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킴(대수기하학)/여러가지 사상

덤프버전 :


1. 개요
2. 평탄 사상 (flat morphism)
3. 유한 사상 (finite morphism)
4. 부드러운 사상과 에탈 사상 (smooth morphism and étale morphism)
4.1. 캘러 미분과 공접 사슬 (Kähler differential and cotangent complex)
4.2. 형식 사상들 (formal morphisms)
4.3. 유한 에탈 사상 (finite étale morphism)
4.4. 갈루아 이론 (Galois theory)


1. 개요[편집]


스킴으로 표현되는 여러가지 사상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2. 평탄 사상 (flat morphism)[편집]


[math(R)]이 아무 (commutative) ring (with unity)라고 하고 [math(R)] 위의 module [math(M)]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math(M)]이 flat [math(R)]-module이란 것은 모든 exact sequence
[math(0\to N'\to N\to N''\to 0)]
에 대해서
[math(0\to N'\otimes_R M\to N\otimes_R M\to N''\otimes_R M\to 0)]
란 exact sequence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제 flat module의 성질을 알아내보자. 먼저, [math(I)]가 [math(R)]의 ideal이면
[math(0\to I\to R\to R/I\to 0)]
란 exact sequence가 있고, 따라서 flat module이면
[math(I\otimes_R M\to M)]
란 morphism이 언제나 injection이어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언제나 injection이고 [math(F')]가 rank 1 free module over [math(R)]이고 [math(f:F'\to F)]가 있다고 하자. 그러면 이것의 kernel을 생각하고 dual을 생각하고 dual을 간단히 [math(F^{\vee})]라고 쓰고 [math(F^{\vee}\to (F')^{\vee})]의 image를 [math(I)]라고 하면
[math(F^{\vee}\otimes_{R}M\to I\otimes_{R}M\to (F')^{\vee}\otimes_R M)]
를 만들 수 있고, [math(F^{\vee}\to (F')^{\vee})]의 kernel의 dual을 [math(K)]라고 하고 [math(F'')]를 free module이라고 할 때 [math(F''\to K\to 0)]이라는 [math(K)]의 presentation을 하나 잡으면 다음과 같은 exact sequence를 만들 수 있다.
[math( (F'')^{\vee}\otimes_R M\to F^{\vee}\otimes_R M\to (F')^{\vee}\otimes_R M)]
그럼 Hom-tensor adjuntion은 다음을 만든다.
[math({\rm Hom}_R(F'',M)\to {\rm Hom}_R(F,M)\to {\rm Hom}_R(F',M))]
그리고 우리는 이걸 적당히 [math(n)]번 곱하는 걸로 [math(F')]에 그러니까 요약하면 [math(F,F')]가 모두 finitely generated free고 [math(M)]이 flat이고 [math(F'\to F)]가 있다면 적당한 finitely generated free module [math(F'')]하고 morphism [math(F\to F'')]가 있어서
[math({\rm Hom}_R(F'',M)\to {\rm Hom}_R(F,M)\to {\rm Hom}_R(F',M))]
라는 exact sequence가 있다는 것이다.

이제 [math(M)]이 아무 flat module일 때 finitely generated free module [math(F)]와 [math(\phi:F\to M)]라는 morphism 두 쌍을 [math((F,\phi))]라고 쓰기로 하고, 이것으로 set [math(I)]을 만들자. 그렇다면 [math(M)]은 당연히 [math(I)]에 대한 colimit다. 그리고 이는 [math(M)]이 flat이면 위에서 만든 정리는 [math(I)]이 direct set임을 증명해준다.
이것은 다음을 뜻한다. [math(M)]이 filtered colimit of free modules라는 것과 동치며, 이 동치라는 정리를 Lazard theorem이라고 부른다.[1]

[math(R)]의 모든 finitely generated ideal [math(I)]에 대해서 [math(I\otimes_{R}M\to M)]이 injection이면 [math(M)]는 flat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exact sequence 가운데에 있는 [math(N)]이 rank 1일 땐 모두 증명되고, rank를 올려보면 rank n짜리는 rank [math(n-1)]짜리와 rank 1짜리로 쪼갠다. 그러면 free module에서 finite module로 가는 morphism의 kernel을 생각하면 rank n짜리의 kernel을 rank [math(n-1)]짜리 kernel로 나누면 ideal이 나오므로 증명된다. finite module이란 조건을 빼려면 그냥 모든 module은 finite module의 direct limit고 tensor product는 direct limit와 commute하므로 증명이 끝난다.

[math(M)]이 faithfully flat module over [math(R)]이란 것은
[math(0\to N'\to N\to N''\to 0)]
이란 exact sequence가 있다는 것과
[math(0\to N'\otimes_R M\to N\otimes_R M\to N''\otimes_R M\to 0)]
이란 exact sequence가 있다는 것이 동치임을 뜻한다.

이제 module에서 algebra로 옮겨보자. [math(A\to B)]가 flat morphism이란 것은 [math(B)]가 flat [math(A)]-module이 될 때를 말한다. 그리고 faithfully flat morphism도 똑같이 정의한다. 그러면 [math(A\to B)]가 faithfully flat이란 것은 flat이고 [math({\rm Spec}\,B\to {\rm Spec}\,A)]가 surjection이라는 것과 동치다.[2]
이제 scheme [math(X,Y)]와 morphism [math(f:X\to Y)]에 대해서 이것이 flat morphism이란 것을 모든 [math(x\in X)]에 대해서 [math({\cal O}_{Y,f(x)}\to {\cal O}_{X,x})]가 flat인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faithfully flat이란 것은 surjection이고 flat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math(\{U_i\to X\})]가 fpqc covering이란 것은 [math(\bigsqcup_i U_i\to X)]가 faithfully flat이고 quasi-compact란 것이다.

그렇다면 [math(\{{\rm Spec}\,B_i\to {\rm Spec}\,A\})]가 fpqc covering이란 것을 이것으로 만들어지는 [math(A\to \bigoplus_i B_i)]가 faithfully flat morphism일 때를 말한다고 하자. 그러면 [math({\rm Spec}\,A)]-scheme들을 모은 category [math({\rm Sch}_A)]에 fpqc topology를 줄 텐데, 간단히 covering을 fpqc covering으로 설정한 topology라고 하자. 그렇다면 fpqc topology를 준 [math({\rm Spec}\,A)] 위의 quasi-coherent sheaf란 것을 생각해볼 텐데, 이것은 직관적으로 flat morphism [math({\rm Spec}\,B\to {\rm Spec}\,A)]마다 [math(B)]-module [math(M_B)]를 준 거라고 생각할 수 있고, quasi-coherent란 조건은 [math({\rm Spec}\,B\to {\rm Spec}\,A)]가 적당히 local하고 [math(B\to C)]란 morphism이 있을 때 [math(M_C=M_B\otimes_B C)]라는 조건을 더 붙혀준다. 그러면 이런 걸로 충분할까??
우리가 sheaf의 정의를 생각할 때, 두 번째 조건에서 intersection을 생각한다. 그리고 그 intersection은 "자기 자신"하고 하면 그냥 topological space일 땐 문제 없겠지만 fpqc topology에선 [math({\rm Spec}\,B\to {\rm Spec}\,A)]의 intersection은 [math({\rm Spec}\,B\otimes_A B\to {\rm Spec}\,A)]가 되고, 따라서 그 위에 있는 module은 [math(M)]이라고 하면
[math(M_{B\otimes_A B}=M_B\otimes_B (B\otimes_A B)=M_B\otimes_A B)]
가 될 것이다. 근데 우리에겐 이것만 있는 것이 아닌데, 왜냐하면 [math({\rm Spec}\,B\otimes_A B\to {\rm Spec}\,A)]는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math(B\to B\otimes_A B)]에서 [math(a\in A)]를 어느 쪽 coordinate로 보내냐에 따른 문제며, 각각을 [math(i_1,i_2)]라고 한다면
[math(M_{i_1}=M_B\otimes_A B,M_{i_2}=B\otimes_A M_B)]
가 나온다. 그러니까 우리는 [math(\phi:M_{i_1}\to M_{i_2})]란 morphism도 필요하며, 이것은 세 번 intersection했을 때 정의할 수 있는 [math(\phi_{1,2}:M_{i_1}\otimes_A B\to M_{i_2}\otimes_A B,\phi_{2,3},\phi_{1,3})]에 대해서
[math(\phi_{1,3}=\phi_{2,3}\circ \phi_{1,2})]
라는 일종의 cocycle condition을 만족해야 한다. 그러니까, [math({\rm Spec}\,A)] 위의 fpqc quasi-coherent sheaf란 것은 반드시 각 faithfully flat morphism [math(A\to B)]마다 [math(\phi_{1,2}:M_B\otimes_A B\to B\otimes_A M_B)]도 같이 달려있어야 한다. 그래야 [math(f_i|_{U_i\times_X U_j}=f_j|_{U_i\otimes_X U_j})]라는 조건에서 둘이 있는 곳이 다르다는 참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우리는 이를 일반화해서 다음을 정의하자.
[math(X)]가 scheme이고 [math(\{U_i\to X\})]가 fpqc covering이라고 하자. 그러면 fpqc descent datum of [math(X)]라는 것은 각 [math(U_i)] 위의 (Zariski) quasi-coherent sheaf [math({\cal F}_i)]와 [math(i,j,k)]에 대해서 [math(\phi_{i,j}:{\cal F}_i\to {\cal F}_j)]가 있어서 cocycle condition [math(\phi_{i,k}=\phi_{j,k}\circ \phi_{i,j})]를 만족하는 다음과 같은 모임 [math(({\cal F}_i,\phi_{i,j}))]를 뜻한다.
이렇게, descent datum이라고 불리는 것이야말로 fpqc quasi-coherent sheaf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제 우리는 faithfully flat descent란 걸 생각해보자.
  • [math(A\to B)]가 faithfully flat morphism이고 [math(M)]이 [math(A)]-module일 때 다음과 같은 exact sequence [math(0\to M\to M\otimes_A B\to M\otimes_A B\otimes_A B)]가 생긴다. 여기에서 [math(M\otimes_A B\to M\otimes_A B\otimes_A B)]는 [math({\rm d}:m\otimes b\mapsto m\otimes b\otimes 1-m\otimes 1\otimes b)]로 정의한다.
이것의 증명은 개요만 말하면 [math(M=A)]일 때부터 생각하고 [math(A\to B)]가 section [math(B\to A)]가 있을 땐 [math(1\otimes a=a\otimes 1)]일 때 [math(B=A\oplus I)]라고 생각하면 [math(I)]의 원소는 절대로 [math({\rm d})]의 kernel에 들어갈 수 없고, 따라서 exactness가 완성된다.
section이 없으면 section을 만들면 된다. [math(A\to B)] 양 옆에 [math(B)]를 tensoring해서 [math(B\to B\otimes_A B)]로 만들면 이건 [math(B\otimes_A B\to B)]란 section이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써보면 [math(b\otimes b'\mapsto bb')]가 된다. 그리고 faithfully flat이란 성질에 따라서 증명이 끝난다.

