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261

최근 편집일시 :


파일:서울261뉴비.png
파일:서울_261번.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6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261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상진운수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환승센터)
종점

첫차
03:50
기점

첫차
05:15
막차
22:30
막차
00:00
평일배차
7~11분
주말배차
9~12분
운수사명
상진운수
인가대수
35대(예비 1대)[1]
노선
상진운수종점 - 석계역 - 광운대역 - 광운대학교 - 장위동래미안아파트 - 돌곶이역 - 한국예술종합학교 - 외대앞 - 회기시장 - 청량리역 환승센터 - 제기동역.서울약령시 - 신설동역 - 동대문역 - (→ 종로중부새마을금고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을지로6가.국립중앙의료원 - 을지로3가 - 남대문시장 - (→ 염천교 →/← 숭례문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승강장) ←) - 서울역서부 - 만리동고개 - 공덕역 - 마포역 - 마포대교 - (→ 여의도순복음교회 → 여의도공원 →) - 여의나루역 - 63빌딩.여의도성모병원 - 여의동주민센터 → KBS별관 → 샛강역.여의도자이 → 여의도역여의도환승센터 → 유진투자증권 → 여의동주민센터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상진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2.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48번 도시형버스(장위동 - 영등포)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에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장위3동사무소(당시 명칭) 대신 성북역(당시 명칭), 광운대학교 경유로 바뀌었고 여의도 구간도 일부 변경되었다. 번호 또한 261번으로 바뀌었다.

  • 여의도버스환승센터가 완공되면서 2005년 7월 10일에 '서울교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역 → 여의2교 → 국회의사당' 구간이 단축되었고, 공작아파트 대신 여의도성모병원으로, 증권거래소 대신 여의도환승센터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흥인지문 녹지조성공사로 인해 흥인지문에서 동대문운동장 방향으로 좌회전이 금지되어 2008년 8월 7일에 양사길(현 종로41길)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월계508교(현 벼루말교) 재설치 및 하천시설물 보축공사로 인해 2009년 11월 23일부터 2010년 4월 15일까지 장월교로 우회했다. 서울특별시 공지사항 원래는 2010년 1월 31일까지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중간에 공사계획이 변경되면서 연기되었다.


  • 마포대교에서 좌회전이 불가능해 기존에는 우회전한 다음 유턴을 했는데, 도로폭이 좁아 2차선에서 좌회전하다보니 1차로에서 유턴하던 차량과 접촉사고가 나는 일이 잦았고 주말에는 반대편에 관광버스 등 불법주정차 차량이 많아 이 조차도 힘들어 2017년 10월에 여의도순복음교회(은행로와 국회대로76길)를 끼고 도는 걸로 변경하는 것에 대한 의견조회를 받았다. 관련 공문

  • 안건이 반영되어 2017년 12월 22일에 변경되었다. 관련 보고서 이 과정에서 순복음교회 정류장(19-303)을 새로 경유하게 되었는데, 서울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은 동종업체 간 불필요한 경합을 피하기 위해 세부 경로를 다르게 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서울시는 단독 구간의 수요를 뺏기지 않기 위한 주장에 불과하다며 반려했다. 한편 262번도 같은 의견조회를 받았으나 261번보다는 늦게 반영되었다.

  • 2018년 3월 26일에 8221번이 신설되면서 상용차 1대가 넘어갔고, 예비차 1대가 상용차량으로 전환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21년 6월 14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6회/5회/7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각각 5~9분/7~12분인 평일/토요일의 배차간격이 6~10분/8~12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2년 11월 7일을 기해 본래 각각 210분/200분이던 토요일/공휴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과 동일한 220분으로 늘어났다. 그리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6회/5회/5회씩 감회되어 132회/108회/105회로 조정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평일 6~10분/토요일 및 공휴일 8~12분이었던 배차간격도 평일 7~11분/토요일 및 공휴일 9~12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기점이 1권역임에도 불구하고 2권역 번호를 부여받은 이유는 2004년 개편 때에 차고지를 2권역인 동대문구로 이전할 계획이 있어서 미리 노선번호를 261번으로 부여했다.[3] 이후 차고지 이전 계획이 백지화되었지만, 번호는 계속 유지 중. 석관동차고지가 이문2동과 인접해서 그런 것인지, 다시 변경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들어서 바꾸지 않은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청량리에서 비슷한 번호를 가진 노선이 여럿 있는 것[4]을 보면 오히려 잘된 것 같다. 거기에 1권역 번호를 가진 노선들의 수가 너무 많기도 하니.[5]

