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바다의 층에 대한 내용은 해양심층수 문서
해양심층수번 문단을
해양심층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심해수의 주요 수상기록


[ 펼치기 · 접기 ]

2018년 SF 어워드 수상작

 
파일:sf-award.png
 

만화/웹툰 부문 대상 수상작
제4회
(2017년)


제5회
(2018년)


제6회
(2019년)

갈로아
오디세이

이경탁, 노미영
《심해수》


윤필, 재수
《다리 위 차차》
키티콘, 김종환
《에이디》
#!end||<#8b0000><-5> ||}}} }}} ||



심해수
LEVIATHAN


파일:심해수 로고.jpg

장르
액션, 괴수, 포스트 아포칼립스, 생존
작가
스토리: 이경탁
작화: 노미영
연재처
투믹스
연재 기간
2018. 03. 12. ~ 2022. 04. 01.
연재 주기
1일 · 15일

1. 개요
3. 연재 현황
4. 특징
7. 평가
8. 수상
9. 단행본
10. 기타



1. 개요[편집]


한국의 해수 크리쳐물, 포스트 아포칼립스 웹툰. 스토리는 이경탁, 작화는 노미영[1]이 담당했다.


2. 줄거리[편집]


해수면이 높아진 세계는 이미 바다가 대륙을 덮고 말았다. 더이상 육지를 찾아볼 수 없는 지구에서 소년 '보타'의 가족은 작은 배에 몸을 싣고 망망대해를 떠돌며 생활한다.

어딘가에 있을 또 다른 '사람'을 찾아 헤매며, 아버지가 정해준 규칙 속에 안전하게 지내던 어느날 늘 밤에만 나타나던 거대 심해수의 때아닌 기습으로 심해수의 먹이가 될지도 모르는 아찔한 순간에서 심해수를 사냥하는 '작살꾼'이자 신비로운 여인 '카나'를 만나게 되는데...

시시각각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삶에 대한 갈망이 소년 '보타'의 품에서 피어나기 시작한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심해수/줄거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연재 현황[편집]


투믹스에서 2018년 3월 12일부터 매월 1일, 15일에 연재했다. 2021년 11월 15일에 100화 연재를 맞이했다.[2]

작가의 트위터 답글로 추측하자면 4월 1일에 업로드되는 110화가 마지막 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4월달에 회차가 한꺼번에 2개가 올라온 이유는 스토리를 맡고 있는 이경탁 작가가 두 회차를 한 번에 올리고 싶기 때문이라고 한다.

2022년 4월 1일, 110화+후기를 끝으로 완결되었다.

노미영 작가가 트위터에 외전 예정은 없다고 언급했다.


4. 특징[편집]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소재로 하며 동일 장르의 다른 작품들과는 다르게 바다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워터월드와 유사하다는 평도 많다.[3] <심해수>라는 바다 괴수들을 상대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는 인간의 모습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극의 몰입도와 긴장감을 유발한다.

국내 웹툰 역사상 최상위권에 드는 고퀄리티의 작화를 선보였으며 아직까지 이와 동일선상에서 작화를 논할 수 있는 웹툰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5.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심해수/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심해수/설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1. 심해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심해수(심해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평가[편집]








8. 수상[편집]


  • 2018년 SF 어워드에서 대상을 수상하였다. #

  • 2018년 부산 웹툰 페스티벌 웹툰 어워즈에서 골든 브릿지를 수상하였다. #

  • 2018년 오늘의 우리만화에 선정되는 기염을 토하였다. #

  • 2019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에서 문화체육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9. 단행본[편집]


1권
2권
3권
파일:심해수 1권.jpg
파일:심해수 2권.jpg
파일:심해수 3권.jp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3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3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3월 23일

4권
5권
6권
파일:심해수 4권.jpg
파일:심해수 5권.jpg
파일:심해수 6권.jp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3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3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0월 4일

7권
8권
9권
파일:심해수 7권.jpg
파일:심해수 8권.jpg
파일:심해수 9권.jp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0월 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0월 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0월 4일

2022년 3월 23일 심해수 단행본이 1권 - 5권 특별 한정판으로 처음 발매되었다.[4] 출판사는 마음의 숲.

5권까지는 보타의 여동생인 마리타가 물고기병에 걸리게 되는 58화 분량을 담고 있으며 심해수의 투믹스 연재분이 완결된 이후 4권이 이어서 발매가 되어 전체 9권이다. 한 권에 11~12화가 수록되기에 권당 두께와 분량이 상당하다.

파일:심해수 컷분할.jpg
컷 분할이 기존 웹툰 연재 때와는 크게 달라져서 단순히 웹툰 연재분을 그대로 묶은 것이 아니라 잡지 연재와 같은 페이지 연출로 구성이 크게 바뀌었다.


10. 기타[편집]


  • 이경탁과 노미영 두 작가가 이데일리 독자를 위한 축전을 그린 바 있다.
파일:이경탁축전.jpg
파일:노미영축전.jpg
이경탁 축전
노미영 축전
이경탁의 그림 실력이 상당히 귀엽다.

  • 글작가인 이경탁과 그림작가인 노미영은 2003년에 혼인을 한 부부 관계이다.

  • 일반적으로 웹툰은 스크롤뷰만 지원하는 것에 비해 심해수는 특이하게도 페이지뷰와 스크롤뷰를 모두 제공한다.[5] 스크롤뷰에서 없는 부분을 페이지뷰로 보면서 찾아내는 것도 소소한 재미가 있기에 페이지 뷰로도 꼭 보는 것을 추천한다.

  • 연재 4년차에 카나 코스튬이 수정되었다.[6]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나 복장.jpg}}} ||
페이지 뷰로는 기존의 카나 복장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투믹스에서 휴대폰으로는 페이지 뷰를 적용하지 않는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0:54:53에 나무위키 심해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표작으로는 주니어 챔프에서 연재한 '살례탑'이 있다. 스토리 작가인 이경탁과는 부부 사이이기도 하다.[2] 콘티로는 50화.[3] 워터월드 역시 바다가 집어삼킨 세상을 배경으로 삼고있으며 아주 잠깐이지만 바다괴물도 나온다.해당 바다괴물은 주인공에게 사냥당해 식량이 된다.[4] 개별 단행본보다 먼저 발매됐으며 포토카드가 동봉된다. 노미영 작가 본인의 말로는 포토카드에 쓰기 위해서 SD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5] SNS에서 노미영 작가가 페이지뷰로 제작한다고 여러번 언급이 있었다. 다만 휴대폰으로는 페이지뷰를 보는 것이 불가능하며 스크롤 뷰만 볼 수 있다. 페이지뷰는 태블릿 컴퓨터와 컴퓨터에서 스크롤 뷰와 함께 제공된다. 여담으로 페이지뷰로 제작된 이유는 노미영 작가의 고집이라고 하며 이는 3월달에 출간되는 단행본으로 빛을 보았다.[6] 카나가 처음으로 등장한 9화부터 댓글창을 보면 노출이 좀 심한 것 같다는 독자들의 의견이 다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