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대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구분
4. 지질사
4.1. 한반도에서의 신생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Cenozoic Era

자연사에서 조류를 제외한 공룡[1]이 멸종된 중생대인 기원전 6,600만 년 이후 포유류가 크게 번성하며 인류가 첫 출현하게 된 (기원전 600만 년부터) 지질시대의 최근 시대를 일컫는 말.

신생대 또한 인류의 관점에서 보면 아주 긴 시기이며, 중생대와 마찬가지로 여러 단계의 시기가 있었다. 공룡을 연상케할 정도로 거대한 파라케라테리움 같은 동물들이 살던 시기도 있었다.

보통 "신생대"하면 매머드스밀로돈이 돌아다니던 빙하시대만을 연상하고는 한다.[2] 하지만 신생대에는 빙하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후변화가 있었으며 빙하기는 신생대의 일부분이자 현재를 기준으로 끝자락의 시기에 불과하다. 그 중에서도 우리가 생각하는 빙하기는 신생대 중에서도 거의 최근의 시기. 지구 전체 역사를 1년으로 치면 12월 31일이 끝나기 고작 몇시간 전에 불과하다.[3]현재 또한 신생대이다.

2. 구분[편집]




신생대는 크게 고진기, 신진기, 제4기로 구분된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중생대를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나누어 부르는 것과 달리 신생대를 3단계로 나누어 부르기보단 그냥 '신생대'라고 하는 경우가 훨씬 많고 일반적이다.

제3기라는 이름은 원래 조반니 아르뒤노가 시대(Era)를 제1기(Primary period), 제2기(Secondary period), 제3기(Tertiary period)로 구별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서기 1829년에 4기가 추가되었다. 그러다 고생물학의 발전으로 1기와 2기는 적절하게 설정되지 않았다는 평가[4]로 더이상 사용되지 않고 3기, 4기라는 이름만이 신생대에 포함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제3기도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의 차이가 컸기 때문에 고진기와 신진기로 구분하고 있었는데, 이후 제3기라는 용어 자체를 해체하고 고진기와 신진기를 정식 기(period)로 규정하게 되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참고해보면 고제3기가 팔레오기, 신제3기가 네오기로 되어있다. 영어식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한국지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여전히 제3기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2021년 12월 5일 국제층서위원회에 대한지질협회가 한국어판 ICC, 즉 시대구분을 하느 도표를 발간하겠다고 의견을 표했으며 국제층서위원회의 승인을 거친 후 지질학회의 기준 수립및, 의견 수렴을 통해 2022년 11월 경 한국어판 ICC가 발간되었다. 이를 통해 팔레오기는 고진기로, 네오기는 신진기로 정해졌다.

  • 고진기(팔레오기)[5](고제3기)[6]
파일:50-Ma-Moll-Paleo_Eocene-GPT-min-1.jpg

  • 신진기(네오기)[7](신제3기)[8]
파일:10-Ma-Moll-_Neo-Mio-GPT-min-1.jpg



3. 진화사[편집]


약 6600만 년 전인 중생대 백악기 말, K-Pg 멸종으로 비조류 공룡, 익룡, 수장룡, 바다 도마뱀 등이 멸종하면서 시작되었다. 포유류가 번성한 시대이지만 신생대 초기 고진기에는 대멸종에서 살아남은 일부 수각류 조류 개체가 공포새와 같은 일부 육지 조류로 진화하여 육상 악어류, 캄프소사우루스, 포유류 중 다구치류와 함께 중생대에서 생존한 잔존동물로 여명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 후 에오세 중기 이후 전 지구적 대격변이 일어나 기온이 하강하고 시간이 지나 빙하기가 가까워지면서 중생대의 잔존동물들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점차 사라지고 반면 신진기 현생 포유류들이 그 틈을 타 주변 환경에 맞춰 진화하면서 생태계를 지배하기 시작한다.

이후 포유류는 진화를 거듭하여 모든 대륙에 번성하였고, 기원전 600만 년에 아프리카에서 분화된 한 영장류 종인 호모 사피엔스는 전 지구에 퍼져나가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를 넘어 아예 우주에 진출한 지성을 갖춘 생태계의 군림자이자 이해자가 되었다.

