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누어

덤프버전 :

아이누어
アィヌイタㇰ | Айну Итак | Aynu itak
Ainu language


파일:external/www.linguistics.hku.hk/Ainuarea.gif

유형
포합어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가타카나, 로마자, 키릴 문자
주요 사용 지역
일본, 러시아(사할린 섬, 쿠릴 열도)[1]
원어민
5명 이상[2]
계통
고립어
언어
코드

ISO 639-1
-
ISO 639-2
ain
ISO 639-3
ain

1. 개요
2. 현황
3. 특징
3.1. 계통
3.2. 음운과 표기
3.3. 문법
3.3.1. 아이누어의 4인칭
4. 기초 회화
4.1. 숫자
5. 일본어와 아이누어의 상호 교류
5.1. 일본어에서 유래한 아이누어 단어
5.2. 아이누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어 단어
5.3. 일본어에서 외래어로 편입된 아이누어 단어
6. 단어 목록
6.1.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골든 카무이 등을 통해 알려진 아이누 단어
7. 매체
8. 들어보기
9. 언어별 명칭
10. 여담
11.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어로 된 설명 페이지

일본 북부(홋카이도)와 러시아 사할린 남부 지방, 쿠릴 열도에 분포하는 소수민족 아이누족이 사용하는 언어.[3]

아이누인은 현대의 일본인(야마토 민족)이 홋카이도에 도래하기 전부터 선주하고 있던 민족으로 추정되며, 아이누인이 주거하고 있는 홋카이도, 사할린, 쿠릴 열도뿐만 아니라 도호쿠 일대와 간토 지방에서도 아이누인들이 살았고, 헤이안 시대까지도 아이누 계통의 부족들이 일본과 별개의 세력을 이뤘다. 일본이 혼슈를 전부 차지하고 해당 지역에 살던 아이누족들도 오랜 시일이 흘러 일본인으로 동화되면서 혼슈의 아이누 방언은 사멸되었다. 대략 18세기경까지 쓰였다고는 하지만 도호쿠나 간토 아이누어는 수백 년이 넘도록 전면적으로 기록되기 전에 사멸했기 때문에 재구할 수는 없다.[4] 다만 도호쿠 지방의 많은 지명이나 도호쿠 방언 어휘의 상당수가 아이누어 단어와 연관성을 보이기 때문에 도호쿠 지방에서 아이누어에 대한 관심도는 비교적 높다. 또한 도호쿠와 간토뿐만 아니라 이보다 서쪽 지역에서도 아이누어 계통의 단어가 발견된다거나 하는 얘기가 있으며, 실제로 도호쿠벤이 산인방언과 연관성이 어느정도 있기 때문에 이즈모 일대에서 쓰이던 이즈모어와 아이누어와의 연관성도 진지하게 검토되고 있기도 하다. 다만 같은 어족의 언어인지는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는 않기 때문에 유보되는 상황이다.

크게 홋카이도(北海島) 방언, 가라후토(樺太; 사할린) 방언, 치시마(千島; 쿠릴) 방언의 셋으로 나뉜다. 아이누를 통일한 정치 세력은 없었기 때문에 세 방언 아래에 속해 있는 많은 하위 방언들이 존재했지만 치시마 방언 화자는 20세기 초반에 거의 사라졌고 사할린 방언은 1994년 사할린 방언 아이누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는 마지막 화자였던 다흐코난나(Tahkonanna, 창씨명 아사이 다케(浅井タケ))가 사망하면서 사라졌다. 따라서 홋카이도 방언만 남은 셈인데, 1980년대 후반 홋카이도에서 일상적으로 아이누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15명이었고, 아이누어를 제2언어로 쓰는 사람들도 대개 자료가 많이 남아 있는 홋카이도 방언을 공부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배우기 힘든 언어이다. 한국어로 된 사전, 문법서가 거의 없다. 한국인으로서는 일본어, 영어, 러시아어 중 하나를 선행으로 배워야 한다. 물론 김공칠 교수의 '아이누어 연구'같이 한국어로 된 책이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학술서적이라 언어학에 조예가 없는 사람이 읽기엔 좀 난해하다. 배우고 싶다면 Play 스토어에서의 Drops를 추천한다.[5]

2. 현황[편집]


일본 내 아이누어는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소멸위기언어의 5단계 중 4단계에 해당하는 "소멸 고비"[6]로 분류된다. 또 쿠릴 아이누어는 19세기 후반에, 사할린 아이누어는 1970년대에 공식적으로 소멸한 언어로 분류되고 있다.

