5

특기허보치료

오로지 장수수색으로만 찾을 수 있는 장수. 황건적의 난부터 군웅 할거까지 쭉 197년 복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다. 딱 2 모자라는 지력 때문에 군사로 못 굴리고, 무력이나 정치도 낮은 편이다. 내정을 굴리기에도 정치가 심하게 낮아 잡장 취급받는다.

2.3.3. 허유[편집]


무력 21지력 80정치 56매력 23
의리 47야망 9수명 4상성 10

특기치료고무

황건적의 난에서는 완, 반동탁 연합에서는 남피, 군웅 할거에서는 원소군 소속으로 등장하고, 관도전에서는 평원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는 장수. 공명의 활약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허사의 상위호환격 장수로, 적어도 턱걸이로 지력이 80은 되기 때문에 군사로 삼을 순 있다.

2.3.4. 허저[편집]


무력 96지력 36정치력 20매력 59
의리 90야망 10수명 6상성 25

특기돌격도발무쌍난사추격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는 진류, 군웅 할거에서는 허창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관도전부터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조조군 한정으로 195년에 조조와 전위가 같이 있으면 '악래와 호치' 이벤트로 자동 등용된다. 전위와 포지션이 같지만, 전위의 짧은 수명으로 인해 이쪽이 더 많이 쓰이게 된다. 쌍철극을 가진 전위가 무력이 98이지만 상술한 수명 문제로 사실상 조조군 무력 원탑. 특기도 버릴 것이 없는 좋은 것들만 있다.

2.3.5. 허정[편집]


무력 5지력 68정치 79매력 68
의리 48야망 3수명 6상성 70

특기수습혼란치료

황건적의 난에서는 초에서, 반동탁 연합부터 공명의 활약까지는 성도에서 쭉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동관 전투에서는 유장군 소속으로, 삼국 정립에서는 유비군 소속으로, 영웅의 시대에서는 공주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무력이 한자리대이기 때문에 전투에서의 효율은 그리 높지 않다. 철저하게 내정용. 단, 초반 인재가 부족한 공주의 경우 어쩔 수 없이 기용해야 한다.

2.3.6. 허창[편집]


무력 74지력 60정치 48매력 62
의리 50야망 10수명 0상성 80

특기돌격일제

오로지 장수수색으로만 찾을 수 있는 장수.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 영웅의 시대에서 등장하며, 모두 회계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다. 무력도 높은 편이고, 특기도 돌격에 일제라서 초반에 등용 시 좋은 장수이다. 다만, 상성이 80(유비~원소대)이기 때문에 왕랑이나 엄백호로는 좀 등용에 애를 먹는다.

2.4. 혀[편집]



2.4.1. 형도형[편집]


무력 80지력 41정치 16매력 12
의리 42야망 9수명 7상성 136

특기돌격무쌍

황건적의 난부터 관도전까지 영릉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에서는 유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동관 전투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특기가 돌격에 무쌍으로, 무관으로서는 정말로 좋은 특기들 뿐인데다 화공이나 내분 이런 것도 없어서 중간에 헛짓을 하지도 않는다. 초중반 유도군의 희망.

2.5. 호[편집]



2.5.1. 호거아[편집]


무력 82지력 41정치 2매력 30
의리 69야망 7수명 7상성 146

특기돌격화공

황건적의 난에서는 천수, 반동탁 연합부터 관도전까지는 완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과 동관 전투에서는 미등장, 이후 삼국 정립에서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이다. 원술 상성 장수이기 때문에 완 주변 세력 (조조, 장로, 유표) 등은 등용에 애를 먹는 장수. 하지만 무력이 높고, 특기에 돌격이 있어 초반에 무관이 부족한 세력이라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2.5.2. 호적아[편집]


무력 65지력 46정치 37매력 22
의리 25야망 11수명 0상성 4

특기화시

황건적의 난에서는 천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동탁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군웅 할거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5.3. 호반[편집]


무력 55지력 59정치 50매력 62
의리 81야망 6수명 7상성 19

특기일제

황건적의 난부터 관도전까지 낙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부터 삼국 정립까지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5.4. 호재[편집]


무력 69지력 62정치 49매력 41
의리 72야망 8수명 7상성 86

특기화공

황건적의 난에서는 신야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동탁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백파적 동료들인 한섬, 이락, 양봉과는 달리 유비쪽 상성인데, 백파적 호재와 촉한의 인물 호제를 헷갈려 상성은 촉 계열로 반영해둔 것으로 보인다.

2.5.5. 호진[편집]


무력 74지력 12정치 15매력 21
의리 60야망 3수명 0상성 3

특기내분

황건적의 난에서는 천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동탁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군웅 할거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무력은 높다만 다른 능력치들이 끔찍하게 낮은 잡장. 특기도 좋지도 않다.

