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갱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양갱(동음이의어) 문서
양갱(동음이의어)번 문단을
양갱(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밤 양갱.jpg

1. 개요
2. 기원
3. 설명
4. 스포츠 보조식품화
5. 기타
5.1. 대중매체에서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羊羹(ようかん Sweet bean jelly

화과자의 일종. 같은 재료에 설탕, 물엿, 한천 등을 섞고 졸여서 만든 과자다.

"양갱"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형태를 그대로 단어라고 생각해서 '양갱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꽤 있다. 그 외에 '단팥묵'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이는 한국에 남아 있는 양갱의 형태가 대부분 단팥으로 만든 것이다보니 그런 거고, 사실 다른 재료를 사용한 양갱도 존재한다.


2. 기원[편집]


중국의 '양갱(羊羹)'은 양고기와 선지를 재료로 하는 국을 의미한다. 일본의 양갱도 중국의 양갱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이 있다. 고기를 먹지 못하는 승려들이 양갱에 피 대신 팥을 넣어 졸여 먹기 시작했고, 일본으로 전파되어 일본식 단팥과 한천을 베이스로 다양하게 발전한 음식이 되었다는 설이다.

다만, 문헌상 뒷받침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신빙성은 떨어져 보인다. 일본에서 15세기 간행된 서당 교재인 정훈왕래에는 양갱(羊羹) 이외에도 저갱(猪羹), 별갱(鼈羹), 죽갱(竹羹) 등이 언급된다. 이는 양갱을 굳혀서 먹기 전 잔에 부어서 마셨을 때, 그 잔의 모양에 따라서 양 모양이면 양갱, 돼지 모양이면 저갱, 자라 모양이면 별갱, 대나무잔이면 죽갱이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그러다 양갱이 가장 대표적인 이름으로 불리다가, 이후에 굳혀서 먹으면서 현재 알고 있는 양갱이 된 것이다. 결국 양갱이 중국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은, 공교롭게도 이름이 같다 보니까 생긴 오해일 가능성이 크다.

우리에게 친숙한 연양갱은 1589년에 와카야마스루가야(駿河屋)에서 # 처음으로 만들었으며 17세기부터는 류큐와 아마미 제도에서 흑설탕이 생산되기 시작해 일본으로 유입되면서 양갱에 설탕을 쓰는 방식이 일반화되었고 에도 시대 때는 그 전성기에 이르렀다. 이것이 한국에도 구한말~일제강점기를 거쳐 들어와 그대로 정착해 오늘에 이른다.


3. 설명[편집]


한국에서는 1945년 8.15 광복 이후 일본인 공장주가 버리고 간 양갱 공장을 인수해서 창업한 해태제과에서 연양갱을 만든 것이 처음이다.

가장 많이 쓰는 재료는 역시 이지만, 그 외에도 고구마으로 만들거나 혹은 녹두, 호두, , 아몬드, 인삼, 배+도라지, 녹차, 심지어 클로렐라 등을 쓰거나 집어넣는 등 다양한 종류의 양갱이 있다.

맛이 몹시 달고 부드러워서 이가 약한 사람이 먹기에도 부담이 없어서 인기가 높지만 싫어하는 사람도 없진 않다. 주로 연령대가 높은 사람들이 즐기거나 학생들이 당분을 높이려고 사탕을 대신하는 용도 이외는 많이 쓰이지는 않았다. 게다가 비슷한 형태와 가격을 가진 데다가 알맞게 달고 씹는 느낌도 좋은 초코바가 보급이 되면서, 인지도는 더욱 떨어지게 되었다.

칼로리는 높은 편으로, 국내 양갱 제품들이 대개 하나에 50그램 정도인데 그거 하나가 150 킬로칼로리 정도다(전부 탄수화물). 반 공기 정도.

양갱의 단점은 아주 강한 단맛. 많이 먹기 경쟁에 양갱을 종목으로 삼았다간 지나친 흡수 때문에 에 부하가 걸려서 기절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고 한꺼번에 많이는 먹지 말자.