이제 다음 1-1 대응을 만들어보자.
  • [math(\{\text{fpqc descent datums of }X\}\leftrightarrow \{\text{quasi-coherent sheaves of }X\})]
이는 direct limit와 direct image, inverse image에 의해서 보존된다. 그러니까 fpqc quasi-coherent sheaf는 사실 그냥 quasi-coherent sheaf라고 다를 게 없다!! 증명은 이는 local peoperty므로 [math(X={\rm Spec}\,A)]라고 가정해도 좋고, 모든 quasi-coherent sheaf는 자연스럽게 fpqc descent datum을 만들고, 이제 아무 fpqc descent datum을 잡아도 그것이 quasi-coherent sheaf를 만듦을 증명하면 되는데, [math({\rm Spec}\,B\to {\rm Spec}\,A)]가 faithfully flat morphism이고 [math(\phi_{1,2}:M_B\otimes_A B\to B\otimes_A M_B)]라고 하면 [math(\phi:M_B\otimes_A B\to B\otimes_A M_B)]에 대해서 다음을 정의하자.
[math(M=\{m\in M_B|\phi(m\otimes 1)=1\otimes m\})]
그러면 [math(M\otimes_A B=M_B)]임을 증명하면 되는데, [math(\phi_{1,2},\phi_{2,3})]과 cocycle condition으로 commutative diagram
[math(\begin{aligned}&M_B\otimes_A B\to (M_B\otimes_A B)\otimes_A B \\ &\,\,\,\,\,\,\,\,\,\, \downarrow \qquad \qquad \quad \,\, \qquad \downarrow \\ & B\otimes_A M_B\to B\otimes_A (M_B\otimes_A B)\end{aligned})]
를 만들 수 있고, 여기에서 맨 위는 [math(m\otimes b \mapsto m\otimes b\otimes 1-m\otimes 1\otimes b)]이고 맨 오른쪽은 [math(\phi_{1,2})]고, 맨 아래는 [math(b\otimes m\mapsto 1\otimes (b\otimes m)-1\otimes \phi(m\otimes b))]가 된다. 위의 kernel은 faithfully flat descent로 [math(M')]가 되며, 아래의 정의로 [math(M)]이 된다. 따라서 증명이 끝난다.

이제 flat morphism의 성질을 차근차근 보도록 하자. [math(f:X\to Y)]가 flat이라면 그 fibre의 dimension을 구해볼 텐데, [math(x\in X)]일 때
[math(0\to \mathfrak{m}_{Y,f(x)}\to {\cal O}_{Y,f(x)}\to {\cal O}_{Y,f(x)}/\mathfrak{m}_{Y,f(x)}\to 0)]
라는 exact sequence가 있고, 여기에 [math({\cal O}_{X,x})]를 tensoring하면
[math(0\to \mathfrak{m}_{Y,f(x)}{\cal O}_{X,x}\to {\cal O}_{X,x}\to {\cal O}_{X,x}\otimes_{{\cal O}_{Y,f(x)}}{\cal O}_{Y,f(x)}/\mathfrak{m}_{Y,f(x)}\to 0)]
가 되고 따라서 셋의 Krull dimension을 생각한다면 다음이 만들어진다.
[math(\dim_x X=\dim_y Y+\dim_x Y_y)]
여기에서 [math(\dim_x X)]란 [math(x)]의 connected open neighborhood의 dimension이다.

[math(X,Y)]가 quasi-compact에 quasi-separated고, [math(f:X\to Y)]가 flat이고 finite presentation morphism이면 open이다. 이는 먼저 [math(X,Y)]가 connected라고 가정하고, 위에서 증명한 Chevalley's theorem으로 [math(f(X))]는 [math(Y)]에서 constructible이고, 이제 이게 closed under generalization임을, 그러니까 [math(x\in f(X))]고 [math(x\in \bar{\{y\}})]일 때 [math(y\in f(X))]임을 보이면 [math(f(X)=U\cap Z)]로 open set [math(U)], closed set [math(Z)]로 나타냈을 때 [math(Z)]가 전체 집합이 아닌 이상 이걸 절대로 만족하지 않으니 [math(f(X))]는 open이 되고 이걸 증명하면 된다.
이제 [math(x\in X)]일 때 [math({\rm Spec}\,{\cal O}_{X,x}\to{\rm Spec}\,{\cal O}_{Y,f(x)})]가 surjection임을 증명하면 [math(f(x)\subseteq \bar{\{y\}})]일 때 [math(y)]와 그 inverse image를 생각하면 [math(y\in f(X))]가 되고 closed under generalization임이 증명된다. 그리고 이 morphism은 flat임을 염두에 두자.
surjection임은 local ring에서 먼저 Noether normalization theorem을 쓰면 [math({\cal O}_{X,x})]가 finite [math({\cal O}_{Y,f(x)})]-module이라고 가정할 수 있고, 밑에서 증명할 거지만 finite morphism은 언제나 proper이므로 closed point는 closed point로 옮겨야 하고, minimal prime도 minimal prime으로 옮겨야 하고, 이 둘이 아닌 [math({\cal O}_{Y,f(x)})]의 prime ideal [math(\mathfrak{p})]를 생각하면 이것이 inverse image가 없다면 [math(\mathfrak{p}{\cal O}_{X,x})_{\mathfrak{p}}=({\cal O}_{X,x})_{\mathfrak{p}})]가 되고, 따라서 Nakayama lemma로 [math(({\cal O}_{X,x})_{\mathfrak{p}}=0)]이 되는데, 이제 [math({\cal O}_{X,x})]의 flatness로 위에서 차원 잰 것과 비슷하게 해주면
[math(0\to \mathfrak{m}_{Y,f(x)}{\cal O}_{X,x}\to {\cal O}_{X,x}\to {\cal O}_{X,x}/\mathfrak{m}_{X,x}\to 0)]
이 만들어지고, 맨 오른쪽은 closed point는 closed point로 옮겨져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제 exact sequence는 localization에 의해 보존되므로 [math(\mathfrak{p})]으로 localizing해주면
[math(0\to \mathfrak{p}\to ({\cal O}_{X,x})_{\mathfrak{p}}=0\to {\cal O}_{X,x}/\mathfrak{m}_{X,x}\to 0)]
가 만들어진다. 맨 오른쪽은 field라 아무런 변화가 없다. 그렇다면 prime ideal이 minimal ideal이 되어야 하니까 모순이고, 따라서 flat and of finite presentation이면 open이라는 것이 증명된다.
이를 통해서 한 가지 알 수 있는 사실이 또 있는데, 저 모순을 만드는 과정에서 Nakayama lemma를 다시 한 번 쓰면 local ring 위에서의 finite module이 flat이면 faithfully flat이거나 아예 0이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finite and locally finite presentation이 open이란 것은 증명과정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아주 대충 fibre의 dimension이 같아야 하는데 갑자기 closed인 무언가가 갑툭튀할 수 없다를 뜻한다.