19세기부터 아이누족 근거지였던 홋카이도가 일본에 복속되었고 일본 정부는 20세기 초중반에 아이누어에 대한 직, 간접적인 탄압을 해왔다. 또한 의무교육과 공적 언어생활이 일본어로 이뤄지면서 아이누족들은 점차적으로 일본어를 쓰게 되었다.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고 민주화된 이후로도 아이누어에 대한 관심은 학계에서나 있을 뿐이었다. 여전히 교육과 공적 언어 생활은 일본어로 이뤄졌으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화자는 줄어들기만 하였다.

보존 논의가 착수되고 지역에서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1970년대에 들어서였다. 그러나 모어로 쓰는 사람은 늙어서 사망했기 때문에, 현존하는 화자들도 제2언어로 쓰게 되었다. 이후에도 습득하는 사람은 있으나 능숙한 사람이 많지 않다보니 대중매체같은 것이 미흡하다. 교육자료는 많이 있고 배우는 사람들은 적지 않지만 부흥여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오랜 기간에 걸쳐 문자 기록없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으며, 일본인이 남긴 가나 기록과 러시아인의 기록이 남아 있다. 현대에는 가타카나로마자, 그리고 키릴 문자 등을 빌려 표기된다.

아이누 민족단체인 홋카이도 아이누 협회(일본어: 北海道アイヌ協会)는 아이누 문화를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해 아이누어 교육을 지도하고있다. 홋카이도 몇몇 지역학교에서 소수인 어린이들이 배우고 있으며 문자는 가타카나를 쓴다.

일본은 법적으로 공용어를 정해두지 않았기 때문에, 일본 국회에서 아이누어로 연설이나 발표 등을 해도 무관하다고는 한다. 실제로 아이누족 출신 참의원 의원인 가야노 시게루(萱野茂)가 국회에서 아이누어로 질문한 적이 있으며, 그는 아이누가 어떤 민족인지, 아이누어가 어떤 언어인지 국회의원들이 알았으면 좋겠다는 취지에서 아이누어로 질문했다고 한다.다만 동료 의원들이 그걸 알아들을 수 있을지는 글쎄.....

아이누어-영어 사전 사이트가 있다.

아이누어 테스트 위키가 존재해 있다.

JR 홋카이도에서 2020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 이후로 자동방송 첫 인사를 아이누어로 교체했다.

현재 원어민 인구는 5명이다.

3. 특징[편집]



3.1. 계통[편집]


아이누들의 거주지가 일본 본토 근처이고, 아이누들은 일본 동부의 선주민이었으니 일본어와 아이누어는 서로 공통어족을 공유할 것 같지만, 아이누어는 일본어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와도 친족관계가 없는 고립어로 분류된다. 일본의 양대 소수민족 언어 중 다른 하나인 류큐어일본어와 같은 일본어족으로 묶이는 친족관계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특이한 부분.[7] 아이누어를 고시베리아어족, 알타이어족 등으로 묶으려는 시도는 종종 있었으나 현대 학계에선 부정되는 경우가 대부분.

문법적인 특징으로는 포합어에 속하며 나우아틀어같은 아메리카 원주민계 언어와 이누이트어와 같은 체계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존재한다.

3.2. 음운과 표기[편집]


자음은 11개, 모음은 5개이다. 음운적으로는 유성음무성음을 구분하지 않으며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다만 조건에 따라 일종의 변이음으로서 유성음이 실현되기 때문에 위에 언급한 특징은 주로 초성에서 두드러지는 편. 이러한 특징은 한국어중국어와도 유사하다. 한편 모음의 경우에는 일본어와 대충은 비슷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다. o와 u의 경우 일본어의 o와 u보다 원순성이 심해 일본인은 구별해 들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또한 wi, we, wo에는 ヰ, ヱ, ヲ와 달리 반모음이 포함되어 있다.

일본어에는 폐음절이 별로 많지 않은 반면에 아이누어에는 폐음절이 많기 때문에 일본어보다 음소의 개수가 훨씬 많다. 특히 홋카이도 방언에서는 C, H를 제외한 모든 자음이 음절 말에 붙을 수 있다. 따라서 일본어 가나만으로 아이누어를 표기하기 어렵기 때문에, 아이누어를 가나로 표기할 때는 폐음절 발음을 나타내는 문자 몇개를 추가해서 표기한다.

아이누어에서 (주로 로마자로 쓰일 때에) 어간과 어미를 나타내는 하이픈은,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이중으로(=) 쓰인다. 그냥 하이픈(-)은 장음 부호와 헷갈리기 때문. 이 서법을 한국어로 따지면 마시다, 마시는을 마시-다, 마시-는으로 쓰는 거라 생각하면 된다.

