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품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갑질/오해 등에 따른 완성도 문제
3. 현실적 한계
3.1. 옷 무게 문제
3.2. 제작자가 미처 신경 쓰지 못한 문제(옥에 티)
3.3. 수량 문제
3.3.1. 원인
4. 문제점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인테리어 작업 때 인테리어가 돋보이도록 장식에 사용하는 물품. 또는 영화, 드라마, 사진 촬영, 연극, 코스프레 등에서 인물, 배경, 상황 등을 연출할 때 사용하는 물품들을 말한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건부터 골동품, 군용품, 안전장비, 공구 등 종류는 매우 방대하다. 미디어를 촬영하는 때 필수 요소이며, 쉽게 간과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대부분은 실물을 사용하지만, 여러 상황으로 부득이하게 실물을 사용할 수 없으면 수작업을 통해서 실물을 따서 제작하기도 한다.

촬영 때 방송국 소품 보관실에 있는 것을 사용하거나 소품 대여업체에서 대여하거나 소품 제작업체에서 주문제작된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관련 내용은 《창작물의 반영 오류》문서에도 있다.


2. 갑질/오해 등에 따른 완성도 문제[편집]


소품을 사용할 때는 고증과 퀄리티를 중요하게 여기는 장면에 고증과 완성도를 고려해서 소품을 사용해야 하지만 고증과 완성도를 간과하고 촬영하는 바람에 몰입도를 떨어뜨려서 작품을 망치는 일이 더러 있다. 대개 이러는 경우는 '시청자나 관객은 잘 모르니까 신경 쓰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 제작 비용의 부족, 잠시 지나가는 장면인 등으로 대충 찍는 경우 등이다.

파일:external/imgsvr.e-today.co.kr/20100204094911_tjpippo_1.jpg
  • 추노: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 옷으로 이런 옷도 쓰였다. 다른 건 잘 반영했으면서 이건 왜 이랬는지 의문스럽다. 또, 사진으로만 찍혔겠지만 그 아랫 부분에 마이크가 찍혔다.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649036_STD.jpg
  • 반영(왼) VS 오류(오). 벽화(가운데)에서 나온 찰갑은 어디다 버렸는지 RPG 게임에서나 나올 법한 갑옷을 입었다.

파일:external/www.cdpkorea.com/cdpkorea-1364741202-1.jpg
파일:external/www.cdpkorea.com/cdpkorea-1364741202-2.jpg
  • 대왕의 꿈: 신라시대 서역식 드레스. 이 경우는 죽음을 앞둔 인물의 꿈 속 장면이고, 코디가 극구 말렸지만 배우 홍수아 측에서 똥고집을 부렸다는 뒷사정이 있기는 하다. 홍수아만 아니었으면 괜찮게 반영됐을 것이다.

파일:응답하라 1994 옥에 티.png

파일:chupji.jpg
  • 조선 말기, 가체가 폐지된 후에 왕실 여인들은 당의 차림인 때 머리에 첩지를 두르고 그 위에 반드시 족두리화관을 썼으나, 한국 사극에서는 왕실 여인들이 그냥 첩지만 매고 다닌다. 사실 첩지 자체가 속이 비어있는 화관이나 족두리를 고정하는 고정도구이기도 한데, 첩지 위에 모자 없이 다니는 것은 마치 왕이 상투관만 쓰고 익선관은 안 쓰고 다니는 것과 마찬가지 수준의 반영 오류.[1] 또 다른 문제는 실제로 요즘 사극에서는 왕이 정말로 익선관을 안 쓰고 상투관 바람으로 나다니는 일이 많아진 것이다!

  • 2000년의 KBS 2TV에서 방영하던 천둥소리는 조선 중기를 다룬 사극인데, 거기서도 반영 오류가 나왔다. 선조 때는 당상관은 물론, 당하관, 나아가 참상관과 참하관이 모두 이미 입은 관복에 흉배를 새겼고, 그것이 여러 조선 중기의 사극에서 묘사되었다. 불멸의 이순신징비록, 왕의 얼굴에서는 당상관만 말고 당하관, 참상관, 참하관도 관복에 흉배를 새긴 것이 고증대로 나타났다. 다만, 천둥소리에서는 당상관들만 흉배를 매달았고, 당하관, 참상관, 참하관은 흉배를 모두 매달지 않았다.