2.6. 후[편집]



2.6.1. 후선[편집]


무력 66지력 34정치 55매력 52
의리 53야망 6수명 6상성 8

특기돌격화공

황건적의 난에서는 서량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부터 동관 전투까지 쭉 마등군 소속으로 등장하며, 삼국 정립에서는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6.2. 후성[편집]


무력 75지력 68정치 56매력 60
의리 36야망 6수명 7상성 18

특기일제

황건적의 난에서는 진양, 반동탁 연합에서는 복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에서는 여포군 소속으로, 이후 관도전부터 삼국 정립까지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7. 휴[편집]



2.7.1. 휴고[편집]


무력 71지력 38정치 7매력 33
의리 0야망 11수명 9상성 8

특기반격

황건적의 난에서는 장각군 소속으로 등장하고, 이후 영웅의 시대에서 정원군 소속으로 다시 등장하는 장수. 의리가 0인 유일한 장수로, 배신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여포도 의리가 2는 된다. 상성이 잘 맞더라도 기본 야망이 매우 높아서 배신을 할 확률이 매우 높으므로, 등용을 하지 않거나 적당히 사용하다가 참수하는 것을 추천한다.

2.8. 화[편집]



2.8.1. 화웅[편집]


무력 92지력 61정치 40매력 51
의리 76야망 9수명 0상성 1

특기돌격도발화공고무

황건적의 난에서는 천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동탁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동탁군에선 여포 다음가는 무력 투톱이다.

2.8.2. 화흠[편집]


무력 33지력 82정치 83매력 17
의리 33야망 9수명 7상성 9

특기치료혼란

황건적의 난에서는 평원, 반동탁 연합에서는 장사, 군웅 할거에서는 낙양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이후 관도전부터 쭉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8.3. 화흡[편집]


무력 35지력 58정치 71매력 46
의리 43야망 5수명 7상성 28

특기수습허보

황건적의 난에서는 신야, 이후 반동탁 연합부터 동관 전투까지 쭉 허창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삼국 정립에서는 조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8.4. 환계[편집]


무력 26지력 68정치 78매력 69
의리 65야망 7수명 6상성 135

특기허보

황건적의 난에서는 장사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손가 소속으로, 관도전 이후부터는 조조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정치가 높아 내정 요원으로 쓰기 좋으며, 조조군에 몇 안되는 오나라 쪽 상성이라 등용에도 좋다.

2.8.5. 황개[편집]


무력 83[1]지력 70정치 65매력 81
의리 89야망 5수명 7상성 126

특기돌격수신화공화시

모든 시나리오에서 등장하는 장수로, 황건적의 난부터 삼국 정립까지 쭉 손가 소속으로 등장한다. 능력치도 균형잡혀 있어 좋으며, 수명이 오군에서 특출나게 긴 편이기 때문에 후반까지 잘 쓰게 된다. 정치력이 한당보단 높지만 애매한 60대기 때문에 정 내정 요원이 없으면 굴리는 정도이다. 무력을 3 올려주는 철편을 소지하고 있어 실질 무력은 86이다.


2.8.6. 황권[편집]


무력 59지력 82정치 79매력 78
의리 70야망 7수명 6상성 57

특기혼란내분치료수습

황건적의 난과 반동탁 연합에서는 성도, 삼국 정립에서는 하변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군웅 할거부터 동관 전투까지 쭉 유장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방원과 구행 진형에 특화된 장수로, 기본 무력도 50대라 다른 문관들보단 딜이 나온다는 장점이 있다.

2.8.7. 황보숭[편집]


무력 61지력 73정치 51매력 72
의리 69야망 5수명 7상성 33

특기혼란일제내분

황건적의 난과 영웅의 시대에서는 하진군 소속으로 등장하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동탁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8.8. 황완[편집]


무력 59지력 54정치 50매력 43
의리 63야망 6수명 1상성 8

특기수습

황건적의 난에서는 진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에서는 동탁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군웅 할거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2.8.9. 황조[편집]


무력 66지력 55정치 38매력 32
의리 40야망 7수명 4상성 40

특기추격수신

황건적의 난에서는 강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반동탁 연합부터 관도전, 영웅의 시대까지 쭉 유표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2.8.10. 황충[편집]


무력 93지력 65정치 52매력 75
의리 92야망 9수명 7상성 71

특기돌격화시난사반격일제

황건적의 난에서는 완, 반동탁 연합과 관도전에서는 장사, 군웅 할거에서는 수춘에서 장수수색으로 찾을 수 있고, 공명의 활약에서는 한현군 소속으로 등장했다가, 동관 전투 이후부터 쭉 유비군 소속으로 등장하는 장수. 하후연과 더불어 시나리오 내 단 둘뿐인 안행 특화 장수로, 화시와 난사를 동시에 가지고 있어 안행 진형 선택 시 매우 좋은 효율을 뽐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4:40:59에 나무위키 삼국지 책략전/장수/ㅎ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용 보물) 철편 - 무력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