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212

최근 편집일시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7011
7013
7016
7017
7018
7019
7021
7022
7024
7025
7211
7212
7611
7612
7613
7711
7713
7715
7719
7720
7722
7723[a]
7726
7727
7728
7730
7734
7737
7738
7739
8701
8762
8771
8772
8773
8774
8777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0권역
]]ㆍ[[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1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



파일:Seoul7212-a.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21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212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은평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극동그린아파트)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26
막차
21:50
막차
23:30
평일배차
8~13분
주말배차
토요일 10~13분 / 공휴일 11~15분
운수사명
선진운수
인가대수
27대(예비 1대)[1]
노선
은평공영차고지 - 수색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증산교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수색초등학교 - 은평터널 - 신사동사거리 - 응암역.신사오거리 - 본서부병원 - 역촌역.역촌오거리 - 불광역.불광1동주민센터 - 구기터널 - 이북5도청 - 구기동 - 상명대입구 - 윤동주문학관 - 경복고교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 - 종로3가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장충동.동국대입구 - 약수역 - 청구역 - 신금호역 - 금호사거리 - 금옥초등학교앞 - 극동그린아파트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바람.


2. 개요[편집]


선진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59.1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통합 전 구 0212번과 7740번의 연혁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 문서에서 해당 항목을 참조바람.


  • 이북5도청 옆길을 이용해 회차할 때, 나이든 승객들이 다치는 일이 있었고 차량도 아랫부분이 긁히는 일이 종종 있어 2014년 5월 19일에 풍남학사 뒷길로 들어갔다가 이북5도청으로 나와서 회차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문

  • 그러나, 비봉4길 인근 주민들이 교통사고 위험 증가와 매연, 소음 문제로 불편을 호소했고 무엇보다 풍남학사 뒷길이 주차장 건설을 위해 도로에서 지정해제된 곳이라[2] 2014년 6월 19일부터 골목길로 들어가지 않고 이북5도청 옆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문

  • 이북5도위원회에서 이북5도청보다 윗쪽에 있는 청운양로원에서 회차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하천을 복개하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다고 밝혔다.[3]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은평공영차고지에서 옥수동까지를 잇는 장거리 지선버스 노선이다.서울 시티투어버스 지선버전 1 7211번과 함께 7권역과 2권역을 잇는 지선버스지만, 성격은 좀 다르다. 위의 경로를 보면 알겠지만, 굽이굽이 돌아가고 갔던 곳을 두 번이나 들어가는 등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이북5도청) 노선 선형에 상당히 특이한 점이 많고 운행 거리도 기나길다. 그러다보니 막차는 맞춤버스를 제외한 서울 시내버스 중 두번째로 이른 시각인 오후 9시 50분에 출발한다.[4] 이렇게 출발해도 이 막차는 새벽 0시 55분~01시 사이에나 은평공영차고지에 돌아오게 된다.

  • 양방향 차량이 모두 공유하는 정류장이 있으므로 반드시 행선지 방향판을 확인하거나, 기사에게 물어 확인하고 탑승하자.
극동그린아파트 방향
은평공영차고지 방향
옥수동
극동 APT

수 색
은평차고지


  • 수색동 (DMC역 - 수색역) 구간 : 종점 방향은 수색 은평차고지 방면, 응암/은평터널 방향은 옥수동 극동 APT 방면 승차.
  • 구기동 (현대빌라 - 이북5도청) 구간 : 은평 방향(응암.불광.수색수색 은평차고지 방면, 서울도심 방향(경복궁.종로.동대문옥수동 극동 APT방면 승차.

  • 통합 이후 이북5도청 구간은 단축될 예정이었는데, 구기동 주민들과 인근에 있는 전주시 학사기숙사 수요가 있어 유지되었다. 옥수동까지 굽이굽이 가는 길도 기존 수요를 보존하기 위해 살아남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7211번은평구성북구, 동대문구 사이를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으로 이름이 높은 데 반하여 7212번의 선형이 괴상하게 된 것. 이러다보니 시종점만 보고 이 버스를 탔다가는 100% 후회한다.

  • 노선이 길어 북한산, 종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 등의 많은 유명 장소를 경유하는 단돈 1,300원 짜리 서울시티버스 5호일 뿐 아니라, 학교, 지하철역 등과 같은 곳도 많이 경유하기 때문에 구간수요가 많은 편이다.