한가지 예로...

한국어: 나는 물을 마시고 싶다.
일본어: 私はお水が飲みたい.
아이누어 로마자 표기: wakka ku=ku rusuy.
아이누어 가나 표기: ワッカ ク゠ク ルスィ.

wakka(물), ku(1인칭 인칭접사), ku(마시다), rusuy(~하고 싶다)

여기서 한국어는 '나는(주어) 물을(목적어) 마시고 싶다(술어)' 형태로 문장을 이어나가지만, 아이누어는 주어가 1, 2인칭의 경우 물을 뜻하는 wakka가 앞에 나오고 1인칭 주어 나를 나타내는 인칭 접사가 동사의 앞에 붙게 된다. 따라서 직역하면 "물을 나는 마시고 싶다."란 의미가 된다. 이 현상은 동북아시아 주변지역 언어에서는 보기 드문 현상이며 아메리카 원주민이나 호주 원주민의 언어와 유사하다. 이누이트어와도 비슷하다 볼 수 있을 듯. 그래도 알아는 듣겠네. 단, 3인칭의 경우에는 주어-목적어-술어 형식으로 이어진다.

아이누어를 가타카나로 표기할 경우, 입력이 불편할 수가 있다. 아이누어 표기에만 쓰이는 ㇰ, ㇱ, ㇲ, ㇳ, ㇴ, ㇵ, ㇶ, ㇷ, ㇸ, ㇹ, ㇺ, ㇻ, ㇼ, ㇽ, ㇾ, ㇿ, ㇷ゚[8]는 각각 ク, シ, ス, ト, ヌ, ハ, ヒ, フ, ヘ, ホ, ム, ラ, リ, ル, レ, ロ, プ의 스테가나로 모두 음절 끝이 자음일 때 쓰이는 가나로, 맨 처음부터 각각 -k, -s, -s, -t, -n, ah, ih, uh, eh, oh, -m, ar, ir, ur, er, or, -p에 대응된다. 이들 가나는 다음 음절의 초성과 동일할 시에 ッ(k, c, s, t, p의 앞)과 ン(n, m의 앞. 이외에 n 다음에 k가 와서 n이 [ŋ]으로 발음되는 경우에도 사용함.)으로 대체한다. 또한, 대응하는 로마자에서 앞에 모음이 붙은 것인 ㇵ, ㇶ, ㇷ, ㇸ, ㇹ, ㇻ, ㇼ, ㇽ, ㇾ, ㇿ는 그 모음의 발음에 따라 표기가 달라지는 형태다. セ゚는 チェ로도 쓸 수 있는 ce(tse), ツ゚와 ト゚는 tu에 대응되는 문자인데, 이 글자들을 제대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기가 Mac OS X의 ことえり밖에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관련 글). 때문에 컴퓨터 환경에서 표기할 때는 가타카나를 써도 이들을 큰 문자로 쓰거나,[9] 반각 가타카나로 쓰거나, 쉽게 쓸 수 있는 로마자 표기를 많이 사용한다. 유니코드에는 ㇷ゚를 제외한 작은 가타카나가 U+31F0~31FF 영역에 배정돼 있다. ㇷ゚, セ゚, ツ゚, ト゚는 유니코드에 한 글자로 존재하지 않으며, 각각 ㇷ, セ, ツ, ト에 합성용 반탁점(゚, U+309A)을 붙여서 나타내야 한다.

아래의 단어들 말고도 아이누어 어휘와 문법을 정리한 책퍼블릭 도메인으로 풀려 있다. 시간이 나거든 한번 훑어보도록 하자. 참고로 이 책에도 없는 합성어도 있으므로 주의를 바란다.


3.3. 문법[편집]


아이누어는 한국어,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자동사/타동사의 구별이 엄격한 편이며, 인칭 접사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일하다라는 의미의 nepki는 자동사이므로 만일 우리가 일을 한다란 의미에서 인칭 접사를 붙일 때 nepki=as(우리, 단 청자를 포함하지 않는 우리)가 된다.(단 청자를 포함한 우리란 의미에서는 nepki=an 이 된다) 반대로 타동사 nukar(보다)의 경우 인칭접사가 ci=nukar, a=nukar가 된다.

인칭 접사의 활용은 아이누어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데 특히 1인칭과 2인칭, 4인칭(하기의 아이누어의 4인칭 참고) 사이의 수수표현이 꽤 복잡해서 사람을 헷갈리게 한다는 게 문제.

