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염황제 우리아

덤프버전 :

삼환마
[[신염황제 우리아|

파일:신염황제우리아.jpg
]]
[[환마황제 라비엘|

파일:환마황제라비엘.webp
]]
[[번개황제 하몬|

파일:번개황제하몬.webp
]]
신염황제 우리아
환마황제 라비엘
번개황제 하몬




유벨
덱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관련 카드군
유벨 · 삼환마 · A 보옥수
서브 에이스
에이스 몬스터
삼환마 덱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신염황제 우리아

삼환마 덱
혼돈환마 아미타일

A 보옥수 덱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

유벨 덱
유벨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유벨 덱
유벨-다스 압쇼이리히 리터

유벨 덱


신염황제 우리아

파일:UriaLordofSearingFlames-J!P-Anime-GX-NC.png

난 세 장의 함정 카드를 제물로 바쳐, 나오너라! 첫번째 환마! 신염황제 우리아![1]

1. 설명
1.1. 원작
2. 관련 카드
2.1. 하이퍼브레이즈


1. 설명[편집]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1.1. 원작[편집]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UriaLordofSearingFlames-OW.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배경색=#bd2a3d,
한글판명칭=신염황제 우리아,
일어판명칭=<ruby>神炎皇<rp>(</rp><rt>しんえんおう</rt><rp>)</rp></ruby>ウリア,
영어판명칭=Uria\, Lord of Searing Flames,
속성=화염, 종족=화염족, 레벨=10, 공격력=0, 수비력=0,
효과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는 이 카드의 효과나 자신이 컨트롤하는 함정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특수 소환해야 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과 수비력은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함정 카드 1장당 1000 올린다. 1턴에 1번\, 상대 필드 위에 뒷면 표시로 존재하는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이 효과의 발동에 대해 상대는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이 카드가 파괴된 다음 자신의 메인 페이즈에\, 패에서 함정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자신이 다른 몬스터를 컨트롤할 때 이 효과를 사용했을 경우\, 그 턴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 등장하는 삼환마 중 하나.

대응하는 삼환신오시리스의 천공룡. 그래서인지 전체적인 디자인이나 입의 모양이 비슷하다.[2]

작중에서는 세븐 스타즈 편 48화에서 다른 삼환마들과 마찬가지로 카게마루가 봉인을 풀어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함정을 무조건적으로 파괴하고 끝없이 부활하는 재생 효과로 유우키 쥬다이를 괴롭혔다. 결국 쥬다이는 듀얼 내내 함정을 봉인당해 마법 카드만 세트하거나 패에서 함정을 발동하는 식으로 상황을 돌파해야 했다.

계속되는 파괴에도 연달아 부활해 공격력이 5000에 달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49화에선 쥬다이의 버블 일루전 + 히어로즈 룰1 - 파이널 프리덤즈 콤보로 묘지의 함정 카드 5장이 전부 제외되어 공격력 0인 상태로 공격력 800의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 네오에게 역공당한다. 물론 또 다시 부활해 공격력을 2000까지 올려놓았다.

이후 이차원세계 편에서는 유벨에 빙의된 카노 마르탄이 칠정문의 봉인을 풀면서 회수하고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부터 OCG 사양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유우키 쥬다이&요한 안데르센과의 듀얼 중에는 카오스 코어의 코스트로 다른 삼환마들과 함께 묘지로 보내진 후, 암흑의 소환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었다. 쥬다이의 엘리멘틀 히어로 카오스 네오스의 효과로 파괴되기는 했으나 다시 함정 카드 불멸계급의 효과로 소생되면서 다른 환마들과 함께 혼돈환마 아미타일의 소재로 제외되었다.

이후 암흑사도 요한 상태로 아몬 가람과의 듀얼 중에는 델타 베리어 3장을 묘지로 보내고 특수 소환되어 장착 마법 이터널 리버스와의 콤보로 성가시던 강자의 고통을 세트하고 파괴하는, 의외로 선전하는 모습도 보여줬다. 이후 마찬가지로 혼돈환마 아미타일의 소재로 제외되었다.