  • 조선왕조실록에도 본래 당상관만 새기던 흉배는 연산군 11년 들어서면서 당하관, 참상관, 참하관도 흉배를 새기게 되었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걸 보면 천둥소리는 심각한 반영 오류를 저질렀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천둥소리는 양반들은 흑립을 쓴 것은 고증대로 잘 반영했지만, 하인들이 죽립(중립)을 쓴 것 또한 반영 오류로 볼 수밖에 없다. 성종과 연산군 시기가 지난 이후로는 죽립이 모두 폐지되었으므로 이것도 반영 오류로 볼 수 있다.

  • 1996년 이전 KBS 사극에서는 세조 이전에도 흉배가 보급되어 있는 것처럼 나오는데, 그것 또한 반영 오류다. 그리고 공주의 남자에서도 대다수 반영 오류가 나왔다.

  • 임진왜란 시기를 배경으로 한 대한민국 사극에서 조선군보다 일본군의 고증 반영이 더 뛰어난 상황이 많다(…). 아래에도 적힌 한국 방송사의 현실적 한계 탓에 조선군은 벙거지+쾌자+당파의 삼종신기 소품밖에 없지만, 일본군 소품은 일본에서 양질의 중고품을 대량으로 싸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의외로 조선군 쪽이 갑옷이 아예 없고 무기도 엉터리인 점을 빼면 원래 역사에 가깝게 묘사되는 사례도 는다. 그런데 이게 역으로 작용해서 드라마만 보고 후줄근한 복장에 삼지창만 달랑 든 조선군이 깨끗하고 번쩍번쩍한 갑옷일본도, 조총 등으로 무장한 일본군과 싸우면 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고, 아시가루갑옷쓸데없이 엄청 뻥튀겨진 등으로 묘사가 되레 원래 역사와는 달라지기도 한다. 이처럼 현실적인 한계를 극복하여 완벽에 가깝게 반영하고자 하는 시도가 오히려 엉뚱한 방향으로 작용한 결과로 또 다른 의미의 반영 오류가 생기는, 어찌 보면 황당해할 수 있는 일도 있다.



  • 에덴의 동쪽에도 오류가 제법 많은데, 60년대 철도 차량에 80년대 구도색을 씌운 것은 오류이기는 하지만 오히려 철도 동호인들에게서 사랑받았으므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더 큰 오류는 80년대 중종반 이후 전화 반영이 엉망인 것이다. 그 당시에는 이미 다이얼식 전화기에서 버튼식 전화기로 이미 바꿨는데, 에덴의 동쪽에서는 80년대 종반일 때도 여전히 다이얼식 전화기를 사용한다.[2] 또, 신형 승용차나 각이 없는 국산차가 김영삼 정권 시절 차량으로 나오고, 90년대 종반 경찰차 및 2008년 당시 경찰차가 작중 시대 경찰차로 나오며, 신형 중형차와 신형 승용차가 작중 시대 수사차량으로 나온다. 달린 번호판이 70년대 초반~90년대 중반에 사용한 번호판일 뿐이다.[3][4] 자동차가 무슨 배우도 아니고... 그리고 1980년대 종반의 극히 일부 차량에 카폰이 설치되어 있었지만(연간 유지 비용이 수백만 원에 달했다), 에덴의 동쪽에는 차량들의 카폰 반영 자체는 없고, 90년대에 휴대폰이 점차 일상화되고 있었으나, 에덴의 동쪽에서는 휴대폰도 들고 다니지 않는다. 심각한 오류라고 할 수밖에 없다. 또한 에덴의 동쪽에서 검찰 출입증이 직사각형으로 만들어져 나왔는데, 90년대 당시만 해도 검찰 출입증은 정사각형이었고, 이에 따라서 이것도 오류로 볼 수 있다.