이제 잠깐 한 가지 딴 생각을 해보자. subscheme에서 open이나 closed라는 조건들은 closed under generalization, specialization이 결정한다. 그리고 이 조건들은 사실 [math(X)]의 topology에 의존하지 않는다 (!!)
정확히 말하면, [math(X)]의 w-local covering에 의존한다. 그러니까 좀 더 자세히 말하면 [math(X_w)]란 scheme하고 [math(f:X_w\to X)]라는 faithfully flat morphism이 있어서 다음을 만족한다.
  • [math(X_w)]는 totally disconnected다. 그리고 [math(X_w)]의 closed point들을 모은 것은
  • [math(X_w)]의 connected component들의 집합에 quotient topology를 준 것은 [math(X)]에 constructible topology를 준 것과 homeomorphic하다.
  • [math(X_w)]의 connected component를 하나 [math(U_w)]라고 하면 여기엔 유일한 closed point [math(x\in U_w)]가 있고 [math(U_w={\rm Spec}\,{\cal O}_{X,f(x)})]가 된다.

그렇다면 이런 [math(X_w)]는 반드시 유일하게 존재하게 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construct하게 된다. 먼저 affine scheme부터 시작해서 [math(I\subseteq A)]가 ideal이라고 하자. 그러면 </math>A^{\sim}_{I}</math>을 [math(A/I<math>에서 invertible인 <math>A)]의 모든 element로 [math(A)]를 localizing한 것으로 생각하자. 그러면
[math({\rm Spec}\,A^{\sim}_{I}\to {\rm Spec}\,A)]
란 map은 image가 딱 [math({\rm Spec}\,A/I)]란 closed scheme이 generalized되는 점들을
모은 것이다.
자, [math(f\in A)]를 생각해보자. 이것은 [math({\rm Spec}\,A)] 안에서 open subscheme을 만들기도 하고, closed subscheme을 만들기도 하다. 그리고 이것은 간단히 생각해서
[math({\rm Spec}\,A={\rm Spec}\,A_f\sqcup {\rm Spec}A/(f)=D(f)\sqcup V(f))]
로 쪼갤 수 있다. 그렇다면 이제 두 개짜리를 생각하면, [math(f,g\in A)]일 때 이 둘 모두로 localizing한 [math(A_{f,g})]가 있고, 하나론 localizing하고 하나론 나눈 [math((A/(f))_g)]도 있고, 둘 다로 나눈 [math(A/(fg))]가 있다. 그리고 set-theoretical하겐 이는 직선 두 개로 평면을 1,2,3,4사분면, 원점 뺀 x축, 원점 뺀 y축, 원점. 이렇게 나눈 거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가 할 것은 여기에서 closed subscheme 부분을 그게 generalizing될 수 있는 최대의 scheme으로 바꿔치기할 것이다. 우리의 목표는 closed point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불려진 [math({\rm Spec}\,{\cal O}_{X,x})]같은 애니까!!

이제 좀 더 잘게 나눠서 [math(E\subseteq A)]를 그냥 finite subset이라고 하고 [math(E=E'\sqcup E')]라고 할 때
[math(V(E',E'')=D\left(\prod_{f\in E'}f\right)\sqcup \bigcap_{f\in E''}V(f), A_{E',E''}=\left(A/(E'')\right)_{\prod_{f\in E'}f})]
를 정의하자. 여기에서 [math(A/(E'')=\bigotimes_{f\in E'',A}A/(f))]로, 그냥 [math(f\in E'')]들로 [math(A)]를 나눈 것이다. 그러면 다음을 알 수 있다.
[math({\rm Spec}\,A=\bigsqcup_{E=E'\sqcup E''}V(E',E''))]
여기에서 closed subscheme을 불려서 다음을 만들자.
[math(X_{E}=\bigsqcup_{E=E'\sqcup E''}{\rm Spec}\,A_{E',E''})]
그러면 이것은 아무리 [math({\rm Spec}\,A)]가 처음에 connected였다고 해도 점점 disconnected해진다. 그리고 [math(X_{E}\to X)]는 간단히 [math({\rm Spec}\,A^{\sim}_{I(E'')}\to {\rm Spec}\,A/I(E))]를 정의할 수 있으니까 정의할 수 있고, local ring은 둘이 서로 완전히 똑같으니까 faithfully flat이 된다.
이제 다음을 정의하자.
[math(X_w=\lim_{E} X_{E})]
여기에서 limit는 colimit다. 그렇다면 이것은 바로 우리가 원하던 것이다. 일반적인 scheme에 대해선 그냥 gluing axiom에 따라서 만들면 그냥 된다.

[math(X_w)]는 아주 직관적으로 [math(X)]의 Zariski universal covering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faithfully flat이고 덤으로 locally closed subscheme이라면 갖고 있던 local ring이 같단 성질을 그대로 보존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faithfully flat이란 성질은 정말로 중요하다. pro-etale cohomology theory에서 정말로 많은 성질들이 이것을 좀 더 불린 w-contractible covering에서 증명되는데, 여기에서 faithfully flat descent를 반드시 써야 하기 때문이다.


3. 유한 사상 (finite morphism)[편집]


위에서 정의했듯이 [math(f:X\to S)]가 finite란 것은 모든 affine open subscheme [math(U={\rm Spec}\,A\subseteq S)]에 대해서 [math(f^{-1}(U)={\rm Spec}\,B)]꼴이고 [math(A\to B)]가 finite module을 이룰 때를 말한다.
finite morphism의 가장 자명한 예로는 closed immersion이 있으며[3] finite extension [math(k'/k)]에 대해서 [math({\rm Spec}\,k'\to {\rm Spec}\,k)] 또한 finite morphism이 된다.

먼저 finite morphism에 대해서 제대로 하기 전에 dimension 0인 scheme의 구조부터 알아보자. [math(X)]가 dimension 0라고 해보자. 먼저 [math(X={\rm Spec}\,A)]일 땐 [math(A)]의 모든 prime ideal은 maximal ideal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모든 [math(X)]의 point들은 closed고 덤으로 두 point를 [math(\mathfrak{m},\mathfrak{n})]이라고 썼을 때 [math(D(\mathfrak{m}),D(\mathfrak{n}))]는 각각 [math(\mathfrak{n},\mathfrak{m})]를 포함하면서 서로 서로소이므로 [math({\rm Spec}\,A)]는 Hausdorff가 된다. 이제 여기에서 [math(A)]를 noetherian이라고 가정하면 [math({\rm Spec}\,A)]는 finite에 discrete topology를 가지게 되고, 다시 [math(A)]에 noetherian이란 가정을 빼면 모든 ring은 noetherian ring의 direct limit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다음 다섯은 동치가 된다.
  • [math(A)]는 Krull dimension 0
  • [math({\rm Spec}\,A)]는 dimension 0
  • [math({\rm Spec}\,A)]는 Hausdorff
  • [math({\rm Spec}\,A)]는 totally disconnected
  • [math({\rm Spec}\,A)]는 profinite set
여기에서 [math(A)]가 noetherian이란 조건을 붙혀주면 다음과도 동치가 된다.
  • [math({\rm Spec}\,A)]는 finite discrete topology를 가짐.
그리고 [math(A)]가 어떤 field [math(k)] 위의 finitely generated algebra라면 다음 둘은 동치가 된다.
  • [math(A)]는 artinian [math(k)]-algebra
  • [math({\rm Spec}\,A)]는 finite set
  • [math({\rm Spec}\,A)]는 discrete topology를 가짐
  • [math(A)]는 Krull dimension 0
  • [math(A)]는 finite [math(k)]-algebra
이는 위에서 만든 동치명제와 Hilbert basis theorem을 생각하자. 그러면 [math(A)]는 Noetherian이니까 (5)=>(1)=>(4)=>(3)=>(2)는 쉽게 증명할 수 있고 (4)=>(1)=>(5)도 쉽게 증명된다. (2)=>(4)는 먼저 Noether normalization lemma로 [math(A)]가 Krull dimension 0가 아니라면 [math({\rm Spec}\,A\to \mathbb{A}^1_k)]란 surjection map이 존재할 것이고, [math(k)]가 finite field라면 오른쪽은 유클리드의 소수 무한성 증명을 배껴서 infinite set임을 증명할 수 있고 [math(k)]가 infinite field라면 오른쪽은 [math((x-a))]란 자명한 prime ideal들이 있으니까 infinite set이다.