아이누어가 한국어, 일본어와 비교할 때 가장 특이한 점은 명사의 수에 따라 복수동사와 단수동사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다(go)의 동사는 arpa인데 주어가 복수일 경우 paye가 된다. 이런 현상은 한국어나 일본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으며 오히려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에서 흔히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형용사와 동사의 구별이 없는 점은 한국어와도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어순은 한국어, 일본어와 같기 때문에 한국인이 배우기에 일견 쉽게 보이기는 하지만 아이누어는 한국어처럼 교착어가 아닌 명사나 동사가 합쳐서 하나의 품사가 되는 '포합어(抱合語)'이기 때문에 일본어보다는 어려운 편이다.


3.3.1. 아이누어의 4인칭[편집]


아이누어에서는 부정인칭을 4인칭이라 부른다. 사루(沙流)방언에선 타동사 주격접두사 a-, 목적격 접두사 i-, 자동사 주격접미사 –an에 따라 나타내진다. 이 인칭은 다음과 같은 용법을 갖는다.

  • 일반적으로 누구나가 행하는 것
“먹을 때 쓰는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람이”의 의미일 경우, 4인칭이 사용된다. 거꾸로 무표형(無標形)은 일반을 나타내지 않고 반드시 3인칭 의미가 되는 것이므로, 4인칭(부정인칭)이 유표형(有標の形)으로 나타난다. 또 수동·자발과 같이 해석되지 않는 것도 있어서, 예를 들어 “보다”라는 동사에 주격4인칭을 나타내는 인칭접사a-가 붙은 a-nukár는 “사람이 (그것을) 보다.” 즉, “(그것이) 보인다.” 라는 의미가 된다.

  • 수동태 문장의 행위 기점
unuhu oro wa an-koýki.
“(그의) 어머니가 (제4의 인물을) 혼냈다.”
(그는 어머니로부터 혼났다.)
“혼내다”라는 동사로 주격4인칭을 나타내는 접사 an-(이시카리방언)이 붙은 an-koýki “사람이 (그를) 혼내다” 즉 “(그가) 혼났다.”라는 의미가 된다.

  • 포괄적 1인칭 복수
“나도 당신도”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권유 표현이 되기도 한다.

  • 2인칭 경칭
사루(沙流)방언에선“あなた様(직역하면 딱 ‘너님(...)’이 되긴 하는데, 한국어와는 달리 “일단은” 높임말)”처럼 사용된다. 여성이 성인 남자를 가리켜 이야기 할 때와, 여성 사이에서도 최고의 경의를 표하는 경우 사용된다. 포괄적 1인칭 복수와의 구별은 형식상 없지만, 문맥과 상황으로 판단된다.

  • 인용문 안에서의 1인칭(자칭)
민화(民話)와 서사시를 그 전승자가 이야기 할 때, 주인공의 자칭은 4인칭이 된다. 1인칭은 이야기 하는(노래하는) 전승자 본인을 나타낸다. 다만 카무이 유카르에선 신의 자칭은 제외적 1인칭 복수를 사용하는 것이 전통이다.
“...'a-eyáysukupka oruspe a-ye hawe tapan na.” sekor síno katkemat hawean ruwe ne.
“(4가) 괴롭게 생각한 것을 (4가) 이야기한 것이에요.”라고 훌륭한 부인께서 말한 것입니다.
uwokpare p uwepeker, tap, ku-ye wa k-ókere.
불효자 옛날 이야기를 지금 (1이) 이야기 하고 (1이) 끝냈다.
(“(제가) 괴롭게 생각한 것을 (제가) 이야기 한 것입니다.”라고 훌륭한 부인이 말한 것입니다.)-이 부분의 (저)는 주인공 부인
(불효자 옛날 이야기를, (저는) 지금 이야기 하는 것을 마쳤습니다.)-이 부분의 (저)는 설화 전승자
또 사루(沙流) 방언에선 일상회화로도, 타인의 발언을 인용하여 말할 때, 인용문 안에서의 1인칭(k-등)이 4인칭(-an등)으로 전환된다. 인터네이션과 목소리의 상태까지 원래 발화자와 똑같이 인용하지만, 인칭은 전환한다.
하루코: “káni k-arpa kusu ne.”
“제(1)가 (1이) 갑니다.”
(하루코 “제가 가겠습니다.”)
아키오: “asinuma arpa-an kusu ne.” sekor hawean.
“다른 사람(4)이 (4가) 가겠습니다.라고 (3이) 말했다.”
(아키오 “‘제가 가겠습니다.’라고 (하루코가) 말했다.”)
이 4인칭을 킨다이치 쿄스케는 “아어(雅語)의 1인칭”으로 해석하여 상술한 1인칭(k-)를 “일상어의 1인칭”이라 해석하였다. 그 때문에 아이누 문학은 “1인칭 서술”의 문학이라고 일컬어지는 일도 많았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4인칭은 부정인칭의 용법도 있어서, 영웅서사시의 4인칭에 대해서도, 타무라 스즈코는 이야기 하나 전체가 장대한 인용문으로 성립되어 있다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아이누어의 4인칭은 “화자와는 일치하지 않는 서술자”를 나타내게 된다. 다만, 많은 방언에서는 4인칭에 단복수의 구별이 없고, 복수형 밖에 없다. 그 때문에 역사적으로는 4인칭 단수형 용법은 새로운 것이고, 복수형에 따른 “부정인칭”이란 개념이 본래의 것일 가능성도 있다. 즉 “……한 사람이 있다.”등의 해석이 되어야 하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나카가와 히로시는 지적한다.
부정인칭을 4인칭이라고 부르는 언어는 아이누어 외에 북미 나데네어족의 틀링깃어와 같은 어족 아타바스칸 제어의 나바호어·치누크어에서도 볼 수 있다.