  • 소품의 퀄리티 때문에 작품을 망친 예로는 KBS 드라마 아이리스 2가 있는데, 일부 장면에서 에어소프트건을 소품으로 사용하다가 극중 일부 클로즈업 장면에서 에어소프트건을 사용한 티가 난 바람에 시청자들의 몰입도가 떨어져 버렸고, 이것이 기사로 났을 정도로 문제가 심각했다(#). 에어소프트건을 사용하는 것을 못 이해하는 것은 아니지만 에어소프트건이 아닌 총처럼 도색하거나 클로즈업 때 에어건임을 알아볼 수 있는 부분을 빼고 보여주는 최소한 성의를 보여줄 필요가 있었다. 아무리 드라마나 영화 등이 진짜가 아니라고 하지만 진짜인 것처럼 보여줄 필요가 있는 영화, 드라마에서 가짜인 걸 대놓고 보여주면 몰입도가 당연히 떨어지고 망할 수밖에 없다. 비비탄총 티를 낸 반응이 그 정도인데 대놓고 너프건이나 물총을 쓴 장면이 나왔다고 생각해보자.

  • 1960~1970년대 초 시대극의 총기를 사용하는 장면에서 베레타 92 권총이 나오는 일이 있다. 베레타 92는 1975년에 처음으로 공개되고 1985년에 미군이 채용한 것이므로 당시엔 이 권총이 발매되기 전이었다.

파일:Wenzhou_E06.png
  • 중국 드라마에서도 예외없이 등장한다. 온주일가인(한국 방영명: 온주일가) 제6화의 시대 배경은 1980년대인데, 주아우가 바르(한국어 자막에는 '바알'로 적혔다[5])의 지시에 따라 심부름을 할 때 왼쪽으로 유럽 연합 번호판을 단 푸조 407SW(2004년 출시)가 지나간다. 이 장면 말고도 이탈리아프랑스에서 촬영한 장면들을 보면 고증/사실에 맞지 않게 유럽 연합 번호판을 단 자동차와 시대적 배경에 맞지 않은 자동차가 보인다. 11화에서는 샤크 안테나가 달린 사브 경찰차가, 19화에서는 2002년에 나온 르노 메간 II 경찰차도 나온다. 24화에서는 극 중 배경보다 1년 지나고 나온 오펠 코르사 B와 2003년등장한 여성용 기성복 브랜드 간판, LCD 모니터가 나온다. 이 정도면 제작진이 고증/사실에 어떠한 신경도 쓰지 않은 것이다.

  • 중국의 항일 액션 드라마는 배달의 기수가 명작으로 보일 정도로 반영 수준이 처참하다. AK-47이나 CS/LR3 저격소총을 들고 일본군과 싸우는 국민혁명군에게 로켓 런처를 들고 쏴대는 일본군 등등... 밀덕들이 보면 뒷목 잡는 걸 넘겨서 정신을 우주를 느낄 지경까지 안드로메다 순회관광 시키는 정도이다. 1 2 3 이쯤이면 이미 오류 정도가 아니고 그냥 대놓고 현대, 판타지, 무협 따위 여러 장르들을 중일전쟁 시대에 무리하게 욱여넣은 것으로 보인다. 아니면 중국의 문화 검열 문제 때문일지도.

물론 개그나 시트콤 같은 프로그램이면 사실감보다는 웃음에 중점을 더 두기 때문에 가짜인 걸 일부러 티를 내거나 티가 나도 대수롭지 않게 넘긴다.


3. 현실적 한계[편집]



3.1. 옷 무게 문제[편집]


파일:attachment/점퍼/138556730420372.jpg
  • 태조 왕건: 후삼국시대 패딩. 짤방으로 돌아다닌다. 찰갑은 배우들의 체력 부담을 줄여주고자 무게를 가볍게 한 고육지책이었다. 먼저 방영한 용의 눈물 때도 고증대로 만든 금속 갑주는 이성계 역의 김무생이 입고 연기하기에 부담이 되어 바꾸었다.