  • 출발지 운행 동선이 꽤 복잡하고 많이 도는 편이니, 석계역에서 돌곶이역을 간다거나 하려면 173번이나 1222번을 타면 된다. 왜냐하면 출발지인 석관동 상진운수 차고지에서 쭉 직진해서 북쪽 방향에 있는 광운대역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장위동 방향으로 내려가는 월계동을 빙글 도는 선형이기 때문이다.[6] 회차지인 여의도 구간의 경우는 더 복잡한데, 마포대교를 건너온 후에 여의나루역, 여의도중학교, 63빌딩, KBS별관, 샛강역, 여의도역 등을 경유하여 여의도환승센터까지 오기 때문. 게다가 여의도환승센터에서 파크원타워를 거쳐 곧바로 여의도를 빠져나가는 160번, 260번과 달리 국제금융로를 타고 다시 63빌딩 방향으로 갔다가 여의나루역까지 경유한 뒤에야 비로소 여의도를 빠져나간다.

  • 가끔 석관동 석계역 5번출구(석관동 방향) 정류장에서 세 대씩 연달아 오는 경우가 있다.

  • 미등록 정류장이 하나 존재한다. 석계역 1번출구(석관동 방향) 정류장으로, 카카오버스 앱이나 포털사이트 지도 등에도 나오지 않는 정류장이다. 정류장 승하차는 가능하지만, 버스 안내방송은 나오지 않는다.[7] 위치는 여의도 방향 석계역 1번출구 정류장의 바로 건너편이다. 정류장 노선도 사진

  • BIS상 기점 정류소는 석관고등학교후문이지만, 주민 편의를 위해 1122번처럼 석관동 상진운수차고지에서도 승차가 가능하며 교통카드 내역엔 상진운수종점(기점가상)으로 나온다.

  • 파일:20170702_214629.gif
주말에는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이 배달을 시킨 사람들과 배달부들이 뒤엉켜 버스들이 정차하기 어려워 부득이하게 도로 한가운데에 정차하는데, 이렇게 되면서 주변 교통이 더 혼잡해지는 경우가 잦았다. 때문에 주말에는 한전 건너편에서 승객을 받는다. 관련 기사 관련 사진


  • 가스 충전은 한성운수 번동 차고지에서 한다.

  • 청량리역 환승센터,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여의도환승센터를 모두 경유하는 유일한 버스다. 262번의 경우는 청량리역 환승센터 목전에서 전농동 방향으로 빠지기 때문에 환승센터를 직접 경유하지는 않는다.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경유하지만, 석관동 방면만 정차한다. 여의도 방면은 숭례문에서 염천교로 바로 직진으로 정차하지 않는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6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3,379명
-
2014년
23,788명
△ 409
2015년
23,019명
▽ 769
2016년
22,727명
▽ 292
2017년
22,560명
▽ 167
2018년
22,388명
▽ 172
2019년
22,164명
▽ 224
2020년
16,533명
▽ 5,631
2021년
16,580명
△ 47
2022년
18,522명
△ 1,942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석계역, 광운대역, 청량리역, 제기동역, 신설동역, 동묘앞역, 동대문역, 서울역[B]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을지로4가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입구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을지로3가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서울역[B]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을지로4가역, 공덕역, 마포역, 여의나루역, 여의도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석계역, 돌곶이역, 동묘앞역, 공덕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샛강역, 여의도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역, 서울역[B], 공덕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광운대역[8], 청량리역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B], 공덕역
  •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역
  •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 ITX-새마을, ITX-청춘, 무궁화호),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B]


6.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30:35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26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27대 / 공휴일 25대 운행[2] 중랑차고지 뿐만 아니라 중랑구를 아예 가지 않는다.[3] 그래서 260번대 노선들 중 유일하게 중랑공영차고지로 가지 않는다.[2][4] 165번, 166번, 166-1번, 169번.[5] 161번이 710번으로 단축된 후 161번으로 번호를 바꾸는 것이 가능해졌지만, 모종의 사유로 바뀌지 않고 있다.[6] 출발지 인근의 석계역에서 도보로 가면 금방 장위네거리에 도착하지만, 그 길을 20분 정도 돌아서 간다. 하지만 이런 선형 덕분에 석계역~광운대역~광운대학교 루트를 이용하는 광운대생의 수요가 엄청나다. 선곡초, 광운중.고 통학수요는 덤.[7] 전 정류장인 '물류센터' 정류장 안내방송이 나올 때 '다음 정류소는, 지하철 1,6호선 석계역 1번출구입니다.' 라고 안내방송이 나온다. 그러나 '이번 정류장' 안내방송은 없다.[B] A B C D E 석관동 방면 한정. 여의도 방면은 서울역서부 하차 후 도보[8] 평일 8:47 2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