[math(A\to B)]가 finite ring map이고 injection일 때 [math({\rm Spec}\,B\to {\rm Spec}\,A)]가 surjection임을 보이자. 이는 어떤 [math(\mathfrak{q}\subseteq B)]가 inverse image가 없을 때 [math(\mathfrak{q}B_{\mathfrak{q}}=B_{\mathfrak{q}})]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Nakawama lemma로 [math(B_{\mathfrak{q}}=0)]가 되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저것은 surjection이어야 하고 이것으로 우리는 going-up property라는 걸 증명할 수 있다. 이는 [math(\mathfrak{p}\subseteq \mathfrak{p}'\subseteq A)]라는 prime ideal의 나열이 있고 [math(\mathfrak{q})]가 [math(\mathfrak{p})]에 대응되는 [math(B)]의 prime ideal일 때 적당한 [math(B)]의 prime ideal [math(\mathfrak{q}\subseteq \mathfrak{q}'\subseteq B)]가 있어서 [math(f^{-1}(\mathfrak{q}')=\mathfrak{p})]라는 내용의 성질이다. 이는 간단히 [math(A/\mathfrak{p}\to B/\mathfrak{q})]를 생각한다. [math(Z\subseteq X)]가 closed subscheme이고 [math(X\to S)]가 finite일 때 [math(Z)]는 [math(X)]의 어떤 point의 closure로 표현되고, 그 point를 [math(x\in X)]라고 한다면 going-up property로 [math(f(Z))]는 [math(f(x))]의 closure다. 따라서 finite morphism은 closed가 된다. 그리고 finite morphism은 base change에 대해서 불변이므로 finite morphism은 universally closed가 되며 affine morphism은 separated니까 finite morphism은 proper임을 알 수 있다.

훨씬 더 일반적으로, 다음 둘은 동치가 된다.
  • [math(f:X\to S)]는 integral morphism. 그러니까 affine morphism이고 이렇게 해서 만들어지는 extension of rings가 integral이다.[4]
* [math(f:X\to S)]는 affine and universally closed morphism이다.
이것의 증명은 생략하겠다.

이제 [math(X\to S)]가 quasi-finite라는 것을 of finite presentation이고 이것의 모든 fibre가 dimension 0일 때를 말한다고 하자. 이는 위에서 한 것으로 fibre가 dimension 0란 것은 모든 fibre가 finite set이란 것과 동치가 된다. 그리고 모든 finite morphism은 quasi-finite가 됨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제 다음을 증명할 것이다.

(Zariski main theorem) [math(S)]가 quasi-compact라고 하자. [math(X\to S)]가 quasi-finite고 separable이라면 적당한 scheme [math(X')]가 있어서 [math(X\to S)]는 [math(X\to X')]와 [math(X'\to S)]로 분해되며 [math(X\to X')]는 open immersion, [math(X'\to S)]는 finite가 된다.


이는 신기한 정리인데, finite morphism은 사실 fibre가 유한하다는 quasi-finite morphism하고 다를 바 없다는 정리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quasi-finite morphism은 open subscheme에서만 적용되는 finite morphism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음을 증명해보자.

[math(A)]가 complete local ring이고 그 maximal ideal이 [math(\mathfrak{m})]고 [math(M)]이 [math(A)]-module이면서 [math(M/\mathfrak{m}M)]은 finite-dimensional [math(A/\mathfrak{m}A)]-vector space고 [math(\bigcap^{\infty}_{n=1}\mathfrak{m}M=0)]라면 [math(M)]는 finite [math(A)]-module이다.


증명은 그냥 노가다...인데, [math(M/\mathfrak{m}M)]의 dimension에 따른 induction을 써보자. [math(M/\mathfrak{m}M=0)]이라면
[math(M=\mathfrak{m}M=\mathfrak{m}^2M=\cdots=\bigcap^{\infty}_{n=1}\mathfrak{m}^nM=0)]
이고, 적당한 [math(e\in M)]이 있어서 [math(e)]를 [math(M/\mathfrak{m}M)]로 옮긴 걸 [math(\bar{e})]라고 쓰기로 하고 [math(M/\mathfrak{m}M=(\bar{e}))]라면
[math(M=\mathfrak{m}M+(e)=\mathfrak{m}(\mathfrak{m}M+(e))+(e)=\mathfrak{m}^2M+(e)=\cdots)]
가 되어서 complete란 조건으로
[math(M=\bigcap^{\infty}_{n=1}\mathfrak{m}^nM+(e)=(e))]
가 된다. 그리고 일반적인 dimension에 대해선 basis들 중에서 한개만 남기고 미리 [math(M)]쪽으로 올리고 그 올린 것으로 만들어진 submodule을 [math(M')]라고 한 다음에 [math(M/M')]를 생각하면 이것은 바로 위에서 한 것으로 rank가 1이고 따라서 [math(M)]의 rank는 [math(M/\mathfrak{m}M)]의 rank와 같아지게 되므로 증명이 끝난다.

이것으로 [math(A)]가 complete local noetherian ring일 때 [math({\rm Spec}\,B\to {\rm Spec}\,A)]가 quasi-finite가 되는 모든 [math(B)]들을 분류해보자. 먼저 [math(A)]의 maximal ideal로 가는 모든 [math(B)]의 prime ideal들을 모으면 이 prime ideal로 [math(B)]를 localize한 것은 Krull intersection theorem과 quasi-finite map의 정의, 그리고 위의 정리로 finite [math(A)]-module이 된다. 이런 prime ideal들을 [math(\mathfrak{q}_i)]라고 하면
[math(\bigsqcup_{\mathfrak{q}_i}{\rm Spec}\,{\cal O}_{X,\mathfrak{q}_i}\to {\rm Spec}\,B\to {\rm Spec}\,A)]
를 만들 수 있고, 오른쪽은 quasi-finite여서 [math(A)]의 maximal ideal의 fibre가 discrete topology를 가지고 왼쪽은 Nakayama lemma로 open immersion이 되고 덤으로 valuative criterion을 생각하면 proper이므로 closed이기도 하고 따라서 [math({\rm Spec}\,B)] 안에서 왼쪽 map의 image는 clopen이 되고 따라서 clopen인 set은 ring을 둘로 쪼개게 되므로 [math(B=B_1\times B_2)]가 되고 특히 여기에 [math(A/\mathfrak{m})]을 tensoring하면 [math(B_2/\mathfrak{m}B_2=0)]가 되고 [math(B_1)]는 finite [math(A)]-module이 된다. 이를 [math({\rm Spec}\,B\to {\rm Spec}\,A)]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math({\rm Spec}\,B)]는 [math(X_0\sqcup X_1)]로 나누어지는데 [math(X_0\to {\rm Spec}\,A)]는 finite morphism이고 [math(X_1\to {\rm Spec}\,A)]는 maximal ideal로 절대 가지 않는다.[5] 이런 decomposition은 [math({\rm Spec}\,B)]를 일반적인 scheme으로 바꾸고 quasi-finite를 quasi-finite and separable이란 조건으로 바꿔도 성립한다.

이제 [math(A)]가 complete local noetherian ring이라고 하고 [math(X\to {\rm Spec}\,A)]가 proper고 quasi-finite라고 하자. 그러면 위의 decomposition으로 [math(X=X_0\sqcup X_1)]로 나눌 수 있는데, [math(X_1\to {\rm Spec}\,A)]는 절대로 closed point로 가지 않는데 proper이므로 closed고 따라서 [math(X_1)]은 공집합이다. 따라서 [math(X\to {\rm Spec}\,A)]는 그냥 finite가 된다.

위에서 proper란 조건을 빼보자. 그러면 그냥 quasi-finite morphism은 quasi-affine이다. 이는 [math(A)]의 dimension에 대한 induction과 위의 decomposition을 쓰면 된다. 다음 [math(n)]에 대해서 maximal ideal 바로 아래에 있는 prime ideal에 대한 localization을 생각하는 것으로[6]

그러면 위의 두 가지를 조합하면 quasi-affine이면 quasi-projective고 따라서 [math(X\to {\rm Spec}\,A)]는 [math({\rm Spec}\,A)]의 어떤 coherent sheaf의 projective spectrum을 생각해서 적당한 [math(X')]가 있어서
[math(X\to X'\to {\rm Spec}\,A)]
를 만들게 되는데, 왼쪽은 open immersion이고 오른쪽은 projective고 quasi-finite인데 projective면 proper고, proper고 quasi-finite면 finite니까 [math({\rm Spec}\,A)]에 대한 Zariski main theorem을 증명할 수 있다.