출처: 일본 위키피디아 4인칭: 언어에 있어서의 4인칭-부정인칭


4. 기초 회화[편집]


단어

i ram karap te./イ・ラㇺ・カラㇷ゚・テ[10]
반가워. / 반갑습니다.
안녕. / 안녕하세요.
apunno sini yan.
잘 자. /안녕히 주무세요.
tanto sirpirka siri?
날씨 어때요?
sirpirka.
날씨 좋아요.
sirwen.
날씨 안 좋아요.
sirisesek./シリセセク。
더워요.
mean./メアン。
추워요.
anu, anu./アヌ、アヌ。
실례합니다.
pirka wa.
천만에요./알겠어요.
tanepo urukaraan na.
만나서 반갑습니다.
eenkasui easikai ya?/エエンカスイ エアシカイ ヤ?
절 도와주실래요?
e=iwanke a?/エ=イワンケ ア?
어떻게 지냈어요?
ku=iwanke wa./ク=イワンケ ワ。[치토세/사루방언]
잘 지냈어요.
eani ka e=iwanke?/エアニ カ エ=イワンケ?
당신은 또 어떻게 지냈어요?
ku=ani ka.[치토세/사루방언] /ク=アニ カ。
저도요.
e./エ。
네.
somo./ソモ。
아니오.
iyairaykere./イヤイライケレ。
hioy'oy./ヒオーイオイ。
감사합니다. (주로 여성)
suy unukar an ro.
안녕히 가세요/계세요.
wa enkore./ワ エンコレ。
제발요.
kuani/クアニ

ku=eramasu./ク=エラマス。 [치토세/사루방언]
(전) 좋아해요.
newa/ネワ
그리고
hene/ヘネ
아니면
tanpe/タンペ
이것


4.1. 숫자[편집]


オハ/oha
0
シネㇷ゚/sinep
1
トゥㇷ゚/tup
2
レㇷ゚/lep
3
イネㇷ゚/inep
4
アシㇰネㇷ゚/asiknep
5
イワンペ/iwanpe
6
アㇻワンペ/arwanpe
7
トゥペサンペ/tupesanpe
8
シネペサンペ/sinepesanpe
9
ワンペ/wanpe
10


5. 일본어와 아이누어의 상호 교류[편집]


아이누어와 일본어는 천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접촉했다.[11] 표준 일본어에서는 별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도호쿠벤과 홋카이도벤은 원래 아이누족들이 터잡고 살던 지역이라는 특성 때문에 완벽한 피진어는 아니지만 아이누어와의 피진어적인 성격이 어느 정도 존재한다.

특히 도호쿠벤의 경우에는 발음과 일부 어휘에 있어서 아이누어의 영향이 나타나며 거기에 더해 옛 일본어의 형태도 어느정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 표준 일본어와의 의사소통은 어렵다. 남부 홋카이도 방언도 마찬가지로 현대 일본어와 이질감이 심하다. 현대 홋카이도 방언은 표준 일본어와 큰 차이가 나지 않지만 그래도 지명에 있어서 일본어와 괴리감이 큰 편이다. 삿포로 같은 지명도 있고. 일본어 내에 아이누어가 어원인 단어가 있으며(rakko 해달, tonakai 순록 등등) 또한 아이누족과 일본인은 근대 이전까지 교역을 했기 때문에 아이누어에도 일본어에서 빌려온 말이 있고, 사냥꾼들의 용어들도 아이누어에서 빌려온 것이 많다.