공격명은 '하이퍼 블레이즈(ハイパーブレイズ / Hyper Blaze)''.[3] 파괴 효과명은 '트랩 디스트럭션(トラップディストラクション / Trap Destruction)'.

유희왕 태그 포스 4~6에는 이 카드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야스다 우리아(安田宇里亜)[4]라는 캐릭터가 등장한다. 4에서는 이름만 우리아였는데 5에서부턴 머리색이나 모양 등이 우리아처럼 바뀌었다. 6에선 다른 삼환마들도 같이 사용.

이름의 유래는 대천사 우리엘로, 화산, 즉 땅과 불에 대응하는 천사이다.


1.2. OCG[편집]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스트럭처 덱



[ SD25 ~ SD36 ]


[ SD37 ~ SD48 ]



스트럭처 덱 R


파일:神炎皇ウリ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명칭=신염황제 우리아,
일어판명칭=<ruby>神炎皇<rp>(</rp><rt>しんえんおう</rt><rp>)</rp></ruby>ウリア,
영어판명칭=Uria\, Lord of Searing Flames,
속성=화염, 종족=화염족, 레벨=10,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함정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 묘지의 지속 함정 카드의 수 × 1000 올린다.,
효과2=②: 1턴에 1번\, 상대 필드에 세트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세트된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마법 / 함정 카드는 발동할 수 없다.)]

파일:불황제.png}}}
공식 일러스트
일단 앞면 표시 함정 카드 3장이라고 텍스트에 적혀 있긴 하지만, 지속 함정을 제외하면 필드에 남는 함정 카드는 장착 카드 취급으로 필드에 남는 카드나 함정 몬스터 정도[5]뿐이고, 지속 함정과만 연동되는 지속 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아래의 함정카드인 "하이퍼 브레이즈"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실질적인 소환 조건은 지속 함정 3장을 묘지로 보내는 것이다.

과거에는 뒷면 마법 / 함정을 파괴하는 효과는 기동 효과이면서 체인이 걸리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 소환하자마자 효과 발동을 선언해 상대의 소환 반응형 함정을 막을 수 있었지만 2011년 2월에 나온 기동 효과 룰 개정 때문에 더 이상 불가능하다. 아무튼 이 효과 때문에 마법 봉인의 방향제와 궁합이 좋다. 하지만 몬스터 카드의 효과로는 체인을 걸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전용 덱을 짤 경우 당연히 지속 함정으로 떡칠을 해야 한다. 몬스터의 부재는 함정 몬스터로 메우는 편. 고문양의 토상 같은 괜찮은 카드들과 함께하면 공격력 4000은 우습게 넘어가고 10000도 쉽게 찍을 수 있다. 과거에는 우리아에 라이트로드의 덱 갈기 능력을 채용한 우리아로드 덱이 유명했다.

과거에는 묘지에 지속 함정만 쌓이면 독보적인 공격력을 자랑했기에 자체 성능이 미묘한 하몬과 라비엘을 빼고 아예 이 카드를 축으로 환마 덱을 돌리는 경우도 있었으나, 혼돈의 삼환마 발매 이후로는 오히려 이 일정치 못한 공격력이 발목을 잡아 삼환마 중 가장 투입률이 낮아지게 되었다. 특유의 효과 때문에 삼환마 통합 지원을 받으면서 예상치 못하게 생긴 일.

타점 면에서도 하몬과 라비엘은 4000/4000이란 훌륭한 능력치를 보유하고 있고, 라비엘의 경우 8000은 넘어 16000까지도 찍을수 있는 상황. 그러니 고타점을 올리는데 시간이 걸리는 우리아는 애매해져 버렸다. 후술할 하이퍼브레이즈가 깔려있을 때만 비트요원으로 활약하거나, 자주 나오는 상황은 아니지만 센서 만별이나 스킬 드레인 등 자신에게도 영향이 가는 카드들을 치우면서 소환하는 방법도 있긴하다.