이제 [math(A)]에 complete란 조건을 빼보자. [math(A)]가 그냥 noetherian local ring이고 [math(X\to {\rm Spec}\,A)]가 quasi-finite면 [math(A)]의 completion을 [math(\hat{A})]라고 할 때 [math(A\to \hat{A})]은 [math(A)] 안에 유일하게 있는 ideal에 대해서 flatness criterion을 생각하면 faithfully flat이다. 이제 [math(X\to {\rm Spec}\,A)]를 big fpqc site 안의 morphism으로 보고, [math(X\times_{{\rm Spec}\,A}{\rm Spec}\,\hat{A})]와 [math({\rm Spec}\,\hat{A}\to {\rm Spec}\,A)]를 각각 sheaf of algerbas를 생각해서 fpqc descent datum으로 생각한 다음에 faithfully flat descent를 쓴다. 그러면 open immersion이랑 finite란 성질은 faithfully flat으로 잘 옮겨가고, Zariski main theorem을 local noetherian ring에 대해서 증명할 수 있다.

이제 finiteness와 open immersion이란 성질은 local property니까 [math(A)]에 local이란 성질을 뺄 수 있다. [math(\mathfrak{p})]가 [math(A)]의 prime ideal일 때 [math(X\times {\rm Spec}\,A_{\mathfrak{p}}\to {\rm Spec}\,A_{\mathfrak{p}})]에 대해선 이미 증명했고 저것이 inverse limit임을 생각하면 적당한 [math(\mathfrak{p})]의 근방에서 증명할 수 있으니까. 덤으로 noetherian이란 조건도 뺄 수 있는데, quasi-finite의 정의에 of finite presentation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math({\rm Spec}\,A)]을 일반적인 scheme [math(S)]로 바꿀 수 있고 증명이 끝난다.


4. 부드러운 사상과 에탈 사상 (smooth morphism and étale morphism)[편집]



4.1. 캘러 미분과 공접 사슬 (Kähler differential and cotangent complex)[편집]


먼저 본격적으로 무언가를 하기 전에, Kähler differential을 소개하자.
[math(A\to B)]가 ring map일 때 [math(\Omega^1_{B/A})]란 걸 정의할텐데, 이것은 간단하게 대충 다변수 미적분학을 할 때 보이는 1-form들을 모아놓은 module이다. 그러니까
[math(\Omega^1_{B/A}=\left\{\sum a_i{\rm d}b_i|a_i\in A,b_i\in B\right\})]
꼴이다. 여기에서 [math({\rm d}:B\to \Omega^1_{B/A})]는 module로 볼 때의 morphism인데,
  • [math({\rm d}a=0)] for all [math(a\in A)]
  • [math({\rm d}(bb')=b'{\rm d}b+b{\rm d}b')] (Leibniz rule)
를 만족해야 한다.

좀 더 formal하게 정의를 써보면 이렇게 된다. [math(B\otimes_A B\to B)]를 생각하는데, 이것은 [math(b\otimes b\mapsto bb')]로 정의된다. 그러면 이것은 ring map이고 이것의 kernel을 [math(I)]라고 한다면
[math(\Omega^1_{B/A}=I/I^2)]
으로 정의된다. 이 정의는 이질적일 수 있지만 [math({\rm d}b=1\otimes b-b\otimes 1)]이라고 생각한다면 쉬울 것이다.

예를 들기 위해서 몇몇 case에서 이것을 계산해보자. [math(B=A[x_1,\cdots,x_n])]라면 [math(\Omega^1_{B/A}=\{\sum^{n}_{i=1} a_i {\rm d}x_i|a_i\in A\})]가 되고, [math(R)]이 characteristic p에 perfect ring[7]이라면 모든 [math(x\in R)]는 적당한 [math(y\in R)]가 있어서 [math(x=y^p)]가 되므로
[math({\rm d}x={\rm d}y^p=py^{p-1}{\rm d}y=0)]
이고, 따라서 [math(\Omega^1_{R/\mathbb{F}_p}=0)]이 된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서 [math(k'/k)]란 field extension이 separable일 필요충분조건은 [math(\Omega^1_{k'/k}=0)]임을 알 수 있다.

Kähler differnetial은 아주 대충 말하면 ramification을 재는 도구다. [math(A\to B)]가 of finite presentation이고 flat일 때 이런 Kähler differential이 [math(B)] 위에서 free가 아니라는 것은 [math(A\to B)]의 행동이 정말로 병적임을 의미한다.

Kähler differential을 계산하기 위한 도구는 많이 있다. 예를 들면 [math(A\to B\to C)]란 게 있다면
[math(\Omega^1_{B/A}\otimes_B C\to \Omega^1_{C/A}\to \Omega^1_{C/B}\to 0)]
이란 exact sequence가 있고, [math(C=B/I)]꼴이라면 이는
[math(I/I^2\to \Omega^1_{B/A}\otimes_B(B/I)\to \Omega^1_{(B/I)/A}\to 0)]
란 exact sequence로 변한다.
이제 [math(A\to B)]가 of finite presentation이고 그 Kähler differentials가 free라면 Noether normalization으로
[math(A\to A[x_1,\cdots,x_{n-m}]\to A[x_1,\cdots,x_n]\to B=A[x_1,\cdots,x_n]/(p_1,\cdots,p_m))]
가 있을 테고, 여기에서 [math(A[x_1\cdots,x_{n-m}]\to B)]쪽은 finite다. 그리고 위의 exact sequence로 [math(A[x_1,\cdots,x_{n-m}]\to B)]의 Kähler differentials는 0이다. free module의 submodule은 free여야 하고 finite algebra의 Kähler differentials는 free가 될 수 없으니까. 특히 [math(A\to B)]의 Kähler differentials가 0이라면 [math(B=A[x_1,\cdots,x_n]/(p_1,\cdots,p_n))]꼴이 되고 [math((p_1,\cdots,p_n))]들의 Jacobian matrix는 invertible이 된다.

사실 [math(Omega^1_{B/A})]가 free가 아니라면 Kähler differential은 별로 쓸모가 없다. 왜냐하면 그 이상의 정보를 알려주지 않기 때문인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우리는 cotangent complex라는 걸 정의하는데, 이것은 Kähler differential보다 훨씬 더 category theory의 관점에서 볼 때 다루기 쉽단 장점이 있다.

다음을 정의하자.
[math(B_1=B,B_2=A[B_1],B_3=A[B_2],\cdots)]
여기에서 [math(S)]가 set일 때 [math(A[S])]를 [math(A)]의 coefficient로 하는 [math(S)]의 원소들의 finite formal sum들의 [math(A)]-module이라고 하자. 그럼 이것들은 [math(B)]-module로 만들 수 있으며 이제 다음 complex를 정의하자.
[math(L_{B/A}=\cdots\to \Omega^1_{B_3/A}\otimes_{B_3}B\to \Omega^1_{B_2/A}\otimes_{B_2}B\to \Omega^1_{B/A}\to 0)]
이를 cotangent complex라고 한다.

cotangent complex의 정의에서 [math(B_{\bullet})]들은 사실 free [math(B)]-algebra가 되고 [math(B_{\bullet}\to B)]가 [math(B)]의 resolution이 되도록만 정하면 마음대로 정할 수 있다.

cotangent complex의 성질로 [math(A\to B\to C)]란 ring map이 있을 때 다음 distingushed triangle이 존재한다.
[math(L_{B/A}\otimes^{\mathbf{L}}_{B}C\to L_{C/A}\to L_{C/B}\to L_{B/A}\otimes^{\mathbf{L}}_{B}C[1]<)]
여기에서 [math(\otimes^{\mathbf{L}})]는 derived tensor product로 tensor product의 진짜 모습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우리는 작은 [math(i)]에 대해서 [math(H_i(L_{B/A}))]들을 직접 계산해볼 수 있는데, [math(H_0(L_{B/A})=\Omega^1_{B/A})]가 되고, [math(A[B]\to B)]의 kernel을 [math(I)]라고 한다면 [math(H_1(L_{B/A})=I/I^2)]가 된다.
[math(A\to B)]가 flat이고 [math(\Omega^1_{B/A})]이 0이라고 하자. 그러면 [math(A\to B)]에서 [math(B)]를 tensoring하면 [math(\Omega^1_{B\otimes_A B/B}=0)]이 되고, [math(B\to B\otimes_A B\to B)]하고 cotangent complex를 생각하고 homology를 일일이 구해주면 [math(L_{B/B\otimes_A B}=0)]가 된다. 따라서 [math(B\to B\otimes_A B\to B)]에 대해서 cotangent complex를 계산하면
[math(L_{B/A}=L_{B\otimes_A B/B}\otimes^{\mathbf{L}}_{B\otimes_A B} B=0)]
가 된다. 하지만 [math(L_{B/A}=0)]라고 [math(A\to B)]가 flat은 아니다. 여기 참조

이제 Noether normalization에서 얻은 [math(A\to A[x_1,\cdots,x_{n-m}]\to B)]와 바로 위에서 얻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math(\Omega^1_{B/A})]가 finite projective고 [math(A\to B)]가 flat이라면 [math(L_{B/A}=\Omega^1_{B/A}[0])]라는 사실을 얻을 수 있다.