5.1. 일본어에서 유래한 아이누어 단어[편집]


아이누어 단어

유래가 된 일본어 단어
비고
kanpi/カンピ
종이,
(かみ
청탁음을 반영하면 kambi/カンビ로, 오키나와어(かび에 대응된다.
kusuri/クスリ

(くすり

saro/サロ
원숭이
(さる

iwa/イワ
바위
(いわ
역사적 가나 표기법: (いは
puri/プリ
정신, 행동
(
중세음 プリ에서 유래
to(k)kuy/ト(ッ)クィ
친한 친구
得意(とっき(득의)

kaipeci/カイペチ
양배추
キャベツ
청탁음을 반영한 표기는 kaibeci/カイベチ .
kankami/カンカミ
거울
(かがみ
청탁음을 반영한 표기는 kangami/カンガミ.
kampoca/カンポサ゚
호박
カボチャ
청탁음을 반영한 표기는 kamboca/カンボサ゚
maketa/マケタ
지다(敗北(패배하다)
(けた
일본어 (ける의 과거형
kawarine/カワリネ
~을/를 대신해서
~(わりに

tomari/トマリ
항구, 부두, 나루터
(まり

warumpi/ワルンピ
고사리
(わるび
청탁음을 반영한 표기는 warumbi/ワルンビ.
tamanko/タマンコ
계란(달걀)
(たまご
청탁음을 반영한 표기는 tamango/タマンゴ.
pan/パン

パン
재차용 단어
peko/ペコ

べこ
도호쿠벤
konkani/コンカニ

黄金(こがね
청탁음을 반영한 표기는 kongani/コンガニ
sirokani/シロカニ

白金(しろがね

niyatori/ニヤトリ

(にわとり
역사적 가나 표기법: (にはとり
puta/プタ
돼지
(ぶた

kakko/カッコ
학교
学校(がっこう

tampaku/タンパク
담배
タバコ
청탁음을 반영한 표기는 tambagu/タンバグ. 재차용 단어

위키소스, 링크

5.2. 아이누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어 단어[편집]


일본어 단어
의미
유래가 된 (것으로 추정되는) 아이누어 단어
의미
가나 표기
로마자 표기
(~ニ)(
(~로) 가다
(エ゠)エㇰ
(e-)ek
(~로) 오다
(いわ
이야기
イタㇰ
itak
말(하다)
イルカ
돌고래
リㇰ
rik
돌고래
(くら
어둡다
クンナ
kunna
검다
(しお
이랑
チュ、チウ
ciu, ciw
이랑
ちゃぺ (도호쿠벤)
고양이
チャ(ッ)ペ
ca(p)pe
고양이
(ひろ
넓다
ポロ、ホロ
poro, horo
크다


5.3. 일본어에서 외래어로 편입된 아이누어 단어[편집]


유래가 된 아이누어 단어

일본어 단어
tunakkay/ト゚ナッカイ
순록
トナカイ(토나카이)
rakko/ラッコ
해달
ラッコ(락코)
ottosey/オットセィ
물개
オットセイ(옷토세이)
susam/スサㇺ
시샤모
シシャモ(시샤모)


6. 단어 목록[편집]