다른 단점은 포장지가 양갱에 딱 달라붙은 상태로 나온다는 점이다. 포장이 생각보다 두터우면서도 제품에 딱 달라붙어 있는데 이 때문에 깨끗하게 포장을 떼어내기가 어렵다.[1] 때문에 양갱이 손에 닿을 수도 있고 무너질 수도 있다. 무엇보다 양갱은 은근히 끈적거리고 알게 모르게 안 좋은 냄새도 난다. 양갱을 굳히는 재료인 한천은 유사한 재료인 젤라틴이나 펙틴보다 응고강도가 강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제품에서 수분의 이력현상이 일어나는 성질이 있어 막 만들었을 때는 건조한 듯 해도 시간이 지나면 눅눅해지고 끈적해진다.[2]

은박포장 벗기기를 많이들 어려워하지만, 하단의 스포츠 양갱처럼 짜내 먹으면 편리하다. 제조공정상 액체상태의 양갱을 포장튜브 위쪽에서 주입해 굳히는 식이므로, 처음부터 밀봉된 맨 아랫쪽 포장 모서리는 뭉툭하게, 나중에 밀봉하는 위쪽 입구는 뾰족하게 되어 있다. 때문에 뭉툭한 쪽만 뜯어내고 뾰족한 쪽을 쥐어짜면 쑥 밀려나온다. 아니면 잘은 안보이지만 은박포장을 잘 만져보면 포장지의 양 끝이 만나 접히는 부분이 있다. 접히는 곳을 파고들어서 눌러잡고 접힌 포장을 위로 잡아 뜯으면 일자로 가지런히 뜯어지며 한 쪽이 끝까지 뜯기는 부분까지 잡아 뜯어준 다음 그대로 포장을 뒤집으면 깔끔하게 뜯을 수 있다.

일본에는 원래의 양갱보다 물기가 더 많은 물양갱((みず(よう(かん, 미즈요ー칸)도 있다.

몇몇 사람들, 특히 노인의 경우 '요깡'이라고도 부른다. 위에서도 나오지만 양갱은 일본어로 '(よう(かん(요ー칸)'이라고 하는데, 이 영향이다. 일제강점기 때 들어온 단어.

위의 장점들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기술로도 보관이 반년정도 가능하기에 구 일본해군의 함상 간식 겸 식량으로 애용하기도 했다.

모리나가 밀크캬라멜 팥맛은 양갱과 캐러멜을 합친 것 같은 맛이다.


4. 스포츠 보조식품화[편집]


본래 나이 드신 분들이 즐긴다는 이미지 탓에 젊은 층에서는 크게 인기가 없었지만 2000년대 들어서 등산, 자전거, 마라톤 등 생활 스포츠가 발달하면서 급격히 인지도를 올리게 된다.

장거리 자전거 여행의 달인들, 일명 행군의 달인들 중에는 양갱을 초코바보다 더 높이 평가하는 사람도 있다. 자체 수분 함량이 높아서 물을 적게 또는 안 마셔도 쉽게 목으로 넘어가고 입이나 이에 신경쓰일 수준으로 달라붙지도 않으며, 비타민도 많아 기력 유지에 매우 좋다고 한다.

그리고 달달한 음식이니 운동을 한 뒤 입에 딱 맞기도 하다. 초코바처럼 더운 날씨나 체온에 녹아내리는 애로사항이 없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3] 이 점을 노려 국내에서는 해태제과에서 스포츠용 양갱을 출시했는데, 자사의 연양갱보다 포장이 훨씬 나아졌다.[4] 이쪽은 단맛이 조금 덜한 편이어서 싫어하는 사람들도 조금 더 거부감 없이 다가갈 수 있는 맛이다.

일본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운동선수들에게 유행하였는데, 특히 식사를 과하게 하고 시합에 나갈 경우 생길 수 있는 복통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시합 당일은 계속 이걸 먹었다고 한다. 파워 젤[5]에 비해 훨씬 저렴하면서도 효율이 상당히 좋기 때문에[6] 아마추어 마라토너들도 선호한다.

물론, 제조사에서도 그걸 잘 알고 있으며 대개 마라톤 대회에 참가신청을 하면 주는 안내 책자에도 광고를 자주 싣고 경기 이후 나눠주는 회복식에도 종종 포함된다. 양갱은 지방이 전혀 없다. 단기간에 탄수화물과 당을 집중 섭취할 수 있어 초코바나 칼로리바보다도 고강도의 운동에 훨씬 더 적합하다. 당이 들어가면 피로가 풀리기 때문에 양갱은 보조 운동 효과를 충분히 본다.