3.2. 제작자가 미처 신경 쓰지 못한 문제(옥에 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옥에 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원래는 제작자도 내보내려 하지 않았으나 신경을 못 써서 영상으로 찍힌 경우이다. 그른 걸 바른 것으로 우기거나 신경 쓰지 않다가 알고 보니 그른 걸 일부러 내보내야 반영 오류라고 할 수 있으니 이는 반영 오류보다는 방송사고에 가깝고, 개그 소재로 까이는 정도로 그치며, 그 방송사 프로그램에서도 재미로 삼아 까기도 하는 등으로 상대적 관대하게 넘기는 편이다.


3.3. 수량 문제[편집]


고증에 따른 물건의 크기 따위가 현대인 신체에 맞아도, 돈이 많아도 남은 물건 수량 문제나 상태 문제로 못 반영할 수도 있다. 더는 찾기 어려우면 대개 비슷한 걸로 대체한다. 온라인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있다 보니 물건을 온라인으로 구하기 어려우면 골목, 주택 밀집 지역 같은 곳에 일일이 다녀야 겨우 찾을 수도 있다.

근현대사 드라마를 만들 때 구현하기 매우 어려운 사실 반영 가운데 둘은 운송기와 잠옷이다. 대한민국에서도 유사하게 자동차 반영 미흡이 자주 까인다.

파일:attachment/고증오류/09.jpg
  • KBS의 6.25 전쟁 60주년 드라마: 타임슬립해서 6.25 한국전에 출현한 UH-1 휴이. 6.25 전쟁은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벌어졌으며, 휴이의 첫 배치 시기는 1962년이다. 제작진들도 사실에 맞지 않음을 알았지만 시콜스키 H-19 같은 기체는 제작 당시에도 없었기에 휴이로 대체된 것이다. CG도 고려했지만 결국은 발발 후 기체를 선택했다고(#).


  • 제빵왕 김탁구에서 나오는 서울교통공사(당시 서울메트로) 4000호대 VVVF 전동차들 역시 80년대에 맞지 않은 전동차이지만,[6] 서울메트로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는 대부분이 이미 폐차되었고, 서울메트로 2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사이에서도 초기형이 대다수가 폐차되었기 때문에 못 반영한다고 보면 된다. 2008년까지는 서울메트로 전동차들 중에 초퍼제어가 아직 많아서 어느 정도는 80년대에 맞게 찍을 수도 있었지만, 이 당시도 서울메트로는 드라마 촬영을 규제하고 있었다. 4000호대 전동차가 배우처럼 2000/3000호대 전동차 역으로 나왔다 생각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 1980년대에는 에어컨이 좌석버스에나 있었으나, 응답하라 1988에서는 에어컨이 있는 일반 시내버스가 나온다. 무냉방 버스를 당시에 사실상으로 구할 수 없어서 그나마 비슷한 버스를 사용한 것이다. 저때 다니던 버스는 2020년에 어느 버스 동호인이 미얀마에서 역수입해 와서 보존하고 있다.


정병섭군 자살사건 후에 '철인 삼국지'처럼 분서되고 유실되거나 멸종한 책들은 반영할 수 없다고 생각해야 된다.

위에 적힌 전동차와 백열등처럼 법적 문제로 못 구할 수도 있고, 가압식 소화기도 무등자 승마와 비슷하게 안전 문제가 있어 못 반영한다고 생각하는 게 좋다.


3.3.1. 원인[편집]


사실, 근현대 물건 반영이 중세 이전 물건 반영보다 훨씬 어렵다. 이는 '계획적 구식화' 문서에도 내용이 있는 것처럼 시장경제, 소비자의 생활과 유관한 문제이다.