한 가지 criterion을 만들어보자. [math(A\to B)]가 of finite presentation이고 flat일 때 [math(B=A[x_1,\cdots,x_n]/(p_1,\cdots,p_m))]이다. 여기에서 [math(p_1,\cdots,p_m\in A[x_1,\cdots,x_n])]이며 [math(m\le n)]다. 그러면
[math({\rm d}p_i=\sum^{m}_{i=1} \frac{\partial p_i}{\partial x_i}{\rm d}x_i)]
가 되고, cotangent complex의 first homology는 없으니까 [math(0\to A\to A[x_1,\cdots,x_n]\to B)]를 생각하면 [math(A[x_1,\cdots,x_n]\to B)]의 kernel을 [math(I)]라고 할 때
[math(0\to I/I^2\to \Omega^1_{A[x_1,\cdots,x_n]/A}\otimes_P B\to \Omega_{B/A}\to 9)]
이라는 exact sequence가 있고, 따라서 [math(\Omega^1_{B/A})]는 [math(\Omega^1_{A[x_1,\cdots,x_n]/A})]를 [math({\rm d}p_i)]들로 나눈 걸로 볼 수 있기에 [math(\Omega^1_{B/A})]가 [math(B)] 위에서 finite projective module일 필요충분조건은
[math(\begin{pmatrix} \frac{\partial p_1}{\partial x_1} & \frac{\partial p_1}{\partial x_2} &\cdots & \frac{\partial p_1}{\partial x_n} \\ \frac{\partial p_2}{\partial x_1} & \frac{\partial p_2}{\partial x_2} & \cdots & \frac{\partial p_2}{\partial x_n} \\ \cdots & \cdots & \ddots & \cdots \\ \frac{\partial p_m}{\partial x_1} & \frac{\partial p_m}{\partial x_2} & \cdots & \frac{\partial p_m}{\partial x_n}\end{pmatrix})]
의 [math(n\times n)]-submatrix들이 모두 invertible인 것을 뜻한다.


4.2. 형식 사상들 (formal morphisms)[편집]


먼저 [math(B)]가 ring이라고 하고, [math(I\subseteq B)]가 [math(I^2=0)]를 만족하는 ideal이라고 하자. 이는 직관적으로 [math(B)]란 [math(B/I)]에다가 무한소를 추가한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math(X\to S)]가 morphism of schemes라고 하면 다음을 정의하자. 여기에선 functor of points에서 썼던 기호를 쓰자.
  • [math(f)]가 formally smooth라는 것은 다음 대응 [math(X(B)\to X(B/I))]가 surjection인 것이다.
  • [math(f)]가 formally unramified라는 것은 다음 대응 [math(X(B)\to X(B/I))]가 injection인 것이다.
  • [math(f)]가 formally étale이라는 것은 다음 대응 [math(X(B)\to X(B/I))]가 bijection인 것이다.

이들은 cotangent complex하고 큰 상관이 있는데, 먼저 ring map [math(A\to B)]가 formally smooth인 것은 polynomial ring에서 오는 모든 surjection [math(P\to B)]에 대해서 이것의 kernel을 [math(J)]라고 하면 [math(P/J^2\to B)]는 section으로 [math(B\to P/J^2)]를 가진다는 것과 동치임을 쉽게 알 수 있으며, 따라서 formally smooth라는 것은 [math(\Omega^1_{P/A}\otimes_P B=\Omega^1_{(P/J^2)/A}\otimes_P B)]의 direct calculation으로
[math(0\to J/J^2\to \Omega^1_{P/A}\otimes_P B\to \Omega^1_{B/A}\to 0)]
가 split exact sequence라는 것과 동치다. 이는 다시 cotangent complex로 옮기면 [math(L_{B/A}=\Omega^1_{B/A}[0])]이고 [math(\Omega^1_{B/A})]가 projective [math(B)]-module이란 것과 동치며 다음을 정의할 수 있다.
  • [math(A\to B)]가 smooth morphism이란 것은 이것이 of finite presentation이고 [math(\Omega^1_{B/A})]가 finite projective [math(B)]-module이고 [math(L_{B/A}=\Omega^1_{B/A}[0])]일 때를 말한다.

이제 smooth morphism에 대해서 설명해보자. smooth morphism [math(\mathbb{X}\to {\rm Spec}\,\mathbb{Z}_p)]를 생각해볼 텐데, 여기 위의 [math(\mathbb{F}_p)]-point [math(\bar{x}\in X(\mathbb{F}_p))]를 생각하자. 그러면 smooth morphism은 formally smooth이므로 이는 적당히 [math( x\in X(\mathbb{Z}_p))]로 lift할 수 있다.[8]

local ring 사이 local homomorphism [math(A\to B)]가 있다고 하고 이것이 smooth morphism이라고 하자. 그러면 이것은 flat인데, [math(A)]가 noetherian이라고 가정할 수 있고, 그러면 [math(A[x_1,\cdots,x_n]\to B)]를 생각하고 왼쪽 ring을 [math(B)]의 maximal ideal로 localize한 걸 [math(P)]라고 쓰고 이는 [math(A)] 위에서 flat이고 [math(P\to B)]의 kernel을 [math(I)]라고 한다면 formally smooth의 정의로 [math(B\to P/I^i)]를 만들 수 있고 따라서 [math(\hat{P}\to B)]의 section [math(B\to \hat{P})]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math(B)]는 [math(\hat{P})]의 direct summand고 [math(\hat{P})]는 [math(A)]에서 flat이니 [math(B)]도 [math(A)]에서 flat이다. 그리고 flat은 local property니 [math(A,B)]가 local ring이란 가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cotangent complex 할 때 마지막에서 두번째로 설명한 것으로 smooth morphism은 flat이고 [math(\Omega^1_{B/A})]가 finite projective인 것으로만 설명해도 된다.

noetherian local ring [math(A)]이 regular라는 것을 이것의 maximal ideal을 [math(\mathfrak{m})]이라고 하면 [math(A)]의 Krull dimension이랑 [math(\mathfrak{m}/\mathfrak{m}^2)]를 [math(A/\mathfrak{m})]-vector space로 봤을 때의 dimension이랑 같다고 해보자. regular란 notion은 smooth란 notion하고 비슷한데, 대신 이것은 residue field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는다.
[math(A)]가 field [math(k)] 위에 있고 [math(k\to A)]는 smooth morphism이라고 해보자. 그러면 [math((A/\mathfrak{m})/k)]라는 field extension이 separable이 되어야 하고, 그러면 [math(k\to A\to A/\mathfrak{m})]는
[math(0\to \mathfrak{m}/\mathfrak{m}^2\to \Omega^1_{A/k}\otimes_A (A/\mathfrak{m})\to \Omega^1_{(A/\mathfrak{m})/k}\to 0)]
라는 exact sequence를 만들고, 맨 마지막이 사라지므로 다음을 얻을 수 있다.
[math(\dim A=\dim_{A/\mathfrak{m}} \Omega^1_{A/k}\otimes_{k}(A/\mathfrak{m})=\dim_{A/\mathfrak{m}}\mathfrak{m}/\mathfrak{m}^2)]
여기에서 첫번째는 smooth면 [math(\Omega^1_{A/k})]의 rank와 [math(A)]의 Krull dimension은 같다는 데에서 얻을 수 있다. 그러니까 smooth면 regular다. 하지만 역은 성립하지 않는데, 위에서 말했듯이 regular라는 조건은 residue field에 대해서 어떤 조건도 주지 않지만 smooth란 조건은 residue field에도 조건을 만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math(\mathbb{F}_p(t)\to \mathbb{F}_p(t^{\frac{1}{p}}))]는 regular지만 smooth는 될 수 없다. 하지만 [math(k)]에 perfect field란 조건을 붙혀 준다면 regular와 smooth는 서로 동치조건이 된다.
regular local ring of Krull dimension 1은 바로 discrete valuation ring이다. 이는 curve를 다룰 때 중요한데, smooth curve over a field는 모든 local ring이 generic point만 뺀다면 이런 discrete valuation ring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럴 때 smooth curve의 rational function의 각 점에서의 degree는 maximal ideal로 만들어진 filtration에서 어느 부분에 들어가 있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formally unramified에 대해서 알아보자. [math(A\to B)]가 formally unramified map이라면 [math(I={\rm Ker}(B\otimes_A B\to B))]라고 하고
[math(\sigma_1,\sigma_2:B\to B\otimes_A B/I^2)]
둘을 [math(\sigma_1(b)=b\otimes 1, \sigma_2(b)=1\otimes b)]라고 하면 이 둘은 [math(B\otimes_A B/I)]에선 같고 따라서 formally unramified map의 정의로 [math(\sigma_1=\sigma_2)]로 [math(\Omega^1_{B/A}=0)]가 나온다. 반대는 Kähler differentials의 universal property를 생각하면 formally unramified란 것은 그냥 [math(\Omega^1_{B/A}=0)]이라는 것과 동치가 된다. 이제 다음을 정의하자.
  • [math(A\to B)]가 of finite presentation이고 [math(\Omega^1_{B/A}=0)]이면 이를 unramified morphism이라고 하자.