  • 논노(nonno): - 유명 패션 잡지[12]
  • 니시테(nisite): 강하다 - 왕도의 개에 등장하는 아이누인 이름.
  • 레라(rera/レラ): 바람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등장인물
  • 마키리(makiri/マキリ): 작은 칼 - 비슷한 뜻으로 에무스(emus)가 있다.[13]
  • 모세 우시 이: 쐐기풀이 무성한 곳 - 모세우시역
  • 무사(musa/ムサ): 쐐기풀 - 무사역(홋카이도)
  • 미나(mina): 웃다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의 궁수 캐릭터인 마지키나 미나. 오키나와 출신이지만 아버지가 아이누인이다.
  • 미나레(minare): 웃게 하다 - 파도여 들어다오의 주인공 이름. 해당 지역이 홋카이도 삿포로이기 때문.
  • 샤모, 사모(shamo/samo): 아이누어로 일본인을 뜻하는 말.
  • 아이누(ainu): 사람, 남자 - 아이누 그 자체는 아이누어로 사람이란 뜻이다.
  • 웬(wen): 나쁘다, 악하다.[14] - 령수사 웬
  • 치세(cise): 집 - 마법사의 신부의 주인공 하토리 치세의 이름의 어원. 그 외 최종병기 그녀 등.
  • 카무이(kamui/kamuy): (神)
  • 쿠완(kuwan): 올곧다 - 왕도의 개 초반에 니시테라는 아이누인이 카노 슈스케에게 붙여 준 이름.
  • 콘루(konru/コンル): 얼음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에서 리무루루가 다루는 얼음의 정령.
  • 피리카(pirka): 좋다, 선하다. - 가스타의 신예 피리카, 샤먼킹피리카
  • 홋카이도의 상당수 지명은 아이누어 발음과 비슷한 한자를 억지로 끼워넣은 것이다. 때문에 홋카이도 지명에 한자 뜻으로는 도저히 이해가 안 되는 지명이 꽤 많으며, 일본어 한자 읽기의 특성과 겹쳐 읽기도 난감한 지명들이 많다. 홋카이도 현지인이 아닌 이상 일본인들도 읽기 힘들어한다. 그래서인지 더러는 한자를 빌려 쓰지 않고 가타카나로 표기한 지명도 있다. 잘 알려진 홋카이도 중심도시 삿포로는 아이누어로 '메마른 강바닥'을 뜻하는 '삿포르'의 음차 또는 '메마른 큰 강'이라는 의미의 '삿포로펫'에서 따왔다. 그 외 관광지로 알려진 오타루는 아이누어로 '모래사장 사이의 강'이라는 뜻의 '오타 오르 나이'가 줄어 '오타루나이'가 된 것에서 '나이'를 생략한 것이다. 홋카이도 지명에 자주 들어가는 아이누어 단어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pet/ペッ) - 베츠(別):
    • 나이(nay) - 나이(内):
    • 시르(sir) - 시리(知, 後, 尻 등): ,
    • 포로(poro/ポロ) - 포로, 호로(幌): 크다
    • (put) - 부토(太): 의 입구, 강의 합류지점
  • 아이누어(사할린)로 된 욕설 모음


6.1.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골든 카무이 등을 통해 알려진 아이누 단어[편집]


  • 안누(annu) - 승리하다
  • 뭇페(mutpe) - 칼날
  • 림세(rimse) - 춤
  • 시치캅(sicikap) -
  • 야토로(yatoro) - 솔개
  • 에투(etu) - (새의) 부리. ''란 뜻도 있다.
  • 아페후치(apehuci), 암베(ambe) - 불[15]
  • 이루스카(iruska) - 화내다
  • - (어딘가에) 타다
  • 치키리(cikiri) - (발로) 차다. '발'이란 뜻도 있다.
  • 텍(tek) - .
  • 시키테(sikite) - 이빨
  • 메르(mer) - 섬광
  • 칸토(kanto) - 하늘[16]
  • 이메르(imer) - 번개
  • 누페키(nupeki) - 빛나다
  • 스투키(stuki) - 거울
  • 시라르(sirar) - 바위, 둔치
  • 니소루 - 구름[17]
  • 쿠아리(kuari) - 화살
  • 멤(mem) - (泉)
  • 루푸스(rupus) - 얼리다.
  • 툼(tum) -
  • 우푼(upun) - 눈보라
  • - 발톱
  • 레라슈(rerasiw) - 회오리바람
  • 폭(pok) - 아래
  • 아이(ay) - 화살
  • 에푼키네(epunkine) - 지키다.
  • 카무이훔(kamuyhum/カムイフム) - 뇌명(雷鳴), 천둥소리
  • 케숩(kesup) - 발꿈치
  • 키스마(kisma) - 붙잡다, 움켜쥐다
  • 투르세(turse) - 쓰러뜨리다
  • 삼페(sampe) - 심장
  • 킥(kik) - 찌르다
  • 시르코르(sirkor) -
  • 노미(nomi) - 기도하다
  • 산텍(santek) - 자손, 혈통(血統)
  • 옵(op) - 창
  • 텍눔(teknum) - 주먹
  • 웨이산페코르(weysanpekor) - 나쁜 마음을 품다
  • 루얀페(ruyanpe) - 폭풍
  • 노츄(nociw/ノチュ) -
  • 수투(sutu) - 곤봉[18]
  • 누푸리(Nupuri) - (山)

7. 매체[편집]


선술했듯이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골든 카무이 등에 아이누어 단어가 나온다.

이영도의 단편 SF 소설인 카이와판돔의 번역에 관하여에 보면 외계인의 동화를 지구인 언어로 번역하다가 지구주의자들에게 테러를 당하는 번역가들 중에 아이누어 번역가도 포함되어 있다.


