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리 브라운

덤프버전 :


파일:/storage/upload/2006/04/7/ns_kin8_1145585002.jpg

1. 개요
2. 가짜 뉴스
3. 창작물에서



1. 개요[편집]


명성황후가 시해된 이후 실의에 빠져 고독한 나날을 보내던 고종은 선교차 조선에 온 미국 오하이오의 장로교 목사 피터 브라운의 딸 에밀리 브라운(만 15세)에게 호감을 갖게 된다. 에밀리 브라운을 자주 궁궐에 부르게 되고, 결국 조선 왕조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외국인 황후를 맞이했다. 그리고 이 외국인 황후가 귀비 엄씨라는 것이다.


2. 가짜 뉴스[편집]


...후궁인 귀비 엄씨를 황후라고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알아차렸겠지만, 이건 가짜 뉴스. 1903년 미국 보스턴 선데이에 실린 기사 내용으로, 기사가 실린 후 물론 반발이 극심했다. 이 기사가 보도된 지 며칠도 안 되어 영문 잡지 코리안리뷰 11월호 기사에는 "거짓말이 참말보다 생생하게 행사하는 것은 이를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미국 몇 신문이 한 미국인 아가씨가 한국의 황후가 되었다는 가십 기사를 실어 한국에 사는 미국인들의 얼굴을 들지 못하게 하고 있다. 어찌 이 광대놀음 같은 일이 벌어질 수 있단 말인가"라는 기사가 실렸다.

미국 공사관에서는 "한국 황제는 외국인 아가씨와 결혼한 사실이 없다. 더욱이 에밀리 브라운 양의 놀라운 결혼을 뒷받침해 줄 근거는 찾아 볼 수도 없다. 또한 한국 황실로부터 간호사, 시녀, 여교사, 가정교사, 여의사 같은 미국인 여성을 고용하겠다는 초빙 요구도 받은 적이 없다."는 성명을 발표하였고 해프닝은 마무리됐다. 하지만 보스턴 선데이의 보도 뿐만 아니라 미국 언론에서는 한국의 황족이 미국인과 혼인하였다는 등의 거짓 기사들이 넘쳐났다.

조선 왕조에선 외국인 황후를 맞이한 적이 없으나, 일제 시대 때 '이왕가'로 격하된 대한제국 황실이 맞은 일본 황족 출신 왕비는 있다. 이 사람이 흔히 이방자 여사라고 알려져 있는 나시모토노미야 마사코.[1]


3. 창작물에서[편집]


  • 에밀리
문준성 작가의 팩션 소설. 지식의숲을 통해 2013년 출간되었다.
가상 인물인 에밀리라는 선교사의 딸과 아관파천 이후 고종의 플라토닉 러브를 그린 로맨스. 엄상궁(귀비 엄씨)은 따로 나온다. 명성황후가 끔살당한 후 일본을 피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고종은 러시아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진 것을 경계한다. 그러다가 미국을 한반도를 둘러싼 싸움판에 끌어들이기 위해 우연히 만난 금발의 미국 선교사 아가씨 에밀리에게 '가짜 연애를 제안한다.' 하지만 소문이 퍼지며 이 교제를 진담으로 받아들인 러시아와 일본이, 그저 선교사 + 의사를 하며 8년째 살며 조선 땅에 정들었던, 하지만 평온한 생활을 하고 있던 아가씨 에밀리의 삶은 한순간에 조선 근대사의 각박한 소용돌이에 휩쓸리게 된다.
극 자체로 보면 재미있고 완성도가 높은 편이다. 짜임새가 있는 극이 흔히 그러하듯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는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가상 인물인 에밀리와 고종의 성격 설정 및 밀당도 꽤 재미있고 설득력 있게 진행되는 편.
그리고 현시창스런 대한제국의 국권 침탈 과정이 제법 상세하게 그려지면서도, 로랜스로 인해 상당히 서정적이고 애수에 찬 색채를 띈다. 이 때문에 국권이 침탈당한 이유를 내인론에서 찾는 사람의 경우 거부감을 느낄 수도


  • 조선, 혁명의 시대에서도 잠시 등장. 여기서는 미국으로 놀러간 고종의 아들인 이강과 엮인다. 평범한 선교사의 딸로 한국과 인연이 있고 이강을 잠시 만나서 짧은 인사를 나누는데 미국 기레기들이 이걸 보고 에밀리가 이강과 결혼한다고 거하게 구라를 까는 바람에 고생을 한다. 특히 이강을 계승권자라고 주장하고 이강이 에밀리와 결혼하면 한국황제의 혈통에 미국인의 피가 흐른다는 자극적인 사실을 보도했다. 덕분에 이강은 이걸 해명하느라 고생을 좀한다.
그와는 별개로 작중에 등장하는 마르가리타 얀코프스카[2]라는 폴란드 여의사가 나오는데 에밀리 브라운을 모티브로 한것으로 보인다.[3] 작중에서 이강도 외모를 제외하면 서로 똑같다고 언급할 정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4:11:23에 나무위키 에밀리 브라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녀를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봐야 할 것이냐 아니냐에 대해선 논란이 있지만, 어찌 됐건 그녀는 영친왕과 함께 사후 종묘에 나란히 배향되어 있다. 조선 왕조 종묘에 모셔진 최초이자 최후의 외국인인 셈.[2] 조선에서 살았던 실존인물 미하일 얀코프스키의 사촌이란 설정을 가지고 있다.[3] 에밀리 브라운 처럼 금발벽안에 한국을 사랑해서 한국 문화를 배우려고 하고 진보적인 성향이며 나중에 황제의 애인이 된다.

관련 문서