다만, 스키어나 스노보더들은 잘 안 먹는데 양갱에 딱 달라붙은 속포장이 장갑을 끼고 까먹기에 힘들기 때문이다. 반대로 날이 추우니까 초코바가 녹을 이유도 없어서 초코바를 먹는 경우가 많다.

5. 기타[편집]


  • 양갱은 겔 전기영동에 쓰인다. 정확히 말하면 핵산 분리 실험인 아가로스 젤 전기영동의 아가로스가 양갱의 성분인 한천이며, 단백질 전기영동 및 작은 bp 단위의 DNA 분리 실험에서는 한천과 관계 없는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이 쓰인다.

  • 양갱을 만들 수 있는 재료는 무궁무진해서[7] 거반 젤리에 가까운 투명한 양갱을 만들거나[8] 의도적으로 온통 공을 들어 아주 세련되고 예쁜 수제양갱을 만들어 관광상품으로 파는 곳도 있다. 일본 시치조칸슌도(七條甘春堂)라는 가게에서 만든 양갱들이 그 대표적인 예시.

  • 요즘에는 개 주인들이 양갱 만드는 기법을 활용해, 앙금을 빼고 한천 + 기타 재료 + 우유만 넣고 건조시켜서 수제 애견간식[9]을 만들기도 한다.

  • 아재개그 소재로도 쓰인다. 서양 조폭은 양갱(洋Gang)이라는 식으로.


5.1. 대중매체에서[편집]



  • 일본풍자물에서는 정치인들이 양갱을 비롯한 각종 단과자 포장상자에다 뇌물을 넣어서 주고받는 클리셰가 있다. 양갱의 노란색 이미지가 금괴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한국에서도 이 습관이 있어서 정비석의 자유부인 등에서 비슷한 묘사가 나오기도 했다. 현대에도 사과박스에 돈을 넣어서 보내는 게 뇌물의 상징으로 통했던 것과 같은 원리.

  • 격주전대 카레인저의 등장하는 악의 세력인 우주폭주족 보족크의 괴인인 보족크의 난폭자는 고구마 양갱을 먹으면 거대화한다. 단, 아무 양갱이나 먹는다고 거대화되는건 아니고, 오직 작중 등장하는 수제 고구마 양갱 전문점인 '이모쵸'의 수제 고구마 양갱으로만 거대화가 가능하며, 상한 양갱이나 공장제 양갱을 먹으면 오히려 작아진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3:44:53에 나무위키 양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이는 한국의 연양갱 제품에 한하며, 다른 상표의 양갱 중에는 직육면체 형태로 포장도 벗기기 쉽게 되어 있는 것도 있다.[2] 그러니 양갱은 사자마자 냉장실이나 냉동실에 바로 넣어놔야 한다. 한천 특유의 잡내도 없어지는 것은 물론, 까먹기도 더 편리해지고 훨씬 맛있어지기 때문.[3] 양갱의 재료인 한천은 한 번 굳었다가 녹는 온도가 70~80도로 높기 때문에, 초코바처럼 물이 되어버리진 않는다.[4] 위의 포장을 뜯고 아래에서 밀어먹는 방식. 아이스크림 폴라포를 생각하면 쉽다.[5] 운동 중에 에너지를 빠르게 보충하기 위해 섭취하는 식품. 짜 먹는 방식이라 편하고 효율도 좋지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많은 양을 구입하기에는 부담스럽다. 다만 저렴한 국산 파워젤도 현재 많이 나와있다.[6] 파워젤은 보통 낱개가 2~4천 원 정도인데, 양갱은 개당 900원 정도이며, 편의점에서 자주 1+1 행사상품이 된다.[7] 과일류, 단호박, 고구마, 초콜릿, 콩, 팥, 녹차, 선인장 열매 등등 활용할 법한 재료는 다 넣어도 상관없다. 예쁜 색을 내길 원한다면 식용색소를 첨가해도 되고. 심지어 와인까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8] 한천을 더 많이 쓰고 앙금을 줄이면 된다.[9] 일명 우유껌. 보통 애완견들의 턱관절 운동과 치석 관리용으로 쓴다. 우유껌은 처음에 굳혔을 땐 달지 않은 우유젤리에 가깝지만 건조기에 들어가면 말린 묵처럼 되고, 꽤 질겨져서 애완견들이 턱 힘을 써가며 껌처럼 잘근잘근 씹기 좋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