일단 소비자들의 보존 노력이 중요하지만 멀쩡한 기존 것을 갖고 있다가 집 정리, 연식, 유행 등을 이유로 버리기도 하고, 그러고 새 물건을 사기도 한다. 요새는 미니멀 라이프라며 간소한 것을 추구하는 사람이 많기도 하고, 그러는 사람이나 유행을 즐기는 사람 가운데 수집 등을 안 좋게 보기도 하며, 아까워하다가도 막상 버리고 나니 후련해졌다는 사람도 있다. 오히려 그런 쓸데없는 건 버려야 된다며 작품은 단지 창작자가 돈을 버는 수단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경우별로 황금만능주의와 유관할 수도 있다. '새로움에 호소하는 오류와 전통에 호소하는 오류' 문서도 참고할 만하다.

소품 등을 만드는 기업은 (오너, 주주, 임직원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이윤을 가져다주는 집단인데, 이런 창작을 위한답시고 기존 물건을 계속 생산하고 계속 보존해야 그 물건이 관심을 잃어 더는 안 팔리면 악성 재고가 되어 회사가 나빠지거나 망할 뿐이다. 시장 질서를 위배하는 것이다. '게임 중독' 문서의 '게임 중독은 영구적인가?' 문단 및 '경로의존성' 문서의 '탈피해야만 하는가?' 문단도 참고할 만하다.

정부 기관 등에서조차 중고 시장/대여점/박물관 등 활성화에 도움을 주기 어려우며 오히려 멀쩡하든 희귀하든 한정판이든 역사적 자료로 활용할 수도 있든 폐기물로 처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예: 대형폐기물 신고, 폐업 후 폐기, #, #의 반론). 많은 소비자들이 빌려 쓰는 걸 싫어해서인지 한국에서는 대여점 문화가 사라지기도 했다.

이래서 창작자는 해당 물건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서 구하는 방법밖에 없고(응답하라 1997 소품 문제, 응답하라 1994 소품 문제), 정작 해당 물건은 단종된 뒤부터 점점 줄어들고, 결국 더 이상은 구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더구나, 외국에서는 대개 촬영을 마치면 소품을 전시하거나 수집가들에게 판매하니 낫긴 하지만, 한국에서는 상기 내용처럼 자료 보존 의식이 부족하거나 소품을 구하려 하는 사람과 구할 수 있는 사람이 드물어서인지 촬영을 마치면 방치하거나 폐기시켜서 없애는 일이 많다. 한 사례로, 화려한 휴가 촬영 때 쓰인 몇몇 차량들은 한국에서는 도무지 구할 수가 없어서 이집트에 있던 것을 역수입한 것인데(#), 국내 차량, 역수입 차량 모두 촬영을 마치고 안면도 백사장에 버렸다(#). 현재는 행방불명.

창작물에 필요할 때 주문제작을 의뢰하면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중세 이전 물건 사정은 어떤 의미로 그나마 나아서 당시 물건 자체나 필요한 정보를 세밀한 부분까지 구하기는 어려워도 형태가 상대적으로 단순하므로 적당한 수준으로 만들어도 눈에 띄는 오류가 적지만, 산업 혁명 이후 물건 사정은 어떤 의미로 그리 좋지 않다. 필요한 정보를 찾기는 어느 정도까지 쉬운 편이나 그런 물건에 대개 복잡하거나 세밀하거나 중요한 부분이 많고, 물건이 줄어들면서 인터넷 등에 올라온 정보도 점점 줄어들며, 제조 공정이 유지되지 않거나 유실되어 비슷한 모습으로만 만드는 데도 시간과 비용을 엄청 많이 들여야 된다. 자칫하면 영화 찍기도 전에 예산 부족으로 파산할 수도, 그야말로 천문학적 예산이 깨질 수도 있다고 생각해도 된다. 위 예시 중에서 삼국시대 갑옷을 외관이 비슷하게 현대 재질로 만드는 것과 작동하는 헬기를 옛 제품대로 만드는 것의 난이도를 생각하면 쉽다. 이는 1960~70년대 드라마에서 코란도 개조차가 자동차 소품 단골손님인 이유이기도 하다. 중세부터 나온 물건이지만 기술적으로 간단한 조총조차 소품으로 만들려면 통할 산이 엄청 많다(참고). 괜히 잘못된 복원물이 판을 치는 것도 아니다. 게다가 소품 제작에 그렇게 많은 돈들과 수 일~수 개월 정도 기간을 들여서도 드라마/영화 제작을 마치면 상기 내용처럼 좋게 처리할 방법이 없어서인지 며칠 만에 없애 버린다. 곧, 해마다 많은 돈들과 에너지가 낭비된다는 말이다(자동 재생 주의). 소비자들도 지구 환경은 걱정하면서도 정작 창작물에 반영하기 어려워지는 건 안 생각한다.