각성의 삼환마의 효과도 하몬과 라비엘만 필드에 있어도 상대 필드 몹의 효과를 전부 봉쇄할 수 있는 구조로 나왔다. 우리아까지 있으면 상대방 한정 묘지로 가는 대신 제외되는 효과가 있지만, 상대 몬스터 효과만 막아도 필드의 전개 대부분을 막을 수 있다보니, 우리아까지 투입할 이유를 못 느끼는 유저가 대부분이다. 환마 덱에 투입된다면 혼돈환마 아미타일의 파츠로 활용되거나 가끔 나와서 세트 마/함을 견제하는 정도다. 제대로 활약시키고 싶으면 전용덱을 짜는 것이 편하다. 전용덱에서는 엄청난 타점 및 정규 소환하여 하이퍼브레이즈로 소생을 써먹을 수 있다. 마냥 나쁜 카드는 아니지만 삼환마 덱에서 입지가 애매한 것은 사실이다. 소환되기 보다는 패에 놀고 있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그나마 저 능력치 덕분에 크리터나 삼환마 덱에서 유용한 피리 레이스의 지도로 서치가 가능하다는 소소한 장점이 있다. 물론 지도로 서치하면 일반소환이 안 되는 우리아는 다음 턴 종료 시 까지 마/함 파괴 효과는 사용할 수 없지만, 공격력 상승은 지속 효과이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익스퍼트 2006에서는 이 카드를 사용해 포인트를 왕창 벌 수 있다. 이 카드에 특화된 덱을 써먹어서 공격력이 30000 이상인 상태로 공격에 성공하면 1000DP를 확실하게 입수할 수 있으며, 공격력 50000 이상이 되면 2000DP, 경우에 따라 듀얼 한 판에 3000DP까지 벌 수 있다. 게임에 따라서는 이 카드가 패에 있을 경우, CPU는 패에 갖고 있는 지속 함정을 빈 공간 하나 남을 때까지 죄다 세트해댄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SHADOW OF INFINITY
SOI-JP001
울트라 레어
얼티미트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EXPERT EDITION Volume.4
EE04-JP121
울트라 레어
일본

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7 Vol.1
AT17-JP001
노멀
패러렐
일본
절판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混沌の三幻魔- 三幻魔解放パック
SD38-JPP01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

Shadow of Infinity
SOI-EN001
울트라 레어
얼티미트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Dark Revelation Volume 4
DR04-EN121
울트라 레어
미국

Collectible Tins 2006 Wave 2
CT03-EN005
시크릿 레어
미국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LC02-EN001
울트라 레어
미국

Duelist Saga
DUSA-EN096
울트라 레어
미국

Structure Deck: Sacred Beasts
SDSA-EN042
울트라 레어
미국

2021 Tin of Ancient Battles
MP21-EN252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미국

무한의 그림자
SOI-KR001
울트라 레어
얼티미트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하이 그레이드 팩 Vol.4
HGP04-JP121
울트라 레어
한국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7 Vol.1
AE10-KR002
시크릿 레어
한국
절판
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
SD38-KRP01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



2. 관련 카드[편집]



2.1. 하이퍼브레이즈[편집]


파일:ハイパーブレイズ.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하이퍼브레이즈,
일어판명칭=ハイパーブレイズ,
영어판명칭=Hyper Blaze,
효과1=①: "신염황제 우리아"를 자신의 방법으로 특수 소환할 경우\, 자신 필드의 뒷면 표시의 함정 카드를 묘지로 보낼 수도 있다.,
효과2=②: 자신의 "신염황제 우리아"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1번\, 패 / 덱에서 함정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서로의 필드 / 묘지의 함정 카드의 수 × 1000 이 된다.,
효과3=③: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중 어느 1장을 자신 묘지에서 골라\, 패에 넣거나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우리아의 공격명에서 따온 필살기 카드. 우리아가 원작에서 갖고 있던 효과들을 그대로 재현했다.