8. 들어보기[편집]



《신의 산을 오른 사내》(한국어 자막)
공익재단 아이누 문화진흥 연구추진기구에서 올린 영상


《60개의 요람》
공익재단 아이누 문화진흥 연구추진기구에서 올린 영상


아이누어를 샘플링한 사이키델릭 트랜스 EDM[19]
《Ainu》


아이누어판 인터내셔널가

9. 언어별 명칭[편집]


언어별 명칭
한국어
아이누어(Ainu語)
일본어
アイヌ(
러시아어
Айнский язык
아이누어
Aynu itak/アィヌイタㇰ/Айну Итак
중국어
阿伊努语(āyīnŭyŭ


10. 여담[편집]


  • 일본에서 아이누어 연구의 일인자로 알려진 교수의 이름이 바로 긴다이치 교스케(金田一京助, 1882–1971). 요코미조 세이시의 추리소설 등장인물인 긴다이치 코스케가 바로 여기서 이름을 딴 것이다. 그러니까 실제로 존재하는 성씨였던 것. 손자는 일본어 학자인 긴다이치 히데호(金田一秀穂) 교수이다.
  • 아이누어 단어를 모은 트위터 봇이 존재한다.
  • 디시인사이드에 마이너 갤러리가 있다. 링크
  • 레딧에 아이누어 뿐만 아니라 아이누 전체에 대해 다루는 서브레딧이 있다.


11. 관련 문서[편집]


  • 류큐어 -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아이누어와 계통적 연관성은 없지만, 아이누어와 마찬가지로 일본 내의 소수 언어로 분류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8:31:18에 나무위키 아이누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러시아 지역에서는 화자 모두 소멸. 현대 아이누어 화자들은 일본에만 있다.[2] 2018년 조사. 이후에는 확인 불가. 다만 홋카이도 내 일부 학교와 일본의 주요 대학교에서 아이누어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제2언어로 구사하는 인구는 상당수 있다.[3] 적게나마 쓰이는 곳은 일본홋카이도 지역이다. 하지만 사용자 수를 생각하면 그 미래는 심히 절망적이다. 아무래도 언젠가는 사어가 될 가능성이 높다.[4] 아이누어가 기록된 문헌은 16세기의 것이 최초이고, 그 이전에 아이누어에 대해 기록되어있는 서적들은 현존하지 않는다.[5] 다만, 전부 가타카나로 표기되므로 가타카나는 모두 외워야 한다.[6] 가장 나이가 적은 사용자들도 조부모 세대에 해당하고, 이들조차 언어를 부분적으로 또는 드물게 사용하는 경우[7] 류큐어의 경우, 그 등장 시기가 일본어의 등장보다 훨씬 늦은 11세기 전후로 추정되기에 중세 초까지는 당시의 중세 일본어와 같은 언어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그 이전에는 아이누어, 또는 그와 친척뻘인 조몬계 언어가 오키나와 지역에서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되나 중세 일본어족이 진출한 이후 일본어의 방계로부터 시작하게 된 것.[8] 일반적인 가나 표기법이 아니기 때문에 일부 기종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9] 이 때문에 원 표기를 혼동해 발음이 달라지는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일본어의 자음 + 반모음 + 모음 표기 시에 나타났던 현상과 비슷.[10] 원래는 격식을 차린 인사말이었으나 현재는 의미가 변화하여 일상에서도 쓰인다.[치토세/사루방언] A B C 치토세 방언 및 사루 방언에서는 ku=가 a, i, u, e, o와 결합하면 k=a, k=u, ...등으로 변화한다.[11] 비슷한 환경을 가진 영국과 아일랜드 역시 언어적인 면에 서로간의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영어와는 다른 계통의 언어인 켈트어도 의외로 고대 영어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있으며 영어 역시 켈트어 단어에 유래된 단어들이 많은 편이다.[12] 이건 본토 방언에서도 쓰이는 어휘이다. 주로 유아어로, 햇님, 비 등의 기본적인 전체나 기상 어휘 등으로 다양하게 쓰인다.[13] 엄밀히 따지면 makiri는 실생활에서도 쓰이는 작은 칼, emus는 예장용으로 쓰이는 큰 칼을 의미한다. 따라서 완전히 비슷한 뜻은 아니다.[14] 아래의 카무이와 결합하면 '악의 신'(Wenkamui)이 된다.[15] 보통은 아페(ape/アペ)라고 쓴다.[16] 니스(nis)라는 표현도 있다.[17] niskur/ニシクル, nis/ニシ(하늘, 공기도 뜻한다)라는 표현도 있다.[18] 아이누 전통의 곤봉으로 조선시대 곤장처럼 법을 어긴 사람을 태형으로 처벌할 때 쓰는 것이었다. 일본의 아이누 학계에서는 제재봉(制裁棒)이라고 번역한다.[19] 사이키델릭 트랜스의 특성상 아시아의 희귀언어(산스크리트어, 투바어 등)를 샘플링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곡도 그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