두 local field 사이 local homomorphism [math(A\to B)]가 unramified라면 두 local ring의 residue field extension은 finite separable extension이 된다. 그리고 [math(\mathfrak{m}_AB=\mathfrak{m}_B)]가 되는데, 아니어서 [math(B/\mathfrak{m}_AB)]가 [math(B/\mathfrak{m}_B)] 위 dimension [math(n)]인 vector space라면 Nakayama lemma로 [math(\Omega^1_{B/A})]은 [math(A)] 위에서 rank n-1일 테고 이는 모순이다.
반대로 [math(A\to B)]가 of finite presentation이고, residue field extension이 finite separable이고 [math(\mathfrak{m}_AB=\mathfrak{m}_B)]라면 같은 Nakayama lemma로 [math(A\to B)]는 unramified가 된다.
unramified morphism은 이름 그대로 umramified인 것들만 나타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math(L/K)]가 local field 사이의 totally ramified extension이고 [math(L^{\circ}/K^{\circ})]가 그 ring of integers 사이의 extension일 때 이것은 절대로 unramified morphism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maximal ideal을 옮기면 maximal ideal이란 성질이 깨지기 때문이다.

이제 다음을 정의하자.
  • [math(A\to B)]가 étale이라는 것은 flat이고 unramified인 것이다.
이는 간단하게 smooth이고 unramified인 것, 또는 of finite presentation이고 formally étale이라는 것과 동치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럴 경우엔 [math(\hat{A}\to \hat{B})]는 isomorphism이 되고 local ring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두 local ring이 어떤 algebraically closed field 위에 있다고 할 때 이것이 isomorphism이란 것과 [math(A\to B)]가 étale이라는 건 동치다.


4.3. 유한 에탈 사상 (finite étale morphism)[편집]


여기에선 주로 finite flat morphism과 finite étale morphism을 다룰 것이다.
먼저 flat morphism은 open subscheme을 open subscheme으로 옮긴다. 그리고 finite morphism은 proper니까 closed subscheme을 closed subscheme으로 옮긴다. 따라서 [math(X,S)]가 connected라면 [math(f:X\to S)]란 finite flat morphism은 언제나 surjection이다.

finite flat morphism은 직관적으로 차원은 바꾸지 않고 점만 여러개로 바꾸는 morphism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math(X,S)]가 어떤 field [math(k)] 위에서 모두 dimension 1이고 irreducible이고 smooth인 curve라고 해보자. 그러면 [math(x\in X)]를 하나 잡고 [math(f(x))]를 생각하면
[math(f_x:{\cal O}_{S,f(x)}\to {\cal O}_{X,x})]
를 만들 수 있고, 둘은 discrete valuation ring이고 이제 [math(X)] 안에 유일하게 있는 generic point를 [math(\eta)]라고 한다면 [math(K(X)={\cal O}_{X,\eta})]라고 쓰리고 하고 [math(K(X)/K(S))]가 separable이라면
[math(f_x(\mathfrak{m}_{S,f(x)}){\cal O}_{X,x}=\mathfrak{m}^{e_x}_{X,x})]
인 [math(e_x)]가 반드시 있고, 이를 ramification index라고 하자. 그렇다면 언제나 [math(e_x\ge 1)]이고, [math(f:X\to S)]가 finite étale이라는 것은 모든 [math(x\in X)]에 대해서 [math(e_x=1)]이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math(X\to S)]가 étale이면 이것은 quasi-finite가 된다. 어떤 fibre가 dim.이 1 이상이면 거기에서 Kähler differentials가 rank 1 이상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Zariski main theorem으로 적당한 scheme [math(X')]가 있어서 [math(X\to S)]는 open immersion [math(X\to X')]하고 finite étale morphism [math(X'\to S)]로 분해된다. 따라서 étale morphism을 다루는 것은 finite étale morphism을 다루는 것과 같다.

예제를 몇 개 들어보자. [math({\rm Spec}\,\mathbb{Z})]는 scheme들 중에서 가장 간단한 scheme이고, 이것의 finite étale covering [math(X\to {\rm Spec}\,\mathbb{Z})]가 있는지 생각해보자. 그러면 generic point를 생각하면 이는 [math(K(X)/\mathbb{Q})]란 finite extension을 만들며, 이는 unramified extension을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이는 Minkowski의 geometry of numbers로 [math(\mathbb{Q})] 자신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math({\rm Spec}\,\mathbb{Z})]의 finite étale covering은 자기 자신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제 field [math(k)]에 대해서 [math({\rm Spec}\,k)]의 finite étale covering을 생각해보자. 어떤 [math(X\to {\rm Spec}\,k)]라는 finite étale morphism이 있다면 그 fibre는 discrete topology를 이뤄야 하고 원소는 유한개니까 local artinian rings of residue field [math(k)]인 [math(A_1,\cdots,A_n)]이 있어서
[math(X={\rm Spec}\,A_1\sqcup {\rm Spec}\,A_2 \sqcup \cdots \sqcup {\rm Spec}\,A_n)]
가 된다. 이제 unramified란 조건에서 [math(A_1,\cdots,A_n)]들은 모두 field여야 하고 덤으로 [math(k)]의 separable extension이어야 한다. 그러니까 [math(k)] 위 finite étale covering은 [math(k)]의 separable extension들 [math(k_1,\cdots,k_n)]이 있어서 [math(k_1\times k_2\times \cdots \times k_n)]이다.
우리는 [math(k)]가 algebraically closed field일 때 [math(\mathbb{P}^1_k)]의 finite étale covering을 생각해보자. 있어서 [math(X\to \mathbb{P}^1_k)]로 쓰인다면 증명하진 않았지만 Riemann-Hurwitz formula를 쓰면 [math(K(X)/k(t))]의 degree를 [math(N)]이라고 하고 [math(g(X))]를 [math(X)]의 genus[9]라고 하면
[math(2g(X)-2=N(2g(\mathbb{P}^1_k)-2)+\sum_{x\in X}(e_x-1)=-2N+\sum_{x\in X}(e_x-1))]
가 되며, [math(e_x=1)] for all [math(x\in X)]라면 왼쪽은 0 이상 오른쪽은 0 미만이 되므로 모순이고 따라서 [math(\mathbb{P}^1_k)]도 그 finite étale covering이 자기 자신밖에 없다.
이제 finite étale covering이 자기 자신밖에 없는 것들에서 점 유한개를 빼보자. 그러니까 [math({\rm Spec}\,\mathbb{Z}-\{p_1,\cdots,p_n\})]이나 [math(\mathbb{P}^1_k-\{x_1,\cdots,x_n\})]을 생각해보자. 그러면 이것들의 finite étale covering은 존재할 수 있게 되는데, 첫번째의 경우엔 [math(p_1,\cdots,p_n)] 바깥에서 unramified이고 이 소수들에 대해선 ramified여도 되므로 존재하고, 두 번째는 affine line에서 생각하면
[math(x^p-x:\mathbb{A}^1_k\to \mathbb{A}^1_k)]
를 생각하자. 그러면 [math(x^p-x)]의 미분은 [math(-1)]이므로 이것은 finite étale이다. 이를 Artin-Schreier covering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math(K)]가 local field고 [math(K^{\circ})]가 그 ring of integers일 때 [math({\rm Spec}\,K^{\circ})]의 finite étale covering을 구해보자. 그러면 [math(X\to {\rm Spec}\,K^{\circ})]라는 finite étale covering이 있을 때 closed point의 fibre를 생각하는 것으로 [math(X)]의 topology 구조를 알아챌 수 있으며, 이 구조에 의하면 적당한 discrete valuation ring들 [math(R_1,\cdots,R_n)]이 있어서 [math(X={\rm Spec}\,R_1\sqcup \cdots \sqcup {\rm Spec}\,R_n)]이 된다. 그리고 [math(R_i)]들은 모두 [math(K^{\circ})]의 unramified extension이 되어야 하며, 계산이 끝났다.