①의 효과는 우리아 소환시 뒷면 표시인 함정도 코스트로 쓸 수 있게 되는 효과. 어드밴티지는 많이 줄어들지만 우리아는 정규 소환하는 쪽이 공격력도 상승하고 이 카드로 소생도 가능해지기에 노려볼만하다. 하지만 비슷한 효과의 실락의 벽력과는 달리, 함정 카드이기 때문에 세트한 턴에는 발동할 수 없어 지연이 생긴다는 단점이 있다.

②의 효과는 우리아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 패/덱에서 함정카드 1장을 덤핑해 서로의 필드/묘지의 함정 카드 수 x 1000만큼 우리아의 공격력을 뻥튀기시키는 비트 효과. 비트 능력을 엄청나게 높여주기 때문에, 상대 덱에 따라선 정신나간 화력을 뿜기도 한다.

수비력도 상승하기에 상황에 따라서는 유용하다. 기본적으로 이 카드와 덤핑한 함정 카드로 최소 2000은 보장되며, 자신 필드, 자신 묘지, 상대 필드, 상대 묘지의 함정을 전부 센다. 자신이 우리아를 사용하는 시점에서 당연히 지속 함정을 많이 사용할 것이고, 무한포영 같은 범용 함정이 상대 묘지에 있다면 더 엄청난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요즘엔 함정 카드를 많이 투입하지 않는 덱들도 많기에 자신이 함정 카드를 많이 준비하지 않았다면 그리 큰 상승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덤핑한 함정을 각성의 삼환마로 샐비지 하는 방법도 있다.

③의 효과는 효과 범위가 삼환마 전체로 늘어났고 코스트도 함정이 아닌 아무 패나 1장 버리는 것으로 바뀌는 등 여러모로 원작보다 상향되었다. 하지만 정규 특수 소환을 마치지 않고 바로 묘지로 보내버렸다면 소생 제한 룰에 걸려서 회수만 가능하다. 소환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하는 컨셉의 삼환마덱에서는 뭔가 맞지않는 효과로써, 우리아가 더욱 더 따로 놀게되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실락원이 우리아의 불안정한 생존력을 늘려준다면, 이 카드는 불안정한 공격력을 보조해주기 때문에 이 두 카드가 모두 준비된 상황에서 우리아를 소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전체적으로 우리아 전용덱에서는 매우 유용하지만, 삼환마를 모두 사용하는 덱에서는 애매하다. 엄청난 비트 능력을 부여하는 천계유린권, 강력한 마/함 퍼미션인 실락의 벽력에 비하면 애매하다. 특수 소환 효과가 소생 제한 룰을 무시했더라면 훨씬 평가가 좋았을 것이다.

스킬 드레인 등으로 우리아의 효과가 무효화되어 있어도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면 공격력이 상승하여 비트 요원으로 써먹을 수 있다. 우리아의 효과가 아닌 하이퍼브레이즈의 효과로써 공격력이 새로 정해지기 때문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混沌の三幻魔-
SD38-JP034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Sacred Beasts
SDSA-EN034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SD38-KR034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2:00:46에 나무위키 신염황제 우리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유희왕 GX 48화 카게마루 대사.[2] 오시리스의 천공룡처럼 입이 두개지만, 오시리스가 윗입과 아랫입이 따로 존재하는 식으로 2개라면, 이 카드는 입 안에 또 입이 있는 식으로 2개다.[3] 국내 방영판에서는 '작렬하는 화염'.[4] 6에서는 오노 우리아(小野宇里亜)로 성이 변함. 그 때문인지 친밀도 1단계 에피소드에서는 이름이 바뀌어 주인공이 자신을 기억하지 못하는 게 아닐까하고 걱정하는 장면이 나온다.[5] 이마저도 지속 함점이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