위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CG로 처리하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 제작비 부족 등 이유로 발 CG가 되면 그런대로 욕을 먹을 수 있고, 수준 높은 CG를 사용하려면 꽤나 많은 금액이 들기 때문에 소품을 이용하는 것이 더 저렴한 경우도 많으며, 현대 물건에는 저작권 문제가 있기도 하다. 역시 상기된 대로 정보조차 멸종해서 CG조차 못 할 수도 있다. 이는 게임 등 비실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창작물의 반영 오류> 문서의 <비실사에서> 문단 참고.


4. 문제점[편집]


영화나 방송 등지에 자신이나 가족의 애장품을 소품으로 빌려줬더니 다 파손되어서 돌려주었거나 폐기해버렸다는 사례가 매우 많다. 이 또한 상술된 수량 문제의 원인이기도 하다. 사례 1, 사례 2 심지어는 반달리즘 사례도 있으며, 소품은 아닌 사망 사고도 있다.

5. 관련 문서[편집]



[1] 족두리와 화관의 그림, 사진 자료는 많으며, 근세까지도 혼례에서 사용하던 것이니 그걸 몰라서 그런 것이 아니고, 족두리나 화관을 쓰면 구입 비용이 더 들어가며 분장 시간도 오래 걸리고, 특히 상반신 앵글 잡는 것이 불편해지기에 초창기 영화, TV드라마에서는 생략했고, 그냥 그대로 이어져 온 것이다.예시에 있는 이연희 사진조차 첩지 반영은 안드로메다로 날아가버린 상태인데?[2] 아직 다이얼 전화기가 대세이던 70년대 중반부터 버튼식 전화기가 이미 차츰 도입되기 시작했는데, 80년대 중종반쯤에 모두 버튼식 전화기로 교체한 것이다. 잘 사는 집의 장식용 전화기는 다이얼식을 오래 유지하긴 했는데, 전화교환기가 완전히 자동화되며 발신음이 '드르르륵'하는 다이얼식이 아닌 '삐삐삐삑'하는 음높이로 구별하면서 그것마저 완전히 사라졌다.[3] 에덴의 동쪽 전반부는 차량 반영이 좋은 편이지만, 후반부는 차량 반영이 엉망이다.[4] 사실 김영삼 정권 때만 해도 실제로 각 있는 승용차들이 대다수였고, 각종 수사차량에는 각 있는 승용차나 지프차들이 주류였다. 그 말고도 경찰차도 그때까지만 해도 각 있는 승용경찰차들이 많았다. 사실대로는 그랬어야 했다.[5] 한자 표기는 '巴爾'인데, '바르(Ba(a)r)'의 음차 표기를 오역한 것으로 보인다. 이 부분 말고도 한국어 자막에는 중국어 고유명사를 전부 통용표기대로 표기한 것은 물론, 서양인들의 이름까지 외래어 표기법을 어겨가면서 표기하였다. 한국어 자막에는 외래어 표기법 위반 밖에 중반 이후에서 불필요한 화면처리가 삽입된 등 막장 편집이 상당히 이루어진 바 있다.[6] 이때 4호선은 초퍼제어 전동차 일색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4.2.1;"
, 3.4.2.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48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4.2.1;"
, 3.4.2.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89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89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2.1.1;"
, 2.1.1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5:01:07에 나무위키 소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