그러나 엄밀히 따지면 신생대 역시 중생대의 종들의 후손들이 버티고 있다. 일부 수각류 개체들이 현생 조류로 진화한 뒤 지구 곳곳에서 번성하고 있다.[9]


4. 지질사[편집]


지질학적으로는 대륙이 이동하며 현재 위치로 자리잡게 된 시기이다. 인도 아대륙아시아 대륙에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이 형성되었으며 아프리카가 아시아와 충돌하여 홍해가 형성되었다. 테티스해가 히말라야 산맥이 됨에 따라 지중해, 흑해, 카스피 해, 아랄 해로 변화되었고 북미남미의 충돌로 하나의 아메리카 대륙과 파나마 지협이 형성되었으며 아마존 강안데스 산맥이 생긴 시대도 신생대이다.

한반도제주도 역시 신생대에 형성되었다. 또한 일본 열도가 아시아 대륙에서 떨어져 나가며 현 한반도, 일본, 동해[10] 등이 생겼다.


4.1. 한반도에서의 신생대[편집]


오늘날 한국의 지형 구조인 한반도의 동고서저 지형이 만들어진 계기가 신생대 제3기의 경동성 요곡 운동이다. 제4기에는 화산 폭발로 용암이 분출하여 제주도, 울릉도, 독도 등이 형성되었다. 또한 인도가 유라시아 대륙과 합쳐지면서 티베트 고원과 히말라야 산맥, 쓰촨성 일대 고지대가 형성되면서 일본열도 지역이 유라시아 대륙에서 분리되면서 동해가 형성된다.

생물상은 퇴적층이 별로 없어서 정보가 부족하지만 북한황해북도 봉산군 에오세 지층과 함경북도 길주군 마이오세 지층, 남한포항시울산광역시의 해상 퇴적층, 강원특별자치도 북평 등을 보면 어느 정도 유추가 가능하다. 유라시아 대륙에 살던 종들과 비슷한 걸로 보인다.

  • 황해도 봉산 지층: 기제류와 메소닉스[11] 계열 포유류와 민물고기, 속씨식물
  • 함경북도 길주군 지층: 곰포테리움
  • 강원 북평: 햄스터다람쥐설치류, 오리, 잉어류
  • 포항과 울산 지층: 고래돌고래, 자라, 메갈로돈가오리 계열 연골어류, 경골어류, 조개갑각류, 속씨식물

한반도의 공룡 화석 등을 두고 "한국 공룡들은 석유는 커녕 발자국이나 화석 뿐이냐?"라는 농담도 있지만, 현재 석유의 기원은 공룡에서 비롯됐다고 보기보다는 다양한 원인의 가설이 있으며, 심지어 석유가 생물체로부터 온 게 아니라는 설이 대두되는 실정이다.(석유 무기물 기원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21:40:42에 나무위키 신생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조류도 수각류 공룡의 하나로 분류하고 있다.[2] 매머드에는 털이 없는 다양한 종류도 있었고, 빙하기 이전에도 살았지만, 흔히 빙하기의 긴 털을 가진 모습을 떠올린다.[3] 신생대는 약 6천만 년간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빙하기(인류가 겪은 가장 마지막 빙하기)의 끝은 약 기원전 10500년으로 선사시대 최후기의 시대이자 인류 문명 시작 직전의 시기이다. 우리가 모두 같은 시대에 존재했을 것이라 착각하는 수많은 종류의 포유류들은 여러 종이 명멸하며 무려 6천 6백만 년 가까이 지구를 활보했고, 지구의 나이는 45억년이 넘으니 인류가 겪은 빙하기 시대는 지구 입장에선 찰나의 시간이다.[4] 참고로 1기와 2기는 각각 고생대중생대로 대체되었다.왜 신생대는 3기와 4기로 구별될까?[5] Paleo(오래된)+gene(생기다)의 합성어[6] 일본 및 예전 한국에서 쓰였던 명칭.[7] Neo(새로운)+gene(생기다)의 합성어[8] 일본 및 예전 한국에서 쓰였던 명칭.[9] 중생대와 다른 변화는 중생대 공룡이 육지에서 주류 생태적 지위를 우점하고 있던데 비해 신생대에서는 비조류 공룡이 차지하고 있던 육상 생태계의 주류 지위를 포유류에게 대체되었으며, 반면 신생대 공룡(조류)는 중생대의 비행동물 익룡과 분점하고 있던 공중 생태계의 지위를 익룡의 멸종으로 대체하여 거의 대부분 독점하였다는 생태적 지위의 변천이다.[10] 빙하시대 때 동해는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호수였다.동호?[11] 늑대처럼 생긴 고제3기의 포유류이다. 라틴어 뜻은 중간 발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