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리의 날 (군가)

덤프버전 : r20200302



1. 개요
2. 퍼레이드 버전
2.1. 가사
3. 트리비아


День Победы(러시아어). '졘 빠볘듸'[1]


1. 개요[편집]





붉은 군대 합창단이 부른 판본.

작사: 블라디미르 하리토노프 (Владимир Харитонов, 1920-1981)
작곡: 다비트 투흐마노프 (Давид Фёдорович Тухманов, 1940-)

러시아군가. 이름의 어원은 승리의 날 문서를 참조.

처음으로 부른 가수는 레프 레셴코(Lev Valerjanovich Leshchenko/Лев Валерианович Лещенко, 1942-)이다.

이 노래는 전쟁이 끝나고도 한참 뒤인 1975년에 2차대전 30주년 기념곡 공모전에 제출된 노래로, 당시에는 자본주의 냄새가 풀풀 난다고 해서 입선에 실패하였다. 그뒤에는 승전행사는 커녕 밤에 흘러간 노래 위주로 진행되는 갈루보이 오고뇨크(Голубой огонёк)라는, (한국으로 친자면) 가요무대같은 TV프로그램에서나 틀어주던 곡이었다. 항간엔 이 노래가 노병을 주제로 하고 있다 보니, 이걸 들으면 소련군이 힘빠진다고(…) 틀지 말라고 했다는 설도 있다고 한다.

바로 이 때에 부르던 가수가 레셴코였으며, 그저 그런 노래로 묻힐 뻔 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그 해 소련 경찰의 날이었던 11월 10일에 이런 흥행 저조를 단번에 박살내고, 말 그대로 대박을 쳤다고 한다.

하지만 이 노래가 이 날에 항상 틀어주는 단골곡이 된 데에는 더 큰 이유가 있는데, 바로 당시 소련 서기장이었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이 곡에 아주 빠져 살았다고 한다. 그래서 그저 그런 가요로 묻힐 뻔한 곡이 결국 정식 군악으로 승격되고, 매년 승전일마다 연주되게 되었다.


2. 퍼레이드 버전[편집]



위는 미하일 미칼로프 소장이 지휘한 퍼레이드 버전이다.
2011년 퍼레이드의 49분에 이 곡이 연주 된다. 지난 2007년에는 레셴코 본인이 승전기념 행사에 등장, 이곡을 직접 부르기도 했다.영상

2015년 70주년 기념식에도 레셴코 본인이 기념행사에서 직접 이 노래를 불렀다. 영상

2.1. 가사[편집]


러시아어
로마자
한국어
1절
День Победы, как он был от нас далёк,
Den' Pobedy, kak on byl ot nas dalyok,
승리의 날이여. 이를 위해 얼마나 멀리 달려왔던가
Как в костре потухшем таял уголёк.
Kak v kostre potukhshem tayal ugolyok.
폐허가 된 고향에서 꺼져가는 포연속에서의 승리의 날이여.
Были вёрсты, обгорелые, в пыли[2]
Byli vyorsty, obgorelye, v pyli
승리를 위해, 불타버린 머나먼 길을 달려왔고
Этот день мы приближали как могли.
Etot den' my priblizhali kak mogli.
이날을 위해 우리 모두 장렬하게 싸워왔네.
후렴
Этот День Победы Порохом пропах,
Etot Den' Pobedy Porokhom propakh,
강토가 화약냄새로 덮여버린 승리의 날이여.
Это праздник С сединою на висках.
Eto prazdnik, S sedinoyu na viskakh.
그날의 용사들이 모인 승리의 날이여.
Это радость Со слезами на глазах.
Eto radost' So slezami na glazakh.
그때의 환희로 우리 모두의 눈에 눈물이 고이네.
День Победы! x3
Den' Pobedy! x3
승리의 날이여! x3
2절
Дни и ночи у мартеновских печей
Dni i nochi u martenovskikh pechey,
밤낮으로 우리는 시련을 겪었고
Не смыкала наша Родина очей.
Ne smykala nasha Rodina ochey.
우리의 고향은 잠들지 못했네.
Дни и ночи битву трудную вели
Dni i nochi bitvu trudnuyu veli,
우리는 고향을 위해 악귀같이 싸웠고,
Этот день мы приближали как могли.
Etot den' my priblizhali kak mogli.
이날을 위해 우리 모두 장렬하게 싸워왔네.
3절
Здравствуй, мама, возвратились мы не все
Zdravstvuy, mama, vozvratilis' my ne vse
엄마, 그간 잘 계셨어요? 우리들 중 몇몇은 고향에 돌아오지 못했지만은…
Босиком бы пробежаться по росе!
Bosikom by probezhat'sya po rose!
우리 모두 맨발로라도 집으로 가고 싶어요!
Пол-Европы, прошагали, пол-Земли
Pol-Yevropy proshagali, pol-Zemli
유럽의 반을, 천하의 반을 큰 걸음으로 달려왔네,
Этот день мы приближали как могли
Etot den' my priblizhali kak mogli.
이날을 위해 우리 모두 장렬하게 싸워왔네.
후렴 x2

보면 알겠지만 가사가 매우 장렬하다. 이런데도 '자본주의 냄새가 난다'고 퇴짜를 맞은게 아이러니하다고 느낄 수 있는데, 소련 등 구 동구권에서 문화매체에 '자본주의 냄새가 난다'고 하는 건 십중칠팔 내용이 감상적이라는 이야기다. 이 노래도 가사나 메들리 등은 소련군 찬가 같은 군가와 비교하면 꽤 감상적인 편이다.


3. 트리비아[편집]


북한에서는 조선인민군공훈국가합창단이 문화어로 번안해서 불렀다. 보통 북한의 군가나 선전가요는 한국인 입장에서는 유치하고 웃기기 짝이 없는 수준이지만 이건 그냥 그대로 뜻만 번역해서 그런지 원곡처럼 장엄하고 비장함이 살아있는 편이다. 하지만 링크 올렸다간 코렁탕 먹을 수 있으니 올리지 말자. 그래도 유튜브에는 다 있다
[1] 구개음화 및 모음의 강세 때문에 이렇게 발음이 난다. 마지막 모음이 '의' 발음이 나고 구개음화가 없기에 마지막 발음은 지가 아니라 듸다.[2] 원문은 '베르스타(верста)'로 러시아의 거리단위를 말한다. 약 1.067km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