  • 종로 전구간을 완주하는 유일한 지선버스이다.[5][6]

  • 드리프트와 커브길을 많이 지나간다.

  • 장거리 노선이다 보니 구기동현대빌라 정류소 인근 공공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해 잠깐 정차할 때가 있다.

  • 2016년을 기준으로 행선지 방향판 오류가 거의 0%에 달한다고 한다. 이전에는 기사들이 기점 또는 회차지에서 깜빡하고 행선지 방향판을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운행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보니 양방향 차량이 모두 공유하는 정류장에서 혼동이 자주 발생해 서울시에 항의 민원이 자주 들어왔었다고 한다.

  • 이 버스가 진가를 발휘하는 시각은 바로 자정을 지나 막차가 다니는 0시 20분과 40분. 불광역에서 수색, 증산동 연계가 가능한 유일한 노선이다. 571번마저 끊겨 버린 후 30분 뒤에 응암역에 도착하는 은평구 남부 지역(역촌동-수색의 연서로 라인)의 유일한 심야버스이다. 당초 계획안에서는 은평공영차고지발 명지대 경유 심야버스가 존재했는데, KT의 빅 데이터 덕분에 무산되었다. 얌전히 9714번 타고 수색에서 내려서 걸어오거나(..) 택시타고 오자. 시간이 약간 이르다면 753번 타고 들어갈 수 있는 행운을 노릴 수도 있다.

  • 운행 도중에 군사지역이 나오는 데 그곳이 청와대로 연결된다. 한 마디로 요약하면 청와대로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노선 중 하나. 이 외에도 1020번, 7022번이 있다.

  • 이북오도청 회차 시 풍남학사와 이북오도청 사잇길을 통해 회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길이 경사가 있어 바닥을 긁거나 범퍼가 깨지는 일이 종종 있다. 그러다 보니 일부 기사들은 비봉5길을 통해 회차하기도 한다. 주요 도로를 통과하다보니 출퇴근 시간대에는 배차 간격이 매우 나쁘다. 공식적으로는 5~16분간격으로 운행한다고 나오지만, 실제로 출퇴근 시간대에 운 좋으면 10분 간격으로 운행을 하지만 종종 15분~20분 간격으로 운행을 하는 경우가 수두룩하다. 또한 도로 상황이 매우 나쁠 때에는 30분 간격으로 운행을 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렇게 배차간격이 종종 벌어지는 이유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종로~광화문~경복궁역~효자동 및 응암동 일대 차량 정체로 인한 서행운전, 자하문고개에서는 속도를 빨리 낼 수 없다보니 운행속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는 배차간격을 벌어지게 하는 원인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212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6,525명
-
2014년
16,437명
▽ 88
2015년
16,229명
▽ 208
2016년
15,911명
▽ 318
2017년
15,573명
▽ 338
2018년
15,479명
▽ 94
2019년
15,313명
▽ 166
2020년
11,855명
▽ 3,458
2021년
12,266명
△ 411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종각역, 종로3가역, 종로5가역, 동대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7]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불광역, 경복궁역, 종로3가역, 동대입구역, 약수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A]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8], 종로3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A], 청구역, 신금호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새절역[9], 응암역, 역촌역, 불광역, 약수역, 청구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색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33:41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721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23대 / 공휴일 20대 운행[2] 실제로 로드뷰 등으로 보면, 도로명칭이 없는 것을 볼 수 있다.[3] 비봉로 자체가 왕복2차선인데, 현재는 이북5도청 옆길(이면도로지만 길 자체는 넓은 편이다.)에 후진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형식으로 회차한다. 이곳으로 연장되면 근처에 들어갈 만한 곳이 없어 회차가 불가능하다. 들어갈 만한 곳이 아예 없는 건 아닌데, 주거건물 차고로 들어가는 사유지라 사실상 못 쓴다.[4] 6516번 기점 막차가 이 노선보다 10분 빠른 21:40이다.[5] 1020번, 2014번, 7018번, 7025번도 종로를 지나지만, 단지 회차만 할 뿐이다.[6] 2112번2233번은 종로를 지나긴 하나, 두 노선 모두 동대문 동쪽 구간(동대문 - 신설동) 구간만 운행한다.[7] 동대문역사문화공원 하차[A] A B 광희동 하차[8] 옥수동 방면 세종문화회관 하차, 은평차고지 방면 KT광화문지사 하차[9] 신사초등학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