4.4. 갈루아 이론 (Galois theory)[편집]


이제 우리는 field 위에서만 하던 갈루아 이론을 임의의 scheme으로 확장해보자.
위의 예제에서 [math(k)]가 field일 때 [math({\rm Spec}\,k)]의 finite étale covering은 사실 [math(k)]의 separable extension하고 아무 다를 게 없다. 그런 의미에서, finite flat morphism [math(f:X\to S)]의 degree를 [math(K(X)/K(S))]의 degree로 정의하고 finite étale morphism [math(f:X\to S)]가 Galois라는 것을 [math(S)]에선 identity인 [math(X)]의 automorphism의 갯수가 [math(f:X\to S)]의 degree하고 같을 때로 정의하자. 그리고 그 automorphism group을 [math({\rm Gal}(X/S))]라고 하자.
[math(X\to S)]가 finite étale일 때 [math(X'\to X\to S)]라는 합성했을 때 Galois가 되는 finite étale morphism들은 언제나 존재한다. 이는 [math({\cal O}_{S}(U)\to {\cal O}_{X}(f^{-1}(U)))]라는 map은 integral extension을 만들고, 이제 이것이 Galois가 되도록 integral element의 conjugation을 열심히 붙혀주자.
scheme [math(X)]의 geometric point란 separably closed field [math(k')]와 morphism [math({\rm Spec}\,k'\to X)]를 뜻한다. 이는 간단히 [math(X)]의 어떤 point의 residue field의 separably closed field를 잡아준 건데, field하곤 달리 scheme에선 그에 대응되는 separably closed field라는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10]
그렇다면 [math(X)]가 connected라면 [math({\rm Spec}\,k)]의 image의 closure의 codimension에만 의존하도록 Galois group을 정의할 것이다.

이제 [math(x:{\rm Spec}\,k'\to S)]란 geometric point를 하나 잡을 때 [math({\rm Spec}\,k'\to X\to S)]를 생각하자. 이는 대충 말하면 [math(X)]를 [math({\rm Spec}\,k')]의 subfield처럼 생각하겠단 것이다. 그렇다면 다음을 정의하자.
[math(\pi_1(X,x):=\lim_{x\to X\to S} {\rm Gal}(X/S))]
여기에서 limit는 inverse limit다. 그럼 이를 étale fundamental group이라고 부르자.

먼저 간단한 예로 [math({\rm Spec}\,\mathbb{Z})]를 보자. 그러면 이것은 fintie étale cover가 자기 자신밖에 없으므로 [math(\pi_1({\rm Spec}\,\mathbb{Z},x)=0)]다.
[math({\rm Spec}\,k)]를 보자. 그러면 이것은 geometric point가 자명한 [math(x:{\rm Spec}\,k^{{\rm sep}}\to {\rm Spec}\,k)] 하나밖에 없고, 그 fundamental group은
[math(\pi_1({\rm Spec}\,k,x)={\rm Gal}(k^{{\rm sep}}/k))]
가 된다.

이제 조금 특이한 예로 [math(k)]가 algebraically closed field일 때 [math((\mathbb{A}^1_k\setminus \{0\})/k)]를 생각해보자. 이는 [math(k)]에 가운데가 뻥 뚫린 [math(k^{\times})]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면 이것의 finite étale covering은 [math(x\mapsto x^n)]같은 것들이 있으며, 이런 것들밖에 없다. 0말고 다른 데 zero가 있다면 [math(\infty)] 말고도 다른 데 pole이 있어야 하니까. 그리고 이런 finite étale covering들의 Galois group은 [math(\mathbb{Z}/n\mathbb{Z})]고, 따라서 그 étale fundamental group은
[math(\pi_1((\mathbb{A}^1_k\setminus\{0\})/k,x)=\prod_{p}\mathbb{Z}_p)]
가 된다.

[math(k)]가 아무 field고, [math(X)]가 [math(k)] 위 scheme이라고 하자. 그리고 [math(x:{\rm Spec}\,k\to X)]를 아무 geometric point라고 하면 다음 exact sequence가 있다.
[math(0\to \pi_1(X,x)\to \pi_1(X\times_k k^{{\rm sep}},x)\to {\rm Gal}(k^{{\rm sep}}/k)\to 0)]
이것은 간단히 automorphism을 [math(k^{{\rm sep}})]를 고정하는 것과 오로지 [math(k^{{\rm sep}})]만 움직이는 것으로 분해한 것이다. 그렇다면 이 exact sequence에서 맨 앞의 group을 arithmetic fundamental group이라고 하고 가운데의 group을 geometric fundamental group이라고 부른다.

étale fundamental group의 중요한 점은 이것을 계산했을 때 finite étale morphism [math(f:X\to S)]를 알아낸다는 것에 있지 않고 [math(\ell)]-adic lisse sheaf를 알아낸다는 것에 있을 것이다.
먼저 평범한 Galois theory를 생각해보자. fundamental theorem of Galois theory는 [math({\rm Gal}(k'/k))]의 subgroup하고 [math(k'/k)] 사이의 field 사이 대응을 만든다. 그리고 여기에서 [math({\rm Gal}(k'/k))]의 subgroup을 finite [math({\rm Gal}(k'/k))]-set으로 바꾼다면 사이의 field는 다음과 같은 finite étale covering
[math({\rm Spec}\,k'\to {\rm Spec}\,A\to {\rm Spec}\,k)]
를 분류해낸다.

이제 étale topology라는 것을 정의하자. 이것은 [math({\rm Sch}_X)]에 주는 topology인데, open covering을 [math(\{U_i\to U\})], [math(U_i\to U)] is étale이고 그 image들의 union이 자기 자신인 것으로 정의한다. 이것은 Zariski topology하곤 다르데 étale fundamental group하고 딱 맞는 notion이다. 그럼 이런 étale topology 위의 sheaf를 étale sheaf라고 하자.
quasi-compact [math(X)] 위의 étale sheaf [math({\cal F})]가 constant라는 것은 적당한 abelian group [math(A)]가 있어서 [math({\cal F}(U)=A)] for all étale [math(U\to X)]인 것이다. 그리고 [math({\cal F})]가 locally constant라는 것은 적당한 étale open covering [math(\{U_i\to X\})]가 있어서 [math({\cal F}|_{U_i})]가 모든 [math(i)]에 대해서 constant sheaf인 것이다.
[1] tensor product는 filtred colimit를 보존한다.[2] 증명은 먼저 [math(A)]가 local ring일 때 local ring에서 f.g. flat은 free임을 Nakayama lemma로 증명하고 direct limit를 생각하면 local ring에서 증명은 쉽게 끝나고, exact sequence라는 성질은 local property임을 생각한다.[3] 간단히 quotient는 원소 하나로 생성되니까[4] 그러니까 위에 있는 ring의 모든 원소는 아래 있는 ring의 원소들을 coefficient로 갖는 monic polynomial의 zero로 표현된다.[5] 이런 분류는 일반적으로 complete local ring이 아니더라도 Henselian local ring이면 성립한다. 그런데 Henselian에 대해서 이렇게 분류하는 건 Zariski main theorem을 필요로 한다. (...)[6] 이는 [math({\rm Spec}\,A)]가 아니라 그냥 어떤 scheme을 놓아도 성립한다.[7] Frobenius가 bijection인 ring[8] [math(\mathbb{Z}_p)]는 [math(\mathbb{F}_p)]의 infinitesimal extension으로 볼 수 있다.[9] [math(\dim_k H^1(X,{\cal O}_X))][10] 정확하게 말한다면, 있긴 있지만 그 모양새가 너무 괴팍해서 영 쓰기 껄끄럽다. 하지만 proétale topology를 할 때는 이 topology로 만들어지는 topos를 replete topos로 만들어주기에 꽤나 유용하게 쓰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8;"
, 8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8;"
, 8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9;"
, 9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9;"
, 9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0;"
, 10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10;"
, 10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30 02:36:00에 나무위키 스킴(대수기하학)/여러가지 사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